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단위 행태>unit attitude: 화이트헤드 철학에 기반한 새로운 사회학적 응용 개념 연구

        정강길 ( Kang Gil Jeong ) 한국화이트헤드학회 2008 화이트헤드 연구 Vol.17 No.-

        본 논문은 화이트헤드의 유기체 철학에 기반한 <새로운 사회학> 구상에 있어 그 기초 핵심 개념으로서 쓰일 수 있는 <단위 행태>unit attitude에 대한 고찰을 중점적으로 담고 있는 글이다. 여기서 제시하고 있는 <단위 행태>는 인간 사회의 양태를 이해함에 있어서도 사회학적 지평에서 기본 단위 개념으로 쓰일 수 있도록 하였다. 인간 사회를 파악함에 있어 <사회>society라는 인류 공동체의 활동들을 형성하는 데에 있어 가장 기본적인 사회학적 지평의 원자적 단위를 나는 <단위 행태>unit attitude라고 부를 것이다. 화이트헤드의 현실적 존재가 형이상학적 지평이라는 존재론의 원자적 개념이라고 한다면, 본인이 제시하는 <단위 행태>는 화이트헤드가 말하는 형이상학적 사태를 그 기본 얼개로 이미 깔고서 인간 사회활동을 고찰하는 사회학의 지평에서 쓰일 수 있도록 마련해 본 창의적인 응용 개념에 속한다. 이른바 화이트헤드의 형이상학에 <사회학적 상상력>sociological imagination을 덧입혔다고 보면 되겠다. 그리고 이러한 단위 행태가 연속체를 이루면서 어떤 한 사람이라는 인격체를 형성하는 사태를 나는 <실재적 개인>real individuality이라고 부른다. 나 자신이 제시하는 <단위 행태>는 사회학에서 구조와 행위를 연결하는 핵심 용어로서 좀더 구체적으로 분석된 개념이라고 생각된다. 기존의 대부분의 사회학 연구들은 존재론과 우주론이라는 형이상학의 지평에까지 치밀하게 고찰되지는 못한 채로 정초된 점이 있는데, 그런 점에서 우리는 바야흐로 화이트헤드의 과정 형이상학에 기반한 채로 이를 새롭게 창조적으로 응용해보려는 <새로운 사회학>에 대한 그림들을 구상해볼 수 있다고 하겠다. 창조적 문명을 열어가는 화이트헤드 철학의 모험은 앞으로도 계속 될 것이다. This thesis is a writing containing study on unit attitude which can be used as a basic core concept in working on <New Sociology> based on Whitehead`s process philosophy. <Unit Attitude> suggested here can be used as a basic concept on the sociological horizon in understanding the mode of human society. I will call <Society>, which is atomic unit of the most basic sociological horizon in forming human being`s community, as <Unit Attitude>. While Whitehead`s actual entity is atomic concept of metaphysical ontology, <Unit Attitude> I suggest here is the most basic unit existence at sociology in forming human being`s society based on events in which actual entities react with each other. We can think that so called, <Sociological Imagination> is added to Whitehead`s metaphysics. And, this kind of unit attitude forms a continuum and makes up a person`s personality. I will call this event as <Real Individuality>. <Unit Attitude> is similar to habitus which connects structure and behavior suggested by P. Bourdieu, a France sociologist, but <Unit Attitude> is an analyzed concept in more detail than habitus of P. Bourdieu. The existing sociological studies have not been inquired to be laid up to the horizon of metaphysical horizon. In this respect, we can imagine new sociological theory based on Whitehead`s process metaphysics.

