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시각, 청각과 복잡계 기반 뇌과학에 근거한 총명개념과 총명탕 연구

        전홍석,백규태,전경배,권강,Jeon, Hong-Seok,Baek, Kyu-Tae,Jeon, Kyung-Bae,Kwon, Kang 대한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 2017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Vol.30 No.4

        Objectives : This study was designed to signpost the study of brain, intelligence and memory, while interpreting the concept of 'Chongmyeong(聰明)' neotrically and linking it to the clinic of Korean medicine. Methods : In this paper, the meaning of the word 'Chongmyeong(聰明)' is divided into two parts, intelligence and memory. We also explored the relationship between brain science and 'Chongmyeong(聰明)' based on complex system theory, cognitive science and embodied cognition. Results : Through the process of refining the concept of 'Chongmyeong(聰明)' neoterically, we proposed the new method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Chongmyeong(聰明)'. Conclusions : The concept of 'Chongmyeong(聰明)' should be interpreted not as a reductionistic viewpoint of brain science but as a viewpoint of brain science based on visual and auditory system and complex system. Human cognition is physically embodied in the environment, from the viewpoint of embodied cognition that it is constituted and formed in an interactive context with society and culture connected with the environment.

      • KCI등재

        근현대 과학기술시대에 대한 기축문명론적 성찰과 전망 - 생명생태 성장사회: 칼 야스퍼스의 역사철학적 독해 -

        전홍석 ( Jeon Hong-seok ) 한국동서철학회 2021 동서철학연구 Vol.- No.102

        인류사회는 근현대 과학기술시대(기술기축시대)를 거치면서 경제성장, 생산성, 사회구조 등에서 상향궤도의 수직적 도약을 이루었다. 현재는 초연결지능사회인 ‘제2의 기계시대―4차 산업혁명’으로의 이행을 목도하고 있다. 이 시대의 디지털생태계에서는 이익공유의 호혜성 원리가 부각됨과 동시에 공감적 연대감이 현 인류의 글로컬(glocal, 지구지역적) 네트워크를 이어주는 연결고리로 기능한다. 그러나 연결망의 세계에는 ‘통합적인 순기능’과 함께 연결망의 한 부분에 문제가 발생하면 전체로 확산하는 금융위기, 유로존위기, 기후위기, COVID-19 재난 등 ‘전염적인 역기능’이 동시에 존재한다. 특히 후자의 역기능은 중앙집중식 제1의 기계시대(1ㆍ2차 산업혁명)의 인프라나 의식을 청산하지 못한 소치로 산업문명의 기계론적ㆍ중심주의(패권주의)적 세계관이나 이익독점의 경제적 인간형이 수명을 다했음을 보여준다. 이는 초연결스마트사회와 동행하는 새로운 생명(삶)공감의 패러다임, 즉 지구지역적 연대와 협력을 영도하는 생명생태적 보편성(근대성)의 변증법적 탄생을 예고한다. 본 연구는 생명생태 성장사회라는 의미망 속에서 빅 히스토리 ‘기축문명론’이 수범垂範하는 학술적 영감과 그 비전을 적극 수용해 ‘에코유디머니즘(eco-eudemonism, 생태행복주의)’을 지향하는 인문학의 문명적 대안이론을 타진해 보았다. 칼 야스퍼스(Karl Theodor Jaspers, 1883~1969)가 개진한 ‘기축시대(Axial Age, BC 800~BC 200)’는 오늘날 인류사회가 당면한 실존적 위기를 해소하고 인간과 기술의 공진화를 의제화할뿐더러 지구촌 보편의 ‘생명공감 지식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정신적 기제이다. 이 실존적 역사철학 모델은 보편타당한 인간존재, 참된 인간생성(성장ㆍ진화, Werden)의 근원처이자, 21세기 초연결시대의 새로운 정신혁명, 곧 공감형 인간, 자율형 인간을 예비하고 계도하는 준거점이기도 하다. 