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Unified Multiple System Atrophy Rating Scale(UMSARS)로 평가한 다계통 위축증 환자 1례에 대한 증례 보고

        정성식,안태한,박소임,김진원,서호석,유춘길,이지수,Jeong, Seong-Sik,An, Tae-Han,Park, So-Im,Kim, Jin-Won,Seo, Ho-Seok,Ryu, Chun-Gil,Lee, Ji-Su 대한한방내과학회 2012 大韓韓方內科學會誌 Vol.33 No.1

        Multiple system atrophy (MSA) is a sporadic progressive neurodegenerative disorder characterized clinically by various combinations of parkinsonian, autonomic, cerebellar, or pyramidal signs and pathologically by cell loss, gliosis, and ${\alpha}$-synuclein-positive glial cytoplasmic inclusions in several brain and spinal cord structures. This is a clinical report about a 69-year-old female who had MSA treated by oriental medical treatment and evaluated by Unified Multiple System Atrophy Rating Scale (UMSARS). The patient was treated with herb medicine Chungsimyeonj-aeumgami(淸心蓮子飮加味), acupuncture, moxibustion and cupping. After treatment, the patient's symptoms improved meaningfully and the score decreased in UMSARS Part I, II. This suggests that oriental medical treatment could be effective to improve MSA patients' symptoms. It is necessary to have more observations and many cases of patients with MSA.

      • SCOPUSKCI등재

        자유액적의 증발에 미치는 분위기 속도의 영향

        정성식,하종률,이중순,이상석,Jeong, Seong-Sik,Ha, Jong-Ryul,Lee, Jung-Sun,Lee, Sang-Seok,Kawaguchi, O 대한기계학회 1996 大韓機械學會論文集B Vol.20 No.6

        An experimental study has been performed to obtain the effect of relative velocity between droplet and environmental gas on the evaporation of a n-heptane free droplet of 180 $\mu$m in diameter flying in a hot and normal pressure air flow. Measurement of droplet diameter and velocity was conducted in a series of time by an electrically controlled optical system. From the experimental results, an empirical equation associated with the relation between evaporation rate constant and relative velocity was obtained.

      • KCI등재

        정포은과 정삼봉의 철학사상과 현실인식

        정성식 ( Jeong Seong-sik ) 퇴계학부산연구원 2017 퇴계학논총 Vol.29 No.-

        본 연구의 목적은 고려 말과 조선 초기에 삶을 영위한 정포은과 정삼봉의 철학사상과 현실인식을 고찰하는데 있다. 정포은의 도덕주의적 입장에서 보면 강상의 수호는 무시할 수 없는 원칙이었다. 하늘에는 두 해가 있을 수 없고, 백성에게는 두 왕이 존재할 수 없었다. 정포은은 자신이 처한 사회적 위치에서 할 수 있는 직분을 성실하게 수행하고자 하였다. 한편 정삼봉의 현실주의적 입장에서 보면 당시의 현실적 여건은 고려조의 명맥을 다시 회복하기 어려울 정도로 악화되었다. 부분적 개혁이 아니라 전면적 변혁이 아니면 당시의 사회구조적 모순을 해결하기 어려웠다고 판단하였다. 이러한 시대진단을 통해 정삼봉은 고려조의 정통성을 부정하고 체제변혁을 이루고자 하였다. 시대상황에 따라 도덕주의적 입장에서 문제해결을 시도할 수도 있고, 현실주의적 입장에서 문제를 해결할 수도 있을 것이다. 오늘날 우리들이 풀어야 할 문제는 이념과 현실, 도덕주의와 현실주의를 융합시켜야 한다는 것이다. 현실적으로 어느 한 편의 치우친 주장만 가지고 다양한 사안들에 대해 적절하게 대응하기는 결코 쉬운 일이 아닐 것이다. 우리는 보다 합리적인 대응방식을 모색할 필요가 있겠다. The purpose of the thesis is to study on Philosophical thoughts and Reality awareness of Jeong Po-eun and Jeong Sam-bong from the end of Koryo dynasty to early Chosun dynasty. From Jeong Po-eun`s moral standpoint, it was a priceless principle. There were no two suns in heaven, and two king could not exist. Jeong Po-eun faithfully performed the duties he could perform in his position. On the other hand, the realistic situation in the Jeong Sam-bong camp was difficult to revive the existence of the Koryo dynasty. Indeed, it was impossible to resolve social structural contradictions unless it was fundamentally remedy. Jeong Sam-bong wanted to change the legitimacy of the Koryo dynasty and create a regime change. Depending on the situation, you may try to resolve problems in the ethical position, or you can solve the problem in a realistic manner. What we need to solve today is to combine ideology and reality, morality and realism. Realistically speaking, it would be no easy task to respond appropriately to various issues. We are asked to seek a more sensible approach.

