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학습병행 훈련과정 개발기준 개선방안 연구

        정동열(Dong Yul Jung),전승환(Seung-hwan Jeon),이승(Seung Lee) 한국직업교육학회 2019 職業 敎育 硏究 Vol.38 No.3

        이 연구의 목적은 일학습병행 훈련과정 개발기준의 개선방안을 도출하는 데 있었다. 세부적인 연구 내용은 첫째, 일학습병행 개발기준 관련 인식을 조사하고, 둘째, 개발기준 요소별 적용과 운영상의 애로사항을 조사하며, 셋째, 개발기준의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었다. 개편 방안 마련을 위한 연구 방법은 문헌연구, FGI, 설문조사, 전문가 검토 등이 활용되었다. FGI는 현장에서의 활용실태를 분석하기 위해 일학습병행 훈련과정을 운영하는 5개 기관 담당자 총 1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운영 기관을 대상으로 2017년 11월 30일부터 12월 11일까지 온라인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세부적으로 일학습병행 운영기관은 총 164명이 응답하였다. 마지막으로 전문가검토는 관련 연구자 9명을 대상으로 개선방안에 대한 검토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 결과에 따른 결론 및 제언으로는 첫째, 개발기준의 활용성 제고가 필요하며, 둘째, 일학습병행 훈련과정의 유연성 제고가 필요하다. 셋째, 입직단계와 재학단계의 일학습병행 개발기준의 차별화가 필요하며, 넷째, 일학습병행과 과정평가형 교육·훈련과정 개발기준의 관계성 재설정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일학습병행 관련 근거법령 마련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se of Development Standard for Korean apprenticeship program. The detail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perception related to the development standard of Korean apprenticeship program was investigated. Second, the application criteria and the operational difficulties were investigated. Third, the development standard was suggested. Research methods for preparing the revised Standard were literature research, FGI, questionnaire survey, and expert review. FGI conducted a total of 10 people in charge of 5 agencies who run the program to analyze the actual use situation in the field. The survey was conducted online from November 30 to December 11, 2017 for the provider. A total of 164 respondents in the administrative agency responded in detail. Finally, the expert review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improvement plan of nine researchers. Conclusions and suggest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utilization of development standard. Second,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flexibility of the training program. Third, it is necessary to differentiate the developmental standard of work-based learning from the entry stage and the enrollment stage. Fourth, it is necessary to re-establish the link between Korea Apprenticeship Program and Qualification. Finally, related laws and regulations need to be prepared.

      • KCI등재

        유사 사이트 분석을 통한 청년층 대상 온라인 공공고용서비스 개편 방안

        정동열(Dong-Yul Jung)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5

        한국 청년들의 실업률이 매우 높은 수준이다. 정부에서도 청년실업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다양한 정책방안과 사업들을 개발하여 시행하고 있다. 특히, 온라인 콘텐츠를 제공하고, 온라인 사이트를 운영함으로써, 청년들에게 직접적인 취업정보 제공을 강화하고자 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청년층이 진로 및 취업 관련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온라인 콘텐츠를 분석하였다. 사이트는 청년 워크넷, 충북청년포털, 사람인, 잡코리아, 크레딧잡, 잡플레닛, 인크루트, 스펙업, 독취사, 커리어넷 등을 분석하였다. 분석은 기준은 청년 워크넷에서 제공하는 사이트의 대분류 수준인 청년정책, 청년일자리 정보, 진로·취업정보, 취업소식, 취업준비 등으로 구분하였다. 분석 결과 민간 사이트에 비해 정보의 깊이, 다양성 등에서 차이가 있었으며, 공공서비스에 따른 한계도 발생하고 있었다. 연구내용을 바탕으로 청년 워크넷의 개편 방안을 제시하면, 서비스 화면 구성 개편, 서비스 내용 개편, 쌍방향 소통 중심으로의 운영 개편, 홍보 활성화 등이 필요하였다. The youth unemployment rate is increasingly getting higher and higher. The Korean government which regards this situation as urgent and emergent case is trying to solve this problem by appropriate youth employment policy and practices. Especially, one of proper solutions for the problems is providing online contents such as job information and career guidance as well as building a gateway for accessing these contents and employment services. In this study, we analyze online contents that can collect career and employment related information. The site analyzed the Work-net, Chungbuk Youth Portals, Salamin, JobKorea, Creditjob, Jobplenet, Incruit, SpecUp, Docchisa, and career net. The analysis classified youth policy, youth job information, career and employment information, employment news, and job preparation. As a result, it was necessary to reorganize the service screen of the youth worknet, reorganize the service contents, reorganize the service center, and promote public relations.