요컨대 야스퍼스의 기축 담론은 오늘날 문명사의 위기, 변곡점에 직면해서 생명생태 성장사회라는 인간의 실존적 진보신념과 그에 조응하는 자아ㆍ타아 실현의 인간공동체를 환기시키는 인문학의 문명적 이론모색에 유의미하고 긴요한 지식자원이다. Human society has made a vertical leap forward in the upward trajectory in economic growth, productivity, and social structure while going through the modern age of science and technology (the axial age of technology). Currently, we are witnessing the transition to the ‘second machine age―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 hyperconnected intelligent society. In the digital ecosystem of this age, the principle of reciprocity of profit sharing is emphasized, and at the same time, a sense of empathic solidarity functions as a link that connects the global network of present humanity. However, in the world of connected networks, there are integrated favorable functions and contagious dysfunctions such as financial crisis, eurozone crisis, climate crisis, and the COVID-19 disaster that spread to the whole when a problem occurs in one part of the network. In particular, the dysfunction of the latter shows that the mechanistic and centristic (hegemonic) worldview of the industrial civilization of the first machine age (1st and 2nd industrial revolutions) or the economic human form of monopolization of profit has expired. This heralds the dialectical birth of a new paradigm of empathy for life that accompanies a hyperconnected smart society, that is, bioecological universality (modernity) that leads to global solidarity and cooperation. This study explored the civilizational alternative theory of humanities aimed at ecoeudemonism by actively accepting the academic inspiration and vision of the big history theory of axial civilization in the meaning of a bioecologically evolving society. Karl Jaspers’ Axial Age (BC800~BC200) is a mental mechanism that not only resolves the existential crisis facing today’s human society and agendas the coevolution of humans and technology, but also constitutes a universal ‘knowledge network to empathy for life’ in the global community. This existential philosophy of the history model is the source of universal and valid human being; true human creation (growth). It is also a reference point for preparing and guiding a new spiritual revolution in the hyperconnected era of the 21st century, namely, HomoEmpathicus and HomoAutonomous. In short, Jaspers’ axial discourse is a meaningful and important knowledge resource for humanities’ search for a civilizational theory that evokes the human community of self-realization and other self-realizations in line with the Human being’s existential progressive belief of a bioecologically evolving society in the face of today’s crisis and inflection point of civilization history.

