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유기농과 관행농 토양의 미생물 군집구조와 이화학적 특성 비교

        정세윤 ( Seyoon Jung ),홍은미 ( Eunmi Hong ) 한국농공학회 2022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22 No.-

        작물 생산성이 우수한 관행농업은 아직까지 많은 농경지에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농업 생태계 오염과 농산물 안전성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유기농업으로의 전환이 확대되고 있다. 유기농업은 높은 농업 생산성과 에너지 소비절감뿐만 아니라 생물 다양성 보존 등 긍정적인 영향을 보여준다고 판단된다. 이를 위해, 관행농업과 비교하여 유기농업에서 발생되는 생태학적 가치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유기농업의 생태학적 가치평가를 위한 기초자료로 유기농과 관행농의 토양 이화학적 특성 및 미생물 군집구조 차이를 비교할 예정이다. 2022년 8월, 양평군과 이천시에서 각각 논과 과수원의 표토(0-30cm)를 채취하였다. 채취한 토양의 물리적 특성(입도, 함수율, 용적밀도)과 화학적 특성(pH, Electric conductivity(EC), Organic matter(OM), Total Phosphorus(TP), Total Nitrogen(TN), available Phosphorus(AP), Ex.Ca, Ex.Mg, Ex.K)을 분석하며, 토양 미생물 bacteria와 fungi의 전체적인 군집분포도를 분석한다. bacteria의 경우 16S rRNA 영역으로, fungi는 ITS 3-4 영역으로 증폭시퀀싱하여 유기농과 관행농 토양 미생물 군집구조를 분석하였다. 선행 연구를 살펴보면 화학적 특성 차이로는 pH, OM, TP, AP, Ex.Ca 은 유기농 재배 토양에서 더 높은 수치가 나타나며, Ex.Mg은 관행농 재배 토양에서 더 높은 경향을 보여준다. Ex.K, TN 같은 경우에는 유기농 재배 토양, 관행농 재배 토양에서의 차이가 크지 않다는 결과가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미생물 군집 분포로는 유기, 관행농 재배 토양 모두 Proteobacteria, Actinobacteria, Acidobacteria, Bacteroides 가 우점한다. 유기농 재배 토양에서는 Proteobacteria, Actinobacteria, Bacteroides 의 비율이 높게 나타나며 관행농 재배 토양에서는 Acidobacteria, Firmicutes, Planctomycetes 의 비율이 높게 나타난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 결과는 유기농 토양에서 발생하는 유익한 미생물을 관행농 토양에 적용하여 토양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며, 농업 토양에서 검출되는 미생물과 토양의 이화학적 특성의 관계를 비교하는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단안카메라와 YOLO V3 네트워크를 활용한 객체 거리 추정 알고리즘

        정세윤(Se Yun Jung),장성빈(Sung Been Jang),백선우(Sun Woo Baek),김정하(Jung Ha Kim) 한국자동차공학회 2021 한국자동차공학회 부문종합 학술대회 Vol.2021 No.6

        For self-driving, measuring the distance of forward object is used to several area such as preventing rear-end collisions. Currently, LiDAR in self-drving cars measure distance with high accuracy, but it is difficult to commercialize due to the high cost. In this paper, we propose an algorithm for estimating depth at a low cost using a monocular camera. The algorithm use the video of a monocular camera as input to YOLO V3 Network and use the object detection result data to calculate the pixel unit distance. We define the proportional expression using pixel unit and calculate the depth to object by inverse perspective mapping. The depth estimated by a monocular camera is similar to the distance measured by LiDAR in a specific road section.

      • KCI등재

        배관 파이프 정렬 감지를 위한 자기장 기반의 포지션닝 센서 시스템 개발

        정세윤(Seyoon Jung),김시혁(Sihyeok Kim),이기근(Keekeun Lee) 대한전기학회 2021 전기학회논문지 Vol.70 No.5

        When a pipeline is inserted into the joint coupler, frequent fires and uneven fusion occur in a trial of fusion without reaching to a desired position. To solve the matters, a positioning sensor and sensor system were developed that provide the information of electrical signal to PC whether the cut surface of the pipeline has reached the correct position. The developed sensor system consists of two permanent magnetic tapes, two magnetic hall sensors, and a PC. As the magnetic tape and sensor were aligned in the center to center, a large magnetic strength was observed from the sensor. A large change in sensor signal was also observed as the aligned center was laterally misplaced. By comparing the values of the two sensors, a vertical alignment status of the pipeline was affirmed which provides whether the pipeline was located in the center inside the cylindrical joint coupler. Overall system performances were evaluated in terms of the length, width, thickness of the magnetic tape, and ambient temperature change. The output signal of the sensor was finally analyzed as an electric signal instead of magnetic strength that was transmitted to PC to determine whether the fusion process should begin.

