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중 모드 도파로를 이용한 적녹청 빔 합파기 설계 및 분석

        정영철,Chung, Youngchul 한국광학회 2020 한국광학회지 Vol.31 No.2

        다중 모드 도파로에서 두 모드 간섭(TMI)에 기반한 소형 빔 합파기가 제안되었으며, 그 가능성을 삼차원 BPM (beam propagation method) 시뮬레이션을 통해 확인하였다. 다중 모드 도파로와 접할 때, 입력 도파로들은 약 1 ㎛ 정도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제작 공정 후의 도파 구조 패턴의 재현성이 우수하다. 적색, 녹색 및 청색 입력 포트에서 출력 포트로의 파워 전달은 각각 93.5%, 94% 및 93%로 계산되었다. 각 색상의 파장 편차가 10 nm인 경우, 투과율은 90%보다 크게 유지되었고, 도파로 폭의 편차가 40 nm 정도일 때, 85% 이상의 파워 전달을 유지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제안된 합파기는 편광의존성이 거의 없으며, 0.02 × 4 ㎟ 정도의 크기로 작게 구현될 수 있다. A compact beam combiner based on two-mode interference (TMI) in multimode waveguides is proposed, and its feasibility is shown through simulation with the three-dimensional beam propagation method. The input waveguides are separated by about 1 ㎛ at the interface with the multimode waveguide, so that the fabricated waveguide pattern is well repeated. The power transmission to the output port from the red, green, and blue input port is 93.5%, 94%, and 93%, respectively. When the wavelength deviation from a center wavelength is 10 nm, the power transmission is maintained to be greater than 90%. When the waveguide width error is 40 nm, the power transmission is maintained to be greater than 85% for all the three colors. The polarization dependence of the beam combiner is almost negligible, and its size is as tiny as 0.02 × 4 ㎟.

      • KCI등재

        편광 또는 무편광 패브리-페롯 레이저 다이오드의 활성층 및 주입 잠금 동작 특성 모델링

        정영철,이종창,조호성,Chung, Youngchul,Yi, Jong Chang,Cho, Ho Sung 한국광학회 2012 한국광학회지 Vol.23 No.1

        본 논문에서는 패브리 페롯 레이저 다이오드(FP-LD : Fabry-Perot LD)에서 활성층 구조에 따른 주입 잠금 특성을 비교하였다. 편광 및 무편광 다중양자우물 구조와 무편광 벌크 구조의 이득 스펙트럼 및 주입 캐리어 밀도에 따른 최대 이득 특성을 TE, TM 편광에 대하여 계산하였다. 계산된 이득 파라미터를 시영역 대신호 모델에 적용하여 FP-LD의 주입 잠금 특성을 확인한 결과, 무편광 FP-LD가 편광 FP-LD 에 비하여 RIN(Relative Intensity Noise) 특성 면에서 약 3 dB 정도 우수하고, 2.5 Gbps 변조시에 아이 특성이 훨씬 우수함을 알 수 있다. In this paper, injection-locking characteristics versus active layer structures in Fabry-Perot laser diodes (FP-LD) are compared. TE and TM gain spectra and peak gains versus carrier density in polarized and unpolarized multiple quantum well structures and in an unpolarized bulk structure are calculated. The calculated gain parameters are applied to a time-domain large-signal model to simulate the injection-locking characteristics. The results show that RIN in unpolarized FD-LDs is about 3 dB lower than that in a polarized FP-LD and that the eye characteristics of the unpolarized FP-LD are much better than those of the polarized FP-LD.