      • KCI등재

        명말 예수회 신학(복음) 보수주의 : 롱고바르디의 재인식

        전홍석(Jeon, Hong-Seok) 한국교회사연구소 2018 敎會史硏究 Vol.0 No.52

        명말 ‘중국전례논쟁(천학분화)’이 발생하게 된 예수회 전교사(傳敎史)적 요인을 규명하는 문제는 줄곧 후대 학자들의 주요 관심사가 되어왔다. 그러나 기존연구의 관점은 마태오 리치와 니콜라 롱고바르디의 관계설정을 주로 ‘대립구도’에 편중해 롱고바르디를 가톨릭 중국선교와 동서양 문화교류를 좌절시킨 부정적 인물로 치부한다. 이러한 인식은 예수회 ‘선교신학−천학’의 역사변천, 이를테면 민간노선의 출현 배경과 과정을 간과한 데서 기인할 것이다. 본고에서는 ‘리치와의 계승성’에 무게를 두어 그동안 누락된 롱고바르디의 ‘평민영성선교노선’을 분석 · 고찰하여 그 역정에 내재된 숨겨진 역사진실과 그 의미를 복원하고자 했다. 실제로 예수회 내부로 한정해보면 롱고바르디는 문화에 대한 ‘복음의 순결성’에 치중해 리치노선과의 ‘균형’을 모색하는 것이 핵심이다. 다시 말해 리치의 지적 선교학, 곧 ‘반이학 프레임’을 계승해 영성신학 지향의 ‘동태적 균형’을 강구하는 방향으로 관철시킨 것이다. 롱고바르디는 리치노선이 안고 있는 ‘단일적 지식선교방법’의 경직성을 깨뜨리고 ‘복수적 방법’을 제시해 ‘순수복음화적 적응책략’을 수립하고자 했다. 따라서 비적응주의 행보는 순수교의적 차원에서 실행되었고 이후의 선교회 간, 문명권 간 정치적이고 징고이즘(jingoism)적인 대결은 그의 본의에서 벗어난 별개의 문제다. 이런 사실들이 예수회 ‘평민영성선교’의 재발견, 아울러 두 노선을 양단하는 기존연구의 비판적 교정을 요망하는 것이다. 더욱이 롱고바르디에게 간직된 숭고한 그리스도교적 삶의 역사초상은 ‘적응주의의 본연성’을 재성찰케 한다. 롱고바르디는 이냐시오가 지도하는 예수회의 ‘영수(靈修)적 토착화(공감화)’, 곧 복음적 완덕과 박애주의 삶의 표본이었다. A problem of investigating and revealing factors which caused Rites Controversy in China (differentiation of Cheonhak) at the end of Ming Dynasty in terms of missionary of Society of Jesus became a main concern among scholars. Previous studies described Nicolas Longobardi as a person who disturbed Catholic’s missionary work in China and cultural exchange between the Orient and the Occident setting up relationships between Matteo Ricci(利瑪竇, 1552~1610) and Nicolas Longobardi(龍華民, 1556∼1654) as conflicting one. Such viewpoint appears to have been caused by neglecting historical changes of mission theology – Cheonhak(天學) of Society of Jesus namely, background of appearance of civil line and its process. This paper analyzed and studied Longobardi’s ‘line of mission for spirituality of common people’ which has been neglected centering on ‘succession of Matteo Ricci’ to recover truth and meaning which have been covered in its progress. Longobardi placed an emphasis on ‘purity of gospel’ over culture and sought ‘balance’ with Ricci line. In other words, Longobardi attempted to succeed to Ricci’s intellectual missiology, namely ‘anti Sung Confucianism frame’ and sought for ‘dynamic balance’ aiming for spiritual theology. Longobardi tried to establish ‘pure evangelization adaptation stratagem’ by breaking inflexible tendency of ‘single knowledge missionary work method’ which Ricci had and presenting ‘plural methods’. Therefore, non-adaptation move was implemented at a level of pure doctrine and political and jingoistic opposition between missionary unions and cultural spheres is against his real intention. Such facts require rediscovery of ‘spiritual missionary work for common people’ of Society of Jesus and critical correction of existing studies which splitted two lines. Longobardi’s portrait of lofty Christian life led us to reflect on ‘true character of adaptationalism’. Longobardi was an example of ‘spiritual indigenization(sympathizing) of Society of Jesus guided by Ignatius, in other words a type of complete virtue and philanthropic life.

