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발견의 수사학과 적용의 해석학

        정연재(Jeong, Yeonjae) 한국수사학회 2017 수사학 Vol.0 No.29

        This article attempts to investigate the feature of Gadamer’s philosophical hermeneutics that reaffirms the classical rhetorical tradition and that clarifies the interconnectedness between rhetoric and hermeneutics. More specifically, this study lays the foundation for the development of rhetorical hermeneutics. Gadamer emphasizes, “The rhetorical and hermeneutical aspects of human linguisticality completely interpenetrate each other,” and “There is a deep inner convergence with rhetoric and hermeneutics.” Thus, this article attempts to clarify the rhetorical dimension of Gadamer’s philosophical hermeneutics. This study is organized as follows. The first section investigates the affinity hermeneutics and rhetoric with practical philosophy. Rhetoric and hermeneutics share the characteristics of practical philosophy in dialogical form. Rhetoric, like hermeneutics, returns us to the finitude of human existence in a practical context. The second section clarifies the interconnectedness between rhetoric and hermeneutics, showing the interwoven history of rhetoric and hermeneutics. By equating the interpreter with the rhetor rather than with the receptive audience, Gadamer emphasizes the dynamic character of interpretation and the space for affirmation of the tradition that is opened by the dialogic structure of understanding. Especially, avoiding the superficial account of the rhetor’s speaking and interpreter’s listening, he establishes that the interpreter is engaged in a rhetorical–hermeneutical activity that is structured by the logic of question and answer and that is conversational in nature. The second section naturally leads to the third section, which deals with the interaction between rhetorical invention and hermeneutical application. The interplay between invention and application creates an organic connection between the production of rhetoric and the understanding of hermeneutics. Then, the final section summarizes the feasibility of rhetorical hermeneutics.

      • KCI등재

        대학생 디지털 시민성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정연재(Yeonjae Jeong),주소영(Soyoung Jo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8

        목적 본 연구는 고등교육 차원에서의 디지털 시민성 관련 연구가 매우 부족하다는 인식 아래 탈경계, 초연결의 시대 대학생의 디지털 시민성 함양을 위한 측정도구를 개발함으로써 교양 수준의 디지털 시민성 교육의 기초를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 이를 위해 디지털 시민성의 개념과 구성요소에 대한 문헌 연구, 하위 요인 설정 및 예비문항 개발, 전문가 내용타당도 검증, 측정도구의 구인타당도 검증(탐색적,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그 결과 디지털 시민성 측정도구는 인지 영역 21문항(디지털 정보 및 사회 이해 7문항, 비판적 사고 5문항, 소프트웨어디자인 4문항, 표현능력 5문항), 정의 영역 20문항(디지털 에티켓 13문항, 적극적 참여와 동기부여 7문항), 행동 영역 27문항(갈등 및 문제 해결능력 8문항, 윤리적 사용 7문항, 정보 공유 및 변혁 추구 8문항, 사회적 책임 4문항)으로 총 68문항이 개발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대학생을 위한 디지털 시민성 측정도구를 개발하고 타당화 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으며, 본 도구는 디지털 시민성 교육을 위한 방향 모색, 디지털 시민성 강화 프로그램 개발, 프로그램 효과 분석 등에 활용될 수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basis of digital citizenship education as general education by developing the measurement tool for cultivating digital citizenship of college students in the trans-boundary and hyper-connected era considering that it is very lacking in the researches related to digital citizenship in the level of higher education. Methods For this, this study conducted the literary review on the concept and elements of digital citizenship, set up the subfactors, developed the preliminary items, verified the content validity with experts, and verified the construct validity of the measurement(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ool. Results As a result, the digital citizenship measurement tool was composed of total 68 items such as 21 items of cognitive area(7 items of understanding of digital information & society, 5 items of critical thinking, 4 items of software design, 5 items of expressive ability), 20 items of justice area(13 items of digital etiquette, 7 items of active participation and motivation), and 27 items of behavioral area(8 items of conflict/problem-solving ability, 7 items of ethical use, 8 items of pursuit of information sharing & change, 4 items of social responsibility). Conclusion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e aspect of developing and validating the digital citizenship measurement tool for college students. This tool could be utilized for seeking for the direction of digital citizenship education, developing programs for strengthening digital citizenship, and analyzing the effects of programs.

