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의료정보 프로그램에서의 방송 허용범위에 관한 법적 고찰

        정순형(Joung, Soon Hyoung) 한국법학회 2019 법학연구 Vol.73 No.-

        현재 의료법은 방송을 통한 의료광고를 금지하고 있으며, 법으로 허용된 의료광고의 경우에도 ‘치료효과를 보장하는 등 소비자를 현혹할 우려가 있는 광고’, ‘환자의 안전에 심각한 위해(危害)를 끼칠 우려가 있는 부작용 등 중요 정보를 누락한 광고’, ‘방송 등을 이용하여 기사(記事) 또는 전문가의 의견 형태로 표현되는 광고’, ‘의료기관 · 의료인의 기능 또는 진료 방법에 관하여 객관적으로 인정되지 아니한 내용이나 객관적인 근거가 없는 내용의 광고’, ‘특정 의료기관 · 의료인의 기능 또는 진료 방법에 관한 기사나 전문가의 의견을 방송하면서 특정의료기관 · 의료인의 연락처나 약도 등의 정보도 함께 방송하여 광고하는 행위’ 등은 금지된다. 이와 같이 의료기관의 방송광고를 엄격히 금지하고 있는 상황에서 의료정보 프로그램 출연을 통한 우회적 광고유인이 높을 수밖에 없고, 이는 낮은 수준의 의료정보 프로그램을 양산시키고, 방송의 상업적 활용 행태를 부추기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하지만 일부 매체에서는 ‘의료광고’에서도 금지하고 있는 내용을 프로그램의 형태로 시청자에게 전달하고 있어, 위원회를 비롯하여, 각종 언론매체 및 관련 기관(국회, 식약처, 대한의사협회, 각종 시민단체 등)으로부터 이러한 문제점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이와 관련 본고에서는 최근 방송심의에서는 많은 문제점들이 반복적으로 지적되고 있어, 향후 방송 제작 및 편성시 개선이 필요하다는 점을 법적 검토를 통하여 지적하였다. Currently, medical law prohibits medical advertising through broadcasting. In the case of medical advertising permitted by law, ‘advertising with a fear of misleading consumers, such as ensuring therapeutic effects,’ ‘Ads that are missing important information such as side effects that may cause serious harm to the safety of patients,’ ‘an advertisement expressed in the form of an article or an expert using a broadcast or the like,’ ‘advertising with content that is not objectively recognized as to the function or treatment method of a medical institution or healthcare provider,’ ‘broadcasting and advertising of information such as contacts and directions of specific medical institutions or medical personnel while broadcasting articles or expert opinions on the functions or treatment methods of specific medical institutions or medical professionals’ is prohibited. In this way, in the situation where the broadcasting advertisement of the medical institution is strictly forbidden, the attraction of the indirect advertisement through the appearance of the medical information program is inevitably high, this may lead to mass production of low-level medical information programs and to promoting the commercial utilization behavior of broadcasts. However, in some media, the contents that are forbidden in ‘medical advertising’ are transmitted to viewers in the form of programs, and it is necessary for the media to receive information from various media and these problems are constantly being raised by relevant organizations (such as National Assembly, KFDA, Korea Medical Association, various NGOs). In this regard, I have pointed out through the legal review that many problems have been pointed out repeatedly in recent broadcasting review, and it is necessary to improve broadcasting production and organization in the future.

      • KCI등재

        우리나라 의료시장의 개방 및 의료민영화의 문제점과 대책

        정순형(Soon-Hyoung Joung)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5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20 No.11

        In this paper, based on the reference, we try to review the second issues about opening medical market and health care privatization by each topic and propose the measures and alternatives. Currently, in Korea, connection with launch of the WTO system and force of the FTA, the medical industries getting liberalization and globalization. Thus, it is expected to plunge to full-free competition system, and Korean medical institutions started the global competition which completely different dimension. It means that according to the liberalization of the healthcare market the real problem can be caused and also, the incessant discussion and effort for the implementation of international community are needed. Regard to attracting foreign patients and opening medical markets, the government also spreading the continued advancement strategy politically until now. However, generating problems with implication is inevitable and measures and alternatives to it are also needed. In accordance with the opening, the accompanying suggestions is medical privatization, that is, whether the health care pursue the profit not the not-for-profit and the current hospitals in Korea they are leaved as non-profit hospitals and let the make the subsidiary as general commercial enterprises, it seems indirect. However, it is like a healthcare privatization virtually thus, implication seem be large. Of course, through the public opinion and legal reservation, the liberalization and privatization of medical market can be delayed or not forced. It would be not fit in the flow of the inevitable globalization, it can be inhibited national interest and economic development also, and it can be the critical implications which shake the health system and collapse of the domestic health care market.

