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한국인에서 오구쇄골 인대의 구조적 분석

        정수태(Soo Tai Chung),유정현(Jeong Hyun Yoo),조주원(Joo Won Joh),김수용(Soo Yong Kim),백두진(Doo-Jin Bak) 대한정형외과학회 2010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5 No.3

        목적: 최근 들어 견봉쇄골 관절의 재건술 기법은 오구쇄골 인대의 해부학적 복원에 중점을 기하고 있다. 히지만 오구쇄골 인대의 해부학적 기술에 대한 연구는 미미하고 보고서마다 다르게 기술되고 있다. 이에 저자들은 한국인에서 오구쇄골 인대의 해부학작 고찰에 대해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6개의 신선시체 및 96개의 약품처리된 시체에서 얻은 102개의 오구쇄골 인대를 분석하여 기하학적 형상을 정량적으로 측정하였다. 오구돌기와 쇄골 부착부위에서의 모양 및 위치에 대한 정량적 측정도 함께 하였다. 아울러 이들 변수에 대한 측정 시 임상적, 방사선학적 적용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결과: 원추 인대 및 능형인대 모두 중간부에서 측정 시 능형인대가 굵고 폭이 넓었고 쇄골에서부터 오구돌기 부착부까지의 평균 길이는 남자에 서 각각 1l.3±3.6 ㎜, 9.5±2.2㎜, 여자에서 각각 10.8㎜±2.7㎜, 9.2±1.9㎜로 측정되었다. 평균 쇄골의 길이는 남자에서 158.5±55.7 ㎜, 여자에서 146.6±50.9㎜였다. 능형선 중심 및 원추융기 중심으로부터 쇄골 외측 가장자리까지의 거리는 남자에서 각각 21.7±3.2㎜와 42.8±3.4㎜, 여자에서 20.9±1.8 ㎜와 39.9±3.3㎜였다. 전후방 및 외측면에서 원추인대와 능형인대가 이루는 각도는 남자에서 각각 25±8도, 19±3도, 여자에서 각각 28±1.8도, 17±3도로 측정되었다. 결론: 쇄골 길이에서의 원추인대 및 능형인대까지의 평균 거리를 구하고 원추인대와 능형인대의 관계를 예측함으로 임상적으로 정확한 오구쇄골인대 재건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Recently, the methods for reconstructing the acromion joint focused on an anatomical reconstruction. However, the reports of the anatomical method of the coraco-clavicle ligament have given different descriptions This paper reports an anatomical study of the coraco-clavicle ligament in Koreans. Materials and Methods: One hundred and two coraco-clavicle ligaments distracted from 6 fresh cadavers and 96 drug-administered cadavers were analyzed and calibrated. A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shape and location of the attachment site of the coracoid process and clavicle was performed, and the clinical and radiological applications were examined considering the calibrating variables. Results: The conoid and trapezoid ligaments were thick and wide when measured in the middle part, and the average length up to the attachment site of the coracoid process was 11.3±3.6㎜ in men and 9.5±2.2㎜ in women. The average length of the clavicle was 158.5±55.7㎜ in men and 146.6±50.9㎜ in women. The length between the middle of the trapezoid tubercle or conoid tubercle and the lateral edge of the clavicle was 21.7±3.2㎜ and 42.8±3.4㎜ respectfully in men and 20.9±1.8㎜ and 39.9±3.3 respectfully in women, respectively The angles of the conoid ligament and trapezoid ligament from the anteroposterior and lateral aspects were measured to be 25±8˚ and 19±3˚ respectfully in men and 28±5˚ and 17±3˚ degree respectfully in women. Conclusion: A more delicate reconstruction of the coraco-clavicle ligament is believed to be possible with regard to the mean distance from the clavicle to the conoid and trapezoid ligaments and the anticipation of a relationship between these ligaments

      • KCI등재후보

        변형된 Steinmann 핀과 긴장대 강선을 이용한 상완골 근위부 골절의 치료

        정수태(Soo-Tai Chung),김현철(Hyun-Chul Kim),유정현(Jeong-Hyun Yoo),조영중(Young-Joong Cho) 대한정형외과학회 2004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39 No.1