      • KCI등재

        대학 신입생의 자기효능감, 목표지향성, 학습참여와 교양교육 만족도 간의 관계분석

        정연재(Jeong, Yeonjae),주소영(Joo, So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22

        본 연구는 교양교육의 개선을 도모하고 신입생에게 적실한 교육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학습자의 내재적 동기에 강한 영향을 미치는 자기효능감, 목표지향성, 학습참여와 교양교육 만족도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2019년 5월 20일부터 2019년 5월 31일까지 인천광역시에 위치한 4년제 I대학의 신입생 중 기초필수교과목을 수강하고 설문에 자발적으로 참여한 464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 신입생의 자기효능감, 목표지향성, 학습참여와 교양교육 만족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한 결과 숙달목표지향과 수행접근목표지향, 자기효능감은 학습참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습참여는 교양교육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숙달목 표지향과 수행접근목표지향, 자기효능감은 교양교육 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습참여가 대학 신입생의 자기효능감, 목표지향성과 교양교육 만족도의 관계를 매개하는지 확인해 본 결과 수행접근목표지향과 자 기효능감은 학습참여를 매개로 하여 교양교육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숙달목표지향은 교양교육 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고, 학습참여를 매개로 하는 간접적인 영향 역시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the self-efficacy, goal orientation, student engagement, and satisfaction with general education, which have a strong influence on the learners intrinsic motivation in order to improve the general education and provide the proper educational experience for college freshmen. It was surveyed 464 students of the freshmen at four-year university in Incheon from May 20 to May 31, 2019. The students who are taking basic required course participated in this survey spontaneously, and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tructural relationship of the freshmen’s self-efficacy, goal orientation, student engagement and satisfaction with general education, the mastery goal orientation, performance-approach goal orientation, and self-efficacy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student engagement. And also it showed that the student engagement influences considerably the satisfaction of general education. On the other hand, the mastery goal orientation, performance approach goal orientation, and self-efficacy did not have a direct effect on the satisfaction of general education. Second, as a result of examination whether the student engagement intermediates the relationship of the freshmen’s self-efficacy, goal orientation, and satisfaction with general education, the performance approach goal orientation and self-efficacy influence significantly on the satisfaction with general education thorough the student engagement. Meanwhile, the mastery goal orientation didn’t influence on the satisfaction with general education directly not also had an indirect effect through student engagement, too.

      • KCI등재

        대학 신입생의 학습참여, 자기효능감이 디지털 시민성에 미치는 영향

        정연재(Yeonjae Jeong),주소영(Soyoung Joo) 한국문화융합학회 2024 문화와 융합 Vol.4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신입생의 학습참여, 자기효능감이 디지털 시민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23년 5월 8일부터 2023년 5월 10일까지 인천광역시에 위치한 4년제 I 대학의 신입생 기초필수 교과목 수강자 중 219명을 대상으로 데이터를 수집하여 상관분석 및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 신입생의 학습참여, 자기효능감은 디지털 시민성의 인지영역, 정의영역, 행동영역과 모두 정적이며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둘째, 대학 신입생의 학습참여, 자기효능감이 디지털 시민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학습참여의 학업도전, 교우와 학습, 효과적인 교수 그리고 자기효능감의 자기조절효능감, 자신감이 인지영역의 46%, 정의영역의 41%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학습참여의 학업도전, 교우와 학습, 효과적인 교수 그리고 자기효능감의 자기조절효능감이 행동영역의 46%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학부교육 차원에서디지털 시민성 함양을 위한 교육을 설계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tudent engagement and selfefficacy on digital citizenship among college freshmen. To this end,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on 219 freshman basic compulsory courses students at a four-year I university located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from 8 May 2023 to 10 May 2023.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tudent engagement and self-efficacy of college freshmen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cognitive, justice, and behavioural dimensions of digital citizenship. Second, when examining the impact of student engagement and self-efficacy on digital citizenship of college freshmen, it was found that academic challenge, peers and learning, effective teaching, and self-regulatory efficacy and confidence of self-efficacy explained 46% of the cognitive dimension and 41% of the justice dimension. In addition, academic challenge, peers and learning, effective teaching, and self-regulatory efficacy of self-efficacy explained 46% of the behavioural component of student engagement.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applied to the design of educational programs at the undergraduate level to foster digital citizenship.