      • KCI등재후보

        한국 노인의료보장제도의 현황과 제도적 개선방안

        정순형 ( Soon Hyoung Joung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6 인문사회 21 Vol.7 No.2

        본 연구는 경제생활의 개선과 보건의료의 향상을 통해 노인들의 수명이 연장되어 노령 인구가 많아지면서 고령사회로 진입한 우리나라의 노인에 대한 의료보장의 제도적인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장기적인 대책 마련과 입법적 해결의 필요성이 요구되어지는 상황 하에서 그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인간의 삶의 질 향상으로 인하여 오래 살고 싶어 하는 인간의 욕망 또한 과학의 발달과 더불어 인간의 수명연장을 가능하게 하여 노인 인구가 많아지면서 우리사회의 신체적, 정신적 기능의 쇠퇴와 더불어 질병발생률이 높아질 뿐 아니라 만성화되는 경향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치료기간이 길며경제적 비용도 높아지게 되므로 보건의료서비스에 대한 요구도 높아질 수밖에 없다. 이는 21세기 고령사회 시대를 맞이한 우리에게 새로운 도전 과제를 안겨주고 있는데 그에 따르는 국가적 노력도 지속적으로 커져가고 있는 실정이다. 사회적 약자 층에 속하는 노인의 의료보장이라는 난제에 대해서 과연 시대적 부응에 적절한 대응을 하고 있는지에 대해 노인들의 신체적, 정신적 특성을 고려하지 않는 급성 질병의 치료위주의 체계, 노인의의료서비스 이용의 접근성과 사각지대 발생 및 건강보험과 의료급여의 이중적인 의료체계의 분산, 국가 재정위기 등이 문제점으로 들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현행 우리나라의 사회보장제도 하에 있는 의료보장제도에 대해서 기존의 문헌고찰를 바탕으로 정책적 개선을 위한 방향성 측면으로 접근한 연구방법적인 한계는 있지만 각국의 노인의료보장제도와 비교하면서 사회보장과 그 부분을 이루는 한 축인 의료보장의 일반적 개념 및 우리나라의 노인의료보장 제도의 현황과 노인의료보장체계의 보완 및 확립을 위한 실태와 문제점을 파악한 후 바람직한 정책적 과제를 검토하였다. 특히 현행 의료보장성과 관련하여 건강보험과 의료급여의 실질적인 보장성확대, 의료보장정책 관련법령의 불비에 따른 법령의 재정비, 노인의 의료시장 접근성 및 사각지대 해소를 위한 원격의료의 활성화 및 노인장기요양보험 제도와의 연계성을 제시하였다. 향후 이를 바탕으로 선진국의 노인 관련 의료보장체계의 제도적 수용에 대한 실증적 고찰을 통한 연구가 필요하며 보다 더욱 확고한 자리매김이 될 수 있는 안정적이고 실효성 있는 제도가되기를 기대하여 본다. Recently, through the improvement of the economic life and health care, the aging population getting increasing, this study tried to identify the institutional status and problems of health care in Korea and seek the improvement under the situation which needs the long-term measures preparation and need legal resolve. Due to the improved quality of human life, human desire to want to live a long time also the improved with scientific development. It makes increase the elderly population. With the decline of physical and mental function in our society, incidence of the disease increased and getting chronicity. Also, long duration of treatment and high economic costs makes the high request for health care services. This gives new challenges to us who reached the 21st century the aging society, following national effort also increase continuously. About the difficulties as medicare of seniors who are belonging to socially disadvantaged, concerning that they do an appropriate response well to historical meet, many issues are comeout such as the system of care only acute illnesses not considering physical and mental characteristics of elderly, the accessibility and blind spots of using the health services for the elderly, dispersion of the medical system as healthcare insurance and medical benefits and financial crisis, etc. Therefore, about the medicare system under the current social security system in Korea, There is a methodical limitation which access to one side direction for policy improvements based on the existing literature review. However, comparing seniors medicare system in each country, and after identified status and problems for the complement and establish of elderly medicare system and general concept of medicare in Korea which is the part of society guarantees, examined the preferred policy challenges. In particular, with respect to current health protection, activation of the telemedicine and linkage with elderly long-term care insurance are proposed for substantial expansion of protection-type about health insurance and medical benefits, rearrange the legislation in accordance with the irregularity of the policy-relevant legislation, and eliminating the blind spots and increase the medicare market access of elderly, etc. In the future, based on this, empirical study on the institutional acceptance of the medicare systems for elderly in developed countries are need and hope it will be the stable and effective.

