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하브루타(Havruta) 수업이 전문대학교 물리치료과 학생들의 학습 태도와 수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정은정,Chung, Eunjung 대한물리치료과학회 2021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Vol.28 No.1

        Background: The world has entered the age of biotechnology and artificial intelligence, and encouraging students to test the value of information and knowledge ie to become information fluent, is becoming more important. The education system is also changing in order to adapt to the times. As a part of this, the cultivation of creative talent is a core goal of many nation states, and Israel's Jewish education methods are attracting attention; havruta (or chavrusa) is one such method. This study aims to effects of havruta class on learning attitudes and class satisfaction in a class of college physical therapy students. Design: Pretest-posttest design. Methods: The subjects were 95 students in College A. The learning attitudes questionnaire were used by the Korea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and the class satisfaction questionnaire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Results: The resul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learning habits about physical therapy of learning attitudes (p<.05) and class methods and contents attention and understanding (p<.05), class interest of class satisfaction (p<.05).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havruta class improves learning attitudes and class satisfaction. Therefore, follow-up study is needed to apply the havruta class in various students and teaching methods.

      • KCI등재후보

        머리-목 굽힘 기반 몸통 안정화 운동이 경직성 뇌성마비 아동의 대동작기능과 앉은 자세정렬에 미치는 효과

        정은정,한상진,이병희,Chung, EunJung,Han, Sang-Jin,Lee, Byoung-Hee 대한물리치료과학회 2019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Vol.26 No.2

        Purpose: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cranio-cervical flexion based trunk stabilization exercise on gross motor function and posture alignment change in children with spastic cerebral palsy. Design: Randomized Controlled Trial. Methods: Twenty-six childr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All subjects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the Cranio-Cervical Flexion Based Trunk Stabilization Exercise (CCFTS) group (n=13) or the Trunk Stabilization Exercise (TS) group (n=13). In both groups were trained general physical therapy for 10 minutes, in the CCFTS group was trained cranio-cervical flexion based trunk stabilization exercise for 20 minutes and in the TS group was trained trunk stabilization exercise for 20 minutes. The training was provided 2 times a week during 8 weeks. All subjects were measured with the Gross Motor Function Measure (GMFM) and Cranio-Vertebral Angle (CVA)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CFTS have increased significantly in GMFM (B, C, D and E-dimension) and CVA, and the TS group have increased significantly in GMFM (B, C D and E-dimension). In particular, the CCFTS group improved significantly than TS group in GMFM (B, C and D-dimension) and CVA. Therefore, the cranio-cervical flexion based trunk stabilization exercise improved gross motor function and posture alignment in children with spastic cerebral palsy.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cranio-cervical flexion based trunk stabilization exercise is feasible and suitable for individuals with a spastic cerebral palsy and can be used in addition to conventional physical therapy.

      • KCI등재

        일부 초등학교 5,6학년생의 채소 선호도와 영양지식 및 건강관련 요인과의 관련성

        정은정 ( Eun Jung Chung ),이수현 ( Soo Hyun Lee ),안홍석 ( Hong Seok Ahn ) 대한영양사협회 2009 대한영양사협회 학술지 Vol.15 No.2

        With recent increases in demand for women`s social participation, children have tended to favor western-style foods and dislike vegetables (Veg.).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dietary behavior and Veg. intake in 612 elementary school children (339 boys; 273 girls) in Gyeonggi-do. 66.5% of the subjects reported that they liked Veg. The most frequent reason given for this preference in Veg. liking group was that vegetables were `delicious` (35.6%), followed by `nutritious` and `frequent intake`. The most frequent reason given for disliking Veg. in the Veg. disliking group was that vegetables are `not delicious` (94.6%). Approximately half of the subjects had correct knowledge about vegetables. The total score of general nutrition knowledge was 7.7 points (a perfect score is 10 points) and the majority of students generally had good dietary behaviors. The Veg. liking group scored higher on knowledge about Veg., general nutritional knowledge, dietary behavior, and Veg. preference than did the members of the Veg. disliking group (p<0.001). The ‘active’ group had the highest score for dietary behavior (p<0.001), and the scores for dietary behavior and Veg. preference increased with increasing self-rated health status (p<0.001). The score of normal BMI group for nutritional knowledge about Veg. was higher than that of the underweight group (p<0.05). The higher self-rated academic score group showed higher on knowledge about Veg., general nutrition knowledge, dietary behavior (p<0.001) and Veg. preference (p<0.05). Dietary behavior and preference of Veg.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nutritional knowledge. To improve health by increasing Veg. intake, education about the nutritional importance of Veg. should be needed, and continuous nutritional education is recommended to foster good food habits and Veg. preferences in children.

