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경기도 소규모 노후 아파트의 구조안전실태와 거주자 인식 조사

        정미렴,김영주,김미희,조인숙 한국주거학회 2019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Vol.30 No.2

        The safety of apartment buildings in Gyeonggi-do, built over 30 years ago, is a concer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urrent structural safety of old, small ‘grade D’ apartment buildings, classified as disaster risk facilities, and residents’ awareness of the issues. All seven cases of safety grade D and one of four grade A cases (excellent safety) of similar age were compared to see if there were structural differences or differences in residents’ characteristics between the two safety grades. The research involved a structural safety diagnosis and resident interviews with a questionnaire performed from August to September 2017.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many concrete cracks, with peeling, exfoliation, exposed reinforcing steel, water leaks, and efflorescence were found inside and outside the buildings. Surprisingly, the quality of the concrete in the two cases with the worst cracks was still good. Second, the tilt in two D grade cases turned out to be grade E, irrespective of the external defect. Third, the residents of grade A and D buildings differed with respect to household income, education level, size of the unit, the allowance for long-term repairs, and community organizations. Fourth, residents’ awareness of the current status of their units differed, especially with regard to the number of cracks inside the units, waterproofing, disaster safety, and crime preven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준공 후 30년 이상 경과된 경기도 소재 D등급 소규모 노후 아파트의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는 것이다.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D등급 소규모 노후 아파트 거주자의 현황과 의견, 주민이 인식하는 건축물의 상태를 파악한다. 둘째, 안전진단 전문기관이 건물의 구조적 상태를 진단하여 문제를 파악한다. 본 연구의 조사 대상은 경기도의 재난위험시설로 분류된 30년 이상 비의무관리대상 D등급 아파트 전체인 7개 단지와 A등급 아파트 1개 단지로, 표본동 1개씩을 선정하였다. 조사 방법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거주자 면접조사와 안전진단 전문기관에 의뢰한 구조진단이었다. 조사 기간은 2017년 8월~9월이었다. 조사 결과 첫째, 주민은 전국 도시가구보다 낮은 소득수준이었으며 D등급이 A등급보다 아파트 상태에 대하여 나쁘게 인식하고 있었다. 첫째, 주민은 전국 도시가구보다 낮은 소득수준이었으며 정주의식이 높았다. 아파트의 현재 상태는 벽체와 천장의 균열 상태, 방수 상태, 재난·재해 안전성, 방범 상태에서 D등급이 A등급보다 낮게 인식되었다. 둘째, 전반적으로 건물 내, 외부에서 다수의 균열 및 누수, 콘크리트 박리, 박락, 철근 노출 현상이 발견되었다. 그에 비하여, 콘크리트 품질(탄산화 진행, 철근부식)은 조사 결과 양호한 편이었다.셋째, 기울기의 경우 3곳이 D등급, 2곳은 E등급으로 주민의 안전이 매우 위험한 상황이었다. 넷째, 유사한 노후기간에도 불구하고 등급간의 차이에 영향을 주는 요인 중 하나로 본 조사에서 나타난 것은 거주자 인식 조사에서는 장기수선충당금 액수, 입주자 대표회의 회장과 임원에 대한 신뢰, 안전 진단에서는 방수 보수 관리와 기울기로 인한 구조적 결함이었다. 소규모 노후 아파트의 구조적 문제는 현재 상당히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형 인재로 이어지기 전에 구조적 보강이 실시되어야 한다. 관련 제도의 정비, 재원 마련이 필요하다.

