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무용전공자의 체형 인식과 공연수행 자신감과의 관계

        정다진(Da Jin Chung) 한국무용과학회 2009 한국무용과학회지 Vol.18 No.-

        이 연구는 무용전공자의 체형 인식과 공연수행 자신감과의 관계를 규명하여 무용전공자의 공연수행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참가자는 서울 소재 H대학 무용학과 학부생 및 대학원생으로부터 표집된 184명이다. 체형인식에 관한 설문지는 김문주(2001),전영선(2006)을 토대로 하였으며, 공연수행 자신감은 Vealey(1986)에 개발된 스포츠 자신감 질문지(State Sports-Confidence In ventory: SSCI)를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for Window 12.0 Version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각각의 변인에 따라 기술통계분석(Descriptive analysis),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상관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절차와 방법을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인인지체형에 따른 공연수행 자신감의 차이는 외적자신감의 경우, 저체중(M=3.90), 표준체중(M=3.56), 과체중(M=3.44), 비만(M=3.09)의 순으로 높게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공연수행 자신감의 차이를 비교한 것 간에는 외적자신감의 경우, 저체중(M=3.90), 표준체중(M=3.56), 과체중(M=3.44), 비만(M=3.09)의 순으로 높게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내적자신감도 저제중일수록 높은 자신감을 갖는 것으로 조사되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체형인식과 공연수행 자신감의 상관관계 간에는 외적자신감의 경우, 주변인지체형(r=.353)과의 사이에서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나(p<.001) 체형만족, 이상체형인식, 사회이상체형인식 간에는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체형인식은 외적자신감에는 영향을 미치나 내적자신감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improving performance ability of a dancer by which a person specialized in dance identifies relationship that his or her body shape has and confidence in performance of dance. Participants in this study compose of 184 persons collected from students and graduates of Dance Department, H-university located at Seoul. Questionnaires concerning recognition of the body shape was based on example of Kim Moon-ju (2001) and Jun Young-seon (2006). For confidence of dance performance, State Sports-Confidence In ventory (SSCI) developed by Vealey(1986) was used. For data process, Descriptive analysis, one-way ANOVA, relationshiop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according to every variation factor using the SPSS for Window 12.0 Version program. Results obtained through these procedures and methods are as follow: For external confidence, difference of confidence in performance depending on the body shape that a dancer recognizes highly represents in the order of low weight (M=3.90), standard weight (M=3.56), extra-weight (M=3.44) and fat(M=3.09), showing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For external confidence as shown in dance performance, difference of confidence highly represents in the order of low weight (M=3.90), standard weight (M=3.56), extra-weight (M=3.44) and fat(M=3.09), showing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ut for internal confidence survey results showed that the lower weight the more confidence. not showing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ith regard to relationship between recognition of the body shape and confidence in dance performance, significant relationship appeared between external confidence and peripherally recognized body shape (r=.353) (p<.001) but no relationship appeared between satisfaction of body shape, recognition of abnormal body shape and recognition of abnormal body shape in society. Accordingly recognition of body shape has effect on external confidence but not on internal confidence.

      • KCI등재

        무용전공자의 신체상평정척도 기반 체형분류기준의 타당도

        김명주(Myong Ju Kim),오혜순(Hae Soon Oh),정다진(Da Jin Chung)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 2009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Vol.11 No.1

        신체상평정척도들은 체형 불만족을 확인하는 하나의 도구로 다양한 학문분야에서 활용되어 왔다. 이 연구는 무용전공자들은 체형범주를 어떻게 분류하고 있으며 그러한 분류는 대한비만학회가 제시한 BMI체형분류기준을 준거로 추정된 기준과 어느 정도 일치하는가를 검토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대상은 서울 경기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대학에 재학 중인 무용전공여자 대학생으로부터 표집된 431명이다. 선정된 신체상평정척도는 `Contour Drawing Rating Scale`(CDRS: Thompson & Gray, 1995)에 기초하여 체형그림을 17개로 확장한 척도(Shroff, 2004)를 사용하였다. BMI 체형분류기준에 해당하는 CDRS의 척도점을 추정하기 위해 회귀분석방법을 적용하였다. 그리고 CDRS의 체형범주별 기준을 설정하기 위해 응답자반응특성(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곡선을 이용하였다. 그리고 무용전공자가 지각한 체형범주별 기준과 BMI의 체형범주별 분류기준과의 일치도를 검토하기 위해 교차분석 방법과 Spearman의 등위차상관계수(P)를 산출하였다. 분석결과 1) 무용전공자가 판정한 체형범주별 분류기준과 대한비만학회가 제시한 BMI를 준거로 분류한 기준 간에는 통계적으로는 유의한 상관계수(P=.36)를 나타내고 있으나 분류 일치도는 높지 않다. 2) 무용전공자가 판정한 CDRS의 체형범주별 분류기준은 BMI를 준거로 한 체형분류 기준과 비교해 볼 때 일관성 있게 과대평가되고 있다. 3) 무용전공자가 지각한 CDRS의 체형범주별 기초통계치에 의하면 17개 체형그림 전체범위에 걸쳐 체형범주를 분류하고 있다. 4)분석된 결과를 기초로 체형범주별 기준표가 제시되었다. 기준표는 CDRS에 의해 무용전공자 혹은 여자대학생들의 현재 체형과 이상적 체형을 조사할 경우 체형범주별 기준점을 해당 체형점에 표기함으로써 주관성을 가능한 배제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Figure rating scale has been utilized in the field of diverse disciplines as one of tools for estimating Body dissatisfaction. The present study was an attempt to examine the degree of agreement between estimated cut-off score for the selected Figure rating scale and weight category classification score of BMI developed by Korea Society for the Study of Obesity. A total 431 college female dance major students were selected from seven different college lecture classes randomly selected. All participants were assessed on height and weight and Contour Drawing Rating Scale (CDRS) developed by Thompson and Gray (1995) and extended by Shroff (2004).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 method were applied to estimate the cut-off points pertaining to BMI weight classification index and to establish the standard for CDRS`s weight categories, respectively. Cross-tabulation and Spearman`s rho were calculated to examine the degree of agreement between cut-off score estimated by the dance major students for the CDRS and weight category classification score of BMI. It was found that the agreement between those two scores is not high, even though Spearman`s rho (.36) between them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cut-off scores estimated by the dance major students for the CDRS were over-estimated consistently than the cut-off scores established based on standard of BMI weight category. The present study developed the CDRS standard for the weight categories of BMI on the basis of the resul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