      • KCI등재

        경기지역 일부 대학생의 지방제한 섭취 행동단계에 따른 영양소 섭취상태 비교

        정은정(Eun-Jung Chu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4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3 No.8

        경기지역 일부 대학생의 지방제한식에 대한 행동단계 분포는 연구대상자의 19.3%가 자각이전, 13.8%는 자각, 31.1%는 준비, 28.7%는 실시, 7.1%는 유지단계로, 성인보다 실시 및 유지단계 비율이 낮아 대학생의 지방질을 선호하는 식생활을 엿볼 수 있었다. 행동변화 단계별로 BMI, 자신의 건강 평가, 음주, 흡연 등은 차이가 없었으나 성별에 의한 차이는 뚜렷하여 남학생은 자각이전 및 자각단계가, 여학생은 준비, 실행 및 유지단계의 비율이 많았다. 식행동 단계의 주요 예측인자인 자아효능감은 자각이전에서 유지단계로 갈수록 증가하였다. 열량, 지방질, 포화지방산, linoleic acid(ω6), 콜레스테롤 섭취량은 남여 모두 자각이전과 준비단계에서 많고, 실행과 유지단계에서 적었다. 섭취열량중 지방질의 비율은 자각이전과 준비단계에는 권장수준인 20%를 크게 상회하였으나, 실행과 유지단계에서는 권장수준을 섭취하는 양호한 식습관을 갖고 있었다. 섭취 지방산의 P/S 비율은 모두 권장비율에 속하였으며, ω6/ω3 비율은 여학생은 권장범위에 속하였으나(자각이전단계 예외), 남학생은 모든 단계에서 권장범위 이상으로, 지방질의 질적 영양문제가 지적되었다. 행동단계별 영양소 섭취량의 차이는 여학생에게서 더 뚜렷하였으며, 남학생은 실행단계보다 유지단계에서 열량, 포화지방산, 콜레스테롤 섭취량, ω6/ω3 비율 등이 오히려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 행동변화 모형에 의한 대상자의 구분은 여학생에서 더 유용한 도구였다. 남학생의 열량, 지방질, 단백질 섭취량은 저녁식사에서만 행동단계별로 차이를 보였으나, 여학생은 저녁을 포함한 다른 끼니에서도 차이를 보여, 남학생보다 단계별 식행동의 차이가 뚜렷하였다. 이상의 결과에서와 같이 아주 간단한 과정을 통해 식행동 단계를 구분지어 주는 행동변화단계 모형은 대상자의 특성과 지방질 영양의 문제점을 파악할 수 있게 되어 각 개인별 맞춤 영양교육의 한 도구가 되어질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행동변화단계 모형에서 자각이전, 자각, 준비단계로 분류된 대상자들에게는 양적, 질적으로 모두 양호한 지방질의 섭취패턴을 보이는 실행과 유지단계가 되도록, 자아효능감 등을 증가시키는 영양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남학생의 경우 여학생보다 지방제한식을 실시하는 비율이 적었으며, 행동변화 단계에 따라 영양소 섭취량의 차이도 뚜렷하지 않아, 이들을 위한 영양교육의 필요성이 지적되었다. 따라서 이들에게 구체적인 내용의 영양교육을 실시하기 위해, 열량과 지방질, 포화지방, 콜레스테롤 섭취량의 주요 급원식품에 대한 후속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nutrient intakes regarding stages of change in dietary fat reduction behavior. Subjects were consisted of healthy 383 college students (250 females and 133 males) in Gyeonggi-Do. Stages of change classified by an algorithm based on 6 items were designed each subjects into one of the 5 stages: precontemplation (PC), contemplation (CO), preparation (PR), action (AC), maintenance (MA). Nutrient intakes were assessed by 24-hr recall method. Regarding the 5 stages of changes, PR stage comprised the largest group (31.1%), followed by AC (28.7%), PC (19.3%), CO (13.8%), MA (7.1%). Female were more belong to either AC or MA. Those in PC and PR had the most energy, fat, saturated fatty acid and cholesterol (except male) and those in AC and MA had the least. These dietary patterns were more distinctive in female than in male. The higher stage of change in dietary fat reduction behavior, the higher self-efficacy. Energy % from fat in PC, CO, PR was too higher than 20%, that of in AC and MA (except male in MA) was within 20%. The average P/S and ω6/ω3 ratio of diet fat for female were similar to the recommended ratio, but the average ω6/ω3 ratio for male was found to be 10.1~12.9, which was beyond the suggested range, 4~10. In male, energy, fat and protein intakes from dinner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stages of change, but in female, besides dinner, those from breakfast, lunch and snack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stages of change. These results of our study confirm differences in stages of change in fat intake in terms of nutritional status, especially in female, and indicate the need for taking these phases of changes into account in nutrition advice.