      • KCI등재후보

        범죄피해자 보호제도에 관한 고찰

        정순형(Joung, Soon-Hyoung),전명길(Jeon, Myung-Gil) 한국법이론실무학회 2021 법률실무연구 Vol.9 No.1

        범죄피해자는 실체진실의 발견에 있어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그 결과에 대해 직접적인 이해관계를 가지는 존재이다. 그러나 그동안 형사사법제도의 운영 및 논의과정에서는 주로 피의자나 피고인의 인권문제에 치중되어 있었고 피해자보호에 대한 논의는 매우 부족했다. 하지만 범죄피해자에 대한 재인식의 결과 범죄피해자 보호를 위한 여러 법적 제도들이 마련되고 피해자의 형사절차상 위치도 강하되고 있다. 그러나 범죄피해자보호 및 지원을 위한 여러 가지 제도들은 아직 미흡한 실정이며 피해자보호를 위하여 마련된 여러 가지 제도들도 운영과정에서 여러 문제점들이 나타나 있다. 따라서 범죄피해자 보호 강화를 위해 범죄피해자 보호와 관련된 국가 법체계의 전반적인 정비가 필요하고, 범죄피해자구조금 지급사유 제한을 완화하며, 범죄피해자가 청소년인 경우 피해청소년의 특성을 고려한 조사과정이 필요하다. 더불어 피해자가 형사소송절차에 참가할 수 있는 제도를 도입하고 피해자에 대한 통지를 강화 할 필요성이 있다. Criminal victims are those who provide important information in the discovery of real truth and have a direct interest in the consequences. However, in the process of operation and discussion of the criminal justice system, the human rights issues of the accused or the accused were mainly focused on the human rights issues, and the discussion on the protection of victims was very insufficient. However, as a result of the re-recognition of crime victims, various legal systems have been established for the protection of crime victims, and the victims position in criminal procedure is also decreasing. But various systems for protecting and supporting crime victims are still insufficient, and various systems designed to protect victims also have various problems in the operation process. Therefore, to strengthen the protection of crime victims, the overall maintenance of the national legal system related to the protection of crime victims is needed, the restriction on the reason for the payment of crime victims is eased, and the investigation proces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victims is needed. In addition, there is a need to introduce a system in which victims can participate in the criminal procedure and strengthen notification of victims.