      • KCI등재

        20년의 위기 북미

        정영철(Chung, YoungChul) 비판사회학회 2013 경제와 사회 Vol.- No.99

        1990년대 초반에 발생한 북핵 위기가 20년의 세월을 지속하고 있다. 그 동안 북핵 위기는 ‘협상-파기-재협상-위기의 잠재화’의 과정을 거쳐 왔다. 또한, 북한과 미국의 작용과 반작용에 따라 위기와 협상이 반복되고 있다. 이러한 악순환이 지속되는 이유는 북핵 위기에 내재되어 있는 구조적 요인 때문이다. 이 구조적 요인은 한국전쟁 이래로 지속되고 있는 북미 간 적대관계이며, 이는 현재의 불안정한 정전체제이다. 따라서 정전체제의 평화체제로의 전환 그리고 북미 간 관계정상화의 과정이 없다면 북핵 위기는 근본적인 해결이 불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최근의 북한의 로켓 발사와 핵실험 등의 잇따른 도발과 그에 따른 유엔 안보리 제제 그리고 한반도에서의 위기의 고조는 북핵 문제가 한반도의 안보-평화체제의 문제와 직결되어 있음을 다시 한 번 보여주고 있다. 북핵문제의 해결과 평화로운 한반도의 건설을 위해서는 결국 협상을 통한 북핵문제의 해결과 평화협정의 체결을 통한 한반도 평화체제를 시급하게 구축하는 것이다. It has passed 20 years that the nuclear crisis of North Korea came out in the early 1990s. in the meanwhile, the crisis has gone through ‘negotiation-break-re-negotiation-crisis reserve’. Nor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depending on the action and reaction of the crisis and the negotiations are being repeated. The reasons that this vicious circle was repeated are on the structural factor inside the ‘North Korean nuclear crisis’. That is the hostile relations between the U.S. and North Korea and current unstable ‘the Armistice System’. Therefore, Without the transition the armistice system to the peace system and the normalization of the the U.S.-North Korea relation, the complete solution of the ‘crisis’ will be impossible. North Korea’s recent nuclear tests and rocket launches and the UN Security Council’s subsequent provocation and the heightened crisis on the Korean peninsula,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is directly related the security -the issue of peace regime of Korean peninsular has shown once again. For the peaceful resolution of the nuclear issue and the construction of the peace regime on the Korean Peninsula, the resolution of the Korean nuclear issue throuth the negotiations and the construction of the peace regime through the signing of a peace agreement are required urgently.

      • KCI등재

        북한 경제의 변화

        정영철(Chung, Youngchul) 역사비평사 2019 역사비평 Vol.- No.126

        Observations have recently been made that the North Korean economy is recovering. We are paying attention to the ‘marketization’ and Donju that is showing its real strength in the market for recovery of the North Korean economy. However, it is still unclear the proportion of the North Korean economy and its role, although the Donju is an important actor. At the same time, the North Korean regime has been actively pursuing the recovery of the North Korean economy. The company is carrying out ‘Socialist Enterprise Responsibility Management System’ and ‘Garden Production Responsibility System’ that strengthens its independence beyond corporate autonomy and decentralization. In addition, North Korean corporations can borrow money from banks, that is, from the state, and financially through Donju. ‘Donju’ is expanding its activities to manufacturing, service, trade, construction, exchange and remittance by using legalized authority. However, if the recent changes in the financial system that North Korea is pursuing, i.e, commercial banking, will enable, it is doubtful Donju can compete with the state. Still, it should be seen that the Donju is on the border of control and market in the dominance of the overwhelming power of the state. It seems that the expectation of a Donju as a capitalist in North Korea seems to be a problem for a while.

      • KCI등재

        김정은 시대 북한의 세계경제 인식의 변화 : 침략과 약탈의 공간에서 생존과 경쟁의 공간으로

        정영철 ( Chung Youngchul )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8 통일과 평화 Vol.10 No.1

        일반적으로 사회주의-공산주의 진영에서 자본주의 세계경제는 제국주의적 시선으로 해석된다. 즉, 제국주의 - 독점자본주의 - 의 침략과 약탈이 벌어지는 불공정한 공간이라는 시선을 갖는다. 북한 역시 1990년대 이전까지 ‘현대 제국주의론’에 기초하여 지배와 약탈이 이루어지는 불공정한 공간으로서 세계경제를 인식해왔다. 그러나 1990년대 이후, 북한의 세계경제에 대한 인식은 변화하고 있다. 즉, 과거 ‘반(反) 제국주의 시선’을 통해 인식하던 세계경제의 공간이 이제는 생존과 경쟁의 공간이 되었고, 자신들이 직접 상대해야 할 경제 공간으로 인식되고 있다. 특히, 김정은 시대에 들어와 이러한 시각이 더욱 강화되면서 대외무역을 통한 세계경제로의 진출, 경쟁, 실리의 확보를 추구해야 할 공간이 되고 있다. ‘경쟁의 공간’으로 세계 경제를 인식하는 것은 곧, 북한 스스로가 이야기 하듯이 경쟁력을 높여 자국의 경제발전을 위한 무대가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북한에게 이제 세계경제는 자국의 ‘발전’의 승패를 가르는 장소가 되어 가고 있으며, 따라서 내부의 경제개혁을 넘어서서 개방을 통한 본격적인 경쟁의 길로 들어서야 함을 의미한다. 이것이 의미하는 바는, 비록 현재의 핵과 미사일 문제로 인해 한반도의 상황이 불안정하고 정치-군사적 대립이 전면에 부각되고 있지만, 다른 측면으로는 북한을 개방의 길로 이끌어내고 남북한의 경제협력 및 북한의 세계 경제 속에서의 행위자로 이끌어내는 것이 가까운 미래의 현실로 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The world economy is interpreted by the imperialist sight in the socialism-communism camp. They look it as the unfair space taking place aggression and looting by imperialism. North Korea also recognized it similar to them before 1990s. But after 1990s, North Korea’s sight is changing. The change is that the world economy is recognized to the space for survival and competition from anti-imperialist sight. Especially, in the Kim, Jong-un era, this sight is strengthened more than before. The recognizing the world economy as the ‘competition space’ means that the world economy is to be the stage for economic development to North Korea. More, this means that North Korea have to foot forward to ‘reform and open’ and to compete with other countries in global economy. On the other hand, this gives us important implies that we can lead North Korea to the global economy and carry forward to the South-North economic cooperation.