      • KCI등재

        횡단적, 실천적 학문으로서의 교양학 정립을 위한 역사적 접근 : 교양의 학문적 정체성 수립을 위한 가능성과 조건 탐구

        정연재(Jeong, Yeonjae) 한국교양교육학회 2021 교양교육연구 Vol.15 No.6

        본 연구는 교양교육에 대한 학문적 반성을 통해 학문으로서의 교양의 가능성을 검토한다. 학문적 반성은 학문으로서 성립할 수 있는 조건과 대상은 무엇인지, 학문 탐구의 방법은 어떤 식으로 이루어지는 지, 학문탐구를 수행하는 자의 자세는 어떠해야 하는지를 정교하게 묻는 작업이다. ‘교양교육’이라는 단어 대신 ‘교양학’이라는 용어를 쓰는 이유는 바로 ‘교육’이라는 용어가 지니는 학문분류상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지 점검하기 위해서다. 교양교육은 기초학문의 성과를 아우르는 포괄성에도 불구하고 사회과학 분야의 최하위 영역에 위치한 것이 현실이다. ‘교육’이라는 용어가 사회과학 가운데 교육학의 한 분야로 자리잡게 만든 주된 요인일 것이다. 이런 측면에서 교육과 연구를 포괄하는 교양학이라는 명칭은 교양교육의 위상을 재정립하기 위한 실험적 시도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교양의 학문적 성립 가능성을 점검하면서, 교양학의 정의와 기능을 탐색한다. 서양 학문의 형성과정에서 교양은 철학, 인문학과 통합, 대립, 갈등의 관계 속에서 발전해 온 만큼 교양학의 정체성과 기능을 밝히는 과정에서 철학, 인문학과의 관계 해명에 초점을 맞출 것이다. 우선 본 연구는 학문의 분화과정 속에서 나타난 철학의 정체성 위기를 추적하면서 ‘철학’과의 유비에서 메타학문으로서의 교양학의 성립가능성을 점검한다. 나아가 고전 인문학의 ‘전인적인 인간 육성’의 기능을 왜 교양학이 떠맡아야 하는지 그 배경과 이유를 도출한다. 마지막으로 이념형으로서의 교양학의 모습을 가늠해보면서 교양의 영역에서 가르치고 탐구하는 자로서 어떤 자세를 갖추어야 할지를 살펴본다. 이를 통해 교양학은 경험과학이 제공한 학문적 성과를 다시 학문적 대상으로 삼아 인간과 세계에 대한 이해와 해석을 제공하고, 학문세계와 생활세계의 연결을 통해 실천적 학문의 역할을 수행해야 함을 강조할 것이다. The present study examines the possibility of liberal arts as science through academic reflection on liberal arts education. Academic reflection is a work that closely investigates conditions and targets that can be established as a discipline, the methods of academic research, and the attitude of the investigator who conducts research. The reason for using the word “liberal arts and sciences” instead of “liberal arts education” is to determine whether the inherent limitation of the word “education” in academic classification can be overcome. The reality of liberal arts education is that it is positioned at the bottom of the social science field despite its nature of encompassing the achievements of fundamental studies. This must be the main reason for the classification of the term “education” as a sub-field of pedagogy among the social sciences. In this regard, the name “liberal arts and sciences(LAS),” which includes education and research, can be considered as an experimental attempt to reestablish the status of liberal arts education. The present study examines the possibility of the academic establishment of liberal arts, and it investigates the definition and function of LAS. Considering that liberal arts were developed in a relationship of integration, opposition, and conflict with philosophy and humanities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the Western academic disciplines, this study will focus on explaining the relationship with philosophy and humanities in determining the identity and function of LAS. First, the present study will examine the possibility of establishing LAS as a meta-science in analogy with philosophy while tracing the identity crisis of philosophy that emerged in the process of academic differentiation. Moreover, the background and reasons for LAS to assume the function of the “cultivation of the whole man” of the classical humanities will be derived. Lastly, this study will examine attitudes among people who teach and conduct research in the field of humanities while judging the appearance of LAS as an ideal type. Through this, it will be emphasized that LAS should provide an understanding and interpretation of human beings and the world by using the academic achievements of the empirical sciences as academic targets again, and play the role of the practical sciences through the connection between the academic world and life-world.

