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어머니-유아 애착의 세대간 전이의 메커니즘: 어머니의 내적 실행모델과 자녀양육행동이 유아의 애착유형에 미치는 영향

        전효정(Jeon hyojeon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3 열린유아교육연구 Vol.8 No.3

        본 연구는 유아기에 양육자와 형성한 애착이 내적 실행모델로 전생애동안 지속되고 이것이 성인기 부모로서의 자녀양육태도에 영향을 주어 애착의 세대전이가 일어난다는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만 2세-6세 유아를 둔 어머니 80명을 대상으로 본인의 유아기 양육자와의 애착경험과 현재 자녀양육태도 자녀의 애착유형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Bowiby(1973)의 주장과 같이 부모기 되었을 때 자신이 어린시절 경험했던 부모의 양육행동 패턴을 자신의 자녀에게 반복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유아의 애착유형 일치도에서 전체의 66%가 어머니와 자녀의 애착유형이 일치하였고, 안정형 애착의 경우 일치율이 가장 높았다. 셋째, 반응형 앙육태도는 유아의 안정형 애착에 긍정적인 반면, 거부형 양육태도는 불안정애착과 긍정적 상관을 보였다. 이는 Bowlby의 애착의 세대 전이에 대한 주장을 뒷받침하며, 애착의 전이가 부모의 양육태도를 통해 진행된다는 애착전이의 메커니즘을 보여주는 경험적 연구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chanism of intergenerational transmission of attachment patterns from mother's internal working model of relationships formed in her childhood to their infant's attachment patterns. According to the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attachment experiences in her childhood and their parenting behaviors. The results show the 66% agreement of mother-infant attachment patterns. There were also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parenting behaviors and infant's attachment patterns. The responsive parenting was positively related to infant's secure attachment, while avoidant parenting was negatively related to infant's insecure attachment. In short, there were the significant effects of early childhood attachment experience on mother's parenting behaviors, in turn the parenting behaviors affect infant attachment pattern and behaviors. This study supported the intergenerational transmission of attachment, which showed the mechanism of the transmission.

      • KCI등재

        대학신입생의 코티졸-DHEA 비율 변화의 잠재프로파일 분석 및 예측요인 탐색

        전효정(Hyojeong Jeon),고은경(Eunkyoung Goh) 인지발달중재학회 2021 인지발달중재학회지 Vol.12 No.3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코티졸-DHEA 비율의 잠재계층 유형과 잠재계층 유형을 예측하는 요인을 규명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170명의 대학신입생을 대상으로 타액 코티졸과 DHEA을 채취하고 잠재프로파일 분석과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코티졸-DHEA 비율의 잠재집단 유형은 3가지 유형으로 나타났다:‘안정적으로 낮은’ 유형(54.1%, 유형1), ‘감소하는’ 유형(32.4%, 유형2), ‘불안정하게 높은’ 유형(13.5%, 유형3). 둘째, 잠재집단 유형 예측요인을 살펴보면, 먼저 유형 2를 유형 1과 비교할 때 우울(p < .01)이 유의한 예측요인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유형 3을 유형 1과 비교할 때 성별(p < .05)과 신체화 증상(p < .05), 유형3을 유형 2와 비교할 때 성별(p < .05)이 유의한 예측요인으로 나타났다. 결론: 코티졸-DHEA 비율에 따른 3개의 잠재집단은 유의한 이질성을 보였으며, 성별은 코티졸-DHEA 비율의 잠재집단 유형을 예측하는 가장 주요한 요인이었다.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types of cortisol/DHEA ratio and predict factors affecting the types of cortisol/DHEA ratio.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170 freshmen from the University.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R 3.6.1 version and the tidyLPA package for latent analysis. Results: Three latent classes of cortisol/DHEA ratio were identified: low and stable (54.1% of the sample, type 1), decreasing (32.4% of the sample, type 2), and high and unstable (13.5% of the sample, type 3). On comparing latent type 1 with latent type 2, BSI_depression (p < .01) was found to be significant. On comparing latent type 1 with latent type 3, gender (p < .05) and BSI_somatization (p < .05)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On comparing latent type 2 with latent type 3, gender (p < .05) was found to be significant. Conclusion: The results showed significant heterogeneity in the types of cortisol/DHEA ratio; gender was an important predictor of the cortisol/DHEA ratio.

