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등학교 특수학급 학생의 전환 요인 분석

        정윤우 ( Yun Woo Jeong ),동영 ( Dong Young Chung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09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0 No.4

        본 연구는 중등학교 특수학급 학생의 전환 요인을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 문헌 연구를 통해 전환영역을 학생, 학교, 사회, 직업의 영역으로 구분하여 영역별로 전환 요소를 추출하여 조사도구를 개발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는 중ㆍ고등학교 특수학급 담당교사 200명을 대상으로 전환 요인 조사를 시행하여 확인적 요인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중등학교 특수학급 학생의 학생영역 전환 요인은 상황 대처 요인, 자아인식 요인, 생활태도 요인, 지원선택 요인, 생활관리 요인, 관심 해결 요인, 능동적 참여 요인으로 분석되고, 학교영역 전환요인은 체제운영 요인, 지원내용 요인, 지원환경 요인, 현장체험 요인, 부모교육 요인으로 분석되고, 사회영역 전환 요인은 사회적 관계 요인, 유대감 형성 요인, 서비스 활용 요인, 사회적 의무 요인으로 분석되고, 직업 영역 전환 요인은 직업 생활 인식 요인, 직업 정보 탐색 요인, 직무 내용 확인 요인, 직무 기술 습득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중등학교 특수학급학생의 전환을 위해서는 학생, 학교, 사회, 직업 영역의 각 요인에 대한 체계적인 프로그램과 지원이 필요하다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ransition factors for specialclasses students in secondary schools. In order to achieve these purpose, this study developed a questionnaire for transition support factors for special class students in secondary school and conducted a questionnaire with 200 special class teachers in middle and high schools. Using data collected from the survey, performe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results from this study appeared as follows; First, identified transition factors for special class students in secondary school were situational coping, self-recognition, life attitude, support selection, life management, interest solution, and active participation in the student domain, Second, identified transition factors for special class students in secondary school were system operation, support contents, support environment, field experience, and parent education in the school domain. Third, identified transition factors for special class students in secondary school were social relation, tie formation, service utilization, and social obligation in the social domain. Fourth, identified transition factors for special class students in secondary school were perception of career life, job information search, job content examination, and job skill acquisition in the vocational domain. Therefore, for successful transition, special class students’transition should be provided in a systematic supports and planned programs in the student, school, society, and vocational areas.

      • KCI등재

        중도 지적장애학생 교육과정 개발 요인과 실행 요인의 관계 분석

        정윤우 ( Yun Woo Jung ),동영 ( Dong Young Chung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4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5 No.1

        본 연구에서는 중도 지적장애학생 교육과정에 적합한 교육과정 개발 전문성과 실행 적응성을 제고하기 위하여 중도 지적장애학생의 교육과정 개발 요인과 실행 요인의 관계 모형을 설정하여 검증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위하여 연구 문제를 ‘중도 지적장애학생의 교육과정 개발 요인과 교육과정 실행 간의 구조적 관계는 어떠한가?’로 선정하였다.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관련문헌과 선행 연구의 고찰을 통해 중도 지적장애학생 교육과정 개발 요인과 교육과정 실행 간의 관계에 대한 가설적 모형을 설정하였고, 조사연구를 통해 중도 지적장애학생 교육과정 개발 요인과 교육과정 실행 요인 간의 구조적인 관계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일반교육 교육과정의 교육과정 개발과 실행의 관계가 교육과정지식, 기술, 태도가 실행에 모두 영향을 주거나 또는 기술 요인을 매개로 하여 영향을 주고 있었으나, 중도 지적장애학생 교육과정 실행에 영향을 주는 개발 요인은 교육과정 지식과 태도였다. 교육과정 지식은 교육과정 실행을 위한 전문성의 중요성을 요구하고, 교육과정 태도는 중도 지적장애학생의 교육과 관련된 구성원들의 교육과정 제공에 대한 책임과 반성적 사고를 통해 교육과정 실행이 적합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실천적 적응성의 향상을 강조하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ried to test those factors by setting up a relation model of them to present the developmental expertise and implementation adaptability appropriate for students with severely intellectual disability. The research questions selected for the sake of achiev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What is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developmental and implementation factors of the curriculum for students with severe intellectual disabil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factors that had direct influence on the Implementation of the curriculum for severe intellectual disability were curricular knowledge and attitudes, but curricular skill did not affect the Implementation of the curriculum. This means that the curriculum development factors including curricular knowledge and attitudes are important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curriculum for students with severe intellectual disability. Also, curricular attitudes toward the development of the curriculum for students with severe intellectual disability turned out to have greater influence on Implementation than on curricular knowledge. And, though curricular knowledge did not have influence on the Implementation of the curriculum, curricular knowledge, skill, and attitudes had correlations with each others rather than respectively being independent in the development of the curriculum for severe intellectual disability.