      • KCI등재

        특성화고등학교 교원 및 학생이 인식하는 미래유망 신기술 분야 고졸인력 양성의 성과와 개선

        송낙현(Nak-Hyun Song),정동열(Dong-yul Jung),조정윤(Jeong-Yoon Cho) 한국기술교육학회 2021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21 No.2

        이 연구의 목적은 특성화고등학교의 미래유망 신기술 분야 고졸인력 양성에 대해 교원과 학생이 인식하는 성과와 개선 사항을 구명하기 위함이다. 이 연구의 목적을 위해 미래유망분야 고졸인력 양성사업에 참여하는 특성화고등학교 교원과 학생을 대상으로 미래유망분야 고졸인력 양성의 성과와 개선에 대해 조사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디. 첫째, 교원이 인식하는 미래유망 신기술 분야 고졸인력 양성의 성과로 전반적인 인력양성에 대한 인식, 운영 성과, 교육과정 운영, 학생 진로 및 성장 지원, 교원의 전문성 제고 등에 대해서 성과가 높은 편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생이 인식하는 미래유망 신기술 분야 고졸인력 양성의 성과로 인력양성에서의 학생 지원, 인력양성의 만족도 및 학생 자신의 변화 부문에 대한 인식은 보통이상 수준으로 나타났다. 인력양성 과정에 참여한 학생의 변화로 신기술 분야 기초 및 실무 등에 대한 전공역량이 높아졌고, 신기술 분야에 대한 직업 선택과 취업 등에 대한 진로개발, 전공분야 학습에 대한 흥미와 의지가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원이 인식하는 미래유망 신기술 분야 고졸인력 양성의 개선으로 각 부문별 1순위로 인력양성의 목적 설정은 신기술 분야 실무학습, 인력양성의 차별화는 다양한 형태의 일기반 학습 시행, 인력양성의 양적 확대 개선은 신기술 분야의 확대, 질적 확대 개선 사항은 신기술 분야 산업체 등과 협업 확대, 운영 개선으로는 교육과정 운영의 자율성 확대로 나타났다. 넷째, 학생이 인식하는 미래유망 신기술 분야 고졸인력 양성의 개선사항으로는 인력양성에 대한 기대는 보통 이상 수준이었다. 학생들이 제시한 구체적인 개선사항으로 신기술 분야 고졸인력 양성을 위해 학생중심 및 실무중심의 수업 운영, 신기술 분야 산업체 취업을 위한 다양한 정보 제공과 지원 등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achievements and improvements perceived by teachers and students regarding the cultivation of high school graduates in the field of future promising new technologies in vocational high schools. The results of the study have been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eachers perceived high performance in recognition of manpower training, operational performance, curriculum operation, student career and growth support, and enhancement of teacher expertise. Second, it was found that students perceived student support, satisfaction, and student s own change as above average level. On the other hand, students showed increased interest and willingness in major competencies, career development and employment in new technology fields, and learning in major fields. Third, with the improvement recognized by teachers, the purpose of manpower nurturing was practical learning in the new technology field, differentiation was various types of work-based learning, the expansion of manpower nurturing was the new technology field and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and operational improvement was the expansion of the autonomy of the curriculum operation. Fourth, as improvement items, students suggested the operation of student-centered and practical-oriented classes in the new technology field, and various information provision and support for employment in industries in the new technology field.