      • KCI등재

        부부갈등이 아동·청소년의 공격성에 미치는 변인 관계에 대한 메타분석

        김지혜(JeeHye Kim),전효정(HyoJeong Jeon) 인지발달중재학회 2021 인지발달중재학회지 Vol.12 No.2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부부갈등이 아동․청소년의 공격성에 미치는 변인 관계에 대한 메타분석을 실시하여 효과크기를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부부갈등으로 인한 아동․청소년의 공격성 감소에 필요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국내에서 출판된 23편(k = 189)의 논문을 선정하여 R을 이용한 메타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부부갈등과 공격성의 관계에 대한 전체 효과크기는 교육적․치료적으로 유의미한 효과크 기를 보였다. 둘째, 부부갈등의 변인 군에서 갈등성질의 효과 크기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위협과 자기비난, 삼각관계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부갈등의 변인별 하위요인을 살펴보면, 갈등성질 변인은 갈등빈도 에서, 위협 변인은 갈등대처 효율성에서, 자기비난 변인은 갈등내용에서 효과 크기가 높게 나타났다. 넷째, 조절변인 분석에서 연구대상, 부부갈등의 변인, 공격성의 변인, 부부갈등의 측정도구, 공격성의 측정도구에서 하위변인에 대한 집단 간 차이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부부갈등으로 인한 아동청소년의 공격성 감소를 위해서는 다양한 연구와 정책적 지원이 단계적이고 체계적인 방법으로 아동청소년과 함께 가족관계, 특히 부부갈등 해소를 위한 지원을 병행해야 할 것이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rehensively analyze the meta-analysis effect size about variable relationship of parental marital conflict affects to aggression. of child and youth and to derive policy implications for reducing this aggression. Methods: For these work, we selected 23 published papers in Korea ( k = 189 ) and conducted meta-analysis in R.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Results: First, the overall effect size of the variable relationship between marital conflict and aggression showed meaningful effect size to both educational and therapeutic. Second, the effect size of the Conflict Properties showed the highest value among the variable group of marital conflict, followed by threats, self-criticism, and triangular relationships. Third, if you check the sub-factors of marital conflict, conflict variables showed high effectiveness in conflict frequency, threat variables in conflict coping efficiency, and self-criticism variables in conflict content. Finally, subjects, variables in marital conflict, variables in aggression, and tools for measuring marital conflict and aggression in the control variable analysis showed meaningful value on the group difference of the lower factor. Conclusions: In order to reduce aggression of children and youth result from marital conflict, various research and policy support should be provided in a step-by-step and systematic way to resolve family relationships, especially for ways to solve marital conflict.

      • KCI등재

        영·유아 대상 지속가능발전 기반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이근애(Geunae Lee),전효정(Hyojeong Jeon) 인지발달중재학회 2020 인지발달중재학회지 Vol.11 No.2

        연구목적: 본 연구는 국내에서 영․유아를 대상으로 연구한 지속가능발전을 기반의 다양한 프로그램 연구들을 종합적으로 수집하여 각 프로그램들의 전체적인 효과크기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분석을 위하여 2019년 4월까지 발표된 학위논문과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 중 지속가능발전을 기반으로 한 영․유아 프로그램을 주제로 체계적 문헌고찰을 실시하였다. PRISMA guide line에 따라 총 13편의 논문을 최종적으로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을 위하여 R 프로그램 3.5.3 버전에서 ‘meta’ package 4.9-9 버전을 사용하여 효과크기를 산출하였다. 연구결과: 체계적 문헌 고찰을 통해 최종으로 선정된 문헌은 총 13편으로, 모두 2010년대 이후에 발간되었으며, 지속가능발전을 기반으로 한 프로그램의 교수학습방법은 누리과정을 바탕으로 한 체험활동이 가장 많았다. 프로그램에서는 환경 관련 범주에 관한 척도의 사용이 가장 높은 빈도를 나타내었고, 대부분 만 5세를 대상으로 16회기로 구성된 경우가 가장 많았다. 전체 효과크기 산출을 위하여 효과 증진을 목표로 한 30개의 결과에 대하여 무선 모델을 적용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한 결과 프로그램의 전체 효과크기는 1.95의 크기로 아주 큰 효과 수준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조절변인에 따른 차이는 교수학습방법에서 차이가 확인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체계적 문헌고찰을 통해 국내에서 연구되고 있는 지속가능발전 기반의 영․유아 프로그램의 효과 크기를 종합적으로 밝혔다. 누리과정 바탕의 체험활동을 기반으로 영유아들에게 지속가능발전 기반의 프로그램을 실시한다면 그 효과성은 매우 클 것임을 시사한다. Objectiv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overall effect size of each program by comprehensively collecting various sustainable development-based program studies based conducted in Korea, on young children. Methods: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on the subject of infant/child sustainable development-based programs.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the effect size was calculated using the ‘meta’ package version 4.9-9 from version 3.5.3 of the R program. Results: Thirteen documents were selected, all published after the 2010s, and the teaching-learning method of programs based on sustainable development was the most experienced based on the Nuri curriculum, which is a national-level curriculum. In this program, environmental scales were mainly used. The targeted age was 5 years old, and many programs consisted of 16 sessions. The meta-analysis applied the wireless model, and the overall effect size was 1.95, which was a significantly large effect level. The difference between the control variables was confirmed by teaching variables and learning methods. Conclusions: This study provided significant basic data for follow-up studies, by comprehensively uncovering the effective size of sustainable development-based young children’s programs through systematic review.

