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고등학생들의 담배광고에서 지각한 흡연자 이미지가 성인기 흡연 의도에 미치는 영향

        정구철(Goo-Churl Jeong) 한국콘텐츠학회 2014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4 No.12

        본 연구는 고등학생들이 지각하는 흡연자에 대한 이미지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며, 흡연자에 대한 이미지가 청소년들의 성인기 흡연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고등학생 610명을 대상으로 흡연자 이미지 척도를 개발하고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또한 흡연자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가 성인기 흡연 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순서 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흡연자 이미지 척도의 구성타당도 분석 결과 단일요인 10개 문항으로 나타났으며, 내적 일치도 계수는 .91로 높았다. 둘째, 담배광고로 인해 형성된 흡연자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는 남자와 흡연자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셋째, 흡연자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는 성별과 흡연 여부를 통제한 상태에서 성인기 흡연의도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담배광고로 인해 형성된 흡연자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가 청소년들의 성인기 흡연 의도를 증가시키는 위험에 대한 시사점 및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of Smoker Image Scale and to evaluate the effect of the smoker image on adulthood smoking intention of youth. Data were collected from 610 high school students were analysed using SPSS 21.0 and AMOS 21.0 programs. Smoker Image Scale were developed and verified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In addition, ordin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implemented for impact of smoker image on adulthood smoking intention. As a results of analysis, first, the developed Smoker Image Scale confirmed with 10 items in 1 factor and Cronbach’s ? was .91. Second, men and smokers had significantly higher positive smoker image formed by cigarette advertising. Third, positive smoker image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adulthood smoking intention while controlling of gender and smoking status. Positive smoker image formed by cigarette advertising was associated with adulthood smoking intention of youth. Based on these findings,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for the risk of adulthood smoking intention of youth.

      • KCI등재

        대학생의 정신건강과 데이트 폭력 간의 관계에서 관계중독의 매개효과

        정구철(Jeong, Goo-Churl) 한국웰니스학회 2021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6 No.2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정신건강과 관계중독 및 데이트 폭력 간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연구 대상은 대학생 168명이었다. 연구결과, 첫째, 강박증과 데이트 폭력 피해 경험 간의 관계에서 관계중독은 완전매개효과가 있었다. 둘째, 정신분열증과 데이트 폭력 피해 간의 관계에서 관계중독은 유의한 부분매개효과가 있었다. 셋째, MMPI-2의 재구성 임상척도 중 피해의식과 데이트 폭력 피해간의 관계에서 관계중독은 유의한 부분 매개효과가 있었다. 넷째, MMPI-2의 재구성 임상척도 중 경조증적 상태와 데이트 폭력 피해간의 관계에서 관계중독은 유의한 완전매개효과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정신건강이 좋지 않은 사람들이 관계중독을 통해 데이트 폭력에 취약한 것을 경고하였다. 그리고, 관계중독 예방을 위해 삶의 의미를 찾거나 용서와 같은 적극적인 대처 방법을 사용하는 것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mental health, relationship addiction and dating violence among college stud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68 college student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relationship addiction had a completely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bsessive tendency and dating violence. Second, relationship addiction had a significant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chizophrenia and dating violence. Third, relationship addiction had a significant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amage consciousness, in the reconstruction clinical scale of MMPI-2, and dating violence. Fourth, relationship addiction had a significant completely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ypomanic state, in the reconstruction clinical scale of MMPI-2, and dating violence. These results warned that people with poor mental health are vulnerable to dating violence through relationship addiction. In addition, we discussed finding the meaning of life or using active coping methods such as forgiveness to prevent relationship addiction.

      • KCI등재후보

        재림교회 목회자 사모의 자아정체감과 결혼생활 만족도, 사회적 바람직성 및 행복감 간의 관계

        정구철(Jeong Goo Churl) 삼육대학교 신학연구소 2018 신학과 학문 Vol.22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of self-identity, marital satisfaction, and sense of happiness among Seventh-Day Adventist pastor s wiv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25 pastor’s wives, and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of analysi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s among self-identity, marital satisfaction, and subjective well-being. Second, the group who perceived that spirituality was promoted after marriage was significantly more happy. Third, self-identity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subjective well-being.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were explored in relation to the importance of self-identity and marital satisfaction that could be taken to improve spirituality and sense of happiness. In addition,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스트레스와 인터넷 및 스마트폰 중독 간의 관계

        정구철(Goo-Churl Jeong),조민국(Min-Guk Cho) 한국콘텐츠학회 2017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7 No.8

