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저소득층 대학생의 대학생활 참여에 대한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의 관계에 대한 연구

        전희정(Heejung Ch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4

        본 연구는 적응유연성(resilience)이론에 기초하여 저소득층 대학생의 대학생활 참여에 간여하는 위험요인과 보호요인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경로모델을 검증하였다. 위험요인으로는 지각된 기회와 가족에 대한 책임이 선정되었으며, 보호요인으로 희망, 자연발생적 멘토링, 그리고 자기조절이 선정되었다. 경남지역에 위치한 한 대학에 재학 중인 117명의 저소득층 대학생이 본 연구의 연구참여자로 2018년도에 참가 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가정된 경로모델은 선정된 위험요인과 보호요인들 간의 관계를 적절하게 설명하는 모델로 지지되었으며, 이 모델은 대학생활 참여 변량의 32.7%, 자기조절 변량의 48.7% 그리고 희망 변량의 16%를 설명하였다. 보호요인에 대한 가정이 대부분 지지되었으며, 희망, 자연발생적 멘토링, 그리고 자기조절은 대학생활 참여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희망변인의 직접적, 간접적 효과가 지지되었으며, 자연발생적 멘토리의 간접적 효과 그리고 자기조절의 직접적 효과가 지지되었다. 반면, 위험요인에 대한 가정은 부분적으로 지지되었다. 소득 수준이 낮을수록 가족에 대한 책임은 증가할 것이라는 가정은 지지되었으나, 소득수 준과 가족에 대한 책임에 따라 지각된 기회의 정도가 다를 것이라는 가정은 지지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들은 저소득층의 대학생이 자신의 경제적 배경이나 가족에 대한 책임에 따라 자신의 미래를 예측하기 보다는, 경제적, 가정적 배경과는 독립 적으로 자신의 미래를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소득층 대학생의 대학참여의 위험요인과 보호요인 간 관계에서 있어 긍정적인 적응 양상과 부적응적인 적응 양상이 논의되었다. Adopting the resilience theory as the theoretical background, the current study addressed the dynamic processes of risk and protective factors associated with college engagement among low-income college students. The current study identified two risk factors (i.e., perceived opportunity & responsibility to family) and three protective factors (i.e., hope, naturally occurring mentoring, self-regulation) and proposed and tested a path model. One hundred eleven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who are from low-income family and enrolled in a college located in the Kyungnam province. The proposed model was supported to properly explain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identified risk and protective factors by explaining 32.7% of the variance in college engagement, 48.7% of the variance in self-regulation, and 16% of the variance in hope. The protective factors were supported to have positive effects on college engagement of both direct and/or indirect effects. However, the perceived opportunity was not supported to have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monthly income level. It looks that low-income college students do not envision their future corresponding to their economic level and family background. The current study discussed helpful ways to promote positive adaptation of low-income college students

      • KCI등재

        경쟁기반 학업의 심리적 경험 척도 개발과 타당화 연구

        전희정(Heejung Ch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3

        목적 본 연구는 학습자의 관점에서 경쟁기반 학업에 수반하여 나타나는 심리적인 경험을 측정하는 척도를 개발하고, 초기 타당도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방법 생태학적 발달이론과 사전연구에 기초하여 학생들의 심리적 경험을 측정하는 문항 66개를 생성하였다. 지방 광역시에 소재하는 두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두 번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첫 번째 조사에 380명이(2020년도), 두 번째 조사에 291명이 참여하여(2021년도), 총 671명이 참여하였다. 요인구조를 알아보기 위해 탐색적 및 확인적 요인분석을 수행하였다. 결과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에 따라 33개의 문항이 선택되었으며, 수정된 10 요인 모델이 최종 모델로 채택되었다. 이후 관련 변인인 능력기반 사회비교 경향성, 주관적 안녕감, 친구 관계와의 상관관계를 통해 공인타당도를 확인하였다. 더하여 도출된 각 요인은 양호한 문항 내적일치도를 보였다. 결론 최종 모델에 포함된 10 요인은 [자기효능감], [불편한 비교와 경쟁], [노력이 반영되지 않는 성적], [과도한 긴장감], [부정적 자아상], [자기집중], [진로에 집중함], [특혜와 차별], [불합리한 상대평가], [상대평가의 긍정성]을 포함한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개발한 척도의 의의와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기술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develop a scale that measures various psychological experiences of competition-based learning among high school students and to provide the initial validity of the scale. Adopting the ecological development theory and previous studies, the current study conceptualized and defined psychological experiences of competition-based learning. Methods Sixty six items were generated based on the previous study. The current study conducted surveys twice in which 671 high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380 from the first survey and 291 from the second survey). Results The current study conducted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to identify the factor structures, which resulted in the selection of 33 items and the modified 10-factor model as the final model. Further, concurrent validity was tested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s with relevant variables (i.e., ability-based learning social comparison tendency, subjective well-being, and friendship). Internal consistency was tested for sub-scale items and total items. Conclusions The 10 factors included in the final model are as follows: competition-based learning self-efficacy, distressful comparison and competition, grades not reflecting effort, excessive tension, negative self-image, self-focus, concentration on career path, privilege and discrimination, negative aspects of relative evaluation, and positive aspects of relative evaluation. Three factors address positive psychological experiences, four factors reflect negative psychological experiences, and three factors show positive and negative perceptions for relative evaluations. The current study discussed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 KCI등재