      • KCI등재

        건강보험과 보험급여 기준에 관한 소고 -NAIC 개인상해 질병보험 최저기준법 및 뉴욕주 규칙 62를 중심으로-

        정순형(Joung Soon Hyoung) 한국법학회 2020 법학연구 Vol.78 No.-

        미국은 OECD 국가들 가운데 아주 드물게 정부에서 주도하는 건강보험 제도를 갖고 있지 않은 나라이다. 한국이나 일본, 호주, 그리고 유럽 대부분의 국가들과는 달리 미국은 건강보험이 민영화되어있다. 미국에서는 원래 1929년에 대공황을 계기로 세계 최초의 사회보장법을 제정한 뒤 1965년 린든 B. 존슨 대통령에 의해 노인의료보험(medicare)과 저소득층에 대한 의료부조(medicaid)제도가 성립되었다. 그런데 이후 공보험을 확대하려는 계획은 묻히고 기본보험 부분(메디케어, 메디케이드)만 남겨두었다. 미국에서 의료행위는 많은 법적 근거에 따라 제공된다. 의료기관들은 대부분 사설기관에 의해 소유되고 운영된다. 의료보험 제도 또한 마찬가지인데, 노인 의료보험이나 국민 의료보조 · 소아 의료보험과 노인질병 건강 관리국을 제외한 대부분의 의료보험을 사설기관이 제공한다. 적어도 인구의 15퍼센트는 전혀 보장이 되지 않고 있으며 그 외 상당수의 인구도 의료혜택을 알맞게 받지 못하고 있다. 미국에서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의료보험 개혁에 관한 활발한 토론들은 의료, 접근성, 공정성, 효율성, 가격, 그리고 평등성을 갖는 권리에 대해 논의한다. 몇 몇 주(州)가 전반적인 의료보험 제도를 개혁하기 위해 진지하게 나섰다. 성공여부는 불확실하다. 본고에서는 MSA와 이에 기초한 모델규칙에 대해 소개함과 동시에 뉴욕주법에 대해서도 비교하면서 검토해 보기로 하겠다. 공적 건강보험이 미비한 미국에서 민간보험 사업자가 제공하는 건강보험이 국민에게 있어서 불가결한 의미를 가지는 것에 의해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한 의미에서는 보험계약에 관한 입법적 규제라고 할 수 있고, 이러한 미국형의 구체적 계약유형에 맞는 규제는 우리나라와 같은 보험계약 입법의 스타일로서는 익숙하지 않을지도 모른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도 이미 상해보험, 질병보험은 손해보험, 생명보험회사 쌍방에 의해 상당히 많은 종류의 보험업이 이루어지게 되어 보험업법의 개정으로 상해보험, 질병보험의 생손보험 상호편입이 한층 진행되게 되었다. 이로 인해 계약유형의 다양성이 향후 한층 더 진전되어 갈 것으로 생각되므로 규제완화의 전제로서 상해보험과 질병보험이 어떠한 기준을 충족시켜야 하는지를 본 연구에서처럼 총정리하는 것은 의미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he United States is one of the few OECD countries that does not have a government-led health insurance system. Unlike most countries in Korea, Japan, Australia, and Europe, health insurance is privatized in the United States. In the United States, after the Great Depression in 1929, the world’s first social security law was enacted, and in 1965 President Lyndon B. Johnson established the medicare and medical aid system for low-income people. After that, plans to expand public insurance were buried, leaving only basic insurance (Medicare, Medicaid). In the United States, medical practice is provided on many legal grounds. Most medical institutions are owned and operated by private institutions. The same goes for the medical insurance system, but most of the medical insurance is provided by private institutions, except for the elderly medical insurance, the National Medical Assistance and Pediatric Medical Insurance and the Elderly Diseases Health Care Bureau. At least 15 percent of the population is not covered at all, and a significant number of other populations do not receive adequate medical care. Active discussions on health care reform currently in the United States discuss the right to health, access, fairness, efficiency, price, and equality. Several states have taken serious steps to reform the overall health insurance system. It is uncertain whether or not it will succeed. In this article, I will introduce the MSA and model rules based on it, and compare and review the laws of New York State. In the United States, where public health insurance is insufficient, the need for health insurance provided by private insurance companies is indispensable to the public. In that sense, it can be said to be a legislative regulation on insurance contracts, and the regulation that fits the specific contract type of the American type may not be familiar with the style of insurance contract legislation like Korea. However, in Korea, accident insurance and disease insurance have already been implemented by both the loss insurance and the life insurance company. As a result of the revision of the Insurance Business Law, the mutual transfer of accident insurance and disease insurance into life insurance has been progressed. Because of this, the diversity of contract types is expected to advance further in the future, so it is considered to be meaningful to summarize what criteria the accident insurance and disease insurance should meet as the premise of deregulation.

      • KCI등재

        안락사의 형법적 고찰과 법제화에 관한 시사점

        정순형(Soon-Hyoung Joung),전영주(Young-Ju Jeon) 한국콘텐츠학회 201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1 No.7