      • KCI등재

        불교철학과 화이트헤드의 과정철학은 어디서부터 갈라지는가? - 불교의 4대 학파와 화이트헤드 과정철학 간의 범주적 차이 문제

        정강길 ( Jeong Kang-gil ) 한국동서철학회 2021 동서철학연구 Vol.- No.99

        이 글은 화이트헤드의 과정철학과 불교철학 간의 범주적 차이 문제를 논한 글이다. 화이트헤드는 불교에 대해 “사람들은 내면으로 칩거하고 외계는 흘러가는대로 내맡긴다”고 봤을 만큼 도피의 종교로서 매우 각박한 평가를 내린 바가 있다. 화이트헤드는 불교에 대해선 무지했던 것일까? 양자 간의 비교 연구들은 지금까지 대부분은 대승불교와의 비교 고찰에 집중된 점이 있어왔지만, 이 글에선 대승불교의 형성 이전인 아비달마불교 시절, 소위 불교 4대 학파로도 알려진 ①설일체유부와 ②경량부 그리고 대승 불교의 두 핵심 기둥인 ③유가행파와 ④중관학파와의 철학적인 범주의 비교에 주목한다. 여기서 화이트헤드의 유기체적 실재론은 <외계 실재성>을 인정하는 원자론에 속한다는 점에서 대승불교보다 오히려 소승으로도 폄하됐던 ①설일체유부와 ②경량부불교사상의 틀에 좀 더 가깝다고 본다. 우선 대승불교에선 실재로서의 극미론, 즉 불교의 원자론을 버렸었지만 적어도 ①설일체유부와 ②경량부 불교는 실재로서의 원자론을 폈다는 점에서 범주적 틀로서는 화이트헤드의 원자적 실재론에 좀 더 근접된다. 화이트헤드의 철학적 범주는 분명한 실재론에 속하며 관념론에 대해선 적극 비판하는 위치에 있다. 또한 화이트헤드의 원자적 생성 개념은 관계와 과정으로서의 실재이면서, 그것은 저마다 <환원불가능한 고유성>을 갖는다는 점에서 ③중관학파가 비판하는 실체론적 자성(自性) 개념에도 들어맞지 않는다. 또한 ④유가행파의 세친은 극미설에서 유방분(有方分)은 무한히 분할되는 문제가 있다고 봤었지만 화이트헤드의 과정철학에선 오히려 무한분할의 가능성을 반박하고 있다는 점에서 유식불교의 틀과도 들어 맞질 않는다. 반면에 실재로서의 극미설을 주장하는 ①설일체유부와 ②경량부와의 비교에 있어선 외부 대상에 대한 직접적 지각이 아닌 표상(表象)을 주장하는 경량부의 입장이 화이트헤드의 과정철학에 좀 더 가까운 것으로 본다. 따라서 적어도 철학적 범주로서의 비교에 있어선 화이트헤드의 철학이 경량부와는 더 가깝고 오히려 대승불교와의 간격 차이는 더 큰 것이어서 바로 그 지점에선 양자 간에 범주적 틀로서의 괴리가 발생된 것으로 여긴다. 특히 대승불교에 속하는 유식사상의 골격은 <마음 중심 불교>로의 전환에 매우 결정적이었다고 본다. 결론적으로 이 글에선 오히려 화이트헤드 과정철학을 통해 외계 실재성을 인정하면서도 비실체론적인 생멸하는 자성 개념의 모색과 최소 실재 단위로서 원자설을 다시금 새롭게 갖추어야 함을, 그리고 불교철학사에서 보면 이것은 경량부 불교 또는 적어도 그 당시 아비달마불교 시절의 치열했던 쟁론들을 다시금 적극 검토해야 할 것임을 요청한다고 볼 수 있다. This paper discusses the differences of philosophical categorization between Whitehead's process philosophy and Buddhist philosophy. This article focuses on the four major Buddhist schools―①Sarvāstivāda(說一切有部), ②Sautrāntika(經量部), ③Yogācāra(瑜伽行派), ④Mādhyamika(中觀學派)― during Abhidharma Buddhism period, which was before the birth of the Mahāyāna Buddhism. Here, Yogācāra and Mādhyamika are the two core pillars of Mahāyāna Buddhism. However, they do not accept the reality of the external world. On the other hand, Whitehead's process philosophy is metaphysical atomism that accepts the reality of the external world, like Sarvāstivāda and Sautrāntika. Whitehead argued that “the ultimate metaphysical truth is atomism,” and there is a theory of paramāṇu(極微) in Sarvāstivāda and Sautrāntika, but not in Mahāyāna Buddhism. In this regard, Whitehead's process philosophy is categorically far from Mahāyāna Buddhism and closer to Sarvāstivāda and Sautrāntika. Also, the atomistic reality in whitehead philosophy has irreducible uniqueness, and it is non-substantial and relational. He called it “actual entity” or “actual occasion.” In whitehead philosophy, actual entities are merely becoming and perishing, and do not change. Therefore, this does not belong to the concept of substantialistic self-nature(自性) that Mādhyamika criticizes. And Vasubandhu(世親) of Yogācāra assumed that the paramāṇu(極微) would be infinitely divided. This is similar to Zeno's paradox, who assumes time and space can be divided indefinitely. According to Whitehead's claim, Zeno illegitimately assumes this infinite series of acts of becoming can never be exhausted. But Whitehead said, there is no need to assume that an infinite series of acts of becoming, and saw it as nothing but a mathematical error. Nāgārjuna(龍樹) of the Mādhyamika never considered self-nature(自性) as only becoming and perishing, and Vasubandhu had no doubt about his own assumptions that paramāṇu(極微) would be infinitely divided. Among Sarvāstivāda and Sautrāntika that accepted the reality of the external world, I think, Whitehead's process philosophy is closer to Sautrāntika, because paramāṇu(極微) of Sautrāntika, like Whitehead, only becoming and perishing. But Sautrāntika is still an untrodden area. In conclusion, Sautrāntika is categorically the most similar to Whitehead's process philosophy. However, Buddhism is still in the making.