        학업사회비교 정서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전희정(Chun Heejung)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2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Festinger(1954)의 사회비교 이론과 Smith(2000)의 사회비교정서 이론을 학업상황에 적용하여 학업사회비교 정서 척도를 개발하고 초기 타당도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B 광역시에 소재한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396명이 일차 설문조사에 291명의 학생이 이차 설문조사에 참여하였다. 척도의 요인구조를 확인하기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이 수행되었다. 공인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해 관련 변인인 능력기반 사회비교 경향성, 주관적 안녕감, 친구관계와 학업사회비교 정서간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또한 학업사회비교 정서 척도의 신뢰도를 조사하기 위해 문항 내적일치도를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요인분석을 통해 도출된 네 요인 모델은 사회비교정서 이론이 제시하는 네 가지 범주의 사회비교 정서- 상향동화, 상향대조, 하향동화, 하향대조-를 반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련 변인과의 관계를 살펴보면, 우울, 분노, 질투의 정서를 포함하는 상향대조와 자부심, 경멸, 타인의 불행에 기뻐하는 정서를 포함하는 하향대조 정서는 능력기반 사회비교 경향성과 중간 크기의 정적 상관을 보였다. 희망, 고무, 감탄의 상향동화 정서는 주관적 안녕감과 친구관계와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걱정, 동정, 공감의 하향동화 정서는 친구관계와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각 하위요인과 전체 문항은 비교적 양호한 문항 내적일치도를 보여 척도의 신뢰도를 지지하는 자료를 제공하였다. 본 연구는 일상생활에서 학업과 관련해서 고등학생들이 빈번하게 경험하는 정서를 사회비교정서 이론에 근거하여 이해하고 측정할 수 있는 학업사회비교 정서 척도를 개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연구 결과에 관한 논의와 연구의 제한점 및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Adopting, Festinger’s social comparison theory(1954) and Smith’s social comparison- based emotion theory(2000), the current study sought to develop the learning social comparison-based emotion (LSCE) scale and provide initial validity of the LSCE scale. Two surveys were conducted in high schools located in the B metropolitan city in which 396 and 291 students participated. Using the independent samples, the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ere conducted, concurrent validity was examined in the relationships with ability-based social comparison, subjective well-being, and friendship, and internal consistency was examined. The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sulted in the four-factor model, which consisted of upward assimilative, upward contrastive, downward assimilative, and downward contrastive emotions. The upward contrastive factor including depression, resentment, and jealousy and the downward contrastive factor including pride, contempt, and schadenfreude had positive medium-size correlations with ability-based social comparison. The upward assimilative factor including hope, admiration and inspiration had positive correlations with subjective well-being and friendship. The downward assimilative factor including worry, pity, and sympathy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friendship. The internal consistencies of the four factors and the total items were adequate, which supported for the reliability of the scale. The current study developed a scale that measures social-comparison-based emotions in the context of learning, which was based on the social comparison theory. The current study provided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 KCI등재

        학습자중심 교수법의 효과에 관한 연구 : 고등학생의 창의력과 문제해결력을 중심으로

        전희정(Heejung Chun),원효헌(Hoy Heon Won),황희숙(Hee Sook Hwang),이정화(Jeonghwa Lee)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21 교육혁신연구 Vol.31 No.4