        본 논문의 목적은 안락사의 개괄적인 의미와 형태를 살펴보고 논쟁의 핵심이 되는 안락사의 찬반론을 통해 형법적으로 고찰하고, 현행 안락사 법제의 필요성과 제도적 정립에 관하여 검토하여야 할 사항을 모색하고자 한다. 현대의 의학은 눈부신 발전을 통해 치료가 불가능한 환자들을 치료할 수 도 있고 인공적인 생명유지장치를 통해 생명을 인위적으로 연장시킬 수도 있게 되었다. 이러한 의료환경의 변화는 안락사와 관련된 일련의 형법적 논의를 넘어 안락사의 허용범위도 점점 확장되어 가고 있으며 의료시술도 소극적인 면에서 적극적 면까지 논의가 되어 가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법적, 윤리적 문제를 뒤로하고 현행 법체계에서 보다 명확한 기준이 될 수 있는 현실적인 방안이 모색 되어야 함은 시대적 요청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법제도화에 필요한 사항을 검토하여 보고 생명존엄성에 관한 가치들을 재정립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finding the meaning and form of Euthanasia, Considering by Criminal law that the core of the debate over the ‘pros and cons’ of euthanasia, And seeking measures about needs of currently Euthanasia legislation and institutional establishment. Through the remarkable progress, today’s medical science makes to cure the Incurable patients, and artificially prolong human life by life-support system. These changes of Healthcare Environments extending a permissible range of Euthanasia over the series of criminal discussions about Euthanasia. And medical treatment has been discussed from negative side to positive side. So, In the current legal system, seeking for realistic measure is demands of the times behind the penally and ethical problems. Therefore, I will study the needs of legal system and reestablish values about Respect for Human Life.