      • KCI등재

        자유학예교육의 현대적 변용을 위한 조건과 방향 탐색

        정연재(Yeonjae Jeong) 한국교양교육학회 2022 교양교육연구 Vol.16 No.5

        변화의 시대에 지속가능한 교양교육을 모색하기 위해서는 원리적 측면과 내용적 측면의 교양교육을 재확립하는 것이 필요하다. 전자가 급격한 시대변화 앞에서 교양교육의 정체성을 확보하는 문제라면, 후자는 교양교육의 고유한 내용, 즉 무엇을 가르칠 것인가의 문제를 생산적 관점에서 풀어내는 것이다. 나아가 두 가지 과제를 해명하기 위해서는 교양교육의 역사성을 온전히 드러내는 작업이 필요하다. 교양교육의 역사성을 드러낸다는 것은 교양교육의 원형을 정립하고 그것을 재현하려는 기념비적 태도가 아니라, 역사적 과정에서 교양교육의 변화를 정교하게 추적함으로써 교양교육의 미래지향적 형태를 찾아내는 것을 의미한다. 본 논문은 교양교육의 내용이 학문 지형의 분화라는 내적 요인과 사회변화라는 외적 요인에 의해 어떤 변화를 거쳤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자유학예교육의 현대적 변용의 조건과 방향을 탐색하는 것이 목적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자유학예교육의 전통 교과였던 3학 4과에 대한 개념적, 역사적 접근을 통해 3학 4과의 핵심요소가 현행 교양교육과정에 적용될 수 있는 접점을 찾아보는 것이다. 우선 자유와 학예에 대한 개념적 고찰을 통해 자유학예교육은 자유로운 결정능력을 장려하고, 보편적 가치와 해방적 의미를 구현하며, 가르치고 배우는 행위 속에서 자유를 실현하는 교육임을 보여줄 것이다. 또한 학예를 능력의 관점에서 이해하는 것뿐만 아니라 학예를 구성하는 통합적 원리가 중요하다는 것을 강조함으로 써 학문의 분화과정에서도 유효한 자유학예교육의 모습을 형상화할 것이다. 다음으로 자유학예교육에 대한 역사적 고찰을 통해 자유학예교육의 변천과정이 인간성과 학문성의 창조적 긴장의 역사, 즉 어느 한쪽의 일방적인 독주가 아닌 서로간에 자극을 주고 받으면서 발전한 역사임을 제시할 것이다. 결론적으 로 현대적 맥락에서 유효한 3학 4과의 정신과 통합적 관점에서의 3학 4과의 커리큘럼을 제시할 것이다. 물론 이러한 시도가 교양교육 차원에서의 진전된 시도로서 의미를 지니기 위해서는 다음의 두 가지 과제와의 연계성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하나는 3학 4과라는 전통적 자유학예교육이 현재의 학부교육 환경에서 어떻게 새롭게 재구성할 수 있는가 하는 문제이고 다른 하나는 교양교육이 역량기반교육 및 전공교육과 어떤 관계를 맺을 것인가 하는 문제이다. 이러한 연계성을 고려하여 내용적 차원에서 지속가능한 교양교육의 가능성을 찾아볼 것이다. To search for sustainable general education, the principles and content aspects of general education need to be reestablished. The former is a matter of securing the identity of general education amid the rapid changes of the times, whereas the latter solves the issue of the inherent educational matter (i.e., what to teach) from a productive perspective. In addition, the historicity of general education should be fully exposed to explain these two tasks. Exposing the historicity of general education refers to finding a future-oriented form of general education by accurately tracing changes in its history rather than adopting the monumental attitude of trying to establish a prototype of general education and reproduce it.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nditions and directions of the modern transformation of liberal arts education (LAE) by examining the changes in the general education content due to the internal factor of the differentiation of the academic landscape and the external factor of social changes. More specifically, this study will investigate the elements of the trivium and the quadrivium that can be applied to the current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through conceptual and historical approaches to the traditional trivium and quadrivium curriculum of LAE. First, this study will show that LAE encourages free decision-making, realizes universal values and the meaning of emancipation, and realizes freedom while teaching and learning through the conceptual analysis of liberty and arts. This study will also embody the form of LEA, which is effective even in the process of academic differentiation, by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understanding arts from the perspective of competence and integrated principles that constitute the arts. Next, this study will demonstrate that the transition of LAE is the history of the creative tension of humanity and scientific character (Wissenschaftlichkeit)―that is, the history of development through mutual, rather than unilateral, stimulation―through a historical review of LAE. In conclusion, this study will present the spirit of the trivium and quadrivium that is effective in the modern context and the trivium and quadrivium curriculum from an integrated perspective. Naturally, for this attempt to have significance as an advanced attempt at the general education level, connections with the following two issues should be considered. One is the issue of how the traditional LAE can be reformed in the current undergraduate educational environment, and the other is the relationship of general education with competency-based education and major education. Considering these connections, this study will search for the possibility of sustainable general education at the content level.