      • 유기 및 관행 논 토양의 이화학적ㆍ미생물학적 특성 및 상관분석

        정세윤 ( Seyoon Jung ),홍은미 ( Eunmi Hong ) 한국농공학회 2023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23 No.0

        국내 논 농사는 물을 가두어 농사를 짓는 수전작을 하고 있다. 논 토양은 작물 생장 동안 여러 차례의 관개와 배수를 겪게 되며, 이로 인해 침수된 논 토양은 호기 및 혐기 상태로 구성되어 토양 특성이 변화하며 미생물에게 다양한 생태계를 제공한다. 토양 미생물은 농경지에서 질소고정, 인산 가용화, 영양분 순환 및 병해충 억제 등 중요한 역할을 하기에 논 토양 생태계 가치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토양에서의 미생물 군집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국내 논 토양의 이화학적 및 미생물학적 특성을 파악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국내 유기 및 관행농 논 토양의 이화학 및 미생물학적 특성에 대한 기초 데이터를 제공하며, 논 토양의 미생물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토양 이화학적 특성과 미생물 분포와의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경기도 양평군에 있는 유기 및 관행논 농경지를 한 지점씩 선정하여 2022년 8월부터 11월까지 총 4회 토양 샘플링을 실시하였다. 각 지점마다 3곳에서 토양을 채취하였으며 polyethylene bag에 담아 혼합하였다. 토양 이화학적 특성은 토양 및 식물체 분석법(농촌진흥청, 2000)에 준하여 분석하였으며, Bacteria sequencing은 16s rRNA V3V4 region에서 분석하였다. 용적밀도, pH, Electric conductivity(EC)는 유기 논이 관행 논보다 높았으며, Av.P<sub>2</sub>O<sub>5</sub>(AP),Soil Organic Matter(SOM),Ca<sup>2+</sup>,Mg<sup>2+</sup>,K<sup>+</sup>은 8월, 9월에는 유기논이 높으며 10월, 11월은 관행 논이 높게 나타났다. 토양 미생물 군집은 유기 및 관행 논 토양 모두 Phylum level(>1%)에서 주로 Proteobacteria, Acidobacteria, Actinobacteria, Bacteroidetes, Chloroflexi, Firmicutes, Nitrospirae, Planctomycetes, Verrucomicrobia 로 총 9종으로 구성되었으며, Genus level(>1%)에서는 주로 Vicinamibacter, Thermomarinilinea, Thermodesulfovibrio, Clostridium, Dehalogenimonas 등 총 21종으로 구성되었다. 유기농과 관행농에 따른 토양 이화학적 특성 및 미생물 분포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test (p<0.05)한 결과, 토양 이화학적 특성에서는 용적밀도, pH, Ca<sup>2+</sup>가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미생물 분포에서는 Pseudolabrys genus만이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또한 상관분석을 통해 Phylum level에서는 Mg<sup>2+</sup>, K<sup>+</sup>이 많은 미생물과 유의한 수준(p<0.01)에서 상관성을 보였으며, Genus level에서는 AP, Ca<sup>2+</sup>,Mg<sup>2+</sup>,K<sup>+</sup>이 많은 미생물과 유의한 수준(p<0.05, p<0.01)에서 상관성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작물 성장 시기에 따른 논 토양은 미생물 군집이 호기성 미생물에서 점차 환원성 및 혐기성 미생물로 군집이 구성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또한 논 토양 이화학적 특성과 미생물 분포와의 상관성 분석을 통해 Ca<sup>2+</sup>,Mg<sup>2+</sup>,K<sup>+</sup>의 적절한 투입은 미생물 군집조성을 조절하는 데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 결과는 논 토양 생태계의 가치를 평가하는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4차 산업혁명과 기업들의 관계 변화

        정세윤(Se-Youn Jung) 한국기술혁신학회 2017 한국기술혁신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2017 No.11

        4차 산업혁명은 모든 산업 분야에서 제품 및 서비스와 ICT가 융합되어 공급사슬의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혁신을 일으키고 있다. 이러한 혁신을 통해 공급사슬 내 기업들의 관계가 변화하고, 기존제품 및 서비스와는 차별화된 혁신적인 제품 및 서비스가 출시되고 있다. 또한 혁신 주체의 공급 사슬 내 역할에 따라 혁신이 기업 및 소비자에게 미치는 영향은 달라질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하나의 제조업체와 하나의 유통업체가 존재하는 공급사슬 모형을 가정한다. 이러한 공급사슬에서 1) 제품 및 서비스의 차별화 정도와 2) 혁신의 주체의 공급사슬 내 역할(제조업체 또는 유통업체)에 따라 혁신의 영향이 달라질 수 있음을 보인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선도적 혁신과 관련된 실무적 시사점과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한다.