        본 연구는 성인들의 사회․심리적 스트레스와 인터넷 및 스마트폰 중독 간의 관계에서 학습된 무력감과 지연행동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성인 231명(남: 114명, 여: 117명)이었으며, 평균 연령은 27.7세(SD=6.6)였다. 분석결과, 첫째, 스트레스는 인터넷 중독 및 스마트폰 중독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스트레스와 인터넷 중독 간의 관계에서 학습된 무력감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였다. 셋째, 스트레스와 인터넷 중독 간의 관계에서 학습된 무력감을 통해 지연행동을 거치는 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넷째, 스트레스와 스마트폰 중독 간의 관계에서 학습된 무력감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였다. 다섯째, 스트레스와 스마트폰 중독 간의 관계에서 학습된 무력감을 통해 지연행동을 거치는 매개효과는 유의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스트레스와 인터넷 중독 간의 관계에서 학습된 무력감과 지연행동의 역할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mediating effects of learned helplessness and procrastin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psychological stress and internet·smartphone addiction among adults. The study subjects were 231 adults (114 males and 117 females) with a mean age of 27.7(SD=6.6) year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stress and internet·smartphone addict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Second, the mediating effect of learned helplessn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internet addiction was significant. Third, the mediating effect of learned helplessness through procrastin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internet addiction was significant. Forth, the mediating effect of learned helplessn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smartphone addiction was significant. Fifth, the mediating effect of learned helplessness through procrastin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smartphone addiction was significan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discussed the role of helplessness and procrastin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internet addiction.

      • KCI등재

        몰입형 가상교육을 위한 입력장치

        정구철 ( Goocheol Jeong ),임성민 ( Sungmin Im ),김상연 ( Sang Youn Kim )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 2013 실천공학교육논문지 Vol.5 No.1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에게 가상환경에 존재하는 교육컨텐츠와 자연스럽게 안터랙션 할 뿐 아니라 인터랙션 양 에 따라서 사용자에게 햅틱 정보를 전달해 줄수 있는 휴대용 입력장치를 제시한다. 제안하는 시스템은 사용자의 움직임을 측정하고 움직임에 따라서 사용자에게 햅틱 정보를 되돌려 준다. 교육 컨텐츠와 사용자의 인터랙션에 따른 햅틱 감각을 생성하기 위해 제안하는 입력장치는 모션 제어기, 햅틱 액츄에이터, 무선 통신 모듈, 그리고 모션 센서로 구성한다. 사용자의 모션 입력을 측정하기 위해서 가속도 선서를 사용한다. 실험을 통해 제안하는 시스템 이 떨림없이 안정적이고 연속적인 햅틱 감각이 생성됨을 파악한다. This paper suggests an input device that allows a user not only to naturally interact with education contents in virtual environment but also to sense haptic feedback according to his/her interaction. The proposed system measures a user`s motion and then creates haptic feedback based on the measured position. To create haptic information in response to a user`s interaction with educational contents in virtual environment, we develop a motion input device which consists of a motion controller, a haptic actuator,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nd a motion sensor. To measure a user`s motion input, an accelerometer is used as the motion sensor. The experiment shows that the proposed system creates continuous haptic sensation without any jerky motion or vibration.

      • KCI등재

        대학생들의 부모애착이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

        정구철(Goo-Churl Jeong),이상학(Sang-Hak Lee) 한국콘텐츠학회 2016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6 No.6

        본 연구는 대학생들이 지각한 부모애착이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취업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2년제 대학생 100명과 4년제 대학생 102명으로 총 204명이었고, 평균 연령은 21.7세(SD=2.7)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다중매개효과를 검증하였고 간접효과의 유의성은 붓스트래핑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부모애착은 취업스트레스와 인터넷 중독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쳤다. 둘째, 부모애착과 인터넷 중독 간의 관계에서 취업스트레스는 완전매개효과가 있었다. 셋째, 부모애착이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에서 취업스트레스의 하위요인 중 취업불안만이 완전매개 효과가 있었다. 그러므로 대학생들이 부모로부터의 애착을 지각할 경우 인터넷 중독의 가능성이 감소하며, 삶의 중요한 결정인 취업과 관련된 스트레스가 발생했을 때, 부모와의 애착이 부적절한 환경에서는 인터넷에 몰두할 가능성이 더욱 높은 것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 of job-seeking stress between parent attachment and internet addiction. A total of 202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mediating effect was analyzed through SPSS Macro and bootstrapping analysis. As a result of analysis, first, parent attachment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the job-seeking stress and internet addiction. Second, job-seeking stress had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within the relationship of parent attachment and internet addiction. Third, job-seeking anxiety had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within the relationship of parent attachment and internet addiction. Therefore, if students perceive a sense of attachment from parents, decrease the chances of internet addiction. When college students job-seeking stress occurs, and if they don’t feel attachment from their parents suggests that the higher the chances of internet addiction. In addition, this implication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provided.