        연구목적: 본 연구는 학습자중심 교수법, 내재적 학습동기, 학습전략, 창의력, 문제해결력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구조모형을 검증하였다. 내재적 학습동기와 학습전략이 학습자중심 교수법과 창의력 그리고 문제해결력 간의 관계를 매개한다는 가정이 설정되었다. 연구방법: 11708명의 고등학생들이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전지역을 대표하는 기존의 표집자료를 사용하였다. 구조모형방정식 방법을 사용하여 가정된 모형을 검증하였으며, 가정된 간접효과를 붓스트렙 기법을 사용하여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연구결과는 가정된 모형을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정된 모형은 창의력 변량의 25.9%를, 문제해결력 변량의 39.6%를 설명하였다. 모형에 포함된 일곱개의 경로 중 여섯경로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내재적 학습동기에서 문제해결력으로 가는 경로는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내재적 학습동기와 학습전략은 학습자중심 교수법과 창의력 그리고 문제해결력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변인으로 지지되었다. 논의 및 결론: 연구결과는 학습자중심 교수법이 창의력과 문제해결력에 가지는 긍정적 효과를 입증하였다. 자기주도학습, 토론토의학습, 협력학습은 내재적 학습동기와 학습전략을 증가시키는 경향을 보였으며, 증가된 내재적 학습동기와 학습전력은 창의력과 문제해결력을 향상시키는 양상을 보였다. 연구결과에 대한 함의와 제한점이 논의되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test a structural model that explained the relationships among learner-centered teaching, intrinsic motivation, learning strategies, creative thinking, and problem solving. It was hypothesized that intrinsic motivation and learning strategies would medi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learner-centered teaching and creative thinking and problem solving. Method: A nationally representative existing dataset was utilized of which 11708 high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The structural equational modeling method was used to test the hypothesized model. In addition. the mediating effects of intrinsic motivation and learning strategies were tested using the bootstrapping method. Results: The results supported the hypothesized model by explaining 25.9% in the variance of creative thinking and 39.6% in the variance of problem solving. Among the seven paths in the model six paths were supported while one path from intrinsic motivation to problem solving was not supported. Intrinsic motivation and learning strategies were supported as mediating variables for the relationships between learner-centered teaching and creative thinking, and problem solving. Conclusion: The results evidenced the positive effects of learner-centered teaching on creative thinking and problem solving. It was revealed that the teaching methods of self-directed learning, debate/discussion, and collaborative learning are likely to increase intrinsic motivation and learning strategies, which in turn improve creative thinking and problem solving among high school students.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상대평가와 고등학생의 심리적 적응 유형: 잠재프로파일 분석의 적용

        전희정 ( Heejung Chun ) 한국청소년학회 2023 청소년학연구 Vol.30 No.2

        본 연구는 상대평가 제도하에서 학생들이 보이는 심리적 적응의 개인차를 가정하고 심리적 적응의 유형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더하여 심리적 적응유형에 따른 친구관계, 주관적 안녕감, 성적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부산에 거주하는 일반계 고등학교 2학년생 279명이 연구에 참여하였고, 경쟁기반 학업의 심리적 경험 척도를 사용하여 심리적 적응양상을 측정하였다.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활용하였으며, 모형적합도 정보준거지수, 유의도 검증, 분류의 질 수치를 분석하여, 최종 4-계층 모형을 선정하였다. 각 집단을 부적응, 온건한 비교와 경쟁, 낮은 비교와 경쟁, 높은 비교와 경쟁 집단이라 명명하였다. 각 집단의 특성을 살펴보면, 부적응 집단은 심리적 적응 요인과 친구관계, 주관적 안녕감, 성적에서 모두 부정적인 모습을 보인다. 온건한 비교와 경쟁 집단은 건강한 적응을 나타내는 요인에서 양호하나, 부적응을 나타내는 요인들이 다소 상승한 모습이다. 낮은 비교와 경쟁 집단은 불편한 비교와 경쟁 그리고 부정적 자아상에 동의하지 않으며, 높은 수준의 자기집중을 보인다. 또한 가장 높은 수준의 주관적 안녕감을 보이며 심리적으로 안정적인 모습이다. 높은 비교와 경쟁 집단은 긍·부정적 요인들이 혼합되어 있으며, 가장 높은 성적을 보이고, 자기효능감과 진로에 집중하는 정도는 높으나, 부적응 요인도 가장 높은 수준이다. 연구 결과는 과반수의 학생은 비교적 양호한 심리적 적응을 보이고 있으나, 성적이 가장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은 심리적 위험 신호를 보이며, 심리적 개입의 필요성을 보여주고 있다. 연구 결과의 의의와 제약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identify different types of psychological adjustment among high school students under the relative evaluation environment. The participants were 287 students who attend in two general high schools in Pusan. The psychological aspects were measured using the Scale for the Psychological Experiences of Competition-based Learning. In addition, friendship, psychological well-being, and grade were measured as the outcome variables. Latent profile analysis was conducted and yielded model fit information, model significance test, and entropy results. The four-class model was selected as the final. The following labels were given: maladjustment, moderate comparison and competition (MCC), low comparison and competition (LCC), and high comparison and competition (HCC) group. The maladjustment group showed high scores in those factors representing maladjustment. In addition, friendship, psychological well-being, and academic performance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the other groups. The MCC group showed favorable scores in the factors representing healthy adaptation, but slightly high scores in the factors representing maladjustment. The LCC group disagreed on the uncomfortable comparison/competition and negative self-image and exhibited a high level of self-focus. In addition, psychological well-being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other groups. The HCC group demonstrated high levels of self-efficacy and career focus along with high scores on the factors representing maladjustment. The HCC group had the highest score on grade. Taken together, the majority of the students demonstrated fairly good adaptation features. However, the two groups that had either highest or lowest grade showed the risky signs of psychological adjustment and the need for psychological intervention.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초등학교 교사를 위한 한국판 구성주의 학습환경운영기술척도의 타당화