      • 표류 자기장을 통한 에너지 하베스팅 및 무선 센서 시스템 개발

        정세윤(Seyoon Jung),김시혁(Sihyeok Kim),이기근(Keekeun Lee) 대한전기학회 2021 대한전기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1 No.10

        전력 소모가 낮은 220V 가정용 전력선 주변에 형성되는 표류 자기장을 분리형 자계 하베스터를 제작하여 유도하였다. 전력전자회로 (Power Management IC, PMIC)을 설계해 고효율 정류 및 충전하였다. 선형 방식 전력 컨버터를 통해 하베스팅 에너지를 충전 및 방전을 자동으로 스위칭하고, 자외선 센서를 구동하였다. 자외선 센서는 UV SAW(Serface Acoustic Wave) 공진기를 기반으로 개발되어 주변의 UV 에너지 변화량을 모니터링한다. UV SAW 센서는 자외선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탄성파 속도가 변한다. 반환된 SAW 에너지는 IDT (Interdigital Transducer)에 반환되고 송신용 안테나를 통해 수신용 안테나가 연결된 판독기로 무선 전송된다. 판독기를 통해 SAW 센서의 중심주파수 변화를 관찰함으로써 주변의 UV 에너지 변화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무선 통신한다.

      • 유기농과 관행농 토양의 미생물 군집구조와 이화학적 특성 비교

        정세윤 ( Seyoon Jung ),홍은미 ( Eunmi Hong ) 한국농공학회 2022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22 No.-

        작물 생산성이 우수한 관행농업은 아직까지 많은 농경지에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농업 생태계 오염과 농산물 안전성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유기농업으로의 전환이 확대되고 있다. 유기농업은 높은 농업 생산성과 에너지 소비절감뿐만 아니라 생물 다양성 보존 등 긍정적인 영향을 보여준다고 판단된다. 이를 위해, 관행농업과 비교하여 유기농업에서 발생되는 생태학적 가치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유기농업의 생태학적 가치평가를 위한 기초자료로 유기농과 관행농의 토양 이화학적 특성 및 미생물 군집구조 차이를 비교할 예정이다. 2022년 8월, 양평군과 이천시에서 각각 논과 과수원의 표토(0-30cm)를 채취하였다. 채취한 토양의 물리적 특성(입도, 함수율, 용적밀도)과 화학적 특성(pH, Electric conductivity(EC), Organic matter(OM), Total Phosphorus(TP), Total Nitrogen(TN), available Phosphorus(AP), Ex.Ca, Ex.Mg, Ex.K)을 분석하며, 토양 미생물 bacteria와 fungi의 전체적인 군집분포도를 분석한다. bacteria의 경우 16S rRNA 영역으로, fungi는 ITS 3-4 영역으로 증폭시퀀싱하여 유기농과 관행농 토양 미생물 군집구조를 분석하였다. 선행 연구를 살펴보면 화학적 특성 차이로는 pH, OM, TP, AP, Ex.Ca 은 유기농 재배 토양에서 더 높은 수치가 나타나며, Ex.Mg은 관행농 재배 토양에서 더 높은 경향을 보여준다. Ex.K, TN 같은 경우에는 유기농 재배 토양, 관행농 재배 토양에서의 차이가 크지 않다는 결과가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미생물 군집 분포로는 유기, 관행농 재배 토양 모두 Proteobacteria, Actinobacteria, Acidobacteria, Bacteroides 가 우점한다. 유기농 재배 토양에서는 Proteobacteria, Actinobacteria, Bacteroides 의 비율이 높게 나타나며 관행농 재배 토양에서는 Acidobacteria, Firmicutes, Planctomycetes 의 비율이 높게 나타난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 결과는 유기농 토양에서 발생하는 유익한 미생물을 관행농 토양에 적용하여 토양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며, 농업 토양에서 검출되는 미생물과 토양의 이화학적 특성의 관계를 비교하는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