      • KCI등재

        부모 자서전 대필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정구철(Goo-Churl Jeong) 한국콘텐츠학회 2017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7 No.9

        본 연구는 부모 자서전 대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피험자는 서울의 한 대학에 재학 중인 총 82명의 학생들이었으며, 실험군이 52명, 대조군이 30명이었다. 연구 설계는 비동등성 대조군 사전-사후 유사 실험설계로 진행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은 SPS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공분산분석으로 수행하였다. 부모의 자서전은 프롤로그, 아동기, 청소년기, 성인기, 에필로그로 구성하였다. 자서전의 각 장은 부모의 주요 사건을 기술하는 성장서사 부분과 대필자의 느낌을 기술하는 성찰서사부분으로 구성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부모 자서전 대필 프로그램은 부모-자녀 간 관계를 유의하게 증진시켰다. 특히, 하위요인 중 친밀, 존경 요인은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엄격 요인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둘째, 부모 자서전 대필 프로그램은 부모-자녀 애착을 유의하게 증가시켰다. 셋째, 부모 자서전 대필 프로그램은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을 유의하게 증가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들의 부모 자서전 대필 프로그램의 효과와 적용 가능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parents autobiography writing program and to verify its effectiveness. The subjects were 82 college students(52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30 students in the control group) in an university in Seoul. The research design wa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quasi-experimental design.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was verified by ANCOVA using the SPSS 23.0 program. Parents autobiography consisted of prologue, childhood, adolescence, adulthood, and epilogue. Each chapter of the autobiography consisted of a part of the growth narrative describing the main events of the parents and a part of the introspection narrative describing the writters feelings. As a result of analysis, first, the parents autobiography writing program significantly promoted parent-child relationships. Second, parents autobiography writing programs significantly increased parent-child attachment. Third, parents autobiography writing programs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parent-child communic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discussed the effect and application possibility of the parents autobiography writing program.

      • KCI등재

        연인관계에서의 집착과 반추적 반응이 데이트 폭력에 미치는 영향

        정구철(Goo-Churl Jeong) 한국콘텐츠학회 2017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7 No.11

        본 연구에서는 연인관계에서 나타나는 데이트 폭력과 집착행동 및 반추적 반응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은 연애 경험이 있는 대학생 205명이며, 평균 연령은 22.1세였다. 분석 방법은 상관관계분석, 분산분석, 2단계군집분석,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이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집착 피해군과 가 · 피해군은 일반군보다 자책적 반추 반응이 유의하게 높았다. 둘째, 데이트 폭력 피해군과 가 · 피해군은 일반군 보다 모든 반추적 반응의 하위요인이 유의하게 높았다. 셋째, 자책적 반추 반응은 데이트 폭력에 유의한 정적 설명변수로 나타났다. 넷째, 집착 피해경험은 데이트 폭력의 피해집단으로 분류될 승산비를 유의하게 3.3배 높였고, 데이트 폭력 가 · 피해군으로 분류될 확률은 10.9배나 높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데이트 폭력에 대한 집착과 반추사고의 중요성을 논의하였다. The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dating violence and limerence and ruminative response in romentic relationship. The subjects were 205 college students who had experience of dating. And mean age of subjects was 22.1 years. Analysis methods were correlation analysis, ANOVA, two-step cluster analysis, and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elf-reproach ruminative respone were significantly higher the victim group and perpetrator · victim group than the general group. Second, all sub-factors of ruminative respone were significantly higher the victim group and perpetrator · victim group than the general group. Third, the self-reproach ruminative respone was significant positive explanatory variable on dating violence. Fifth, the victim limerence experience significantly increased the odds ratio of victim group of dating violence by 3.3 times, and that of perpetrator · victim group of dating violence by 10.9 times. Based on these findings, he discussed the importance of dating violence and the importance of limerence and rumination.

      • KCI등재

        대학생의 건강증진 생활양식이 학업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 성별에 의해 조절된 투지의 매개효과

        정구철(Goo-Churl Jeong) 한국콘텐츠학회 2020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0 No.12

        본 연구에서는 수도권에 거주하는 대학생 250명을 대상으로 건강증진 생활양식과 학업지연행동 간의 관계에서 성별에 의해 조절된 투지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건강증진 생활양식은 투지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고, 학업지연행동과는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투지는 학업지연행동과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건강증진 생활양식과 학업지연행동 간의 관계에서 투지는 유의한 매개효과가 있었다. 셋째, 건강증진 생활양식과 학업지연행동 간의 관계에서 투지의 매개효과는 성별에 의해 조절되었다. 즉, 남성이 여성보다 투지의 매개효과가 더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건강증진 생활양식의 실천과 유지에 있어 투지의 역할과 중요성을 논의하였고, 성별에 따른 건강증진 행위의 실천 방안과 학업지연행동의 대처 방안에 대해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 of grit moderated by gende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promoting lifestyle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among 250 college students in the metropolitan area.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grit for health promoting lifestyle, an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academic procrastination. Grit ha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academic procrastination. Second, grit had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promoting lifestyle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Third, the mediating effect of gri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promoting lifestyle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was moderated by gender. In other words, it was found that men had a stronger mediating effect of grit than women. Based on these results, the role and importance of grit in the practice and maintenance of a health promoting lifestyle were discussed, and a way to practice health promoting behavior and coping with academic procrastination according to gender were sugges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