      • KCI등재

        분단, 탈분단 그리고 통일의 상상력 넓히기

        정영철 ( Chung Youngchul ) 동국대학교 북한학연구소(구 동국대학교 안보연구소) 2019 북한학연구 Vol.15 No.1

        지난 평창올림픽의 남북 여자 아이스하키 단일팀을 둘러싼 논쟁은 여러 가지 의미를 던져준다. 즉, 과거와 같은 ‘민족’의 당위성만으로 통일을 말하기 어렵게 되었다. 또한, 자유, 정의, 연대, 평화 등과 같은 보편적 가치가 통일 문제에서도 힘을 얻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에 따라 기존의 통일 담론과는 구분되는 ‘탈분단의 담론’이 등장하였다. 탈분단의 담론은 분단이 우리 사회에 가져다 준 여러 가지 모순과 구조적인 왜곡 등을 성찰하면서 당장의 통일이 아니라 우리 내부의 분단 모순을 해소해가는 것에 우선적인 관심을 두고 있다. 또한, 탈분단은 분단의 극복이 반드시 통일일 필요는 없다는 문제 의식 속에서 새로운 통일의 방도를 제기하고 있다. 탈분단의 담론은 지금까지의 민족-민족주의에 대한 부정과 보편주의적 가치관에 우선을 둠으로써 기존의 분단의 시선과는 차별화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탈분단의 담론은 달라진 현실을 반영하고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이며, 통일에 대한 기존의 도식화된 사고방식을 넘어서서 새로운 방식을 적극적으로 추구하고 있다는 점에서 협소한 민족적 이데올로기를 넘어서고 있다. 그러나 탈분단의 담론이 기초하고 있는 보편주의적 가치관에 기반한 통일은 자칫 우리에게 익숙한 가치를 통일의 가치로 제기함으로써 북한에 대해 패권적 태도를 보일 우려가 있다. 또한, 현실적으로 여전히 많은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통일의 가치로서 민족과 민족주의의 현실적인 힘을 도외시할 수 있는 우려도 동시에 가지고 있다. 이런 점에서 탈분단의 담론은 민족과 보편주의에 대해 조금 더 신중한 자세를 가질 필요가 있다. 더욱 중요한 것은 통일은 보편과 특수를 넘어 남북이 함께 합의할 수 있는 ‘합의된 가치’를 만들어내는 것에 있다. The controversy over a single team of South-North Korean women’s ice hockey at the last PyeongChang Olympics has several implications. That is to say, it is difficult to say unification of Korea with just the necessity of ‘nation’ as in the past. It also showed that universal values such as freedom, justice, solidarity, and peace are gaining strength in the issue of unification. As a result, the ‘discourse of post-division’, which is distinguished from the existing discourse of unification, emerged. The discourse of post-division reflects the various contradictions and structural distortions that the division has brought on our society, and it gives priority to the elimination of the contradictions within ourselves rather than the immediate reunification. In addition, the post-devision raises a new unification strategy within the consciousness that the overcoming of the division is not necessarily a unification. The discourse of post-division shows the differentiation from the viewpoint of the existing division by giving priority to the universal values and negative the ‘nation-nationalism’ up to now. The discourse of post-division is positive in that it reflects a changed reality, and it is beyond narrow national ideology in that it pursues new ways beyond the existing schematized thinking about unification. However, the unification by the universal values based on the discourse of post-division is likely to show a hegemonic attitude toward the North by raising the values familiar to us as values of unification. Also, there are concerns that many people can overlook the real power of ‘nation-nationalism’ as the value of unification. In this sense, the discourse of post-division needs to be more cautious about nation and universalism. More importantly, reunification is about creating a “consensual value” that can be agreed upon by both Koreas beyond universal and special.