      • KCI등재

        리기지묘(理氣之妙)의 묘(妙)를 해명하기 - 율곡 리기론(理氣論)의 과정 원자론적 분석 -

        정강길 ( Jeong Kang Gil ) (사)율곡연구원 2021 율곡학연구 Vol.45 No.-

        이 글은 율곡 성리학의 理氣之妙의 妙에 대한 과정 원자론적 분석의 해명을 시도한다. 여기서 ‘妙’의 의미는 理氣 문제에 대한 해답이 아닌 여전히 풀어야 할 과제의 의미로 접근된다. 퇴계의 互發說을 거부했던 율곡은 理通氣局 氣發理乘의 구도를 제시하면서 理氣妙合을 언급했었지만 정작 그 ‘妙’에 대한 구체적인 분석과 해명에까진 이르지 못했던 미완의 작업인 한계도 함께 있어 왔다. 따라서 본 논문에선, 율곡을 통해 理氣 이해를 좀 더 새롭게 정립해봄으로써 ‘妙’의 해명을 모순이 아닌 정합성을 구하는 데에 중점을 두고 있다. 먼저 율곡의 氣 이해와 관련해선, 하나의 氣[一氣]에 대한 화담과의 입장 차이에서 그 실마리를 얻어 율곡의 구도를 새롭게 본 것인데, “一氣長存”을 주장했던 화담은 <하나의 氣>를 <실체>substance로 이해한 반면에 율곡은 부단한 <과정>process으로서 이해한 차이를 보였었다. 그에 따라 이 글에선 과정 원자론적 이해의 접근이 시도되지만, 이것은 율곡의 주요 핵심 명제들을 훼손하지 않으면서도 오히려 율곡 사상의 그 독창적 면모를 더욱 분명하게 해주는 방향으로서 제안된 것이다. 그리고 율곡의 理 이해와 관련해선, <無爲로서의 理>와 <主宰로서의 理>가 어떻게 서로 모순 없이 정합적일 수 있는 지에 대해서도 <作俑因과 目的因으로서의 理> 이해를 제안하여, 이것은 <所以然으로서 의 理>와 <所當然으로서의 理> 이해에 대해서도 각각 상응된다고 본 것이다. 여기선 이러한 해석적 적용을 통해 다시 心是氣의 율곡 理氣論의 밑그림을 그려봤었다. 결론적으로 학계의 엇갈린 기존의 평가들에선 주로 <주자학>과 <지각설>이라는 과거 전망의 프레임으로 보는 관점들이 쟁론화되곤 했었는데, 이 글이 채택한 입장은 그와 또 다른 대안의 방향에 있었던 것으로 본다. 즉, 퇴ㆍ율 모두 주자학에서 출발하더라도 퇴계가 주자의 진의에 좀 더 가까웠다고 본다면, 율곡은 그러한 주자마저 돌파하려는 새로운 모험의 첫 닻을 올렸던 것으로 보는 것이다. 단지 율곡의 작업이 미완으로 끝난 한계로 인해 이를 모순으로 바라보는 시각도 있긴 했었지만, 한편에서 보면 율곡의 작업은 더 큰 성리학의 그림을 향해 나아간 것으로도 볼 수 있는 것이었다. 이 글이 율곡학을 <21세기 성리학>을 위한 어떤 새로운 전환과 발판이 될 수 있다고 보는 이유도, 사실상 理氣之妙의 妙를 풀어내는 작업 자체부터가 理와 氣를 논하는 유가철학사의 논의 전체를 새롭게 관통해볼 수 있다고 본 점에 연유한 것이다. This article attempts to explain of myo(妙) in Li-ki-ji-myo(理氣之妙) of Yulgok’s thought. The relation between Li(理) and Ki(氣) in Yulgok’s theory is still vague, Yulgok only wrote it was subtlely combined. In other words, Li-ki’s mysterious unity was called Li-ki-myo-hap(理氣妙合). In this article, I tried to explain as a process-atomic perspective. First of all,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Hoadam(花潭) and Yulgok’ views on Ki. Hoadam insisted that a single-ki(一氣, il-ki) endures for a long time(一氣長存, il-ki-zang-zon). Hoadam (花潭) was understood the single-ki(一氣, il-ki) as a enduring substance. Yulgok, on the other hand, understood Ki as a process. This article suggests to understand single-ki as a single atom. Also, I regard the past world as a Li. Because it is no longer the actuality. Rather, Ki is actuality and Li is potentiality. Secondly, this article suggests that Li be understood as efficient causation and final causation. I suggest that Li as a Being(所以然, so-yi-yeon) is efficient causation, and Li as a Oughtness(所當然, so-dang-yeon) is final causation. The Being(所以然, so-yi-yeon) corresponds to the results left by Li as past world. And the Oughtness(所當然, so-dang-yeon) is potential, but it corresponds to the direction of purpose. Yulgok is schematized to Li-tong-ki-kuk(理通氣局) and Ki-bal-li-seung(氣發理乘) based on this view. In conclusion, the ultimate academic direction of Yulgok’s thought are positioning in the process-atomic perspective―this is another position that is neither frame of Zhuzi's thought(朱子學) nor the theory of reflective consciousness(知覺說). Although the work of Yulgok was incomplete, it was the first anchor of creative adventure in Neo-Confucianism.