      • KCI등재

        14세기 정몽주의 국제외교이념

        정성식 ( Jeong Seong-sik ) 온지학회 2018 溫知論叢 Vol.0 No.57

        본 논문의 목적은 14세기의 대외여건을 국제적 감각으로 파악하여 선린적 국제외교를 구현하고자 혼신의 힘을 바친 정몽주의 대외의식을 이념적으로 재조명하는데 있다. 정몽주는 모두 여섯 차례에 걸쳐 명나라를 사행하였다. 이중 세 차례는 명나라가 요동에서 입국을 허가하지 않아 도중에 돌아왔고, 세 차례는 사신으로서의 임무를 완수하였다. 정몽주의 대명사행과 대일사행은 무력과 대립에 의한 해결보다는 대화와 화합을 골격으로 하는 외교적 처리방식을 중시하였다. 정몽주의 명나라에 대한 외교적 입장은 지역에 관계없이 문명인으로 살아야 한다는 의지를 펼쳐 보인 것이었다. 국제외교관계에 있어서 정몽주의 이러한 입장은 화이론적 세계관에 기반한 것이었다. 이것은 인도적 측면과 현실적 측면을 동시에 고려한 매우 바람직한 모습이었다. 정몽주가 일본으로 사행을 갔을 때는 대체로 지역 여건과 고국을 그리워하는 마음을 표명하였다. 그는 일본을 어렵게 방문한 경험으로 보다 확대된 세계관을 지니게 되었다. 아울러 이러한 바탕 위에서 매우 개방적인 주체의식을 보여주기도 하였다. 정몽주는 이웃나라의 문화수준이 차이가 난다고 해서 그 나라를 부정적으로 바라보는 편견된 의식을 보이지 않았다. 이것은 인간과 인간이 서로 어울려 살아가는 인륜적 세계를 건설하고자 하는 그의 의지를 드러낸 것이었다. 우리들이 살아가는 현대사회는 국제화시대로 흐르고 있다. 그리하여 다문화사회로 빠르게 변화되고 있는 중이다. 급변하는 오늘날 정몽주가 보여준 국제적 외교이념은 시사하는 바 크다. 특히 화이론적 세계관과 도의적 인륜세계 건설이라는 정몽주의 외교이념은 우리들이 깊이 되돌아볼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explain Jeong Mong-joo's foreign consciousness, who sought to realize good-natured international diplomacy by grasping the external conditions of the 14th century with an international sense. Jeong Mong-joo has been to China's Ming Dynasty as a envoy for six times. Three of them were not allowed to enter Yodong, and three were completed as envoys. Jeong Mong-joo's envoys to China and Japan focused on diplomatic aspects focusing on compromise and negotiations rather than on solving them by force and confrontation. Jeong Mong-joo''s diplomatic stance on the Ming Dynasty was to show his willingness to live as a civilized man regardless of the region. Jeong Mong-ju's position in international diplomatic relations was based on a Hwai theory's world view. This was a desirable aspect of both humanitarian and practical considerations. When Jeong Mong-joo visited Japan, he generally referred to cultural situations and expressed his longing for his native country. Jeong Mong-joo had a more expansive view of the world because of his hard-to-visit experience in Japan. It also showed a very open mind on this basis. Jung Mong-joo did not show a prejudiced view of the country because its culture was different. This reflected his diplomatic philosophy of building a humane world. Our modern society flows into the age of globalization. So it is rapidly changing into a multicultural society. The international diplomatic concept presented by Chung Mong-ju today is very suggestive. His diplomatic ideas, especially the world view of Hwai theory and the construction of a moral world, need to be looked back.