      • KCI등재

        신화와 현실: 북한 정규군“100만”신화 비판

        정영철 ( Youngchul Chung ) 북한연구학회 2016 北韓硏究學會報 Vol.20 No.1

        이 글은 이미 ``신화``처럼 굳어져있는 북한군 정규군 병력수에 대한 비판적 분석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북한의 정규군 병력수는 100만을 넘어 120만으로 알려져 있고, 이는 움직일 수 없는 신화처럼 자리하고 있다. 그러나 그 어디에서도 북한군 병력수에 대한 과학적이고 객관적인 근거를 찾을 수 없다. 『국방백서』가 북한 정규군 병력수에 대한 거의 유일한 자료원천이다. 『국방백서』가 처음 발간된 1967년의 북한군 병력수는 약 41만명 이었다. 그 후 꾸준히 증대하여 2014년에는 마침내 120만으로 추산되고 있다. 약 45년 동안 3배 가량의 증대가 있었던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추정이 과연 사실일까? 북한군 병력수는 북한이 그 진실을 밝히지 않는 상황에서 정확히 추산을 하기는 어렵다. 다만, 1993년과 2008년의 북한 인구 자료를 통해 간접적인 추론이 가능하다. 1993년과 2008년의 북한 인구 조사 자료에 의하면, 지역별 인구와 연령별 인구는 대략 70만 명 가량의 차이를 보인다. 그리고 2008년의 자료를 기준으로 직업별 인구, 1993년과 2008년의 연령 구간별 변화, 그리고 성비 보정을 통한 분석을 통해 추산한 차이는 약 50-75만 명 가량으로 계산된다. 북한 정규군 병력수가 120만이라고 할 때 이는 전체 인구의 약 5%를 상회하는 비율이다. 전시를 제외하고 이 정도의 병력수를 유지하는 국가는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50-75만명으로 추산하더라도 이 수치 역시 전체 인구 대비 약 2.1-3.1% 수준이다. 다른 국가들과 비교해도 상당히 높은 수치이다. 우리 역시 약1.3%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남북 모두 전체 인구에 비해 엄청나게 높은 군대의 규모를 가지고 있는 것이다. 한반도의 분단이 가져온 과도한 국방력 투입의 결과라고 할 수 있으며, 남북한이 모두 과도한 국방력의 유지에 국가 자원을 소모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We know that the number of North Korea Regular Army is over million, 1.2 millions. And we believe that this is the absolute truth like the myth. But, we cannot find the rational bases of estimation. The only material origins are the Defense White Paper that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publishes. The first published Defense White Paper estimated the number of North Korean Regular army at 410 thousands. Since then, the number of North Korean regular army has grown continually, now 1.2 millions. It multiplied threefold during 45 years. Is this true? In this paper, I estimated the number of North Korean regular army with the North Korean demographic data of 1993 and 2008. By this data, It reveals the statistical gaps between regional population and age groups. it is about 700 thousands. In addition, through the population of worker in the 2008, the changes of the age group of 1993 and 2008 and the calculation of the man population by the sexual ratio correction is estimated by 500-750 thousands. Although that we estimate the North Korean regular army at 500-750 thousands, it takes the 2.1-3.1% of whole population of North Korea. This is very high rate in comparison to other countries. South Korea is 1.3%. The two Korea all have big size army compared with the whole population. Is is caused by the division of Korean peninsular, and the two are spending the national resources for keeping the big defense power.