      • KCI등재

        케일녹즙 분말식이가 흰쥐의 혈중 지질, 엽산 및 호모시스테인 수준에 미치는 효과

        정은정(Eun-Jung Chung),김수연(Soo-Yeon Kim),남영주(Young-Ju Nam),박정화(Jung-Hwa Park),황혜진(Hye-Jin Hwang),이양자(Yang-Cha Lee-K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5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4 No.8

        녹즙분말과 콜레스테롤 첨가식이로 8주간 사육한 흰쥐의 혈중 지질, 호모시스테인 및 엽산수준에 미치는 효과를 관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흰쥐의 혈중 총 콜레스테롤 농도는 녹즙이나 콜레스테롤 보충에 의해 유의한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중성지질 농도는 녹즙군에서 낮았다(p<0.001). HDL-콜레스테롤과 LDL-콜레스테롤의 경우, 식이 콜레스테롤의 영향을 받아, HDL-콜레스테롤은 콜레스테롤군보다 무콜레스테롤군에서 높았으며(p<0.001), LDL-콜레스테롤은 콜레스테롤군에서 높았다(p<0.05). HDL-콜레스테롤 수준은 녹즙군에서 높았으며(p<0.05), LDL-콜레스테롤 농도는 콜레스테롤과 케일의 상호효과가 나타나 무콜레스테롤군에서만 녹즙에 의한 감소효과를 보였다. HDL/LDL 비율은 콜레스테롤 보충군에서 낮았으며(p<0.05), 녹즙보충군에서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지 못하였다. 혈청 엽산, 비타민 B₁₂ 및 혈장 호모시스테인 농도는 녹즙분말이나 콜레스테롤 보충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았다. 혈중 엽산과 비타민 B₁₂ 농도사이에는 유의한 양의 상관성(r=0.5632, p< 0.001)이 관찰되었으나, 혈중 호모시스테인 농도는 혈중 엽산, 비타민 B₁₂ 및 콜레스테롤 농도 사이에는 모두 유의한 상관성이 관찰되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엽산이 충분히 공급되는 경우, 녹즙보충시 나타나게 되는 심혈관계질환 예방효과는, HDL 농도의 증가 및 중성지방 농도의 감소에 의한 것이며, 녹즙내 엽산보충에 의한 호모시스테인 농도 변화와는 관련이 적은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green vegetable (kale) juice powder supplementation on lipid profiles, plasma homocysteine, folate and vitamin B₁₂ in rats fed cholesterol (Chol.) or Chol. free diet. 7-week old male Sprague Dawley rats (n=40) were divided into 4 groups, and experimental diets containing control diet group (CO), control diet plus 0.5 wt% Chol. (CC), control diet added with 5 wt% kale (KO), control diet added with 5 wt% kale plus 0.5 wt% Chol. (KC) were fed for 8 wks. Plasma homocysteine level was examined by amino acid analyzer and serum folate and vitamin B₁₂ level were measured by competitive radioimmunoassay methods. In various serum lipid profiles, TG level was lower in kale juice powder groups (KO, KC) compared to the corresponding groups (CO, CC) (p<0.001). In Chol. supplemented groups (CC, KC), HDL-Chol. level was lower (p<0.001) and LDL-Chol. level was higher (p<0.05) than Chol. free diet. HDL-Chol. level was higer (p<0.05) in kale juice powder groups. HDL/LDL ratio was lower in Chol. supplemented groups (CC, KC) and tended to be higher in kale juice powder groups (KO, KC). Serum folate and vitamin B₁₂ levels were not affected by dietary Chol. and kale juice powder supplementation. Plasma homocysteine level was not affected by dietary Chol. and kale juice powder supplementation, too. Serum folate level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erum vitamin B₁₂ level (r=0.5632, p<0.001), but plasma homocysteine level was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any serum folate, vitamin B₁₂ and Chol. levels, respectively. In summary, kale juice powder supplementation have improved serum lipid profiles by increasing the HDL level and decreasing the TG level and have not altered homocysteine level under the sufficient supply of folate and vitamin B complex relating with the homocysteine metabolism.