      • KCI등재

        ROCF 그리기 접목 인지행동적 미술치료가 ADHD 아동의 ROCF 그리기 수행과 주요 증상 및 문제행동 변화에 미치는 효과

        조현아(Hyunah Cho),전효정(Hyojeong Jeon) 인지발달중재학회 2020 인지발달중재학회지 Vol.11 No.1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ADHD 아동을 대상으로 인지행동적 미술치료 안에서 인지훈련적 접근으로서의 Rey-Osterrieth Complex Figure (ROCF) 그리기가 아동의 주도로 시도되었을 때 ROCF 그리기 수행과 주요 증상 및 문제행동이 긍정적으로 변화하는지 확인해 보는 데 있다. 연구방법: 연구대상은 7세와 8세의 남아 2명으로 K 초등학교 일반학급에 재학 중인 ADHD 진단을 받은 아동이다. 프로그램은 K 정신건강의학과 의원 내 심리치료실에서 개별 주 1회 40분씩 총 30회기로 시행하였다. 변화 측정을 위해 회기 별 ROCF 그리기의 수행 태도 기술과 평정점수를 산출하였고, 전체 회기의 과정을 회기 별로 기술하고, 프로그램 시행 사전과 사후에 ACRS와 K-CBCL를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연구 대상자의 ROCF 그리기 수행력이 30회기에 걸쳐 꾸준히 향상되었고, ROCF 그리기 수행에서도 긍정적이었다. 둘째, ROCF 그리기 접목 인지행동적 미술치료를 통해 나타난 연구 대상자의 주요 증상과 문제행동이 사전과 비교해 사후에 감소하였다. 결론: ROCF 그리기 활동이 인지행동적 미술치료 활동에 접목될 때 ADHD 아동의 ROCF 그리기 수행과 주요 증상 및 문제행동 변화에 긍정적일 수 있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ositively demonstrate drawing performance and major symptoms and problem behavior of children with ADHD through Rey-Osterrieth Complex Figure (ROCF) drawing is a cognitive training approach used in cognitive-behavioral art therapy to determine change in performance ance in children with ADHD. Methods: The study included 2 boys, aged 7 and 8 years, who were diagnosed with ADHD during their K elementary school. The program was conducted in 30 sessions for 40 minutes per week in a psychotherapy room within the K Mental Health Clinic. The drawing performance and rating score of ROCF drawing for each session were measured and the process was described for each session Furthermore, Abbreviated Conners Rating Scale(ACRS) and Korean-Children and Adolescent Behavior Checklist(K-CBCL)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was implemented. Results: First, the participants’ performance in ROCF drawing steadily improved after 30 sessions, and drawing performance was positive. Second, there was a decreased in the participants’ major symptoms and problem behaviors after cognitive-behavioral art therapy ROCF drawing. Conclusions: The ROCF drawing activities when applied to cognitive-behavioral art therapy, positive for the performance of ROCF drawing and major symptoms and problem behavior of children with ADHD.

      • KCI등재
      • KCI등재

        머신러닝을 활용한 청소년 내기행동의 수준별 예측요인 연구

        이난희(Nanhee Lee),전효정(Hyojeong Jeon),고은경(Eunkyoung Goh) 인지발달중재학회 2022 인지발달중재학회지 Vol.13 No.1