      • KCI등재

        고려후기 정몽주의 불교이해

        정성식 ( Jeong Seong-sik ) 한국철학사연구회 2018 한국 철학논집 Vol.0 No.59

        본고는 고려후기 유학자인 정몽주의 불교이해를 탐구하는데 연구목적이 있다. 고려시대 불교는 오랜 기간 동안 사회적 순기능을 맡아왔다. 그러나 고려후기에 이르러서는 그것을 기대하기 어려워졌다. 이러한 상황에서 점차적으로 신유학인 성리학이 수용되기 시작하였다. 그리하여 불교로부터 유학으로 사상적 전환이 진행되었다. 정몽주의 학문세계는 사장학보다 유학의 기본경전에 기반하였다. 그는 유학의 기본경전 가운데 특히 『주역』에 조예가 깊었다. 그는 불교이해의 밑바탕으로서 『주역』을 중시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정몽주는 불교의 여러 경전을 통해 교리들을 접하였다. 그는 불교에 대해 관심이 많았다. 승려와의 교유도 적지 않았다. 이런 까닭으로 정몽주는 불교와의 관계성을 무시할 수 없다. 한편으로는 불교를 이해하면서도 유학자로서 비판의식을 보이는 지불유자(知佛儒者)적 입장이 정몽주의 특징적 모습이라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Buddhist interpretation of Jeong Mong-joo, a Confucian scholar of the late Goryeo Dynasty. Buddhism in the latter part of the Goryeo Dynasty was no longer able to exercise the social purity of the national spirit and culture. In this situation, Neo-Confucian was gradually accepted. Thus, a change of ideology was made from Buddhism to Confucianism. Jeong Mong-joo's academic world was based on the fundamental scriptures of Confucianism. Jeong Mong-joo was especially well versed on the Book of Changes in the fundamental scriptures of Confucianism. Jeong Mong-joo emphasized the Book of Changes as the basis of the Buddhist interpretation. Jeong Mong-joo met the doctrines through various Buddhist scriptures. He was interested in Buddhism. There were not a few meetings and social gatherings with Buddhist monks. For this reason, Jeong Mong-joo cannot ignore his connection with Buddhism. On the other hand, Jeong Mong-joo is characterized by his understanding of Buddhism and his critical consciousness as Confucianist.

      • KCI등재

        일두(一?) 정여창(鄭汝昌)의 도학사상

        정성식 ( Jeong Seong-sik ) 온지학회 2018 溫知論叢 Vol.0 No.54

        본 논문의 목적은 조선 전기에 삶을 영위한 정여창의 도학사상을 고찰하는 데 있다. 정여창은 스승인 김종직의 실천적 학풍을 계승하였다. 그는 도덕의식을 확립하고, 후학을 기르는데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유학에서는 학문의 최종 목표가 성인의 경계에 도달하는 것이다. 정여창의 학문방법은 우선 유교 경전에 들어있는 깊은 뜻을 발굴하여 스스로 터득해 나가는 것이었다. 그리고 성리학의 근본내용들을 자세히 인식하고자 하였다. 도학적 입장에서는 현실에 있어서의 실천적 문제를 보다 중시한다. 따라서 도학자인 정여창의 사상적 목표는 도덕적 인격의 완성을 추구하는데 있었다. 그것은 사회적 실천윤리와 풍속의 교화로 전개되었다. 정여창은 김종직의 문하에서 소학의 학습과 실천윤리를 배웠고 이를 학문의 근본으로 삼았다. 정여창의 학문과 자세는 실천윤리의 방면과 연계되는 것으로서 당시 사림파의 학문적 기반을 견실하게 하였다. 정여창은 당시 풍속의 교화 활동으로 봄과 가을에 양로례(養老禮)를 행하였다. 백성들의 혼례와 장례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잘 돌보아 주니, 사람들이 모두 감격하였다. 정여창의 실천적인 삶은 훌륭한 스승의 모습으로 남아 후세 사림의 전통으로 계승되었다. 그의 도학사상은 유교의 왕도정치와 민본사상에 근거한 지극히 아름다운 정치로 완성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review the Dohak Thought of Jeong Yeo-chang, who served in the first half of the Chosun Dynasty. Jeong Yeo-chang was succeeded by the teacher Kim Jong-jik, the teacher of the practice. He made a lot of effort to bestablish moral consciousness and increase his scholarship. In Confucianism, the final goal of learning to reach boundaries of the sages. Jeong Yeo-chang's method of learning was to discover the deep meaning of the Confucian scriptures. and I wanted to learn more about the fundamental contents of the Neo-Confucianism. From the standpoint of Dohak, we place more emphasis on practical ethics issues in reality. Therefore, the ideological goal of Jeong Yeo-chang was to pursue the completion of moral character. It developed as a practice of social morals and reform of social convention. Jeong Yeo-chang learned from KIm Jong-jik, who learned the lesson of Sohak and practicing ethics, and became the foundation of learning. Jeong Yeo-chang's learning and attitude were aligned with the field of practical ethics and established the academic foundation of Salim. Jeong Yeo-chang performed the rite in spring and autumn as a result of the enlightenment of the customs. Everyone was impressed by the great attention of the people, the wedding, the funeral and the great care of the people. Jeong Yeo-chang's practical life was inherited by a respectable teacher and inherited from the tradition of Salim. His Dohak Thought has been perfected with exquisite politics based on the ideals of Confucianism and the ideals of democracy.

