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문화예술교육 효과성 평가 매뉴얼 개발 연구

        정문성(Jeong, Moonseong),전영은(Jeon, Youngeun) 한국열린교육학회 2013 열린교육연구 Vol.21 No.3

        정부는 최근 문화예술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면서 다양한 방법으로 학교문화예술교육을 지원하고 있다. 이러한 지원사업에 대한 효과성 연구에서 공통적으로 지적되는 점은 지원 받는 학교의 역량에 따라 문화예술교육의 내용과 과정 및 효과들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난다는 것이다. 학교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에 대한 이해능력, 기획능력, 수행능력, 효과성 평가와 활용 능력에 따라 그 효과는 달라질 수밖에 없다. 지원받는 학교는 지원기관과의 의사소통에서도 많은 혼란과 어려움을 겪고 있다. 많은 예산이 들어가는 만큼 효과에 대한 근거의 제시도 요구받고 있다. 그러나 문화예술교육의 특성상 그 효과를 측정하는 것은 매우 어렵고, 효과를 확인하고 환류를 통해 프로그램을 개선하는 과정은 수준 높은 전문성을 요구한다.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대안 중의 하나는 문화예술교육의 특성을 고려하고, 주체들의 독창성을 훼손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상당한 수준의 구체적 문화예술교육 효과성을 측정하고 활용하는 매뉴얼을 제공해 주는 것이다. 이러한 매뉴얼이 있으면 목표수립에서부터 과정 및 효과의 측정과 환류를 통해 프로그램의 수준을 유지하고 개선하며 효과를 보고하는데 큰 도움을 줄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매뉴얼 개발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매뉴얼에 관한 기존의 연구들은 대부분 매우 구체적인 대상에 국한되어 있다. 프로그램의 목적과 내용이 분명해야 구체적 매뉴얼 개발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2008년부터 시행되고 있는 학교문화예술교육의 대표적 지원사업인 ‘예술꽃씨앗학교’를 사례로 문화예술교육 효과성 평가 매뉴얼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매뉴얼은 예술꽃씨앗학교는 물론 유사한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의 매뉴얼 개발과 이를 통한 지원사업의 효율적 수행에 큰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In recent years, since the Korean government realized the significance of Arts and Culture Education, it has been supporting School Arts and Culture Education in many different ways. Many studies on the effectiveness of School Arts and Culture Education pointed out that the contents, processes and effectiveness of Arts and Culture Education depend largely on the ability of the school. The elementary schools, which get a supported budget, have been vital evidence for the effectiveness of the system. However, it is very difficult to measure the effectiveness due to the nature of Arts and Culture Education. So a high level of professionalism is needed in order to evaluate and improve the program. An alternative to solve this problem is to provide a manual that measures and makes use of the Arts and Culture Education effectiveness. If there were these manuals, the level of Arts and Culture Education in schools could be maintained or possibly improved.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is goal of developing a manual for evaluating the effectiveness of School Arts and Culture Education. The earlier studies on developing a manual are mostly limited to very concrete programs. The purpose and the contents should be clear so that a concrete manual can be developed. So In this study “the Art-Flower Seed School Project Manual” was developed. AFSSP is a representative Supporting Project of School Art and Culture Education launched in 2008. The proposed manual would be expected to be helpful to run the Art-Flower Seed School Project and to develop a similar manual of the Arts and Culture Education Supporting Project.

      • KCI등재

        문화예술교육 효과의 지속성 연구

        정문성(Jeong, Moonseong),유진은(Yoo, Jineun),전영은(Jeon, Youngeun),박새롬(Park, Saerom) 한국열린교육학회 2014 열린교육연구 Vol.22 No.1

