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무원과 기자의 부패인식에 대한 상호지향성 연구: 제주지역을 중심으로

        정용복 ( Yongbok Jung ) 한국지역언론학회 2015 언론과학연구 Vol.15 No.4

        본 연구는 제주특별자치도 소속 공무원과 기자 사이의 상호 집단과 지역사회 부패수준에 대한 인식 차이를 객관적 일치도, 주관적 일치도, 정확도 등으로 파악할수 있는 상호지향성 모델을 적용해 실증적으로 분석했다. 그 결과, 상호 집단과 지역사회 부패인식에서 공무원과 기자 간 상당한 인식 차이가 있다는 사실을 알 수있었다. 공무원과 기자 집단은 서로 상대방의 인식에 대해 어떤 부분은 과대평가하거나, 또 다른 부분은 과소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공무원 스스로가 자신들의 윤리의식과 행정의 투명성 정도를 매우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었다. 이는 공무원 스스로 느끼는 공직사회 부패수준에 대한 인식과 기자가 인식하는 생각과는 상당한 차이가 있다는 점에서 뚜렷이 알 수 있다. 반면 기자들은 자신의 부패수준을 비교적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경향이 있었으며, 공무원은 기자 집단 부패수준에 대해 기자 자신들이 높게 평가할 것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지역사회 부패발생 원인과 부패방지 대책에 대해서도 공무원과 기자는 각기 다른 평가를 내리고 있기에, 부패발생 원인에 대한 정확한 진단과 이에 따른 해결을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공무원과 기자의 부패 인식에 대한 상호지향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In this study, the differences in mutual corruption perceptions and community corruption perceptions between officials and journalists affiliated with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were empirically analyzed by applying a co-orientation model, based on congruency, agreement and accuracy. As a result, there were considerable differences in mutual and community corruption perceptions between officials and journalists, and the groups of officials and journalists overestimated or underestimated some of each other. Especially, officials tended to think of their ethics and administrative transparency very positively, whereas journalists evaluated their level of corruption negatively. Officials also perceived that journalists would rate themselves high, in relation to the level of corruption of journalist group. In terms of the causes for community corruption and corruption prevention measures, officials and journalists made different estimations. This implies that there is a need to improve co-orientation of perception of officials and journalists in order to accurately diagnose the causes for corruption and solve the problem.

      • KCI등재

        다문화미디어교육의 실태 분석과 발전방향 연구 : 제주지역 다문화미디어교육 관계자의 심층인터뷰를 중심으로

        정용복 ( Yongbok Jung ) 한국지역언론학회 2016 언론과학연구 Vol.16 No.4

        본 연구는 제주지역 다문화미디어교육 관계자를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통해 다문화미디어교육의 실태와 문제점, 발전방향에 대해 고찰하고, 지속가능한 다문화미디어교육의 발전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했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문화미디어교육의 문제점으로 일회성 사업으로의 시행, 교육 대상자 확보의 어려움, 교육 참여에 대한 열의나 호응도 부족, 다문화미디어교육 지원예산의 부족과 유연성결여, 공공기관과 민간단체 간의 공유와 연결 부재 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다문화미디어교육의 발전적 방향을 제언하면 첫째, 다문화미디어교육을 미디어교육에 중점을 둘 것이 아니라 다문화교육을 전제로 한 미디어활용에 초점을 둬야 한다. 둘째, 결혼이민여성 다문화강사 양성 교육에 미디어교육을 접목시켜야 한다. 셋째, 여성가족부가 지정한 다문화 사업에 미디어교육을 공식화시켜야 한다. 마지막으로, 다문화미디어교육이 시혜적 행정 지원 사업에서 벗어나 이주민들의 자조모임 단체 주도로 이뤄져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This study has its aim to consider statue, problem, and devel-opment direction of multicultural media education through an in-depth interview with managers of Jeju region multicultural me-dia education, and to deduct political implication for sustainable multicultural media education development. As a summary of study result, the problems of multicultural media education in-cluding an implementation of one-shot business, a difficulty to secure education subject, an insufficient passion or response of edu-cational participation, an insufficient support fund and flexibility of multicultural media education and an insufficient sharing and connection between public and private organization has identified. When considering such results to consider developmental direc-tion of multicultural media education, first, a multicultural media education should be focused on media utilization as multicultural education rather than focusing on media education. Second, the media education should be grafted onto education and training of marriage migrant women multicultural lecturer. Third, the media education should be formalized at the multicultural business designated by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Lastly, the multicultural media education should be formed as a self-help meeting rather than a compassionate administrative support business.

      • KCI등재

        나는 왜 기록했는가 : 초창기 제주4ㆍ3 다큐멘터리 제작자의 대항기억

        정용복 ( Jung Yongbok ) 한국지역언론학회 2021 언론과학연구 Vol.21 No.4

        기억은 고스란히 개인의 몫이 아니라 사회문화적 매개를 통해 시대와 사회를 반영한다. 그래서 기억은 과거에 대한 현재의 재구성이며, 과거와 현재가 맞닿는 나들목이 되기도 한다. 본 연구는 초창기 제주4ㆍ3 다큐멘터리 제작자들이 제주4ㆍ3사건의 무엇을, 어떻게 기록했는지, 또 미디어의 기억 공간 속에서 재현되는 제주4ㆍ3에 대한 사회적 기억은 어떠한지를 살펴보기 위해 그들의 기억을 구술했다. 초창기 4ㆍ3 다큐멘터리의 주제 의식은 4ㆍ3의 진실규명과 제주 사람의 명예회복이었다. 역사적 사실 확인을 통한 실체적 접근과 진실 추구를 통해 4ㆍ3에 대한 지배 세력 기억의 재검증에 매진했다. 4ㆍ3 다큐멘터리는 4ㆍ3 자체의 존재 드러내기에 이바지했다. 생존자들의 증언과 관련 기록물 등을 영상으로 기록하는 과정에서 평범한 사람들에게 목소리를 부여함으로써 여태껏 숨죽여 살았던 4ㆍ3 경험자들의 기억 속에 있는 4ㆍ3을 끄집어 냈고, 역사의 실체성에 다가설 수 있었다. 이들 초창기 작품들은 제작과정이나 방영은 순탄하지 않았지만, 4ㆍ3의 존재를 드러내는 데는 결정적 역할을 해냈다. 공산폭동론으로 무장한 공식역사로서의 금기의 벽을 무너뜨리는 과정에 4ㆍ3 다큐멘터리의 역할은 매우 중대했다고 평가할 수 있다. Memories reflect the times and society through socio-cultural mediation. Therefore, memory is a reconstruction of the present for the past, and it can also be an interchange where the past and the present meet. This study expounded their memories to examine what and how Jeju April 3 documentary producers recorded the Jeju April 3 incident in the early days, and what social memories of Jeju April 3 reproduced in the media’s memory space. In the early days, the theme consciousness of the April 3 documentary was to find out the truth of April 3 and restore the honor of the Jeju people. Through a substantive approach through historical confirmation of facts and pursuit of truth, he devoted himself to re-verifying the memory of the ruling power in April 3. The April 3 documentary contributed to revealing the existence of the April 3 itself. In the process of recording survivors’ testimonies and related records, by giving voices to ordinary people, we were able to bring out the April 3 in the memories of the April 3 experiences who have lived breathlessly so far, and approach the reality of history. These early works were not smooth in the production process or airing, but they played a decisive role in promoting the existence of April 3. It can be evaluated that the role of the 4ㆍ3 documentary was very important in the process of breaking down the wall of taboos as an official history armed with communist riot theory.

      • KCI우수등재
      • KCI우수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