      • KCI등재

        사상과 역사 : 삼봉정도전(三峯鄭道傳)의 벽이단론(闢異端論)

        정성식 ( Seong Sik Jeong ) 영산대학교 동양문화연구원 2014 동양문화연구 Vol.19 No.-

        본 논문의 목적은 사상적 변혁이 요구되던 고려 말 조선초기라는 시대여건에서 주장된 삼봉 정도전의 벽이단론 탐구를 통해 그의 사상적 특성을 고찰하는데 있다. 조선조의 건국을 위해 혁명의 중추적 역할을 감당하였던 정도전은 창건 초기에 자신의 포부를 정치적으로 펴는 과정에서 벽이단론을 적극적으로 추진하였다. 이러한 태도는 유학자로서의 투철한 사명감에서 비롯된 것이며, 또한 그 비판의 근거 역시 성리학의 기본정신에서 벗어나는 것이 아니었다. 정도전의 성리학은 「심기리편」·「심문천답」·「불씨잡변」이라는 세가지 저술에서 두드러지게 드러난다. 이 저작들에 나타난 그의 성리학은 무엇보다도 ‘벽이단’의 시각에서 이루어졌다는 점이 특징적인 것으로 부각된다. 대체로 그의 벽이단의 논리적 근거는 존재론적으로는 성리학의 태극·음양·오행의 우주론이며, 인식론적으로는 성리학의 심성정론의 견해이며, 윤리적으로는 유학의 실천적 사회윤리의 입장에 근간을 둔 것이었다. 정도전이 역설한 벽이단론은 자신의 논리가 어떠한 사회적 결과를 약속하리라는 것을 명백히 의식하고 있었던 일종의 사회이념론이었다. 왜냐하면 그의 벽이단론은 군왕으로부터 신민에 이르기까지 모두가 이단의 정신세계에서 벗어나기를 기대하였고, 이는 일종 이데올로기 변혁사상으로 이해되어지기 때문이다. 벽이단론의 이념적 전개과정에 있어서 정도전은 불교와 도교에서 유교로의 사상적 패러다임의 전환을 지대한 해결과제로 삼았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ideological characteristics of Sambong Jeong Do-jeon who argued anti-heresy theory in late Goryeo and early Joseon period which required ideological revolution. Jeong Do-jeon who played a pivotal role in revolution to found Joseon Dynasty aggressively promoted anti-heresy theory in the early stage of foundation, opening up his ambitions in a political manner. This anti-heresy theory was originated from his strong sense of duty as a Confucian scholar and grounds for the criticism did not deviate from basic mind of Neo-Confucianism as well. Jeong Do-jeon``s Neo-Confucianism is remarkably demonstrated in three writings of Simgiripyeon, Simmuncheondap and Bulssijapbyeon. His Neo-Confucianism in these writings is predominantly characterized as being studied in an ``anti-heresy`` perspective. Logical grounds for his being anti-heresy are based on cosmology of Taegeuk (太極), Yin and Yang (陰陽) and Five Elements (五行) in an ontological sense; theory of human mind (心性情論) from Neo-Confucianism in an epistemological sense and; practical social ethics in Confucianism on a moral aspect. Anti-Heresy theory that Jeong Do-jeon argued was a kind of social ideology on which he was clearly aware that his logic would promise certain social results. It is because his anti-heresy theory expected everyone from a king to people to escape from the world of heretical mind, which is understood as a kind of idea for ideology revolution. In ideological development of anti-heresy theory, Jeong Do-jeon considered the paradigm shift from Buddhism and Taoism into Confucianism as an urgent problem to solve.