      • KCI등재

        현대 문명담론의 이해와 전망 -2 -현대 문명강권주의 비판담론: 반서구중심주의를 중심으로-

        전홍석 ( Hong Seok Jeon ) 한국동서철학회 2010 동서철학연구 Vol.58 No.-

        ‘서구중심주의’란 동과 서라는 본질적인 분열 구도 속에서 동양을 타자로 하여 서양의 타고난 우월성을 강조하는 세계관을 말한다. 그것은 근대 유럽의 사상적 기반이 된 18세기 계몽주의에 뿌리를 두며 그 이면에는 계몽기에 비교적 정형화된 ‘문명’ 개념이 존재한다. 그리고 이 문명 개념에는 서구화나 근대화의 특징이 함유되어 서구로 대표되는 제도와 가치가 보편성을 띠면서 ‘세계화’가 곧 서구화나 근대화 과정으로 점차 이해되었다. 이 과정에서 서구인들은 세계를 유럽의 `문명인’과 나머지 세계의 `야만인’으로 구분하는 세계 문명에 대한 차별 의식을 강화시켜 왔다. 이로 볼 때 서구중심주의는 근대 영역의 신화적 재구성임을 알 수 있다. 이렇게 전개된 서구중심주의는 서구예외주의와 오리엔탈리즘이라는 두 요소로 구성된다. `서구예외주의’는 서구 문명이 특수적이고 예외적이라는 주장인데 서구 문명의 독특성, 자생성, 항구성을 그 명제로 한다. 즉 서구를 제외한 세계 어디에도 그처럼 합리적·독창적·진보적 문명은 발전되지 못했다는 것이다. 또한 ‘오리엔탈리즘’에는 뒤떨어지고 열등한 동양이라는 상상의 타아를 부정적으로 정의하는 우월한 서양적 자아의 고정적인 심상이 깔려 있다. 이 양자는 동시적으로 진행되었지만 서구예외주의가 근대 초에 서구인들이 서구 문명에 대해 구성한 자화상이라고 한다면 오리엔탈리즘은 서구인들이 서구라는 거울을 통해 왜곡되게 구성한 비서구 문명의 상을 지칭한다. 본 연구는 이처럼 부당한 이데올로기로 세계를 동과 서로 양분하여 중심 문명의 패권을 강제하는 서구문명강권주의의 탈중심화적 해체를 그 목표로 기획된 것이다. 이런 맥락에서 문명패권주의 통제와 문명독점주의 행태에 저항하는 ‘세계주의 시각’의 여러 동서 자유주의담론들을 검토해보았다. 결국 현대 문명담론은 생태철학이 투영되거나 그와 밀접한 관계 속에서 진행되며 현재 인류의 문명은 역사상 세계 인류가 교호 속에서 함께 만들었다는 ‘인류운명공동체의식’을 각성시킨다. 아울러 그 공론은 생명과 인권, 인간의 자유를 옹호하는 입장에서 타자와 소통하는 보편적 인류애의 생태학적 문명관, 즉 상호 주체적 평등 관계를 기초로 한 문명 공존의 ‘문명생태주의담론’을 요청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Eurocentrism` means a view of the world emphasizing on innate superiority of the West by making the East alien in the divided structure of the East and the West. It has the root on the 18th century Enlightenment that became the ideological basement of the modern Europe with the concept in the background of `civilization` that had been made relatively standardized in the period of enlightenment. And this concept of civilization got to have the characteristics of Westernization or Modernization with the system and values representing the West and later the `globalization` became understood just as the progress of Westernization and Modernization. In this progress Western people have reinforced discrimination of the world civilization dividing the world as `civilized people` in the West and `savage people` in the rest world. In this view, we can understand that `Eurocentrism` is the reorganized mythology in the modern area. This Eurocentrism consists of two elements, Western exceptionalism and Orientalism. `Western exceptionalism` insists that Western culture is extraordinary and exceptional having the proposition that Western civilization is unique, innate, and permanent. That is to say, there is not rational, creative, and progressive civilization in the world except the West. And also in the concept of `Orientalism`, there is underlying the stereotyped image of superior Western self-confidence defining the East as the inferior alien. Even though these two concepts have progressed simultaneously, the Western exceptionalism is the self-image of Western civilization made by the Western people in the early modern days and Orientalism is non-Western civilization constructed with distortion through the mirror of the West by Western people. This study has the aim to break up Western civilization authoritarianism which is urging dominance of central civilization by dividing the world as the East and the West with irrational ideology like this. In this context, this study reviewed lots of liberal discourses in the East and the West with `Cosmopolitan vision` protesting the control by hegemonic culture and behavior of exclusive civilization. At last the discourses on the modern civilization awaken the idea of `humankind sharing a common destiny` in which ecological philosophy is reflected or progressed in the close relationship and the current civilization has been made through interaction between world`s people. In addition, this theory confirms the sense of ecological civilization of common humanity communicating with others having the attitude of protecting life, human right, and human freedom. In other words, it requires `the discourse on civilization of ecology` of coexistence of civilization based on mutual equality between subjects.