      • KCI등재

        “人能弘道 非道弘人”에 대한 非본체론적 道 이해 - 과정으로서의 道와 眞理에서 進理로 -

        정강길(Jeong, Kang-gil) 영남퇴계학연구원 2021 퇴계학논집 Vol.- No.29

        이 글은 『論語』의 「衛靈公」편에 언급된 “人能弘道 非道弘人”에 대한 뜻을 현대에서 새롭게 재해석한 하나의 제언이다. 특히 해석의 쟁점은 道가 사람을 크게 넓힐 수 없다고 봤던 공자의 道 이해에 있다. 이에 대한 기존 해석에선 주로 인간의 주체적 능동성과 道體의 無爲性을 내세웠지만 여전히 유학자들 사이에서도 정리되지 못한 불분명한 지점도 있어왔다. 본 글에선 우선 古注에 해당하는『論語注疏』를 비롯해 송대 신유학을 대표하는 주희의 『論語集註』 해석과 그에 맞선 反주자학적 성격의 오규 소라이의 해석 그리고 앞선 논의들을 검토한 바 있던 다산 정약용의 『論語古今註󰡕까지 대표적으로 살펴보면서 이 글은 그와 또 다른 현대의 해석을 제안해 본 것이다. 각각의 상이한 해석들이 있긴 해도 주희와 다산의 해석은 사실상 크게 다르지 않은 점도 있는데, 주희의 道體論에서도 볼 수 있듯이 기존 유학을 비롯한 동양의 道 이해에는 <본체론적인 道> 이해가 암암리에 있어왔다. 주희는 정이천의 해석을 계승해 공자의 “逝者如斯夫 不舍晝夜”를 道體로 해석했다. 이러한 <본체론적 道 이해>의 틀에서 보면 결국 儒家의 道 이해도 佛家와 道家의 체용론적 도식을 온전히 탈피하진 못하고 도리어 유사해진 것으로 남게 된다. 이 글에선 그와 달리 <본체-현상의 이원적 구도>를 폐기하고 오직 <흐름의 과정>만이 있다고 볼 뿐인, <非본체론적 道 이해>를 제안한다. 이 같은 관점에서 보면 道는 본체도 아니며 궁극적 시원이나 절대적 근거도 아닌 단지 <과정으로서의 道>일 뿐이다. 그것은 다함께 계속해서 만들어가는 길[道]이다. 따라서 “人能弘道 非道弘人”에 있어 주희의 ‘道體無爲’ 같은 해석은 불필요해진다. 왜냐하면 공자의 道 이해에선 변화하는 현상의 이면에 자리하는 어떤 <본체로서의 道>를 상정할 필요가 없이 오직 <부단한 과정들>만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즉, 이러한 <非본체론적 道 이해>에선 천하에 道가 있기도 하고 또 없기도 한 것이다. 그럼에도 공자의 道 이해에선 상대주의의 함정에도 빠지지 않는 <非본체론적 道 이해> 역시 얼마든지 가능한 것이었고, 이것은 본체(또는 본질, 본래성)의 우위를 주장하는 기존의 진리관에 대해서도 오히려 <眞理에서 進理로의 전환>을 주장한 것으로도 볼 수 있다. 결론적으로 이 글은 공자의 道 이해를 해석함에 있어 기존 동양사상의 본체-현상의 구도에서 보는 道가 아닌 그와 또 다른 성격의 <非본체론적 道 이해>의 가능성을 모색한 것이며, 현대 사상사의 맥락에서 21세기 유학의 지형적 스펙트럼을 좀 더 넓게 확장하려는 작업의 일환으로 시도된 것이다. This article attempts to explain of In-nyung-hong-do Bi-do-hong-in(人能弘道 非道弘人) that Confucius claimed in the Analects. In-nyung-hong-do Bi-do-hong-in(人能弘道 非道弘人) means ‘people can develop the Dao(道) while the way cannot develop people.’ In the history of the Confucian philosophy, there have been various interpretations of this phrase in the Analects. Specifically, about Bi-do-hong-in(非道弘人), Zhu-xi(朱熹) interpreted this phrase as Do-che-mu-wi(道體無爲). This means that the Dao is inactive and people are active. Then, what is the Do-che(道體) that Zhu-xi claimed? On the other hand, the Analects has the following phrases; “Seo-za-yeo-sa-bu Bul-sa-zu-ya(逝者如斯夫 不舍晝夜).” This is what Confucius said standing by a stream. It passes on just like this, not ceasing day or night! Here, Zhu-xi interpreted Confucius words as Do-che(道體). In the hermeneutic framework of Zhuzi s thought(朱子學), Dao is understood under of Substantialism(本體論) perspective. Zhu-xi believes that eternal Dao lies behind the changing phenomenon. Zhu-xi regarded it as substance(本體). In other words, Zhu-xi understands the world with a dual schematic of the Dao as substance and phenomenon as change. But, Confucius only sees this as a passing process. Confucius view of Dao is far from a substantive outlook. Dao of Confucius is processive and pluralistic. It is Dao in the Making with all everybody . This does not assume dual schematic of substance-phenomenon. Therefore, Confucius understanding of the Dao originally is different from Zhu-xi. This article argues that Confucius understanding of the Dao is basically non-Substantialism perspective. Confucius seeks to understand the progressive truth(Jin-ri, 進理) by making it together, not the eternal truth(眞理) . Many truths claim to be eternal and immutable truths. In practice, what is called truth can advance or regress our lives. Among them is the truth that regresses our lives. In this article, it called Te-ri(退理). Confucius said, “To make a mistake and not correct it: this is a real mistake.” Even truth can lead to many mistake and tragedy. Confucius focus is on improving it better. In this article, it called Jin-ri(進理). For this reason, Confucius understanding of the Dao also overcomes the limitations of relativism. In conclusion, this article suggests that Confucius view of the Dao is non- Substantialism perspective, and in the making.