      • KCI등재후보

        김정일 시대의 대남인식과 대남정책

        정영철(Chung, YoungChul) 서강대학교 현대정치연구소 2012 현대정치연구 Vol.5 No.2

        김정일 시대의 대남인식과 대남정책은 김일성 시대와는 변화되었다. 김일성 시대와 달리 김정일 시대는 탈냉전의 국제적 환경과 남북관계의 힘의 역전이 배경으로 자리하고 있었다. 이러한 조건에서 김정일은 김일성의 일원론적인 통일방안에서 벗어나 다원론적인 통일방안을 받아들일 수밖에 없었다. 이에 따라 과거 정치군사적 문제의 우선적인 해결을 요구하던 데에서 변화하여 남한의 (신)기능주의적 협력을 받아들이고, 남북관계 개선에 나서게 되었다. 한편, 김정일 시대의 한반도는 과거의 냉전적 대립 구조가 변화하면서,‘서울?평양?워싱턴’간의 새로운 삼각게임이 나타났다. 이러한 삼각게임의 등장은 북한으로서는 서울과의 협력을 통해 워싱턴을 압박하고, 또한 세계로 나아갈 수 있는‘기회의 창’이 되기도 하였다. 이러한 구조는 김정일의 사망 이후에도 아직 크게 변화하지 않고 있다. 따라서 북한의 새로운 지도자로 등장한 김정은은 김정일 시대의 대남정책을 적어도 단기적으로는 충실히 계승하게 될 것이다. 그러나 다른 한편, 김정일 시대부터 추진해왔던 <통일과 세계화>의 과제가 미완의 과제로 남아 있는 상황에서 <세계화의 보편성>을 보다 더 적극적으로 수용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이는 김정은 시대에 들어와 남북관계가 북한의 변화 여부에 보다 더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됨을 의미한다. 이에 대한 우리의 준비와 노력이 요구된다 하겠다. The recognition and policy toward South Korea has been changed from that of Kim Il Sung in the Kim Jong-il era. Unlike the Kim Il Sung era, the international environment of post-cold war and the turn around the power between the South and North were located in the Kim Jong-il era. Under these conditions, Kim Jong-il had no choice but accept the pluralist unification different from that of Kim Il Sung. Kim Jong-il recognized the South as the negotiation partner for overcoming from the international isolation and for economic cooperation. Therefore, North accepted the (neo) functionalistic approach that has been required by South and set out to improve the inter-relations. Meanwhile, the New triangle game different from the cold war confrontations was appeared on the Korean peninsular in the Kim Jong-il era. At these conditions, The complex Structure was come on, the cooperation of Seoul and Pyongyang pressed the Washington, on the contrary to this, the cooperation of Seoul and Washington pressed the Pyongyang. Therefore, This was the window of operturnity to North Korea was able to press washington by cooperating with Seoul and go out to the World. This complex structure made ‘the Koreanization of the Korean problem’ and ‘the Internationalization of the Korean Problem’ go out simultaneously, and North Korea also had to adopt it. After demise of Kim Jong-il, This structure is not changed. So, The new leader of North Korea, Kim Jong-un would succeed the Kim Jong-il’s unification policy faithfully in the short run at least. But on the other hands, on the conditions that <Unification and Globalization> has been prosecuted by Kim Jong-il remains, Kim Jong-un must have proceeded the globalization more actively. And, This imply that the relations of South-North will take much effect the change of North Korea more than before. This require us to prepare and effort to inter-relation.