      • KCI등재

        연령대별 노인요양시설 환경에 대한 요구와 노인부모·성인 자녀간 선호 차이

        정미렴 재단법인 경기연구원 2019 GRI 연구논총 Vol.21 No.3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erception and needs of elderly nursing home (NH) in each age group of adults above the middle age, living in Seoul metropolitan area. I also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NHs in adults and their parents, and compared their NH expectations for themselves and their parents’ age group in their 60s and 70s. The research methodology included literature review and questionnaires. Online and offline surveys were conducted from July 17 to 31, 2018. The results showed that the elderly care facilities including architecture and NH services in each age group were perceived as ‘average’. However, respondents in their 40s and 60s perceived that few NHs met their levels of satisfaction. Respondents in their 70s felt economic pressure using NHs more than any other age group. The preferred characteristics of NHs for adults and their parents were similar based on region, selection of facility, operating agency, facility size, and residential unit size. However, differences existed in ?? location and perspective. The preferred size of the facility and the residential unit differed from the current NHs, suggesting the need for adjustment in the future. In terms of private space, adults expected their parents to share their bedroom and bathroom with additional people. Finally, the expectations of adults for their parents in their 60s and 70s differed from the response of the actual age group, especially in the 70s. The NH policy and remodeling efforts should be based on the needs and preferences of each age group. 본 연구의 목적은 수도권의 중년 이상 각 연령대의 노인요양시설 관련 인식 차이를 살펴보고, 부모를 위한 시설과 자신을 위한 시설의 특성을 알아보며, 자녀가 생각하는 부모를 위한 환경과 실제 그 연령대의 노인이 선호하는 환경이 차이가 있는지 비교해 보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문헌연구와 설문조사로 구성되었으며, 문헌연구는 선행연구고찰과 노인요양시설 현황파악을, 설문조사는 수도권에 거주하는 40대~70대 남녀를 대상으로 온라인, 오프라인 패널 조사를 실시하였고 조사 기간은 2018년 7월 17일~31일이었다. 통계 분석은 SPSS V.25를 사용하였으며, 연령대별 차이를 위해 교차분석, 분산분석, 다중응답분석, paired t-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각 연령대의 노인요양시설 관련 인식에 대해서는 노인요양시설의 건축환경과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는 보통 정도였으나 40-60대는 만족할 만한 수준의 시설이 없다고 생각하였으며 70대는 경제적 부담감을 다른 세대보다 많이 느꼈다. 둘째, 부모를 위한 시설과 자신을위한 시설의 특성은 지역, 시설선택의 우선순위, 운영기관, 시설규모, 거주단위규모의 경우 유사하였으나 시설위치, 경관선호에 대한 생각은 차이가 있었다. 특히 선호하는 시설 규모, 거주단위가 현재 운영하는 시설과 달라 앞으로 조정이 필요하다. 셋째, 개인공간의 경우 자신보다 부모가 더 많은 사람과 침실과 개인화장실을 공유할 수 있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넷째, 60대와 70대 부모에 대한 성인자녀의 추측과 60대, 70대 본인이 선호하는 환경은 달랐으며 특히 70대의 경우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자녀가 생각하는 부모를 위한 시설환경과 본인이 선호하는 환경의 차이는, 보호자인 자녀가 임의로 부모가 거주할 시설을 결정하는 것이 얼마나 부적절할 수 있는지 보여 준다. 연령대별 수요와 선호도를 예측하여 앞으로 노인요양시설 관련 정책과 리모델링 계획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세대간 노인요양시설 환경의 인식과 선호차이에 대한 연구

        정미렴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9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Vol.28 No.1

        In Korea, among generations exist great differences in social opinion, value, and quality of hous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perception, spatial needs and preferences on nursing home environment among generations living in Seoul metropolitan area. Research method is consist of literature review and survey.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people aged between 39 and 77 who has intention to move into the elderly nursing home when necessary between July 17-31, 2018. 410 valid responses were analyzed. Generation was finally divided into industrialized generation (born in 1941-1954), baby-boom-democratization generation(born in 1955-1969) and X generation (1970-1979).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more than half of the respondents had experience of their relatives or friends using nursing homes, and them visiting nursing homes. Second, the desirable size of elderly nursing homes is less than 50 residents, and residential units less than 14 people for all three generations. The industrialized households were willing to spend the highest expenditure for nursing home service, followed by X-generation and baby-boom-democratization generation. Third, the common features for public space, respondents needed library, indoor exercise space, garden, greenhouse, garden, cafe, and restaurant available for outside visitors, etc. The standard for private space were not different among generations and in-suite bathroom was essential. Fourth, the difference features among generations were that Industrialized generation preferred activities interacting with others, while baby-boom-democratization and X generation are characterized by their preference for activities by themselves. For private spaces, X generation wanted the least number of roommates, but all three generation wanted 2 or less person to share a bedroom.