        목적: 상완골 근위부 전위형 골절에서 변형된 Steinmann 핀과 긴장대 강선을 이용한 내고정의 유용성과 결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8년 9월부터 2002년 2월 사이에 상완골 근위부 전위형 골절로 변형된 Steinmann 핀과 긴장대 강선으로 내고정술을 시행받고 평균 24.9 (6-39)개월 추시된 13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남자가 6명, 여자가 7명, 평균 연령은 58.1 (39-81)세였다. Neer의 평가 기준으로 임상결과를 측정하였다. 결과: 임상적 결과는 우수가 9예, 만족이 4예였으며, 모든 예에서 방사선학적 골유합을 얻었다. 상완골두의 무혈성 괴사 또는 금속 실패와 같은 합병증은 발생하지 않았으며, Steimann 핀의 근위부 자극으로 인한 충돌 증후군을 2예에서 보였으나 골유합 달성 후 내 고정물의 조기 제거로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결론: 변형된 Steinmann 핀과 긴장대 강선을 이용한 내고정술은 수술부위 연부 조직의 손상이 적어 합병증의 빈도가 낮으며, 비교적 견고한 고정을 얻을 수 있어 조기 재활치료를 가능하게 하는 방법이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late the usefulness of internal fixation with two modified Steinmann pins and tension band wiring in displaced proximal humeral fracture. Materials and Methods: Thirteen cases of displaced proximal humeral fracture were surgically treated with modified Steinmann pins and tension band wiring and followed for an average 24.9 (6-39) months. Male to female ratio was 6 to 7. Average age was 58.1 (39-81) years. Results were assessed using Neer's evaluation criteria. Results: Excellent results were noted in 9 cases and satisfactory results in 4 cases. All cases obtained radiological union. There was no complication such as avascular necrosis of humeral head or metal failure. Two cases showed impingement syndrome of the proximal portions of Steinmann pins, which were managed by early removal of the metal after union. Conclusion: Internal fixation using modified Steinmann pins and tension band wiring for proximal humeral fracture minimizes perioperative soft tissue damage, has a low risk of complications, and enables early rehabilitation by rendering relatively rigid fixation.

      • KCI등재

        변형된 Weaver-Dunn 술식에서 고정방법 선택에 따른 결과 비교

        정수태(Soo-Tai Chung),김형수(Hyung-Soo Kim),유정현(Jeong-Hyun Yoo),최광범(Koang-Bum Choi) 대한정형외과학회 2005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0 No.7

        목적: 급성 견봉 쇄골 관절 탈구의 치료를 위하여 사용된 변형된 Weaver-Dunn 술식에서 오구 쇄골 간 고정을 위하여 사용된 Mersilene tape과 Dall-Miles 강선의 유용도와 차이점을 임상적 및 방사선 결과를 이용하여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급성 견봉 쇄골 관절의 탈구 환자 중 Rockwood 분류상8) 4형 및 5형에서, 변형된 Weaver-Dunn 술식으로 수술적 치료를 시행한 31예 중 6개월 이상 추시 가능했던 25예(15예는 Mersilene tape, 10예는 Dall-Miles 강선 이용)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두 술식에 대한 비교 분석은 고정력, 고정 유지력 두 측면에서 시행하였고, SPSS 통계 방법 중 chi-square를 사용하여 비교하였다. 결과: 임상적 결과는 UCLA 견관절 기능 평가에서 Mersilene tape 사용 군과 Dall-Miles 강선 사용 군에서 각각 우수 6예, 4예, 양호 8예, 6예, 호전 1예, 0예였으며, 방사선 추시에서 정상측과 비교한 오구 쇄골 간격 차이가 Mersilene tape를 이용한 군에서는 수술 전후, 수술 후 3개월 빛 최종 추시에서 평균 11.2 mm, -0.5 mm, 0.5 mm, 0.8 mm이었고, Dall-Miles 강선을 이용한 군에서는 10.3 mm, -0.5 mm, 1.4 mm, 1.7 mm이었다. 두 술식에 따른 고정력의 결과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p=0.802) 고정 유지력은 Mer- silene tape을 이용한 군에서 우수한 것으로 보였다.(p=0.029) 결론: 임상적으로 의미가 있는 합병증의 낮은 빈도와 양호한 결과로 급성 견봉 쇄골 관절 탈구의 수술적 치료법으로 변형된 Weaver-Dunn 술식은 우수한 수술법으로 생각되며, 오구 쇄골 간 정복을 위하여 Mersilene tape과 Dall-Miles cable을 이용한 술식의 비교에 있어서 각각의 결과에 대한 특이한 차이는 없는 것으며, 두 술식 모두 충분한 고정력을 가지고 있다고 사료된다. 그러나 Mersilene tape의 이용 시, 고정 유지력이 더 우수하였으며, 사용 방법도 간편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usefulness and difference of fixation persistence with two different fixation materials (Mersilene tape and Dall-Miles cable) in modified Weaver-Dunn operation. Materials and Methods: Twenty-five cases of acute acromioclavicular dislocation were surgically treated with modified Weaver-Dunn operation, and followed for an average about 15.8 months. For the fixation material, Dall-Miles cable were used in 10 cases, Mersilene tape in 15 cases. Radiological and clinical evaluation were done in all cases. For clinical evaluation, UCLA shoulder function test and ASES score were used. Results: Excellent results were noted in group with Mersilene tape 6 cases and Dall-Miles cable 4 cases, good in 8 cases and 6 cases, and fair in 1 case only Mersilene tape in UCLA shoulder function test. The difference of coracoclavicular distance between injury side and normal side were analysed in radiologically at before, after and 3 months after operation. Results are as follows; 11.2 mm, -0.5 mm, 0.5 mm, 0.8 mm in group with Mersilene tape, 10.3 mm, -0.5 mm, 1.4 mm, 1.7 mm in Dall-Miles cable. Conclusion: Two different fixation material used in the fixation of modified Weaver-Dunn operation have enough fixation power for clinical outcome. But Mersilene tape was better than Dall-Miles cable in the persistency of fixation and handling.

