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삼이 정상산욕기 부인의 Human Prolactin분비에 미치는 영향

        정구윤(KY Chung),나종구(Rha CG),노영철(YC Roh),김승조(SJ Kim) 대한산부인과학회 1976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19 No.8

        저자들은 1975년 7월부터 동년 12월까지 가톨릭의대 부속 성모병원 산원을 방문한 34명의 산모와 정상 월경주기를 갖는 3명의 여성을 대상으로 방사면역 측정법을 이용하여 월경주기 에 따른 혈정 hPRL 및 hLH값의 변동을 측정하고 인삼 추출물과 스테로이드제제 투여가 혈 중 hPRL값에 미치는 영향과 유즙분비 억제효과를 관찰한 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정상 월경주기의 혈중 hPRL값은 난포기, 배란기 및 황체기에서 각각 20.85, 22.24, 27.43ng/ml로서 난포기, 배란기에 비해 황체기에서 유의하게 높음을 관찰하였다. 2. 정상월경주기의 혈중 hLH값은 난포기, 배란기 및 황체기에서 각각 26.12, 61.03, 28.24mIU/ml로서 배란기에 급상승함을 관찰한데 반해 월경주기에 따른 혈중 hPRL값은 분만 직전부터 산육 제 7일까지 각각 230.66, 179.0, 144.08, 122.0, 89.16, 81.91, 71.08, 55.91ng/ml 로 점차 하강됨을 볼수 있었다. 4. 인삼추출물 투여에 따른 산욕기 혈중 hPRL값은 산욕 제 3일에는 제 2군과 제 3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한 차로 감소되나 제 1군과 제 4군에서는 유의성을 발견할 수 없었다. 5. 스테로이드제제 투여에 따른 산욕기 혈중 hPRL값은 산욕 제 3일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 의한 차로 감소됨을 알 수 있었다. 6. 인삼 추출물을 투여한 군과 스테로이드제제 투여군의 유즙 분비 억제효과를 비교 관찰한 바 스테로이드 제제 투여군에서 인삼추출물 투여군에 비해아 더 현저한 억제 효과를 보였 다. 이상으로 저자들은 인삼이 산욕기 혈중 hPRL값의 감소를 초래함으로서 유즙 억제효과를 갖 고 있음을 관찰할 수 잇었으나 억제기전등에 관한 연구는 계속 해야할 과제라고 생각된다. 1. Mean serum hPRL levels of the 3 women with normal menstrual cycle were 20.8ng/ml in the follicular phase 22.2ng/ml in the ovulatory phase, and 27.4ng/ml in the luteal phase. considerable flucuation was evident in the luteal phase, where the mean serum hPRL was observed to be statistically higher than the mean follicular and ovulatory phse levels. 2. Mean serum LH levels of the same 3 women were 26.1 mIU/ml in the follicular phase, 61.0mIU/ml in the ovulatory and 28.2 mIU/ml in the luteal phase. It was also observed that mean serum hPRL levels were not necessarily related with serum hLH levels in each phase except ovulatory phase with reciprocal relationship. 3. Mean serum hPRL levels of 6 normal pregnant women in the first stage of labor 23.6 ng/ml from wihch gradwally decresased to 179.0, 144.0, 122.0, 89.1, 81.9, 71.0, 55.9 ng/ml for the first 7 postpartum days respectively. 4. Mean serum hPRL levels of group II and III after Korean gineseng administration on the 3rd postpartum day were sigh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Mean serum hPRL levels of group I and IV did not show any sighnificant deviation from those of the control group. 5. Mean serum hPRL levels on the after steroid adminstration 3rd postpartum day were sigh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6. Breast engorgement was much more suppressed considerable after steriod administration than after ginseng administration.