      • KCI등재

        통합적 읽기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읽기능력 및 읽기태도에 미치는 영향

        김봉세(Kim, BongSae),동영(Chung, DongYuong),정윤우(Chung, YunWo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3 No.1

        본 연구는 동요와 동화를 활용한 통합적 읽기 프로그램을 구안하고 이러한 동요와 동화를 활용한 통합적 읽기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읽기능력 및 읽기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을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첫째, 동요와 동화를 활용한 통합적 읽기 프로그램 활동이 초등학교 읽기 곤란학생의 읽기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둘째, 동요와 동화를 활용한 통합적 읽기 프로그램 활동이 초등학교 읽기 곤란학생의 읽기태도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라는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대상은 C도에 소재한 S초등학교 3학년 2개 학급에서 읽기능력과 읽기태도에서 낮은 점수를 얻고 점수 분포가 유사한 30명을 의도적 표집을 통해 선정하고, 각각 15명씩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선정하였다. 동요와 동화를 활용한 통합적 읽기 프로그램은 국어와 음악 교육과정 및 교사용 지도서, 교과서, 초등학생에게 익숙한 동요와 동화를 참고하여 지도 교수 및 교과 전문가의 조언을 받아 8주 24차시 분의 동요와 동화를 활용한 통합적 읽기 프로그램 구안하였다. <연구문제 1>과 <연구문제 2>를 검증하기 위하여 실험 처치 전 후 읽기능력 및 읽기태도에 대한 공변량 분석(ANCOVA)을 통해 차이를 검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동요와 동화를 활용한 통합적 읽기 프로그램이 읽기능력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읽기태도에서도 유의미한 수준으로 효과의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 비추어 동요와 동화를 활용한 통합적 읽기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읽기능력과 읽기태도 신장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the integrative reading program using children s songs and fairy tales, and testify the effect of the integrative reading program on the reading ability and reading attitude of elementary students. To achieve the above objective, the following research problems were posed. First, what is the effect of the integrative reading program activity using children s songs and fairy tales on the reading ability of the elementary students having difficulty reading? Second, what is the effect of the integrative reading program activity using children s songs and fairy tales on the reading attitude of the elementary students having difficulty reading? The 30 subjects were selected intentionally from the two classes of the third grade of S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C Province, who have low scores and are similar in terms of score distribution of reading ability and reading attitude. Also, they were assigned into two groups of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15 students respectively. The integrative reading program of 8 weeks and 24 periods using the children s songs and fairy tales were designed with the help of a thesis director and the course expert, referring to korean language and music curriculum , teacher s guidebooks, textbooks and fairy tales familiar to elementary students. The verification of the 〈research task 1〉and〈research task 2〉was done by the difference of reading ability and reading attitude using the analysis of ANCOVA before and after experimental treatment. The results of the study have shown that the integrative reading program using children s songs and fairy tales indicat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reading ability and the meaningful difference of effect in reading attitude, too. Based on the above findings, it was proved that the integrative reading program using children s songs and fairy tales contributed to improving reading ability and reading attitude.

      • KCI등재

        장애학생 통합교육 연구 동향 분석과 시사점

        김봉세(Kim, BongSae),동영(Chung, DongYuong),정윤우(Chung, YunWo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4 No.1

        오늘날 교육의 패러다임은 학습자 중심으로 이동함에 따라 수요자인 학습자에 대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서비스의 개념이 강조되고 있다. 장애학생에 대한 통합은 장애 학습자의 요구를 실현하는 방법 중 하나이다. 국내 통합교육에 대한 연구는 물리적·재정적 지원에 중점을 두고 연구해 온 경향이 있었다. 하지만 이러한 경향은 장애학생의 통합교육의 내용과 방법에 대해서 빈약한 연구토대를 제공하는 한계를 가질 수밖에 없다. 이에 본 연구는 통합교육에 대한 최근 20여 년 동안의 문헌들을 조사하여 국내 장애학생 통합교육의 연구 동향을 분석하고 이와 관련된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해 제시해보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첫째, 장애학생 통합교육 연구에 대한 여러 변인별 분석을 통해 살펴본 통합교육 연구 동향은 어떠한가, 둘째, 장애학생 통합교육 관련 연구 동향 분석이 주는 향후 연구과제 무엇인가로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장애학생 중심의 통합교육과 장애학생의 부모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 및 물리적·재정적 지원체제를 넘어서 심리적 만족이 강조되는 통합교육 만족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장애학생의 경우 부모에 대한 의존도가 높고 발달과 교육에 미치는 영향이 크기 때문에 장애학생 학부모 만족도 요인에 대한 구조를 분석하는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The notion of service is emphasized to meet the needs of the student consumers, because the current paradigm of education is moving toward the learner-centered education. The inclusion for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is one of the ways to realize the needs of the learners with disabilities. Domestic studies on inclusive education have tended to put emphasis on physical and financial support. However, this tendency cannot help having limitation of providing a poor research basis on the method and contents of inclusive education for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 of domestic inclusive education for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by investigating the database for the recent 20 years and present future direction of research related to this. To achieve this purpose of the study, the following research problems are established. First, what is the research trend of inclusive education for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dicated through analysis of many kinds of variables? Second, what is the future research subject which the analysis of the research trend related to inclusive education for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provides? According to the study, it is necessary to research the inclusive education focused on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 the awareness of the parents of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on inclusive education, and the satisfaction degree of inclusive education focusing on psychological contentment beyond physical and financial support system. Besides, for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y are very dependent upon their parents and such dependency has a great effect on their development and education. Thus, the study is needed to analyze the structure of the factors on the satisfaction degree of the parents of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