        연구목적: 본 연구는 청소년 내기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예측요인 중에서 청소년 내기행동의 수준별 예측요인의 상대적 중요도를 확인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전국의 중․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청소년 571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내기행동을 수준별로 분류하였다. R version 3.6.1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머신러닝 알고리즘의 성능을 평가한 후, 가장 성능이 우수한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청소년 내기행동의 수준별 예측변수의 상대적 중요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청소년 내기행동을 예측하는 머신러닝 알고리즘의 성능은 비문제 집단 vs 문제 집단을 분별하는 경우, 랜덤 포레스트 모델이 가장 탁월하였으며, 비문제 집단 vs 위험 집단과 위험 집단 vs 문제 집단을 분별하는 경우에는 그래디언트-부스팅 모델이 우수하였다. 둘째, 내기행동의 수준별 집단(비문제 집단, 위험 집단, 문제 집단) 중에서, 비문제 집단 vs 문제 집단, 비문제 집단 vs 위험 집단을 분별하는 가장 중요한 예측변수는 ‘내기행동 접근성’이었으며, 위험 집단 vs 문제 집단을 분별하는 가장 중요한 예측변수는 ‘내기행동 기대 중 과몰입’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국내에서 처음으로 청소년 내기행동의 다양한 예측변수를 동시에 투입하여 내기행동을 수준별로 가장 잘 예측하는 변수를 확인함으로써, 청소년 내기행동의 수준별 맞춤형 개입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의의가 있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relative importance of predictive factors for each level of adolescent betting behavior among various predictive factors affecting adolescent betting behavior.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571 adolescents enrolled in middle and high schools across the country, and betting behaviors were classified by level. After evaluating the performance of the machine learning algorithm using the R version 3.6.1 program, the relative importance of predictors for each level of youth betting behavior was analyzed using the optimal machine learning algorithm. Results: First, among the performance of the machine learning algorithm for predicting youth betting behavior, the random forest model showed optimal superiority when discriminating the non-problem vs the problem group. The gradient-boosting model was good at distinguishing between non-problem vs risk group and risk vs problem group. Second, among groups by level of betting behavior (non-problem group, risk group, problem group), the most important predictor variable to distinguish non-problem vs problem group, non-problem vs risk group was ‘accessibility to betting behavior’. The most important predictor variable to discriminate the risk vs the problem group was ‘over-immersion in expectation of betting behavior’. Conclus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providing basic data for customized intervention strategies for each level of youth betting behavior by identifying the variables that best predict betting behavior by level by simultaneously inputting various predictive variables of youth betting behavior for the first time in Korea.

      • KCI등재

        접근성에 따른 청소년 내기행동의 경로분석

        이난희(Nanhee Lee),전효정(Hyojeong Jeon),고은경(Eunkyoung Goh)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5

        목적 본 연구는 접근성에 따른 청소년 내기행동의 경로를 확인함으로써 청소년 내기행동에 대한 통합적 이해와 경로별 맞춤형 개입을 위한 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전국에 거주하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571명의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SPSS 21.0으로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을 하고 R version 3.6.1 환경에서 ‘tidyLPA’ 패키지를 사용하여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하였다. 다음으로 내기행동 접근성에 따라 AMOS 21.0으로 방임과 학대가 우울, 충동성, 내기행동 기대, 비합리적 신념, 청소년 내기행동에 미치는 경로를 확인하였다. 결과 첫째, 접근성 고저에 따라 청소년 내기행동 경로는 충동성에서 내기행동으로 이어지는 경로, 내기행동 기대에서 내기행동으로 이어지는 경로, 비합리적 신념에서 내기행동으로 이어지는 경로의 계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나 집단 간 특정 경로 차이가 뚜렷하였다. 둘째, 접근성이 높은 집단에서 내기행동에 영향을 주는 경로는 방임이 비합리적 신념을 매개로 내기행동으로 가는 경로, 방임에서 우울, 충동성, 내기행동 기대, 비합리적 신념을 순차적으로 거쳐 내기행동으로 가는 경로, 학대에서 우울, 충동성, 내기행동 기대, 비합리적 신념을 거쳐 내기행동으로 가는 경로와 학대에서 충동성, 내기행동 기대, 비합리적 신념을 거쳐 내기행동으로 가는 경로가 유의미하였다. 셋째, 접근성이 낮은 집단에서는 내기행동으로 이어지는 유의미한 경로가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 본 연구는 접근성에 따라 청소년 내기행동에 미치는 특정 경로의 뚜렷한 차이를 확인하였으며, 국내 연구에서 다루지 않았던 내기행동 기대 변수를 청소년 내기행동의 주요변수와 함께 투입하여 접근성에 따른 다차원적 경로를 확인하였다. 이로써 청소년 내기행동에 대한 이해 틀을 넓히고 맞춤형 개입을 위한 근거자료를 제시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data for an integrated understanding of youth betting behaviors and customized interventions for each path by identifying the paths of youth betting behaviors by accessibility level. Methods For this purpose, data from 571 adolescents residing across the country were collected,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with SPSS 21.0, and latent profile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tidyLPA’ package in R version 3.6.1 environment. Next, the pathways of neglect and abuse on depression, impulsivity, betting behavior expectations, irrational beliefs, and adolescent betting behaviors were identified with AMOS 21.0 by level of betting behavior accessibility. Results First, for adolescent betting behavior paths by accessibility level, the coefficient differences between the path from impulsivity to betting behavior, the path from betting behavior expectation to betting behavior, and the path from irrational belief to betting behavior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the path that affects betting behavior in the group with high accessibility is the path from neglect to betting behavior through irrational beliefs, the path from neglect to depression, impulsivity, betting behavior expectations, the path to betting behavior through irrational beliefs, and the path from abuse to betting behavior The path to betting behavior through depression, impulsivity, betting behavior expectation, and irrational beliefs and the path from abuse to betting behavior through impulsivity, betting behavior expectation and irrational beliefs are significant. Third, in the group with low accessibility, a significant path leading to betting behavior does not appear. Conclusions This study confirmed the distinct differences in specific pathways on adolescent betting behavior by accessibility level, and confirmed multidimensional pathways by accessibility level by inputting betting behavior expectancy variables, which were not covered in domestic studies, together with major variables of adolescent betting behaviors. This broadened the understanding of youth betting behavior and presented evidence for customized intervention.