      • KCI등재

        학습공동체의 상호작용과 학습자중심의 교육경험 증진을 위한 교육실천의 해석학적 고찰

        정연재 ( Jeong Yeonjae ) 한국교육철학회 2020 교육철학 Vol.77 No.-

        본 글의 목적은 최근 고등교육 환경의 변화에 대한 적절한 대처의 일환으로 철학적 해석학의 관점에서 바람직한 교육실천의 방법론적 기초와 방향을 확보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디지털 교육환경에서 떠오르는 새로운 교수학습 유형과 특징을 살펴보면서 학습공동체 구성원간의 상호작용의 중요성을 도출한다. 다음으로 철학적 해석학의 핵심 개념을 통해 온오프라인 교육공간에서 지식의 창출, 공유, 소통을 위한 태도, 형식, 정신을 구체화함으로써 교육적 상호작용의 활성화를 위한 규범적 틀을 제시한다. 또한 교육경험의 중심축을 교수에서 학생으로 전환하는 시도의 정당성을 해석학적 관점에서 해명하는 가운데 효율적인 경험학습을 위한 조건을 탐색한다. 다음으로 학습자 중심의 교육경험을 증진시키기 위해 바람직한 교육실천의 방향을 해석학적 관점에서 규명한다. 마지막으로 해석학적 정신이 반영된 교육의 특징을 제시함으로써 뉴노멀 시대에 적합한 교수자의 역할을 환기시킬 것이다. This article’s purpose is to establish methodological foundation and direction for good educational practice from a philosophical hermeneutics standpoint as an appropriate response to the changes in the current higher education environment. For this purpose, the article deduces the importance of interactions between the members of a learning community by examining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teaching- learning methodologies on the rise in the digital learning environment. This is followed by suggestions on the normative framework for promoting educational interactions through concretization of the attitude, format and spirit for creation and sharing and communicating knowledge in on/offline educational environments based on the core concepts of philosophical hermeneutics. In addition, conditions for efficient experiential learning will be explored while clarifying the validity of attempts to shift the axis of learning experience from professors to students from a hermeneutics perspective. Then, we will examine the direction of good educational practice from the same perspective for enhancing learnerfocused educational experiences. Lastly, we will emphasize the appropriate role for professors in the age of the new normal by presenting what characteristics of education reflect the spirit of hermeneutics.