      • KCI등재

        청년층의 구직준비도 유형 분류와 주요 특성 - 청년구직활동지원금 참여자를 중심으로 -

        김강호(Kim, Kan-Ho),정동열(Jung, Dong-Yul),김태환(Kim, Tae-Whan) 한국직업교육학회 2021 職業 敎育 硏究 Vol.40 No.3

        본 연구의 목적은 2020년 정부의 청년구직활동지원금 제도에 참여한 청년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구직준비도 수준에 따른 잠재유형을 분류하고, 개인특성과의 관계를 분석하는 것이었다. 청년구직활동지원금 참여자 대상의 구직준비도 검사가 시행된 2020년 5월부터 9월까지의 자료와 별도의 사전검사 결과를 병행한 35,835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구직준비도 하위척도 수준에 따라 청년 구직자는 4개의 유형(잠재집단)으로 분류가 가능했다. 이 중 Class1과 Class2는 구직준비도가 대체로 높은 유형이었으나, Class2는 Class1에 비해 구직태도의 유연성과 직업탐색행동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Class3과 Class4는 구직준비도가 전반적으로 낮은 유형이었으나, Class4는 Class3에 비해 구직목표설정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개인특성에 따라 4개 집단에 속할 가능성에 차이가 있었다. 여성은 남성에 비해 구직준비도가 낮은 유형(Class3, Class4)에 속할 가능성이 높았다. 대학원 졸업자는 고졸 이하에 비해 구직준비도가 높은 유형(Class1)에 속할 확률이 높았다. 대기업과 교육기관, 창업을 희망하는 청년 구직자의 경우, 중소기업 희망 청년구직자에 비해 대체로 구직준비도가 높은 유형(Class2, Class1)에 속할 확률이 높았다. 구직활동 시간이 많을수록 구직준비도가 높은 유형(Class2, Class1)에 속할 확률이 높은 반면, 아르바이트 경험이 있는 청년 구직자는 구직준비도가 낮은 유형(Class3, Class4)에 속할 확률이 높았다. 위와 같은 분석결과를 토대로 이 연구는 다음의 제언을 제시하였다. 첫째, 구직준비도에 따라 맞춤형 취업지원 프로그램의 연계 제공이 필요하다. 둘째, 청년들의 경제적 취약성을 완화할 지속적인 소득 지원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상대적으로 구직준비 수준이 낮은 청년여성에 대한 별도의 지원제도 마련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ssify latent Classes according to their level of job preparation and to analyze their relationship with individual characteristics for young people who participated in the government s the Youth Job-Seeking Activity Subsidies in 2020. 35,835 youth s data from May to September 2020, when the job preparation test was conducted for participants in the Youth Job-Seeking Activity Subsidies, and separate preliminary test results, were used for analysis. According to the analysis, it was possible to Classify into four potential groups according to the sub-scale level of job preparation among young people. Of these, Class1 and Class2 were generally highly prepared to find jobs, but Class2 had relatively low flexibility in job search and job search activity compared to Class1. Class3 and Class4 were generally low in job preparation, but Class4 had relatively low job search goals compared to Class3.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possibility of belonging to four groups depending on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young people. Women were more likely to belong to the types(Class3, Class4) with lower job preparation than men. Graduate graduates were more likely to belong to the type(Class1) with higher job preparation than those with high school graduates. In the case of young job seekers who wanted to find jobs at large companies or educational institutions or young job seekers who wanted to start up a business, they were more likely to belong to the types(Class2, Class1) with higher job preparation than those who wanted to find small and medium-sized companies. The more time they had for job search, the more likely they were to be in the types(Class2, Class1) with higher job preparation, while young job seekers with part-time job experience were more likely to be in the types(Class3, Class4) with lower job preparation. Based on the above analysis results, this study presented the following suggestions. First, it is necessary to provide the customized job support programs according to the type of job preparation. Second, continuous income support program is needed to alleviate the economic vulnerability of young people. Third, a separate policy should be supported to the young woman with relatively low job preparation level.