      • 통섭에서 몸섭으로 -홀로니즘과 몸학의 몸섭에 대한 고찰

        정강길 ( Kang Gil Jeong ) 한국화이트헤드학회 2015 화이트헤드 연구 Vol.30 No.-

        이 글은 필자가 수행하는 몸학 연구의 연장선상에서 나온 글이다. 몸학은 화이트헤드의 유기체적 세계관을 사유의 가장 궁극적인 기초 배경으로 삼고서 이를 몸의 현실에 응용해보고자 하는 하나의 시도에 해당한다. 여기서 말하는 몸은, 영어의 신체(body)로 번역되는 한글말 이지만, 원래 우리말의 몸이라는 의미에는 물질과 정신이 결합된 차원을 내포하고 있다. 본래 이원론적인 의미가 아닌 것이다. 본 연구에서 소개하고 있는 홀로니즘 개념은 개체 분석 수준과 동시에 전체 및 부분을 통합하는 통합적 접근법을 내포한다. 이것은 전체성과 개체성을 모두 포괄하는 핵심 개념에 속한다. 여기서는 이를 <전개체성>으로 명명하고 있다. 또한 몸학은 통섭 대신에 몸섭 개념을 제안한다. 우리는 모든 개별 학문들을 몸을 통해 섭렵하고 있다. 몸학에서 보는 우리의 몸은 온갖 관계들로 구성되어 있다. 그런 점에서 몸섭 개념을 통해 개별 전문 영역에 갇혀 있는 현재의 여러 분과 학문들을 새롭게 조망해보자는 것이다. <몸섭>은 다양한 분과 학문들 간의 만남과 교차가 일어나는 진정한 통합적 크로스오버의 사건이자 큰 줄기가 될 만한 결절점을 의미한다. 알고 보면, 우리가 배우고 익히는 모든 학문과 지식들은 결국 몸을 위한, 몸에 의한, 몸에 관한 학문들이기 때문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conception of the holonism and Mommsub. This paper is on the continuation of Mommics research. Mommics is proposed as an attempt that characteristics of integral thought of Whitehead`s philosophy applied to Momm`s life. ‘Momm’ is in the Hangul. However, the original meaning of the Korean combined with physical and mental unity means. Momm is not a dualistic meaning that divided the human body and mind. Holonism is an integral approach to looking at the level of analysis, acknowledging and integrating simultaneously the whole and the part. Holonism means the conception to including both of wholeness and individuality. And also, Mommics suggests Momm-sub concept, not ‘consilience’. And, we learn every subfield of science with Momm. Mommsub is considered to be a study regarding relation-tier which composes our Momm as well. It should be recalled that Momm-sub and studies can be carried out under integral perspective of study by Momm, for Momm and of Momm.