      • KCI등재

        모의 양육스트레스가 부의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가 지각한 부부갈등 및 온정적 양육행동의 매개효과: 부의 우울과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김동진(Dongjin Kim),전효정(Hyojeong Jeon) 인지발달중재학회 2019 인지발달중재학회지 Vol.10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모의 양육스트레스가 부의 결혼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부가 지각한 부부갈등 및 온정적 양육행동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 더불어 부의 심리적 변인인 우울과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육아정책연구소의 한국아동패널 7차 년도 데이터(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2014)로 1,473개의 데이터를 횡단가중치를 이용하여 상하 우울 집단, 상하 자아존중감 집단으로 분류하였다. 자녀의 성별, 부의 연령 및 학력, 그리고 가구소득을 통제하고 경로분석과 다중집단 비교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모의 양육스트레스와 부의 결혼만족도의 관계에서 부의 부부갈등과 온정적 양육행동은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모의 양육스트레스와 부의 결혼만족도의 관계에서 부의 우울과 자아존중감은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부의 우울 수준은 부부갈등과 결혼만족도의 경로에 영향을 미치고, 부의 자아존중감 수준은 양육스트레스와 결혼만족도의 경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부의 결혼만족도에서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변인들 간의 관계를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의 기초로 부의 개인적 특성에 따라 더 나은 결혼생활을 위하여 개입과 중재에 대한 논의 및 후속 연구에 대해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influence of marital conflict upon a father’s parenting skills, and its subsequent impact on a mother’s marital satisfaction and parenting ability. The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cross-sectional weights from 1,473 samples from the seventh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the samples were classified into groups of high and low depression, and high and low self-esteem. Path analysis and multiple group comparison analysis were conducted; the controlling factors were the child’s sex, the father’s age, education, and household incom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 father’s conflictual marital relationship and poor parenting behavior caused the mother to negotiate between her dual role of parent and partner; she had to strike a balance between parenting stress and partner’s satisfaction. Second, a father’s depression and poor self-esteem adversely affected a mother’s parenting skills and marital satisfaction. Therefore, a father’s mental state was a key factor that affected the path from marital conflict to satisfaction; his poor self-esteem led to greater parenting stress. This study is significant because it reveals that the primary factor for consideration in a marital relationship is a father’s marital satisfaction. It suggests the scope for intervention and further research. The study infers that a prior understanding of a man’s personal traits could facilitate better marriages.

      • KCI등재

        유아 환경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조성례 ( Sungryae Cho ),전효정 ( Hyojeong Jeon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3

        본 연구는 유아 환경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을 통하여 유아 환경교육 프로그램의 전체효과크기와 프로그램의 특성에 따른 효과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분석자료는 연구물 선정기준에 따라 2011년부터 2021년 4월까지 유아 환경교육을 주제로 다룬 13편의 학술지 논문이다. 분석은 CMA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메타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 환경프로그램의 효과는 큰 효과 크기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 환경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영역 범주에 따른 효과크기는 환경요인이 큰 효과를 지닌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환경교육 프로그램의 특성 중 기관유형, 회기, 활동유형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유아 환경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방향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effect according to the overall effect size of the early childhood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through a meta-analysis of the effect of the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The data analyzed in this study are 13 journal thesis of environmental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from 2011 to April 2021 according to the research material selection criteri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CMA program. The results of meta-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effect of the environmental program for children was found to have a large effect size. Second, it was found that environmental factors had a large effect on the effect size according to the category of effect area of the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for children. Third,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type of institution, session, and activity typ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direction of the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for early childhood was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