        이정화(Lee Jeonghwa),전희정(Chun Heejung)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1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2 No.1

        구성주의 인식론은 새로운 지식의 구성 및 창출을 추구함으로써 지식의 양과 질이 급속하게 변화되어가고 있는 현대 사회의 흐름에 보다 부합되는 교육 기저로 수용되고 있다. 이에 초등교사의 구성주의 학습 환경 관리를 지원해줄 수 있는 보다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지원의 한 방편으로 객관적인 평가 도구를 제안하고자 본 연구에서는 해외에서 개발, 검증된 구성주의 학습환경운영기술 척도의 한국어 버전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먼저 척도의 원 개발자에게 한국판 척도개발에 대한 승인을 구했고 번역을 거쳐 척도의 한국어 버전을 마련하였다. 이를 경상도 지역의 초등학교에서 근무하는 초등학교 교사들에게 배부하여 최종적으로 255 명의 교사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Spss 22.0 및 Mplus 8.1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탐색적 요인 분석을 통해 요인 부하량이 .40 이상인 18 개 항목으로 구성된 4 개 요인 모형을 추출하였다. 각 요인을 ‘소통과 협력적 상호작용’, ‘사고기능발달 지원’, ‘지적관계구성’, ‘교수학습방법’으로 명명하였다. 둘째,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4개 요인 18개 문항으로 구성된 척도 모형은 적합한 양호도를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한국판 구성주의 학습환경 운영기술 척도는 CLES2와 강한 상관 관계를 보여 양호한 수렴 타당성을 보였다. 넷째, 척도의 내적 일관성 계수는 .93으로 높은 신뢰도를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한국판 구성주의 학습환경 운영기술 척도는 타당도와 신뢰도가 검증된 양호한 척도라고 결론지을 수 있으며, 한국 초등학교 교사의 구성주의 학습환경 운영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Constructivism is being accepted as an alternative educational base which is more consistent with the current modern society comparing to the traditional approach to education. It s because the constructive approach to education emphasize self-directed learning and creation of new knowledg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alidate the Korean version of the scale for constructivist learning environment management skills which was developed and validated abroad for elementary teachers in South Korea. Upon the approval from the original developer followed by translation,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255 teachers working at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kyoungsang provinc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2.0 and Mplus 8.1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em analysis affirmed that each item was consistent with the entire scale and the distinctive powers of the items were at an acceptable level. Second, as a result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EFA), a four-factored structure composed of 18 items, which have factor load values of .40 and above was finalized. Thir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 indicated that the fit indexes had values significantly above acceptable values, which confirmed the 4-factored structure. Fourth, the convergence validity of the scale, which showed strong correlation between the scale and CLES2, was good. Fifth, the scale’s internal consistency coefficient, which was .94, indicated high reliability. From the results of the study, we concluded that this scale is an appropriate instrument to evaluate teachers’ management skills within the constructivist learning environment in elementary schools in South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