        본 연구는 초등학교에서 받은 문화예술교육이 졸업 후에도 지속적 영향을 주는지를 확인하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이를 위해 1기 예술꽃 씨앗학교로 선정된 10개 초등학교 졸업생 200명을 대상으로 설문과 면접조사를 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은 초등학교 때의 문화예술교육이 문화예술적 영역뿐만 아니라 인성적 영역, 기타 학교 및 가정생활 영역에서 매우 긍정적 영향을 받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학생들은 예술꽃 씨앗학교 졸업 이후에 진학 학교에서의 문화예술경험이 현격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학한 중학교가 문화예술을 경험할 기회를 제공하지 않는 것과 문화예술교육을 지원할 수 없는 가정환경 등이 중요한 원인이었다. 셋째, 졸업생들은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단절형은 졸업이후 거의 문화예술경험을 하지 않는 경우, 부분지속형은 지역의 문화예술 활동단체에 가입하여 경험하는 경우, 지속형은 진학한 중학교가 문화예술활동을 지원하는 학교이어서 지속적으로 경험하는 경우인데, 이는 매우 드문 경우에 속한다. 초등학교 때 집중적으로 받은 문화예술교육의 효과가 지속적으로 극대화되기 위해서는 학교급의 연계가 필요하며, 진학한 상급학교에 문화예술 프로그램이 없더라도 모교가 '졸업생-재학생간의 멘토링 활동', '졸업생 공연' 등 졸업생의 문화예술적 소양을 발휘할 수 있는 기회를 지속적으로 제공하는 방안 등이 요구된다. The Korean Ministry of Culture, Sport, and Tourism,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School Arts and Culture Education (SACE), has been supporting select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economically and culturally disadvantaged regions to obtain cultural and artistic experien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ontinuous effects of the SACE on the recipients after graduation. In order to achieve this, the first stage SACE alumni of 200, currently middle school students, were contacted for questionnaires and interview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the first stage alumni strongly perceived the SACE beneficial to their character building, satisfactory school and family life, and cultural and artistic capacity development. Secondly, their in-school cultural and artistic experiences dramatically diminished after graduation, partly due to the insufficient opportunities for cultural and artistic experiences provided by their middle schools and their caregivers at home. Thirdly, the alumni can be categorized in three groups: discontinued, partly continued, and continued. Students in the discontinued group had hardly cultural and artistic experiences after graduation. Those in the partly continued group joined regional cultural and artistic organizations, and thus had some experiences. Those lucky students whose middle schools support cultural and artistic activities were categorized as the continued group, but this cases were quite rare. To maximize the continued effectiveness of the cultural and artistic education, elementary schools and middle schools need to collaborate together. Furthermore, their alma mater could provide opportunities to the alumni such as student-graduate mentoring or graduate performance programs.

      • KCI등재

        인천의 생활환경에 대한 인식 조사 연구

        정문성(Jeong Moon Seong) 경인교육대학교 기전문화연구소 2004 기전문화연구 Vol.31 No.-

        본 연구는 인천광역시 학부모가 생각하는 인천의 생활환경에 대한 인식을 변인별로 조사한 것이다. 720개의 설문응답지를 조사한 결과 인천광역시의 환경에 대해서 대부분의 분야에 대해 부정적 인식을 갖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변인별로 보면 거주지역간 차이가 뚜렷하게 나타나는 것이 중요한 발견이었다. 다른 변인들은 질문내용에 따라 달라졌지만 주로 성별로는 여자가 남자보다 다소 부정적이었으며, 경제수준이 낮을수록 더 부정적이었으며, 거주기간이 길수록, 고향출신일수록 긍정적 인식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인천광역시당국과 인천시민들은 인천의 생활환경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오히려 동기로 삼아 인천광역시의 생활환경을 개선하려는 정책과 시민운동을 전개해야 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the parents perception about the life environment of Inchon metropolitan city. 920 parents from 8 regions(gu) were questioned to explore their perception about the life environment of Inchon metropolitan city. The questionnaire included parents sex, living place, economic status, academic career, birth place, living duration, and perception about the life environment of Inchon metropolitan city. The questionnaire about parents perceptions are consisted of culture, political, educational, traffic services, social and natural environment, and general life environment about the Inchon metropolitan city.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Most parents had negative perceptions about the general life environment of Inchon metropolitan city. Especially distinguished different perception was found according to living places. And higher economic status and longer living duration had positive effect on parents perception about the life environment of Inchon metropolitan city.