      • 지금 여기 인간으로서 "살아있음"의 의미: 화이트헤드의 생명 이해와 몸학의 관점에서

        정강길 ( Kang Gil Jeong ) 한국화이트헤드학회 2016 화이트헤드 연구 Vol.32 No.-

        이 글은 화이트헤드 철학의 생명 이해와 몸학의 관점에서 현재 몸삶의 층위를 진단하고, 지금 여기의 인간으로서 살아있음의 의미에 대해 고찰해본 글이다. 21세기에서 보는 진단은 화이트헤드 이후에 새롭게 제기된 시대의 흐름들도 함께 반영해야 할 것이고, 또한 몸학에서 말하는 몸삶의 층위에 대해선 물리적인 신체형성, 생활관계, 세계사회, 형이상학 그리고 신과의 관계라는 순서로 현재에 대한 진단을 시도하고 있다. 이 현재에 대한 진단을 통해 피로로 떨어지는 쇠퇴의 길과 활력을 주는 진보의 길을 모색해 보고자 한 것이다. 그리고서 살아있음을 저해하는 피로한 쇠퇴의 길을 극복하기 위하여 필자가 구상한 몇 가지 대안적인 제안들도 함께 시도하고 있다. 무의식과 의식간의 상호 관계 제시, 기본사회 개념, 현재에 대한 관찰로서의 몸 수행 정도가 바로 그것이다. 그리고 최종적으로는 화이트헤드 형이상학이 진화하는 문명사회에 활력을 줄 수 있는 건설적인 철학이 될 수 있다고 보면서도 이에 대한 창조적 응용으로서의 다양한 모험이 우리의 몸삶 속에 실현되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In the articles, I would like to discusses the levels of human-life with Whitehead’s Metaphysics and Mommics`` view. [Mommics is the study of Momm, which is the nexus of all the relations existing in the universe. ‘Momm’ is a Korean word, which can best be translated as ‘a human body’ in English. However, the two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hat Momm includes both the physical and the mental aspects of human being, directly denying the dualistic understanding of existence.] And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hink about the meaning of ‘aliveness’ as human being of here and now. Consideration of 21th century’s perspective ought to apply after Whitehead happens new issues. Also I try to diagnose about the levels of Momm-life; it is sequentially body-making, daily-life relationship, world-society, metaphysics, and relations with God. I will suggest from the way of fatigue to the way of vigorous progress through Whitehead’s philosophy and Mommics’s view. I propose several alternatives ; the advisable relationship between consciousness and unconsciousness, notion of basic society, Momm-meditation through present observing. Consequently, I think so that Whitehead’s metaphysics made important statements on the social progress of ‘aliveness.’ In the sense of I think that Whitehead’s philosophy is alternative thought. And this paper emphasize art and adventure of creative applications for the our Momm-life. In this case, we feel alive.