      • KCI등재

        강호・점필재 부자의 현실인식과 실천궁행

        정성식(Jeong, Seong-Sik) 포은학회 2016 포은학연구 Vol.18 No.-

        본 논문의 목적은 실천적 유학이 강조되고 있었던 조선 초기의 사상적풍토 속에서, 유교경전을 중심으로 철학적 사색을 심화시키고 그 사회적 실천을 역설한 강호 김숙자와 점필재 김종직 부자의 현실인식과 실천궁행에 대해 고찰하는데 있다. 강호는 스승 길재로부터 정몽주의 학문을 이어받아 다시 그것을 아들인 점필재에게 전수함으로써 조선 초기의 학통을 형성하는데 적지 않은 역할을 수행하였고, 점필재는 조선 초기 사림파의 선두 주자로서, 훈구파와의 대립과 갈등양상을 지양하면서 사림파의 정계 진출을 도모하는데 많은 도움을 제공하였다. 강호와 점필재 부자에 대한 후세 평가는 대체로 양면적이었는데, 허균과 장유의 부정적 평가와 달리, 이들에 대한 긍정적 평가는 조광조에 의하여 일정한 결실을 보게 됨으로써 후세 학자들의 존숭이 체계적이며 적극적으로 드러났다. 정몽주에서 조광조까지의 조선 초기 도학의 정통계보 흐름에서 강호와 점필재가 중요 매개 구성원으로써 언급되는 바, 이러한 조선 초기 의 학통형성은 의리계열의 학문을 계승한 사림파에게 학문적인 정당성을 확보시켜주는 것으로 그 사상사적 의의를 부여할 수 있다. This paper is to examine awarness of reality and actual practice of Kim Sukja and Kim Jongjik, a father and his son, who deepened philosophical contemplation and stressed its social practice in early Joseon’s ideological climate where practical Confucianism was emphasized. Kim Sukja followed study of Jeong Mongju from his teacher Giljae and handed it down to his son Kim Jongjik, which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forming a scholastic mantle in early Joseon and Kim Jongjik, as a leader in early Joseon’s Sarim school, tried to avoid confrontations and conflicts against Hungu school and greatly helped to promote Sarim school’s sortie into politics. Kim Sukja and Kim Jongjik were assessed as ambivalent by posterity and unlike negative assessment by Heo Gyun or Jang Yu, positive one bore some fruit by Jo Hwangjo, which led to systematic and active respect presented by scholars of later generations. In the genealogy of authentic ethics of early Joseon from Jeong Mongju to Jo Gwangjo, Kim Sukja and Kim Jongjik are referred to as connecting members and the formation of this theory of Taotong academically justifies Sarim school that inherited study of thought on righteousness, where significance in terms of history of thought lies in.