      • SCOPUSKCI등재
      • KCI등재

        경기지역 대학생의 소금 관련 식행동 및 나트륨 섭취량

        정은정(Eun Jung Chung),심유진(Eugene Sh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8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7 No.5

        본 연구는 경기지역 대학생 218명(남 95명; 여 123명)을 대상으로 DFQ를 이용하여 나트륨 섭취량을 조사하고 관련된 식행동을 비교, 평가하였다. 수축기와 이완기혈압, DFQ-15 점수와 DFQ-125에 의한 나트륨 섭취량(남 6094.2 ㎎; 여자 4760.7 ㎎)은 모두 남자에서 더 높았다(p<0.01). 전체대상자를 DFQ-15에 의해 고염과 저염 섭취군으로 분류한 결과, 두 집단의 혈압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여자에서는 저염군의 수축기와 이완기혈압이 높았는데(p<0.05), 이는 여자 저염군에서 유의하게 높은 BMI 때문으로 생각된다. 고염 식태도 점수와 나트륨 섭취량은 고염군에서 매우 높았다(p<0.001). 식습관 비교 결과, 매일 단백질 음식을 먹거나 골고루 먹는 식습관 빈도는 저염군에서 높았으며(p<0.05), 튀김, 볶음요리 및 지방이 많은 육류를 자주 먹거나 식사시 소금과 간장을 더 넣는 부정적 식습관 빈도는 고염군에서 더 높았다(p<0.05). 고염군은 조린 음식 및 중식, 일식을 좋아하고 된장국을 자주 먹으며 튀김, 생선회는 간장에 듬뿍적셔 먹는 고염 식태도 빈도가 높았으며, 식탁에서 소금을 잘 넣지 않는 저염 식행동 빈도는 낮았다(p<0.05). 나트륨 섭취량을 기준으로 분류한 고염군은 볶음밥 등 별미밥과 조린 음식을 좋아하고 식사 전 습관적으로 소금을 더 넣는 고염 식태도 문항 점수가 높았고, 라면 국물을 남기거나 식탁에서 소금을 추가로 잘 넣지 않는 저염 식행동 문항 점수는 낮았다(p<0.05). 한편, 전체대상자에서 식품구매 시 영양표시를 확인하는 군의 고염 식태도 점수, DFQ-15 점수, 나트륨 섭취량은 비확인군에 비하여 모두 유의하게 낮았으며 저염 식행동 점수는 높았다(p<0.01). 특히, 영양표시 비확인군의 나트륨 섭취량(5669.1 ㎎)은 확인군(4241.9 ㎎)의 133.6%에 달해 영양표시 확인여부가 고염섭취의 위험요인인 것으로 생각된다. 남, 여 각 집단과 전체대상자에서 자신이 짜게 먹는 것을 선호한다고 스스로 평가한 군이 그렇지 않다고 한 군에 비하여 고염 식태도 점수는 높고 저염 식행동 점수는 낮았다(p<0.001). 하지만 여학생에서는 짜게 먹는 것을 선호한다고 답한 군의 나트륨 섭취가 매우 높은 반면, 남학생에서는 싱겁게 먹는 것을 선호한다고 답한 군의 나트륨 섭취가 매우 높아(p<0.05), 주관적으로 판단한 음식 간의 선호도가 실제 나트륨 섭취 수준을 잘 반영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남학생은 나트륨 섭취량이 여학생보다 높고 충분섭취량의 406.3%에 달해 고염 섭취의 위험군이라 할 수 있었다. 고염군의 식행동 특성에는 지방 함량이 높고 조린 음식을 좋아하고 식탁에서 소금 간을 자주하는 반면, 균형식을 실천하는 비율은 낮았다. 따라서 대학생 특히, 남학생을 위한 고혈압 영양교육에는 소금 감량에 관한 내용 외에도 기본적인 식품영양 지식과 올바른 식습관의 중요성 등에 관한 내용이 포함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associations of dietary sodium (Na) intake with salt-related dietary behaviors of 218 university students (95 men; 123 women) living in Gyeonggi area. Dish frequency questionnaire (DFQ) was used to identify salt-related dietary behaviors and to determine Na intakes. In men, systolic & diastolic blood pressures, Na intakes and DFQ-15 score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women. High-salt intake group (HS), classified by DFQ-15, had higher scores of high-salt dietary attitude and more Na intakes than low-salt intake group (LS). HS took protein foods and had balanced diets less frequently than LS (p<0.05). HS had fried dishes & fatty meats, and added salt to dishes more frequently (p<0.05). HS and LS had differences in preference of soy-boiled and Chinese or Japanese foods, in intake frequency of bean-paste soup, in use of soy sauce with fried food or raw fish, and in salt addition to dishes at the table (p<0.05). HS, classified by Na intakes, had high-salt dietary attitudes such as preference of seasoned rice & soy-boiled foods and habitual addition of soy sauce or salt to dishes at the table. The subjects using food labels when purchasing had better salt-related attitudes & behaviors, and lower DFQ-15 scores & Na intakes than the non-users (p<0.01). Self-assessed HS (SHS) had worse salt-related attitudes and behaviors (p<0.05). Male self-assessed LS (SLS) had higher Na intakes, which indicated that self-assessment of salt preference did not actually reflect Na intake. In summary, male university students belonged to a high-risk group of salt intakes, and HS preferred soy-boiled foods or fatty dishes, frequently added salt to dishes and rarely had balanced die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nutrition education programs for university students should include fundamental dietetics and a balanced diet, in addition to a low-Na diet.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콩 단백 성분 및 연령이 암컷 흰쥐의 혈장 지질 농도와 인지질 지방산 패턴에 미치는 영향