      • KCI등재

        인문학적 소양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정연재(Jeong, Yeonjae),주소영(Joo, So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5

        본 연구는 대학교육에서 인문학적 소양교육의 내실화를 위한 방법을 모색하는 차원에서 인문학적 소양 측정도구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데 목적이 있다. 우선 인문학적 소양 측정도구를 개발하기 위해 2019년 3월 4일부터 5월 30일까지 인문학적 소양의 개념과 구성요소에 대한 문헌연구, 하위영역 설정 및 예비문항 개발, 전문가 내용타당도 검증, 측정도구의 구인타당도 검증 절차를 통해 최종 문항을 도출하였다. 인문학적 소양 측정도구는 5개의 하위요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문학소양 6문항, 철학소양 7문항, 역사소양 3문항, 예술소양 3문항, 종교 및 문화 소양 3문항으로 총 22문항으로 개발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인문학적 소양 측정도구는 대학에서의 인문학 교육을 통해 학생들이 핵심적으로 갖추어야 할 소양이 무엇인가에 대해 구체적이고 명확한 기준을 제시함으로써, 교양교육과정의 편성 및 개편, 교수학습방법론의 질적 개선을 도모하는 데 일정 정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validate the humanistic style measurement tool in the aspect of seeking for the methods to substantialize the humanistic style education in university education. First, in order to develop the humanistic style measurement tool, this study drew the final items through the literature research on the concept and elements of humanistic style, set-up of sub-areas & development of preliminary items, verification of content validity by experts, and the verification of construct validity of the measurement tool. The humanistic style measurement tool was composed of five subfactors, and total 22 items were developed including six items of literary style, seven items of philosophical style, three items of historical style, three items of artistic style, and three items of religious/cultural style. The humanistic style measurement tool developed by this study would be a bit contributing to the promotion of the organization/reorganization of liberal arts education and the qualitative improvement of teaching/learning methodology, by suggesting the concrete and clear standard of core styles that should be equipped by students through liberal arts education at university.

      • KCI등재

        이공계 신입생의 자기효능감, 스트레스 대처, 회복탄력성과 교양교육 만족도의 관계

        정연재(Jeong, Yeonjae),주소영(Joo, So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4