      • KCI등재

        일반논문 : 정도전(鄭道傳)의 창업론(創業論)과 사상사적 위상

        정성식 ( Seong Sik Jeong ) 영산대학교 동양문화연구원 2011 동양문화연구 Vol.8 No.-

        고려 말 조선 초기라는 시대전환기에 고뇌의 삶을 살아간 정도전의 창업론과 사상적 위상을 탐구하려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 정도전은 당시 석학들과 활발하게 교유하여 성리학에 대한 이해를 깊이 하였으며, 항상 후진을 가르치고 이단을 물리치는 것으로 자기 책임을 삼았다. 그러나 왕조교체기를 맞이하여 이들은 서로 다른 길을 걸음으로써 결별하지 않을 수 없었다. 정도전은 고려의 정통성을 부인하고 사회변혁을 이루고자 하였으며, 조선 건국을 정당화하는 창업론을 강력하게 표명하며 그 이론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정도전은 무엇보다 제도개혁의 문제에 지대한 관심을 둠으로써 현실지향적인 사유방식을 견지하였다. 국가체제의 변혁기를 맞이하여 사회개혁을 완수하고자 한 정도전의 경세적 업적은 재조명될 필요가 있으며, 한국사상사에서 그에 대한 후세인들의 평가는 대체로 양면적으로 전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into the theory of founding a new nation advocated by Jeong Do-jeon who lived with hard thoughts of the transition era late in Goryeo and early in Joseon and its position on ideological history. He communicated much with the great scholars then to deeply understand the Neo-Confucianism and placed his responsibility on always teaching his followers and defeating heretic. Facing the transition period from a dynasty to another dynasty, he went his way different from that of the other great scholars he used to communicate with. He denied the legitimacy of Goryeo to reform the society and strongly advocated his idea for founding a new nation to justify the founding of Joseon, trying to establish such idea as a theory. He paid attention most onto the issue of social systematical reform, so that he could keep such reality-focused thinking way. His political work to complete the social reform facing the transition period of national system needs to be reevaluated. In general, he has been assessed in binary aspects in Korean ideological history.

      • KCI등재후보

        이규보(李奎報)의 유불관(儒佛觀)

        정성식 ( Jeong Seong Sik ) 영산대학교 동양문화연구원 2016 동양문화연구 Vol.24 No.-

        본 논문의 목적은 고려중기 활약한 이규보의 유교와 불교에 대한 입장을 탐구하고 그 사상적 특징을 고찰하는데 있다. 고려 중기에 활동한 이규보는 공인의식으로 현실을 버리지 않고 맡은 바 책무를 다하고자 하는 마음을 견지하여 당시 고난의 생활을 살아간 백성들의 안정된 삶에 깊은 관심을 가졌고, 대외적으로 몽고군의 비인도적인 만행을 규탄하면서 강한 적개심을 표출하였다. 이규보는 유교경전 가운데 『주역』보다 더 예지롭고 신묘한 것은 없다고 보았으며, 『주역』의 이치를 깊이 아는 자만이 유자(儒者)의 부류라고 생각하였다. 그리고 『춘추』에 대해 이규보는 중국이 종주국이 될 수 없으며, 모든 국가가 대등한 관계에서 세계를 구성하는 것이 옳다고 보았다. 고려불교는 무신란을 기점으로 전반기는 교종이, 무신정권 수립과 더불어서는 선종이 세력을 얻어 주자학이 수용되는 시기까지 사상계를 풍미하였다. 무신집권기에서는 종래 귀족사회체제가 송두리째 무너졌으며, 불교계도 새로운 변화를 겪지 않을 수 없었다. 항상 『능엄경』을 외고 또 『주역』을 즐겨 읽는 모습으로 묘사되는 이규보는 유불일원(儒佛一源)적 입장을 견지한 고려 중기의 친불유자(親佛儒者)였다고 볼 수 있다. This paper explores Lee Kyu-bo`s positions on Confucianism and Buddhism and their ideological characteristics. Lee Kyu-bo, during the middle of Koryo dynasty, sought to fulfil his duties as a public figure by confronting the reality. He was deeply interested in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for the people of his country. Externally, he condemned Mongolian force`s atrocities and called his nation to stand against them. Lee thought Zhou Yi to be the greatest of the Confucian texts of wisdom; he believed that only those who understood the principles of Zhou Yi could be considered followers of Confucius. On Chunqiu, Lee was of the view that China could not be a hegemon and all nations should form the world on an equal basis. In Koryo dynasty, non-Zen sect was the mainstream of Buddhism prior to the Musin (military) Revolt; once the Musin regime took hold of power, zen-sect gained hegemony until the teachings of Chu-tzu were introduced. Under the Musin regime, the traditional aristocratic order collapsed; this brought about changes in Buddhism in Korea. Lee Kyu-bo, characterised as always reciting Shurangama Sutra and studying Zhou Yi, was a pro-Buddhist follower of Confucius who believed in the unity of Confucianism and Buddh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