      • KCI등재후보

        스포츠 사고와 법적 책임 - 프랑스법의 위험의 인수의 법리의 적용을 중심으로 -

        정순형(Joung, Soon-Hyoung) 한국법이론실무학회 2020 법률실무연구 Vol.8 No.1

        스포츠 활동은 그 본질로서 상시 사고의 발생이라는 리스크(위험)를 내재하는 행위이다. 그래서 각 경기 단체들은 안전대책을 목적으로 경기규칙의 변경을 실시하여 사고방지에 노력하여 왔다. 예를 들면, 권투 세계 타이틀 매치에서는 1980년대 15차전인 경기가 안전을 위해 12회전으로 단축되었다. 또 럭비에서는 부정한 플레이를 규정하는 경기규칙 제10조(j)에서 이전에는 오히려 럭비의 존재이유로 꼽히던 상대방을 들고 상체부터 땅에 떨어뜨리는 스피어 태클을 위험한 플레이로 규정하며 엄격한 페널티를 부과하게 되었다. 실제 2011년 럭비 월드컵 준결승, 프랑 대 웨일스 전에서 이런 종류의 태클을 한 웨일스의 선수를 일발 퇴장시킨 사례가 있었다. 그러나 스포츠 활동에 참가하는 것이 각각의 입장에서 최대한 노력했다고 해도 사고를 완전히 방지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즉, 스포츠 활동 중의 사고는 피할 수 없는 위험이라고 지적할 수 있지만, 그 위험은 단순히 스포츠 참여자가 수상한다는 것만이 아니다. 왜냐하면, 최종적으로 피해자가 입은 손해배상을 찾을 수도 있다, 그러므로 분쟁이라는 양상을 가지고 스포츠 활동 참가자 전체 예를 들면, 스포츠 활동을 관리 감독하는 자에 관련되는 위험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스포츠 활동 중 사고 건수를 염두에 두고 추측했다면, 손해의 배상을 요구하고 실제로 분쟁에 이르는 경우는 한정적이다. 왜냐하면 스포츠는 본래 공적 세계와는 구분된 사적 세계의 것으로서 그 자치에 맡겨져, 특히 스포츠 사고 등에서 법의 개입을 소극적으로 자제해온 이유 때문이다. 또 실제 분쟁으로 발전한 경우에도 가해자의 행위에 대해서 위법성이 조각될 가능성이 많아 남은 피고의 책임은 한정적으로 인정되어 왔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 요즈음 민사책임의 인정에 있어서 스포츠가 널리 대중화한 데 따른 모든 스포츠 참가자에게 일률적으로 충분한 자기 책임능력의 존재를 전제하고 기대하기는 어려워진다. 프랑스에서는 2006년에 편찬된 스포츠 법제의 기본이 되는 스포츠법 논리가 스포츠 및 신체활동은 교육·문화 국민통합 및 사회생활의 중요한 요소이다. 특히 학교생활의 실패를 막는 전쟁, 사회적 및 문화적 격차 축소, 건강유지에 공헌을 이루는 모든 사람을 대상으로 한다. 또 특히 장애자를 대상으로 한 스포츠 및 신체 활동의 진흥과 발전은 일반의 이익에 부합한다고 규정하고 스포츠 활동이 공적인 역할을 하겠다는 것을 명시한 점에서도 엿볼 수 있다. 또, 이러한 스포츠 활동의 공공성의 고조라는 요즈음의 사회적 상황은 스포츠 활동 중 사고에 관한 분쟁해결에 있어서 피해자 보상의 충실화라는 관점이 한층 고려될 가능성을 넓히게 된다. 사실, 프랑스에서의 최근의 민사소송으로 가해자의 책임이 감면될 가능성을 부여하는 위험의 인수의 법리의 적용 범위를 더 한정하겠다는 판단이 내리면서 이 판결은 피해자 구제라는 관점이 고려된 결과라고 생각할 수 있는 것이다. 더욱이 그 재판에서의 판지는 그 후 스포츠 활동 중 사고에 있어서 민사책임에 관한 스포츠 법제에도 영향을 주기에 이르렀다. 여기서 본 연구에서는 위험의 인수의 법리의 적용이라는 관점을 염두에 두면서 프랑스에서의 스포츠 활동 중 사고에 따른 민사책임에 관한 이 재판 사례에 대해서 그 상세를 검토해 보기로 하였다. A sports activity is inherently a risk inherent in the occurrence of an accident. Therefore, each competition group has been trying to prevent accidents by changing the competition rules for safety measures. For example, in the boxing world title match, the 15th game in the 1980s was reduced to 12 rounds for safety. In rugby, the rule of play governing unfair play, Article 10 (j), spear tackle falling from the upper body to the ground with opponents who were formerly considered as a reason for the existence of rugby, was imposed a strict penalty. In fact, there was a case where one Wales player with this kind of tackle was sent off in the 2011 Rugby World Cup semi-finals, before Francs vs. Wales. However, it is impossible to completely prevent accidents, even if participating in sports activities is the best effort in each position. In other words, it can be pointed out that accidents during sporting activities are inevitable risks, but the risks are not simply that the sports participants win. This is because, in the end, the victim may be able to find damages, so it may be possible to develop the risks associated with the whole sports activity participant, for example, those who manage and supervise the sporting activity. However, if you have speculated about the number of accidents during a sporting activity, there are only a few cases where claims for damages and actual disputes can be made. This is because sports are indigenous to the autonomous world, distinct from the public world, and have been passively refraining from the intervention of law in sports accidents. In addition, even in the case of an actual dispute, the offender’s actions are likely to be fragmented, and the remaining defendant’s responsibility has been limited. In this regard, it is difficult to assume that there is a sufficient level of self-responsibility for all sports participants due to the widespread popularization of sports in the recognition of civil liability these days. In France, the logic of the sport law, which is the basis of the sport legislation, compiled in 2006, shows that sport and physical activity are important elements of education, culture, national integration and social life. In particular, it is aimed at anyone who contributes to the war against school failures, to narrowing the social and cultural gap, and to maintaining health. It can also be seen that the promotion and development of sports and physical activities, especially those with disabilities, is in the public interest, and that sports activities play a public role. In addition, the social situation in these days of increasing publicity of sporting activities expands the possibility of considering the improvement of victim compensation in dispute resolution of accidents during sporting activities. In fact, the decision could be considered to be a result of the view of victim relief, with the decision to further limit the application of the law of risk taking, which gives the possibility of the exemption of the offenders liability in recent civil cases in France. It is. Moreover, the cardboard at the trial subsequently influenced the sports legislation on civil liability in accidents during sporting activities. In this study, we consider the details of this case of civil liability for accidents in sporting activities in France, with the view of the application of the law of the argument of risk.