      • KCI등재

        골다공증을 동반한 상완골 근위부 분쇄골절의 변형된 Steinmann 핀과 긴장대 강선 요법을 이용한 치료

        정수태 ( Soo Tai Chung ),김주학 ( Joo Hak Kim ),김형수 ( Hyung Soo Kim ),박상준 ( Sang Joon Park ) 대한골절학회 2007 대한골절학회지 Vol.20 No.2

        목 적: 골다공증을 동반한 상완골 근위부 분쇄골절에서 변형된 Steinmann 핀과 긴장대 강선 요법을 이용한 내고정의 유용성을 평가하고, 골밀도, 연령, Neer 점수 및 골유합의 기간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8년 9월부터 2005년 2월 사이에 상완골 근위부 골절에 대해, 변형된 Steinmann 핀과 긴장대 강선 요법을 이용하여 내고정 치료를 시행한 25명의 환자 중 골다공증을 동반한 여자환자 12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평균연령은 73.6세 (범위, 59∼85세), 평균 추시 기간은 20.8개월 (범위, 6∼39개월)이었다. 임상적 결과는 Neer의 평가 기준으로 측정한 점수를 이용하였다. 결 과: 임상적 결과는 우수가 8예, 만족이 4예였으며, 최종 추시 상에서 모든 골절의 골유합을 얻었다. 수술 후 합병증으로 Steinmann 핀의 근위부 자극으로 인한 충돌증후군으로 인한 증상이 2예에서 있었으나, 골 유합을 얻은 뒤 내고정물을 제거하였고, 1예에서 수술 부위의 감염으로 항생제 치료, 세척술 및 이차 봉합술로 증상은 모두 소실되었다. 결 론: 상완골 근위부 골절에서 변형된 Steinmann 핀과 긴장대 강선 요법을 이용한 내고정술은 골다공증이 있는 환자의 골절부의 완전한 골유합을 가능하게 하였고, 수술 후 합병증의 발생 빈도가 낮고, 충분한 내고정력으로 조기 재활치료를 가능하게 하였다. Purpose: To evaluate the usefulness of internal fixation with modified Steinmann pins and tension band wiring technique in comminuted proximal humeral fracture with osteoporosis and the correlations among bone mineral density, age, Neer`s score and period of union. Materials and Methods: Twelve cases of comminuted proximal humeral fracture with osteoporosis were surgically treated with modified Steinmann pins and tension band technique, and followed up for an average 20.8 months (range, 6~39 months). Average age was 73.6 years old (range, 59~85 years old). Results were assessed using Neer`s evaluation criteria. Results: Excellent results were noted in eight cases and satisfactory results in four cases. Radiological union was obtained in all cases. Two cases showed impingement syndrome of the proximal portions of Steinmann pins, which were managed by early removal of the metal. One case developed operative wound infection, which were managed by antibiotics therapy, irrigation and secondary closure. Conclusion: Internal fixation using modified Steinmann pins and tension band wiring technique for proximal humeral fracture, with osteoporosis, makes complete union of fracture, minimizes risk of com plications, and enables early rehabilitation by rendering relatively rigid fixation.