      • 니체, 화이트헤드, 로티의 플라톤 넘어서기 비교: 반플라톤과 탈플라톤에서 실험 합리주의로

        정강길 ( Jeong Kang-gil ) 한국화이트헤드학회 2017 화이트헤드 연구 Vol.34 No.-

        널리 알려져 있듯이 플라톤의 철학은 지금까지의 서양철학의 기본적인 토대로서 자리해 왔었다. 그 점에서 화이트헤드는 서구 철학사가 플라톤 철학에 대한 일련의 각주로 이루어져 있다고 얘기한 바도 있다. 그러나 현대 철학에서는 그와 다르게 플라톤 철학에 대한 반대와 탈피의 시도들이 있었고, 그런 점에서 20세기 철학사는 대체로 반형이상학과 탈형이상학이 주된 흐름이었다. 그러나 화이트헤드의 철학적 입장은 그 같은 현대 철학의 주요한 사조와는 동떨어진 것이었다. 오히려 화이트헤드 철학에서는 플라톤에 대한 찬사와 적극적인 검토가 있었고, 그에 따라 철학의 합리주의적 기획을 결코 버리지 않았으며, 형이상학에 대해서도 철저한 옹호의 입장을 보였었다. 이 글은 서구 철학사에 있어 기본 토대에 해당하는 플라톤 철학을 놓고서 이에 대한 대응적 입장들의 대표격에 해당하는 3명의 철학자를 소환해서 비교한 글이다. 우선 뒤집어놓은 플라톤이라는 반플라톤의 입장에는 니체를 그리고 반표상주의와 신실용주의를 주장한 탈철학의 로티를 불러와서는, 이 둘에 비해 거의 친플라톤적인 입장이라고 할 만한 화이트헤드의 철학적 입장과 비교하고 있다. 그리고 이 비교에 있어서는 플라톤 이래로 철학사에서 진리를 추구하고자 하는 합리주의적 기획을 어떻게 볼 것인지에 좀 더 초점을 맞추고자 했었다. 필자의 결론은 서구 철학사에 있어 플라톤이 표방했던 철학의 합리주의기획 자체에 반대해야 한다거나 철학이 이를 탈피해야 한다는 입장보다는 오히려 화이트헤드가 표방한 입장이야말로 <실험 합리주의>라는 점을 밝히면서 이러한 방향에서 철학이 지닐 수 있는 과잉 주장과 독단적 확실성을 경계하는 가운데 철학의 모험 곧 창조적인 실험으로서의 지위를 잃지 않는 철학의 필요성을 역설함이 중요하다고 본 것이다. Plato`s philosophy has been as the foundations of Western philosophy. According to Whitehead, western philosophy consists of a series of footnotes on Plato philosophy. But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philosophy is opposition and ecdysis of Plato`s philosophy. The main stream of 20th`s western philosophy was mainly anti-metaphysical and post-metaphysical. On the other hand, Whitehead`s philosophical position was far removed from the trend of modern philosophy. In his philosophy there was compliment and positive review of Plato`s philosophy. He never did not abandon hope of rationalism in the philosophical working. Rather, Whitehead was an advocate for metaphysics`s working. This paper draws on three philosophers regarding the acceptance of Plato`s philosophy, and then critically compare them. First there is Nietzsche against Plato, the second was to set up Richard Rorty who has asserted Anti-representation and Neo-pragmatism, and compare with Whitehead`s philosophical view. In particular, this article focuses discussion on rationalism of philosophy. In conclusion, philosophy is that it can not leave the rationalism of philosophy has been discussed since Plato. Unlike Nietzsche and Rorty, Whitehead pioneered a new route of philosophy. I call it `experimental rationalism.` We need to guard overstatement of philosophy and dogmatic certainty. At the same time, we need the adventure of philosophy with a status of creative experimentation.

      • <믿음 모델>에서 <모험 모델>로의 신앙 구조 전환: 화이트헤드의 종교론을 통해서 본 21세기 종교 변혁의 방향

        정강길 ( Jeong Kang-gil ) 한국화이트헤드학회 2018 화이트헤드 연구 Vol.36 No.-

        이 글은 화이트헤드의 종교 이론에 근거하여 21세기 종교 변혁의 방향을 모색한 시도에 속한다. 그러한 방향의 한 가지로, 이 글에서는 ‘믿음 모델’에서 ‘모험 모델’로의 신앙 구조의 전환을 제안하고 있다. 화이트헤드는 그 자신의 종교 진화 이론에서 습행(의례), 감정, 믿음, 합리화라는 4가지 단계를 언급했었는데, 그에 따르면 종교의 진화는 결국 믿음 단계에서 ‘합리화’의 단계로 나아가는 것으로 언급된다. 이 합리화의 단계에서는 ‘세계의식’에 눈뜨게 되고 ‘본질적 정당성’을 추구하기에 이른다. 즉, 화이트헤드가 말한 이 세계의식에 있어서는 사물들의 ‘본질적 정당성’이라는 개념이 생겨난다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종교 신앙의 구조에 있어서도 믿음 모델에서 합리화에 걸맞는 새로운 신앙 구조 모델로의 전환이 요구된다고 보고 있다. 여기서는 이러한 신앙 구조를 '모험 모델'로 명명한 것이며, 이것은 종교의 진화 과정에 있어 합리화의 단계에서 요구될 수 있는 신앙 구조로서 제안된 것이다. 합리화의 단계에서는 종교, 철학, 과학이 서로 양립 가능한 3자 소통의 관계를 지향할 필요가 있겠는데, 그러한 공유 가능한 정당화의 기본 형식으로서 본 글에서는 귀추법(가추법) 형식을 언급하고 있다. 모험 모델은 바로 이 귀추법이 보여주고 있는 정당화의 형식을 채택한 신앙 구조에 해당한다. 이것은 기존 믿음에 대한 해체도 집착도 아니면서, 오히려 더 큰 믿음을 위한 성장을 추구하는 데에 있는 열린 과정으로서의 종교 신앙 구조를 말한다. 이런 점에서 ‘모험 모델’의 신앙 구조는 21세기 종교 변혁을 위한 시도로서 신앙 구조의 전환도 함께 필요하다고 본 것이다. This article is based on Whitehead's religious theory, seeking the direction for religious transformation. As an attempt in that direction, this paper proposes a transition from 'belief model' to 'adventure model'. Whitehead describes the stages of religious evolution as four steps : ritual, emotion, belief, and rationalization. In Whitehead's religious thought, religion evolves from the stage of belief to the stage of rationalization. We meet the world-consciousness in the stage of rationalization and pursue essential rightness. Because of the world-consciousness rises to the conception of an essential rightness of things. If so, we can not stay in the stage of belief. We need a faith structure of 'adventure model' that is appropriate for 'rationalization' stage. Religion, philosophy and science must have a common form of abstraction in order for them to be compatible. This article suggests a form of justification of retroduction(abduction). The 'adventure model' is formulated the structure of religious faith as application of it. This is not the dissolution of faith but the growth for better faith. The 'adventure model' was proposed as an attempt for religious transformation in the 21st century.