      • KCI등재

        초등 사회과에서 디지털교과서를 활용한 토의,토론 수업의 양상 연구

        정문성 ( Moonseong Jeong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15 시민교육연구 Vol.47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사회과수업에서 디지털교과서 활용 토의·토론 수업이 어떤 양상을 보이는지를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디지털교과서를 활용한 초등 사회과 5학년 수업을 관찰하고, 참여한 교사와 학생을 대상으로 면접 조사를 하였다. 이를 토대로 사회과 토의·토론 수업에서 브룩필드와 프레스킬(Brookfield & Preskill, 2005)의 토의·토론 9가지 성격이 어떻게 반영되는지, 15가지 이점은 어떤 모습으로 나타나는지에 초점을 두고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토의·토론의 성격은 첫째, 구조적인 쉬운 참여로 수업에 초청받는 호의를 경험했고, 다른 학생의 의견에 귀 기울이지 않을 수 없는 구조 때문에 겸손한 태도와 학습공동체로서 감사함을 느꼈다. 둘째, 또 다른 학습기능을 확장하게 해서 말하고, 쓰고, 읽는 등 역동적 학습을 경험하였다. 셋째, 통제와 자율의 조화가 이루어졌다. 다음으로 토의·토론의 이점 15가지도 다음과 같은 모습으로 나타났다. 첫째, 다양한 의견의 공유와 다양한 관점을 확인하고, 이러한 활동의 반복은 다양한 의견에 관용적 태도를 길러주었다. 둘째, 개인의 의견을 피력할 수 있는 기회와 동료의 피드백을 받는 기회가 많아서 의사소통 능력을 길러주었다. 셋째, 글과 말의 병행은 빠른 속도와 많은 양의 의사소통을 이루게 했고, 검색기능 사용으로 지적 명쾌함을 경험하였다. 넷째, 학습 주의력을 강화시키고, 다른 학생에 대한 존중과 공감을 이끌어내었다. 다섯째, 1인 1디지털교과서는 민주적 과정의 학습과 협력적 배움을 경험하게 하였다. 여섯째, 모둠이 함께 협력해서 자기 팀의 주장의 근거를 만드는 경험은 공동창조의 경험, 그러한 자료나 근거를 종합하고 융합하는 경험을 갖게 해 주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how discussions and debates in elementary school social studies by the using digital textbook aspect. For these purpose, 5th grade social studies classroom was observed. And Semi-structure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he 2 teachers and 2 students using the digital text. Based on it, the study was focused on ‘practicing the dispositions of democratic discussion(9 dispositions of discussion and debate)’and ‘15 benefits of discussion’. And the study was analyzed how ‘practicing the dispositions of democratic discussion’ and ‘15 benefits of discussion’ were reflected and expressed in discussions and debates activities by the using digital textbook. The findings of ‘9 dispositions of discussion and debate’ were as the following: First, because of structured ‘participation’, the students experienced ‘hospitality’ as inviting class. And because the student had to pay attention to other suggestion(mindfulness), they experienced ‘humility’ and ‘appreciation’ as studying community. Second, they had experience to have dynamic learning by reading, listening, speaking etc. with extending of learning function. Third, there was harmonies of control and autonomy. Next, the findings of ‘15 benefits of discussion and debate’ were as the following: First, the students could check sharing of diverse opinions and views. And these activities are helpful to develop attitude of tolerance. Second, because of the feedback system among students, the communication ability was developed. Third, because of a lots of writing and speaking, there were a number of communication. And they experienced intellectual clarity by search function. Fourth, the power of learning attention was strengthened and the students felt sympathy and respect with other students. Fifth, because of one-student, one-digital text, the students experienced learning of democratic process and cooperative learning. Sixth, because of group activities, the students could experience of cocreators of knowledge. And they used skill of synthesis and integration.

      • KCI등재

        초등학교 문화예술교육이 예술 및 인성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

        정문성(Jeong Moonseong),석문주(Seog Moonjoo),모경환(Mo Kyungwhan),김해경(Kim Haikung),박새롬(Park Saerom) 한국열린교육학회 2012 열린교육연구 Vol.20 No.2

        본 연구는 예술꽃씨앗학교 지원사업을 사례로 초등학교 문화예술교육이 학생들의 문화예술 및 인성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준실험연구이다. 예술꽃씨앗학교로 지정된 16개 초등학교의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 적용하여 사전사후 비교조사를 통해 학생들의 문화예술적 영역과 인성적 영역의 변화를 검증하였다. 문화예술성 효과는 음악영역, 미술영역, 공연영역의 세 영역에 대해 자기효능감, 기능, 창의성/문화예술적 감성, 리더십, 교과학습태도, 정서통제, 자기표현/발표력, 사회성의 8개 하위 영역으로 나누어 조사하였고, 인성적 효과는 자존/행복감, 표현/창의성, 협동/사회성의 세 영역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비교집단의 초등학생에게서는 나타나지 않은 변화가 실험집단의 초등학생에게 나타났다. 실험집단 학생들의 문화예술적 영역에서 대부분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었고, 인성적 영역에서는 자존/행복감에는 변화가 발견되지 않았으나 표현/창의성과 협동/사회성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결론적으로 문화예술교육은 초등학생의 문화예술 및 인성적 변화에 긍정적 변화를 주었음이 발견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se the effect of the culture and art education on primary school students. This research project ran pre/post tests on 1014 students of 16 Art-Flower Seed (AFS) Schools selected in 2011, and a control group of 273 students from 5 general schools was used to study the effects of the AFSSP on students. The results of the pre/post tests about the effectiveness of the AFSSP on the students shows that it has positive effects in most subordinary areas. First, the AFSSP increased expression, creativity, cooperation, and sociality in personality effect. Second, the AFSSP is effective in increasing musical ability (7 areas, exclusive of musical emotion), visual art ability (6 areas, exclusive of visual art effectiveness and visual art emotion), and performance ability (8 areas), showed meaningful differences statistically.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indicate that the culture and art education (AFSSP) has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primary school stu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