      • KCI등재

        한국인 상완골 근위부의 구조적 분석

        유정현(Jeong Hyun Yoo),정수태(Soo Tai Chung),조병채(Byung Chae Jo),형재원(Jae Won Hyung),백두진(Doo Jin Bak) 대한정형외과학회 2013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8 No.5

        목적: 상완골 근위부의 해부학적 재형성을 위한 다양한 형태의 제3세대 견관절 치환술이 시행되고 있지만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상완골 근위부 구조에 대한 연구는 미미하다. 이에 저자들은 한국인의 상완골 근위부의 구조적 분석 결과에 대해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9년 1월부터 2011년 10월까지 명지병원에 내원하여 컴퓨터단층촬영을 시행한 100개의 상완골을 대상으로 하였고, 평균연령은 48세(17-83세)였다. 컴퓨터단층촬영 영상을 토대로 상완골 두 관절면의 직경, 상완골 저고, 상완골 곡률반경, 상완골 경사각, 상완골 두와 대결절 사이 거리, 결절 사이 고랑과 상완골 간부 사이의 각, 상완골 외측부각, 내측 오프셋, 후측 오프셋의 총 9가지 항목을 측정하고, 연령별, 성별로 분류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상완골 두 관절면의 직경은 42.70±3.57도 (이하 평균수치), 상완골 두 저고는 14.30±2.0 mm, 상완골 두 곡률반경은 22.50±1.97 mm였으며 세 개 항목에 있어 성별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상완골 경사각은 130.00±4.28도, 상완골 두와 대결절 사이는 7.50±0.99 mm, 결절 사이 고랑과 상완골 간부 사이의 각은 6.60±0.92도, 상완골 외측부각은 163.40±4.05도, 내측 오프셋은 5.20±2.10 mm, 후측 오프셋은 3.10±1.80 mm를 나타냈다. 결론: 한국인의 상완골 근위부의 해부학적인 구조에 대한 연구 결과가 한국인에 적합한 견관절 치환물을 디자인하는 데 도움이 되고, 임상에 적용하여 보다 정확한 해부학적 재형성이 가능하리라 생각한다. Purpose: Third generation shoulder arthroplasty is widely performed nowadays; however, few studies on the anatomy of the proximal humerus in the Korean population have been reported. The authors have attempted to review the anatomy of the proximal humerus. Materials and Methods: The study sample consisted of 100 humeri of patients with a mean age of 48 years (range of 17 to 83 years) who underwent computed tomography imaging between January 2009 and October 2011 at Myongji Hospital. Diameter of the articular surface, head thickness, radius of curvature, head inclination, head to tuberosity height, bicipital groove-shaft angle, lateral angle, medial offset and posterior offset were analyzed. Results were compared depending on age and gender. Results: Mean values of diameter of the articular surface was 42.70±3.57 mm, head thickness was 14.3±2.0 mm, and radius of curvature was 22.50±1.97 mm; these three variables showed significant sex differences. Head inclination was measured as 130.00±4.28 degrees, head to tuberosity height was 7.50±0.99 mm, bicipital groove-shaft angle was 6.60±0.92 degrees, and lateral angle was 163.40±4.05 degrees. Mean medial and posterior offset were 5.2±2.1 mm and 3.1±1.8 mm, respectively.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measurement values of Korean humeri can be used in design of the arthroplasty prosthesis, and this will lead to more accurate anatomical reconstruction of the shoulder joint.

      • KCI등재

        견갑골 두께의 전산화 단층 촬영을 이용한 기하학적 모델

        유정현(Jeong Hyun Yoo),정수태(Soo Tai Chung),박상준(Sang Jun Park),장준희(Jun Hee Chang),백두진(Doo Jin Paik) 대한견주관절의학회 2012 대한견주관절의학회지 Vol.15 No.2