      • KCI등재

        의료법상의 원격의료 제도에 관한 고찰

        정순형(Soon-Hyoung Joung),박종렬(Jong-Ryeol Park)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2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17 No.12

        현재 정보통신의 비약적인 발전은 의료서비스 전달체계에서도 큰 변화와 진전을 야기하고 있으며 세계적으로 점차 확대되어가고 있는 추세이다. 이는 의료정보화라는 이름으로 환자에게는 질병의 진단, 치료에 있어서 보다 신속, 세밀하고 정확히 판단할 수 있게 하여 수준 높은 보건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한편 의료기관 및 관련기관은 업무의 효율성을높여가고 있다. 그 중 원격의료는 의료기관의 방문 없이 대기시간의 단축, 일률적인 고도의 의료수준을 기대할 수 있는 등의 장점이 있는 제도이다. 특히 장소와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방대한 의학에 관한 정보접근성이 높아질 수 있다는 점이다. 그러나 현대 과학 기술의 발달의 속도에 비해 운용상의 제반 규정과 마인드가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현행 우리 의료법에서는 원격의료를 규정하고는 있으나 그 내부적 관계에 따르는 세부적인 법률관계의 부재 및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의료행위가 아닌 정보통신망을 이용한 비대면접촉에 의한 특수한 형태라는 측면에서 제도적, 시설적, 환경적 제약이 있음을 부인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현행 원격의료의 발전 잠재 가능성이 무한함을 전제로 법적 문제점 및 개선점을 고찰해보고 이를 통한 원격의료를 활성화할 수 있는 활로를 모색하고자 한다. The rapid development of the curren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brings big changes and progress in the health service delivery system. And it is becoming the worldwide trend increasingly. As the name of medical information, by more rapid, detail and more quickly to the patients and diagnosis of the disease it provides not only a high level of health care services but also hospitals and related institutions are making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work. Among them, the Telemedicine, that system has many advantage which can expect the shorten the waiting time and the uniform high level of medical, etc. without visiting medical institutions. Especially, the most advantage is it can increase the accessibility of information about extensive medical, without regard to the time and place. But this is the reality, which compared speed the development of modern science and technology with lack of operational regulations and mindset. Current in our Medical Law, it regulates the Telemedicine, but it has Institutional, facility, and environmental constraints. Because, there is no detailed legal relationship. And it takes that in terms of a special form called by a non-face-to-face contact with medical practice rather than the scene. Therefore, in this paper will find a way out to activate the Telemedicine by presupposes the development potential is infinite and find the legal issues and improvements.

      • KCI등재

        신탁원본의 수익조정과 유니트러스트로의 전환에 관한 연구

        정순형(Joung Soon Hyoung) 한국법학회 2020 법학연구 Vol.77 No.-

        신탁조항에서 여러 수혜자에 대한 대처법이 명확히 제시되지 않으면 수탁자는 수익을 올리거나 원금의 증가를 목표로 하는 양자택일이 아니라, 그 구분을 일단 제쳐두고 전체적으로 이익의 극대화를 꾀해야 한다. 따라서 수익과 원금 사이에 수익을 균형있게 재배치하는 단계가 될 수 있다. 은유적으로 말하면, 전체 파이를 크게 만들 수 있는 가장 유리한 방법을 취하고, 그 다음에 파이의 절단 방법을 고려해야 한다. 이러한 ‘파이 분리 방법’에는 두 가지 방법이 있다. 하나는 수익 수익권을 유니트러스트(unitrust)로 전환하고 전체 신탁재산의 일정 퍼센트를 수익 대신 수혜자에게 분배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수탁자에게 원금과 수익에 대한 조정권한(power to adjust)이다. 수탁자의 재량적 판단에 의해 적절한 금액의 수익을 결정한다는 것이다. 미국 신탁법은 후자의 조정 권한에 대해 ‘분배시 어떤 상황에서도 일정한 퍼센트로 정하는 unitrust 방식보다 유연성이 뛰어나다’는 수탁자에게는 분배 단계에서의 ‘공정의무’가 무엇인지에 대한 어려운 문제가 있다. 1997년에 개정된 통일 원금 및 수익법(1997년 통일법)에서도 수탁자의 조정 권한이 채택되었다고 평가된다. 위의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본 논문에서는 우선 고정 잠정고시의 내용을 소개하고, 원금과 수익의 구별이 있는 신탁에서 수탁자가 얼마나 공정한 의무를 수행하는 것으로 가정되는지를 밝히고자 한다. 1997년 통일법 하에서 원금과 수익의 조정에 어떠한 조건이 부과되는지를 검토한다. 마지막으로 수익 수익권의 통합으로의 전환을 인정하기 위한 조건에 대해 델라웨어법과 펜실베이니아 법의 내용은 인정을 위한 조건에 대해 소개한다. 그리고 원금 및 수익 조정 조건과 유니트러스트로의 전환 조건을 비교하고, 두 가지 차이점을 명확하게 보여주는 최근의 재판 사례를 소개한다. If the trust section does not provide a clear response to the various beneficiaries, the trustee should try to maximize profits aside from that distinction, rather than an alternative aiming to increase revenue or increase principal. Therefore, it can be a step of balancing the profits between the profit and the principal. Metaphorically, you should take the most advantageous way to make the whole pie large, and then consider how to cut the pie. There are two ways to do this. One is to convert the beneficiary to unitrust and to distribute a percentage of the total trust property to the beneficiary instead of the other. It is at the discretion of the trustee that the appropriate amount of revenue is determined. The US Trust Act has a difficult problem with respect to the latters reconciliation authority about what it means to be “fair duty” at the distribution stage, which is “more flexible than unitrust in any situation when distributing”. The Unification Principles and Revenues Act (1997 Unification Act), amended in 1997, also considers that the trustee’s power of coordination has been adopted. Based on the above problem consciousness, this paper first introduces the contents of the fixed provisional notice and reveals how fair the trustees are supposed to perform in trusts that distinguish between principal and revenue. Review the conditions imposed on the adjustment of principal and revenue under the 1997 Uniform Act. Finally, the Delaware and Pennsylvania law introduces the conditions for accreditation for the conditions for recognizing the transition to the integration of beneficiary rights. It also compares the terms of principal and revenue adjustment with the transition to unit trust and introduces a recent trial case that clearly shows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 KCI등재