      • KCI등재

        검정형과 과정평가형 국가기술자격의 출제기준 일원화를 위한 탐색적 연구

        오춘식(Chun-Shik Oh),정동열(Dong Yul Jung) 한국직업교육학회 2024 職業 敎育 硏究 Vol.43 No.1

        이 연구는 검정형과 과정평가형 자격이 동시에 운영되고 있는 95개 자격 종목을 대상으로 검정형과 과정평가형 자격의 출제기준 일원화 방안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95개 자격 종목을 대상으로 검정형과 과정평가형 자격의 유형 간 출제기준에 활용된 능력단위의 등가성을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검정형 출제기준은 과정평가형 필수능력단위를 대체로 포함하고 있으나, 세부항목에서의 차이가 발생하고 있었다. 둘째, 검정형 필기시험과 달리 검정형 실기시험의 출제기준과 과정평가형에서 제시한 필수능력단위의 일치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격 등급에 따라 검정형과 과정평가형 자격의 출제기준 간 차이가 확인되었으며 특히, 기사자격 등급에서는 상당한 불일치가 발생하고 있었다. 넷째, 동일 직종의 검정형과 과정평가형 자격은 대체로 일몰기간이 일치하나 일부 종목에서는 차이가 발생하고 있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정책 제언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unify examination criteria between test-based and process-based qualifications across 95 concurrent categories. Through a comparison of competency units, several key findings emerged: Test-based criteria generally included essential competencies of process-based qualifications, but with some differences. Practical exam criteria for test-based qualifications showed relatively high alignment with process-based essentials. Discrepancies varied by qualification grade, especially noticeable in technician levels. While sunset periods generally aligned, differences occurred in some categories. Policy recommendations are proposed based on these findings.

      • KCI등재

        특성화고 예비신입생 및 학부모의 고교 진학 준비과정 분석: 서울 지역을 중심으로

        장명희(Myung-Hee Jang),김종우(Jong-Woo Kim),장영란(Yeoung Ran Jang),정동열(Dong Yul Jung),황영아(Young ah Hwang) 한국직업교육학회 2023 職業 敎育 硏究 Vol.42 No.6

        본 연구는 특성화고 입학생의 고교 진학 준비 과정에서의 경험을 분석하여 특성화고 입학전형 지원 개선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이에 특성화고 입학이 확정된 예비신입생 및 예비신입생 학부모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성화고 진학 결정 단계에서는 진로와 적성을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일부 응답자는 특성화고에 대한 사회의 부정적 시선을 우려하고 있었다. 둘째, 특성화고 후진학 진학 지원 정책에 대한 인지도는 높았으나 그 밖에 지원제도에 대한 인지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특성화고 입학 동기는 특성화고 설립 취지와 부합하는 학생이 많았으나 성적이나 대학 진학에 따라 입학을 결정하는 학생도 일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특성화고 진학·진로지도의 경우 중학교 및 특성화고 교사의 도움이 큰 것으로 나타났으나, 중학교에서의 진학·진로지도에 대한 만족도는 상대적으로 낮았다. 다섯째, 특성화고 정보 수집과 관련하여서는 지속적인 정보 제공 요구와 함께 전공이나 입학전형 준비를 위한 구체적인 정보 수집의 어려움이 확인되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특성화고의 긍정적 이미지 형성을 위한 일관된 메시지 전달, 중학교 및 특성화고 교사 대상 진학·진로지도 연수 강화, 입학 지원을 위한 구체적인 전공 정보 제공 및 지원 방안 모색을 개선방안으로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ways to improve vocational high school admissions support. Accordingly, in order to analyze the experiences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in the high school preparation process,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vocational high school freshmen and their parents.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many students considered their career path and aptitude at the stage of deciding to go on to vocational high school, and some were concerned about society's negative views. Second, awareness of the support policy for university admissions to vocational high schools was high, but awareness of other support policies was found to be low. Third, the motivation for entering vocational high school was often consistent with the purpose of establishing vocational high schools, there were some students who decided to enroll because of their grades or college admission. Fourth, in the case of vocational high school admission and career guidance, middle school and vocational high school teachers were found to be of great help, but satisfaction with middle schools career guidance was relatively low. Fifth, in terms of vocational high school admission information, the need for continuous provision of information and the difficulty in collecting specific information for major or admission preparation were confirmed.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improvement methods were presented to communicate a consistent message to create a positive image of vocational high schools, strengthen advancement and career guidance training for middle school and vocational high school teachers, provide specific major information for admission suppor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