      • KCI등재

        임신성 융모성질환의 치료관리의 최신지견

        정구윤(KY Chung) 대한산부인과학회 197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22 No.1

        융모성 질환의 원인론, 임상경과 및 치료반응의 면역학적 역활(거부반응)에서 볼 때에 이 질환이 태아조직에 유래하며 따라서 이식항원(HLA)의 반을 조절하는 유전인자는 남편에서 유래되므로 이론적으로 면역반응(거부반응)이 종양특이 이식항원(tumor specific transplantation antigen)뿐 아니라 조직 적합항원(histocompatibility antigen)때문에도 생길 가능성이 있다. 그러므로 임신성 융모성 질환이 화학요법제에 치료가 잘되는 이유로서 이러한 면역적 거부반응과 화학학요법제 자체의 효과(oncolytic effect)때문이라고 논의 되어 왔으며(Hertz들, 1961) 융모성질호나 환자와 태아간의 적합성이 이 질환의 원인, 임상과정 또는 치료에 미치는 영햐을 찾아내기 위하여 환자의 자손과 남편의 이식항원에 관하여 많은 연구가 시도되어 왔다(조봉춘들 1978, Klouda들 1972, Lewis와 Terasaki 1971, Mittal들 1975, Mogensen과 Kissmeyer 1968). 그러나 현재까지의 연구결과는 이 질환의 원인면이나 예후에 있어서 조직적합성과 관계가 없음이 시사되고 있고 한편 남편항원(paternal antigen)에 관한 모계면역내성(maternal immunologic tolerance)이 생긴다는 설이 대두되고 있으며 이 영역은 앞으로 더 추구되어야 할 과제이다.

      • KCI등재

        임신중 무증후성 세균뇨

        정구윤(KY Chung),김영환(YW Kim),권오석(OS Kwon),김영근(YG Kim) 대한산부인과학회 1971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14 No.3

        저자들은 만삭임부 150예를 대상으로 무증후성세균뇨의 빈도를 조사하고 임상적으로 간편한 screening method의 신뢰도를 확인하였고 이들을 관찰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150예의 만삭임부중 무증후성세균뇨는 16명(10.6%)이었다. 2. Griess test양성은 16예로써 신뢰도는 81%였다. Griess 가음성은 3예로 19%였고 가양성은 3예(19%)였다. 3. Modified Griess test 양성은 18예로써 신뢰도는 94%였다. Modified Griess test 가음성은 1예 (6%)였고 가양성은 2예(17%)였다. 4. 무증후성세균뇨의 균주는 Escherichia coli가 81%로 제일 많았다. 5. 무증후성세균뇨의 16예의 연령은 24세 내지 34세였고 초산이 10예였으며 혈압은 임신중독증 1 예를 제외한 전부가 정상치였다. 6. 무증후성세균뇨 16예에서 조산은 1예로 6.3%였고 대조군에선 12예로 9%였다. 7. 무증후성세균뇨 16예중 뇨로감염증의 과거력을 가졌던 예는 3예(19%)였고 분만후 3개월내 발 생한 뇨로감염증은 신우염 1예를 포함한 4예로 25%였다. 8. 뇨로감염증을 보인 4예를 제외한 무증후성세균뇨 12예 중 1예는 분만 2개월 후 자연치유 되었 다. The clinical significance of asymptomatic bacteriuria was in the coincidental complication of pyelonephritis during the course of pregnancy and puerperium and also in the prevention of prematurity and progressive renal damage. We have studied the incidence of asymptomatic bacteriuria of 150 term pregnancies by means of bacterial colony count and screening method such as Griess test and Modified Griess test which is simple and highly reliable. We also studied the asymptomatic bacteriuria related to age, parity, blood pressure, pyelonephritis, prematurity and spontaneous healing. The results were as follow: 1. The incidence of asymptomatic bacteriuria among 150 term pregnancies was 10.6% (16 cases). 2. The positive Griess test was seen in 16 cases and it`s reliability was 81%. Griess false negative was seen in 3 cases (19%) ans false positive was seen in 3 cases (19%). 3. Positive modified Griess test was seen in 18 cases and it`s reliability was 94%. Modified Griess false negative was seen in 1 case (6%) and Modified Griess false positive was seen in 2 cases (17%). 4. The most predominant organism was E. coli. with an incidence of 81%. 5. The age distribution was from 24 to 34. Primiparas were 10 cases among 16 cases. The 16 cases except 1 preeclampsia showed normal range of blood pressure. 6. The incidence of prematurity was 6.3% among the asymptomatic bacteriurics compared with 9% in the control group. 7. 3 cases (19%) revealed past history of urinary tract infection. 4 cases (25%) showed an evidence of urinary tract infection on the 3rd month of postpartum and 1 case of them showed typical pyelonephritis. 8. Spontaneous healing occurred in 1 case on the second month of postpartum.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