      • 몸학, 화이트헤드 철학의 몸삶 적용 이론 탐구 -전인적이고 통전적인 몸 이해 모색-

        정강길 ( Kang Gil Jeong ) 한국화이트헤드학회 2013 화이트헤드 연구 Vol.26 No.-

        ‘몸학’이란 몸에 대한 연구를 일컫는 신조어이다. 몸학에서 말하는 몸은 신체와 동의어가 아니며, 신체를 포함해서 온우주와 맺고 있는 모든 관계들의 결합체를 몸으로서 이해한다. 몸이 있고서 관계를 맺는 게 아니라 오히려 관계 자체가 몸을 구성한다고 보는 것이다. ‘몸’이라는 단어는 우리말이지만, 본래 뜻은 신체와 정신이 결합된 통일체를 뜻한다. 신체와 정신을 분리시켜 이해하는 이원론적인 의미가 아니다. 그리고 몸학은 관계와 과정을 중요시한 화이트헤드의 유기체 철학을 사유의 가장 궁극적인 기초 배경으로 삼고 있다. 몸학에서 말하는 몸은 온우주와 맺고 있는 모든 관계들의 결합체로서 크게 5가지 유형의 관계층으로 이루어져 있다고 본다. 그것은 신체형성의 관계층, 생활형성의 관계층, 세계사회형성의 관계층, 형이상학형성의 관계층, 한울(신)과의 관계가 바로 그것이다. 이는 각각 약어로 B층, L층, W층, M층, G층으로 표현된다. 우리의 몸은 이러한 5가지 주요 관계층들의 결합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몸학은 몸의 통할적인 중추 작용을 담당하는 <몸얼>Momm-eol을 언급한다. 몸얼은 기존 담론의 자아, 마음, 의식, 영혼, 인격, 영 등등 이러한 개념들과도 그 뜻이 중첩될 수 있는 흡사한 점이 있다. 하지만 이원론적 의미는 결코 아니다. 몸얼은 몸의 수렴점이자 발산점으로서 몸 전체에 기반된 채로 매순간마다 창발하는 몸의 정점에 속한다. 그리고 몸학은 통섭이 아닌 <몸섭>Momm-sub을 추구한다. 우리가 몸으로 배우고 익히는 학문 역시 우리 자신의 몸을 구성하는 그 어떤 관계층에 관한 연구로 보는 것이다. 몸섭은 모든 학문과 연구들이 결국은 <몸에 의한, 몸을 위한, 몸의 연구>라는 통합적 전망 하에서 수행된다는 점을 의미해준다. 이러한 몸학은 화이트헤드 철학의 통합사상적 성격을 몸과 관련해서 적용해본 하나의 응용 시도로서 제안된, 사유의 실험적 모험에 지나지 않는다. ‘Mommics’ is neologism that means study of Momm. Momm is the nexus of all the relations existing in the Kosmos. What underlies the ontology of Mommics is the assumption that existence does not precede relation (between what exist) but existence itself is relation. ‘Momm’ is a Korean word, which can best be translated as ‘a human body’ in English. However, the two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hat Momm includes both the physical and the mental aspects of human being, directly denying the dualistic understanding of existence. Mommics bases its theoretical framework on Whitehead`s organismic view of the world, in which relation and process play a crucial role in explaining the world. Momm consists of five different types of relational tiers: the body tier, the life tier, the world tier, the metaphysics tier, and the tier of God. Each tier is referred to B, L, W, M, and G tiers. In addition, Kosmommics refers to Momm-eol which plays a presiding central role of Momm. The meaning of Momm-eol overlaps with that of concepts like self, mind, consciousness, soul, personality, and spirit to a certain extent, but it is not dualistic in nature. It is the converging point and the diverging point of Momm at the same time. Also, it forms the substance of Momm, showing the property of emergence every moment. Through Mommics, every subfield of science (e.g. psychology, philosophy, politics, sociology, anthropology) can be naturally integrated into one in that all of them are about a certain tier of Momm. In this sense, the notion of consilience can be replaced by the notion of Momm-sub, which is the view that sees all the academic fields from the perspective of Mommi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