        목적: 견갑골의 수술적 치료에 있어서 해부학적 및 형태학적인 이해는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전산화 단층촬영을 이용하여 견갑골의 정확한 두께를 측정하고, 기하학적인 형태를 재구성함으로써 견갑골의 정확한 해부학적 및 형태학적인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총 51개의 해부용 시체에서 적출한 102개의 견갑골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일반적인 견갑골의 형태를 얻기 위해 8개의 평균적인 길이와 2개의 각을 측정하였다. 또한 견갑골의 두께를 측정하기 위해 각각의 견갑골에서 동일한 위치의 시상면을 얻고, 각각의 시상면에서 견갑골의 두께를 전산화 단층 촬영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견갑골의 두께에 대한 실측치를 토대로 평균값을 계산하였으며, 성별에 따른 견갑골 두께의 차이를 Student t-test 를 이용하여 비교하였다. 결과: 견갑골 관절와의 평균 두께는 22.4 mm, 외측연의 평균 두께는 13.83 mm, 내측연의 평균 두께는 4.44 mm, 견갑골 체부의 중간 1/3 위치의 평균 두께는 2.06 mm 로 측정되었으며, 남성의 견갑골이 여성의 견갑골 보다 더 두껍게 측정되었다. 측정된 실측치를 참고로 하여 견갑골들의 두께에 대한 3차원적인 기하학적인 모델을 재구성하였다. 결론: 측정 수치의 분석 결과 견갑골의 두께가 가장 두꺼운 부분은 관절와 부위 및 외측연 부위이며, 반대로 두께가 가장 얇은 부분은 견갑골 체부의 중간 1/3 지점이 견갑골에서 가장 얇은 부위로 나타났다. Purpose: Understanding exactly detailed anatomy and morphology of scapula is very important for further surgical procedures. This study was intended to provide accurate anatomic and morphologic information of scapula by exactly measuring scapular thickness using computed tomography and reconstructing its geometric model. Materials and Methods: Eight average lengths and two angles of 102 scapular structures obtained from 51 cadavers were generally measured by computed tomography. Also, to measure the scapular thickness, sagittal planes of each scapula were divided almost equally and the thicknesses of each sagittal plane was measured by computed tomography. After measuring every thickness, average results were calculated and the gender difference was compared by Student t-test. Results: Average results of the thickness of glenoid fossa, lateral border, medial border, and the middle 1/3 portion of the scapular body were 22.4 mm, 13.83 mm, 4.44 mm and 2.06 mm, respectively. Also, male scapular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thicker than female. Based on these measured thicknesses, we reconstructed the 3-dimensional geometric model of scapula. Conclusion: From these results, glenoid fossa and lateral border were the thickest part of scapula, while the middle 1/3 portion of the scapular was the thinnest.

      • KCI등재

        쇄골 간부 골절의 보존적 치료 분석

        차승도(Seung-Do Cha),정수태(Soo-Tai Chung),김용훈(Yong-Hoon Kim),박상준(Sang-Jun Park) 대한견주관절의학회 2010 대한견주관절학회지 Vol.13 No.1

        목적: 대부분 쇄골 골절은 보존적 치료하는데 골 유합에는 여러 요인들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보존적 치료를 시행한 쇄골 간부 골절 환자에서 골 유합과 골 유합 후 기능에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여, 좀 더 빠르고 명확한 치료법의 결정을 내리는데 도움이 되도록 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1월부터 2009년 6월까지 본원에서 관찰이 가능했던 쇄골 골절 환자 총 523예에서 보존적 치료를 통해 골 유합을 얻은 270예에 대해 수상 직후부터 촬영한 단순 방사선 사진을 이용하여 연령, 골절 위치, 분쇄 및 분리 정도와 쇄골 길이 단축 등 골 유합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인자들과 골 유합 후 기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 분석하였다. 결과: 쇄골 간부 골절을 보존적으로 치료한 결과, 골절의 분리 정도가 증가할수록 골 유합 기간이 증가함을 알 수 있었고 나이는 골 유합 기간이 13세 이상에서 12세 이하보다 2배 정도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분쇄 정도는 골절부의 분쇄가 없는 경우가 분쇄가 있는 경우보다 2배 정도 골 유합이 빨리 이루어졌다. 그리고 추시 중 골절편의 전위는 2주 이내에 주로 일어남을 확인하였다. 결론: 쇄골 간부 골절 치료시 나이가 13세 이상이고 분쇄가 있는 경우는 수상 기전과 전위 정도를 고려하여 골 유합 기간을 예상할 수 있고 골 유합이 늦어질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는 재활 치료의 시기를 늦추는 것이 필요하며 보존적 치료 중 2주 이내에는 전위가 일어날 가능성이 높으므로 적극적인 관찰을 하고 전위가 증가한다면 수술적 치료를 고려해 보아야 한다. Purpose: Most clavicular fractures can be healed by conservative treatment, although there are many factors that influence healing.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analyze factors that influence (i) bone union of midshaft fractures of the clavicle treated conservatively and (ii) bone functioning, after union. The long-term goal was to determine which treatments are adequate. Materials and Methods: We evaluated factors that have an effect on bone union and bone function after union. We evaluated age, fracture site, comminution, displacement, shortening and other factors. Among 523 clavicular midshaft fractures that presented between January 2004 and Jun 2009 at our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we identified 270 who had conservative treatment and 173 patients who had surgical treatment. Results: The period required for bone union increased with the degree of displacement. For the group below 12 years of age, and the group without comminution, it took half the time to achieve bone union compared with the other groups. Displacement mostly occurred within 2 weeks after conservative treatment. Conclusion: In patients with a comminuted clavicular midshaft fracture, we might, because of expected delays in bone union, delay the start of rehabilitation until patients are more than 13 years old. Because the degree of displacement may be increased within 2 weeks during conservative treatment, we can think about surgical treatm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