      • KCI등재

        북한의 반미 : 이데올로기, 문화 그리고 균열

        정영철(CHUNG Youngchul)(鄭英喆) 신아시아연구소 2011 신아세아 Vol.18 No.2

        북한에서 반미는 제국주의론에 기초한 이데올로기적 성격을 띠고 있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는 분단과 전쟁의 경험에 기초한 역사적 반미주의의 성격도 아울러 띠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반미주의는 전쟁의 기억을 끊임없이 ‘되불러옴’으로써 재생산되고 있다. 북한의 반미주의는 북한 주민들의 사상교양과 문화혁명의 핵심기제로 작동하고 있다. 일상생활에서의 설득의 담론이자 동시에 체제 정당화의 담론으로 기능하고 있는 것이다. 이는 이데올로기 · 역사적 반미를 넘어서서, 문화로 전이되었음을 의미한다. 한편, 북한의 반미주의는 1970년대 현실의 정책적 필요에 따라 ‘도구적 반미’로 일정하게 변화하였다. 그러나 이시기의 반미는 냉전의 틀 속에서의 변화였고, 북한이 공세적 위치에서 미국과의 직접 협상을 촉구한 가운데서 제기된 것이었다. 이와 비교하면, 1990년대의 ‘실용적 반미’는 냉전의 해체이후, 생존을 위한 국가전략의 차원에서 제기되고 있다. 즉, 냉전의 해체 이후, 체제의 생존을 미국과의 관계에서 찾을 수 밖에 없는 상황에서 제기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북한의 반미는 사회적으로 여전히 이데올로기적이고, 역사적인 반미로서의 성격을 가지고 있지만, 정치적인 측면에서는 ‘실용주의적’ 성격을 띠는 등의 균열이 발생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현재 북한은 외부정보의 침투와 경제적 위기의 지속 등으로 과거와 같은 위로부터의 정치사회화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조건에서 ‘반미의 균열’이 어떤식으로 북한 체제에 영향을 미칠지는 현재로서는 예단하기 어렵다. 그러나 지난 60여 년간의 반미주의에 변화가 발생하고 있다는 것만은 분명하다 할 것이다. On the basis of the imperialism, the North Korean Anti-Americanism is ideological. It is, however, so historical from the division and the Korean War. Furthermore, this can reproduce the memory of the war by “recalling” in succession. The North Korean anti-Americanism is a key factor of their ideological and cultural revolution. It functions as not only a justification but a persuasion for their daily lives. This means that the condition has spread to their culture from the ideological and historical anti-Americanism. In the 1970s the North Korean Anti-Americanism, on the other hand, changed to ‘instrumental’ one with their realistic political need. On the way in the Cold War system, they demanded a direct negotiation to U.S. with an aggressive stance. In comparison with this, the ‘practical anti-Americanism’ was posed for their survival as a national strategy after the Cold War in the 1990s. In other words, it is the only way to survive that they establish relationship with U.S. Thus, they have a crack which is caused by the difference that their ideological and historical anti-Americanism becomes practical in political dimension. At present, the North Korean government has much difficulty to socialize politically because of the outside information infiltration and the economic crisis. So we can not prejudge how the cracked anti-Americanism has an effect on their system. Nevertheless it is obvious that the change has kept going on for last 60 years.

      • 2022년 보건복지 정보통계 정책의 전망과 과제

        정영철 ( Chung Youngchul ),신정우 ( Shin Jeongwoo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2 보건복지포럼 Vol.303 No.-

        2022년은 대선을 치르며 새로운 정책 공약들이 등장하는 해이며, 더불어 국가의 정보화 정책과 통계 정책에서 한 시기의 성과를 거두고 새로운 계획을 준비해 나아가야 하는 해이다. 최근 정보통계 관련 정책에서의 주요 환경 변화로는 제6차 국가정보화 기본계획(2018~2022년), 제2차 국가통계 발전 기본계획(2018~2022년), 한국판 뉴딜 2.0 추진 계획, 마이데이터 발전 종합계획, 가상융합 경제 발전 전략과 메타버스, 행정·공공기관 정보자원 클라우드 전환 및 통합 추진 계획 등이 있다. 이러한 정보통계 관련 정책 환경 변화 내용을 바탕으로 보건복지 정보통계 정책에서 고려해야 할 과제들은 첫째, 보건복지 데이터의 활용성 증대를 위한 보건복지 데이터 통합관리 시스템 구축과 운영이 필요하다. 둘째, 보건복지 마이데이터 서비스 발굴·확산과 제도 보완이 필요하다. 셋째, 보건복지 영역에 대한 메타버스 적용 및 확대가 필요하다. 넷째, 보건복지 빅데이터에 대한 오용 사례 발굴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보건복지 통계의 질 향상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2022 is a year in which new policy promises are made during the presidential election, and the nation's informatization policy and statistics policy must be prepared anew. Major changes in recent information and statistics policies include the 6th National Informatization Basic Plan (2018-2022), the 2nd National Statistical Development Basic Plan (2018-2022), the Korean New Deal 2.0 Promotion Plan, the Comprehensive Plan for My Data Development, strategies for virtual convergence economy development and Metaverse, and plans for Cloud Transformation of administrative and public Institutions. There are several issues to be dealt with in policies on health and welfare information and statistics. First, it is important to establish and implement an integrated health and welfare data management system with a view to promoting the usability of health and welfare data. Second, new My Data services should be created and provided for users of health and welfare data users. Third, the use of metaverse platforms should be expanded to the health and welfare field. Fourth, efforts need to be exerted to improve the quality of health and welfare statisti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