        정은정(Eun-Jung Chung),김수연(Soo-Yeon Kim),김지영(Ji-Young Kim),안지영(Ji-Young Ahn),박정화(Jung-Wha Park),차명화(Myung-Hwa Cha),이양자(Yang-Cha Lee K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3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2 No.2

        혈중 지질농도는 식이단백질 종류보다는 연령의 영향을 많이 받아, young군보다 old군의 총 콜레스테롤, TG, HDL-콜레스테롤, LDL+VLDL-콜레스테롤 및 AI 모두 높았다. 한편 콩 단백질군에서 HDL-콜레스테롤 수준이 증가하고, LDL+VLDL-콜레스테롤와 AI는 감소하여, 심혈관질환에 대한 콩 단백질의 유익한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식이단백질에 의해 유의한 영향을 받은 혈장 인지질의 지방산조성중 22:0, 18:1ω9, ∑MUFA 조성은 카제인군에서 콩 단백질군 보다 높았으며, 반대로 ∑SFA 조성은 카제인군에서 낮았다. 연령에 의해 혈장 인지질 지방산 조성에 있어 유의한 차이를 보인 지방산 중 22:0, 18:1ω9, 22:1, 18:3ω3 및 22:4ω6는 young군에서 높은 반면에, 22:6ω3, ∑ω3, 18:2ω6, 20:4ω6, ∑ω6 및 ∑PUFA의 조성비율은 old군에서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이 식이 단백질의 종류보다 연령의 영향력이 더 많이 나타난 것은 혈중 콜레스테롤 수준이 식이 단백질보다는 연령의 영향을 더 크게 받았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혈장 인지질 지방산의 대사지표 중 Δ7-desaturation index(16:0⇒16:1ω7)와 Δ9-desaturation index(18:0⇒18:1ω9)가 식이 단백질의 영향을 받아 카제인군에 비해 콩 단백질군에서 유의하게 낮았다. Δ7- 및 Δ9-desaturation index만이 식이 단백질의 영향을 받은 것은 식이 단백질보다 desaturase 활성에 더 큰 영향력을 미치는 콜레스테롤이 식이에 첨가되었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Δ-4 desaturation index (22:4ω6⇒22:5ω6)는 young군에 비해 old군에서 높았으며, elongation index(20:4 ω6⇒22:4ω6)는 old군에서 낮았다. 대부분의 elongation과 desaturation 단계는 연령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못하였으나, ω3계 지방산의 전체적인 elongation-desaturation 단계를 나타내는 ∑products-fatty acid(ω3)/α-LNA(ω3) 비율이 old군에서 young군보다 유의하게 높아, 연령에 따른 PUFA 대사의 변화가 관찰되었다. 이상에서와 같이, 콩 단백질의 섭취로 흰쥐 혈장 인지질의 ∑MUFA 조성은 낮고 ∑SFA 조성은 높아 다른 지질 강화성분의 섭취와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혈중 콜레스테롤 수준이 높은 old군에서 체내 막조직의 유동성을 유지하기 위해 PUFA의 합성 특히 ω3계 지방산의 elongation-desaturation이 증가하여 총 PUFA 조성이 young군보다 높았다. 