        목적 본 연구는 이공계 신입생의 원할한 학업적응과 성공적인 대학생활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이공계 신입생의 자기효능감, 스트레스 대처, 회복탄력성과 교양교육 만족도 간의 관계를 살펴보는 것이 목적이다. 방법 이를 위해 2020년 10월 19일부터 10월 27일까지 인천광역시에 위치한 4년제 I대학의 이공계 신입생 중 교양 기초필수 교과목을 수강하고 있는 246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고 SPSS 26.0과 AMOS 16.0을 사용하여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이공계 신입생의 자기효능감, 스트레스 대처, 회복탄력성과 교양교육 만족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자기효능감과 회복탄력성은 교양교육 만족도와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트레스 대처의 경우 하위요인에 따라 교양교육 만족도와의 상관관계가 다른 것으로 나타났는데, 적극적인 대처와 관련된 요인의 경우 교양교육 만족도와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나 소극적인 대처와 관련된 요인의 경우 교양교육 만족도와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이공계 신입생의 자기효능감, 스트레스 대처, 회복탄력성과 교양교육 만족도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본 결과 회복탄력성과 스트레스 대처는 교양교육 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기효능감은 회복탄력성과 스트레스 대처를 매개로 하여 교양교육 만족도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결과를 종합해볼 때, 이공계 신입생은 자신의 능력에 대한 확고한 믿음을 갖추고, 적극적인 자세로 스트레스를 관리하고 극복하며, 문제 상황을 접하더라도 포기하지 않고 유연하게 대처하는 경우 교양교육에서의 만족도와 효과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Objectiv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 of self-efficacy, stress coping, resilience, and satisfaction with general education of freshmen in natural science and engineering as the basic data for academic adjustment and successful university life of freshmen in natural science and engineering. Methods For this, from October 19th to October 27th 2020,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total 246 freshmen who were taking the basic required subjects of general education in natural science and engineering of four-year- course I university located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using the SPSS 26.0 and AMOS 16.0.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correlations of self-efficacy, stress coping, resilience, and satisfaction with general education of freshmen in natural science and engineering, both self-efficacy and resilience had positive correlations with the satisfaction with general education. The stress coping showed different correlations with the satisfaction with general education according to its subfactors. The factors related to active coping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with the satisfaction with general education while the factors related to passive coping showed no correlations with the satisfaction with general education. Second, in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structural relations of self-efficacy, stress coping, resilience, and satisfaction with general education of freshmen in natural science and engineering, the resilience and stress coping had direct effects on the satisfaction with general education, and the self-efficacy had indirect effects on the satisfaction with general education through the mediation of resilience and stress coping. Conclusions Consider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freshmen in natural science and engineering will be able to increase satisfaction and effectiveness in general education if they have a firm belief in their abilities, manage and overcome stress with an active attitude, and respond flexibly without giving up even if they encounter problem situations.

      • KCI등재

        자유전공학부 운영 현황 및 학생 특성 분석에 관한 연구

        정연재(Yeonjae Jeong),주소영(Soyoung Joo),이승엽(Seungyeop Lee) 한국문화융합학회 2023 문화와 융합 Vol.45 No.12

        본 논문은 국내 자유전공 제도를 운영하고 있는 대학 현황과 학생 특성을 분석하여 우리나라 대학에적실한 자유전공 제도의 방향을 도출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현재 우리나라 대학에서 운영하고있는 자유전공 기관의 인재상, 교육목표, 주요 교육프로그램을 분석하였다. 또한 I대학 자유전공학부의인재상, 비전, 교육목표를 살펴보고, 교육목표를 실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교육 프로그램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자유전공학부 신입생을 대상으로 지원 동기, 교육만족도, 학습참여, 대학몰입, 전공결정확신도 및 전공 선호도 조사를 실시하여 학생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우리나라 대학에서 자유전공 제도가 잘정착하기 위해서는 첫째, 자유교육의 전통과 가치를 현재적 맥락에서 잘 구현하고, 둘째 교육과정 측면에서 지적 안목의 확장, 융합적 사고능력 함양을 위한 체계적인 교과과정을 설계하며, 셋째, 교육방법론 측면에서 학생들이 적극적이고 주도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주제중심 수업을 운영하고, 넷째, 학생들의 합리적 전공선택과 전공결정확신도 제고를 위한 맞춤형 지원전략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This thesis aims to guide the future development of the liberal studies system in Korean universities. It assesses the current state of universities with this system and analyzes student characteristics. The study delves into the concept of talent, educational goals, and main programs of liberal studies institutions in Korean universities. Additionally, it scrutinizes the talent concept, vision, and educational goals of I University's Liberal Studies Division, exploring concrete education programs. The research also examines traits of Liberal Studies Division students, surveying freshmen on motivation, satisfaction, participation, commitment, major decisions, and preferences. To establish the liberal studies system, the study suggests recognizing the tradition and value of liberal education, designing a systematic curriculum, implementing theme-centered classes for active student participation, and devising customized support strategies for rational major choi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