      • KCI등재

        얄롬의 실존주의 심리치료에 의거한 노인요양시설 디자인 방향에 대한 연구

        정미렴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5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Vol.24 No.3

        This research comprehended the fundamental cause of elderly nursing home residents' negative feelings of loneliness, depression, fear, and loss of self-usefulness as existential issue, since they already went through loss, death of loved ones, geriatric disease and disability.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plore how existentialism and existential psychotherapy theory of Irvin D. Yalom can be applied to nursing home environment design, and to suggest design directions. Based on his framework of human's ultimate interest, death, freedom followed by responsibility, isolation, and meaninglessness, interior design suggestions and applicable spaces were presented. Four cases from Australia, Denmark, Japan and Korea were analyzed according to design suggestions to grasp the current situation and to draw further proposition.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1)Environment should support nursing home residents to resolve existential issues. (2)Death is the least supported issue on all of the cases. Environmental elements that can induce residents to think and discuss on death, hospice program and space for memorial service is necessary. (3)Regarding to freedom, the environment should support resident's disability to maintain independence as much as possible and residents autonomy and decision should be respected. Single/double rooms, motorized bed, free and safe usage of kitchen and garden are necessary. (4)For isolation, Space and time for meditation should be provided. (5)To find meaning of life, environment should support residents in both physical and cognitive aspect so that they can contribute to others. Space for hobby is necessary for continued creativity and self-realization. 본 연구는 노인요양시설 입주 노인의 외로움과 우울, 공포, 자기효능감 상실등의 근본적 원인이 실존적 문제에 있는 것으로 보고, 실존주의와 얄롬의 실존주의 심리치료가 어떻게 노인요양시설 디자인에 적용될 수 있는지 탐색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실존주의 심리치료 이론에 근거하여노인요양시설 거주노인의 실존적 갈등문제의 원인을 정립하고, 이를 바탕으로 실존적 문제와 해결을 지원할 수 있도록 노인요양시설의 디자인 방향을 제안하는 것이다. 얄롬은 인간의 실존적 근본 관심은 죽음, 자유, 소외, 무의미라고 하였으며, 노인요양시설에서 이를 고찰하고 해결할 수 있는 지원환경을 조성할 수 있도록 실내환경 적용방법과 적용공간을 제시하였다. 이를 토대로 호주, 덴마크, 일본, 우리나라의 시설을 분석하여 현황과 앞으로 필요한 방향을 논의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상실과 이별, 질병, 주위의 죽음을 겪어온 노인요양시설 입주노인에게 죽음, 자유, 소외, 무의미의 실존적 문제는 큰 의미를 가지며, 이의 해소를 보조할 수 있는 환경이 중요하다. 둘째, 죽음에 대하여 직시하고 죽음을 삶의 일부로 수용하기 위해서는 죽음에 대하여 대화할 수 있는 분위기와 호스피스 프로그램, 거주노인 사망시 추도식이 필요하며 이를 지원하는 공간이 제공되어야 한다. 셋째, 자유와 그에 따른 책임을 수용하여 능동성을 회복하기 위해서는 환경이 거주자가 최대한 자율을 유지할 수 있도록 신체적 장애를 지원해 주어야 하며 거주자의 자립과 결정이 존중되어야 한다. 물론 우리나라 시설은 사고시 가족과 직원간의 책임소재 분쟁 때문에 노인을 과보호하여 잔존능력을 상실하는 경우도 많으므로 자유와 안전 간의 적절한 수준을 찾아야 할 것이다. 넷째, 소외 중 대인관계적 소외와 개인내적 소외의 환경적, 프로그램적인 해결에는 많은 발전이 있었으나, 실존적 소외는 아직 제대로 다루어진 적이 없다. 실존적 소외를 해소하는 방법의 첫 단계인 성찰과 명상을 위하여 공간과 시간이 반드시 제공되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