        의료분쟁조정법의 시행에 따르는 현행법상의 해결과제

        정순형(Soon-Hyoung Joung)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4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19 No.4

        의료분쟁은 전 국민을 대상으로 하는 의료보험사업의 시행과 더불어 건강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이 증가하고 의료수요가 급격히 증가되는 가운데 필수 불가결하게 발생하는 문제이다. 분쟁의 대상은 대부분 의료인의 의료과오로 인한 형사적 처벌과 민사적 피해구제와 관련되는 것으로, 종래에는 합의에 의한 해결이 우선시 되었고 나아가 소송과 실력행사를 통해 해결하려 하였으나 명확한 기준과 관련 법제의 미비로 인하여 합리적이고 원활한 해결에 어려움이 있음을 부인할 수 없다. 이를 위하여 의료사고 처리와 의료분쟁을 분쟁당사자들 간의 자율적인 문제로 해결할 수 있도록 우여곡절 끝에 "의료사고 피해구제 및 의료분쟁 조정 등에 관한 법률"(이하 '의료분쟁조정법')은 2011년 4월 7일 제정되어 2012년 4월 8일 시행되었다. 이는 조정이나 중재로써 당사자 간의 갈등을 해결하려는 입법적인 취지가 있겠으나 의료분쟁조정법의 내용상 형사적, 민사적 관련 현행법과의 선결 되어야하는 문제와 더불어 헌법적 관점에서 고찰해야 할 검토 사항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의료분쟁 조정법과 헌법상의 쟁점 및 형법적, 민법적 쟁점사항을 알아보고 이에 대한 해결과제를 모색하여 보다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의료분쟁의 해결이 될 수 있도록 하는 계기가 마련되기를 기대해 본다. Medical disputes the problem that occurs essentially among the rapidly increasing of the demand for health care and the attention of the public health. The subject of dispute is mostly criminal penalties and civil redress due to a physician's medical malpractice, resolved by agreement was prioritized. They trying to solve through the litigation and exercise the skills. But, the lack of clear standards and related legislation make difficult to solve the problem. for this, "The Act of Medical Malpractice Damage's Relief and Mediation for Medical Dispute Resolution" (Medical Disputes Adjustment Act) was enacted in April 7, 2011 and performed in Apr. 8, 2012. To solve the problem autonomously between the parties. It is the legislative intent such as mediation or arbitration to solve the conflict between the parties. But there are some problems that examined from the perspective of constitutional review with the criminal and civil problems. Therefore, this paper will find out the legal issues about Medical Dispute Adjustment Act and the constitutional and civil issues. And want to expect to be prepared the more stable and efficient solution of medical disput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