연구결과로 이소플라본을 포함한 콩 단백질의 혈중 지질저하 기전에 대해 체계적인 설명은할 수 없지만, 콩 단백질이 혈장 지방산의 조성을 변화시킴으로써 간접적으로 심혈관계 질환에 대해 유익한 효과를 미침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이러한 혈관의 건강과 관련된 콩의 유익한 효과는 이소플라본과 같은 콩의 특정 성분의 단독효과라기보다는 콩 단백질과의 복합효과에 의한 것이라는 주장은 매우 설득력 있다고 생각된다. Effects of soy protein concentrate (SPC) containing isoflavone and casein diets on plasma phospholipid (PLs)-fatty acid patterns were investigated in 7- & 40- wk old female rats. Diets containing 16% SPC (soy/young: SY, soy/old: SO) and casein (casein/young: CY, casein/ old: CO) supplemented with 0.5% cholesterol were fed for 4 wks. Fatty acid compositions of plasma PLs were determined by TLC and GLC. Compared to the dietary protein effects, age effects on serum lipids were more profound. The levels of total cholesterol (Chol.), triglyceride, HDL-Chol., (LDL+VLDL)-Chol. and atherogenic index (AI) were higher in older groups (OC & OS) than younger groups (YC & YS). Soy groups had higher HDL-Chol. level and lower (LDL+VLDL)-Chol. and AI, compared with casein groups. The compositions of C22:0, C18:1ω9 and sum of MUFA in plasma PL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casein group (CY & CO) than soy group (SY & SO), but those of sum of SFA were higher in soy group. The compositions of C22:0, C18:1ω9, C22:1, C18:3ω3 and C22:4ω6 were higher and those of C22:6ω3, sum ofω3, C18:2ω6 C20:4ω6, sum ofω6 and sum of PUFA were lower in plasma PLs of younger rats. The average P/S and ω3/ω6 ratio in older group was higher. The Δ-7 desaturation index (16:0⇒16:1ω7) and Δ-9 desaturation index (18:0⇒18 : 1ω9) were lower in soy group than casein group, while Δ-6 and Δ-5 desaturation index were not affected by dietary protein. The Δ-4 desaturation index (22:4ω6⇒22:5ω6) were higher and, elongation index (20:4ω6⇒22:4ω6) were lower in older group. The ratio of the products of ω3 fatty acid series/precursor of ω3 fatty acid series (C18:3) was significantly higher in older group, which in- dicated that age affected the plasma PUFA metabolism. On the other hand, older rats had higher serum cholesterol level compared with younger rats. Taken together, these changes in fatty acid composition might cause minimal changes in the membrane fluidity induced by the increase serum cholesterol leve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