      • KCI등재

        실존주의 철학의 문명사적 독법 - 칼 야스퍼스의 존재의식과 실존적 역사성 -

        전홍석 ( Jeon¸ Hong-seok ) 한국동서철학회 2020 동서철학연구 Vol.0 No.98

        우리는 21세기 4차 산업혁명기에 직면해서 문명사적 변곡점, 위기, 불안, 또한 그와 연동하는 동아시아의 분열상을 극명하게 목도하고 있다. 무엇보다 현 동아시아권은 서구식 근대국가 세계시스템이 지배하는 사회이며 그에 동조하는 사유 없는 인간의 파시즘적 ‘악의 평범성(the Banality of Evil)’이 재현되고 있다는 데 경각심을 갖지 않을 수 없다. 본 연구에서는 1ㆍ2차 산업혁명이라는 세계문명사의 대변혁기에 발흥한 실존주의를 빅 히스토리의 문명사적 차원에서 해독, 그 해법의 실마리를 찾아보고자 했다. 그 구체적인 논지 전개는 먼저 실존주의 철학(실존철학)의 문명사적 독해를 수행하고 그러한 지평 위에서 칼 야스퍼스(Karl Theodor Jaspers, 1883~1969)의 실존ㆍ초월 지향적 역사철학이 계도하는 세계상과 그 현재적 의미 맥락들을 점검해보았다. 오늘날 문명사의 변곡점, 세계체제의 대변환기로 볼 때 20세기 전반 기계문명이나 근대국가 이데올로기에 치열하게 저항하고 대안을 궁구한 실존철학은 현대문명의 미래비전을 간직한 인문학적 보고이다. 특히 야스퍼스의 존재의식의 변혁, 곧 ‘실존적 역사성’은 인간부재의 어두운 디스토피아로 그려지는 4차 산업혁명과 이 시대의 난제들을 자극하는 유의미한 해법의 단서를 제공한다. 그가 개진하는 충실, 자유, 무제약성, 본래적 자기, 초월, 상호소통, 실존적 결단, 연대, 공동책임 등 인간상들은 21세기 메가트랜드 지구지역적(glocal) 평화협력과 그에 접속하는 동아시아 신문명시스템(new civilization system)을 구성하는 인간학적 모티프(motif)임은 물론이다. Confronting the age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 the 21st century, we are clearly witnessing the inflection point in the history of civilization, crisis, anxiety, and the dissolution of East Asia. Above all, East Asia currently has a society governed by the modern Western world system, and we must arouse attention to the fact that the fascistic, groundless ‘Banality of Evil’ is being reproduced to accord with these phenomena. This study aimed to interpret existentialism as an ideology that rose suddenly during those transition periods in the history of civilization called the first and second industrial revolutions and to find clues for such interpretation. In the development of the specific point, existential philosophy was read through the history of civilization. Based on this reading, the world view and present semantic contexts guided by the existence- and transcendence-oriented historical philosophy of Karl Theodor Jaspers(1883~1969) were examined. Looking at the inflection point in the history of civilization and the transition period of the world system, existential philosophy is a repository of humanities that cherishes the future vision of contemporary civilization by fiercely resisting and studying alternatives to the machine civilization from the 20th century and ideologies of modern countries. In particular, the revolution in the consciousness of existence by Jaspers or ‘existential historicality’ presents a meaningful clue to solve the conundrum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present age illustrated as a gloomy dystopia with the absence of human beings. Human characteristics expressed by Jaspers; such as faithfulness, freedom, unconstrained nature, inherent self, transcendence, mutual communication, existential resolution, solidarity, and collective responsibility, are the humanistic motifs that constitute global cooperation for peace, the mega-trend of the 21st century, and the new civilization system of East Asia connected to the mega-trend.

      • KCI등재

        주쳰즈의 문화학적 지역단위론 고찰 - 탈오리엔탈리즘: 세계단위론적 접근 -

        전홍석 ( Jeon Hong-seok ) 한국동서철학회 2018 동서철학연구 Vol.0 No.89

        ‘지역학(Area Studies, 지역연구)’은 지금껏 지성적이고 도덕적인 정의와 의미를 부여하는 부단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순수한 세계인식의 한 부분이자 순수 아카데미즘의 범주에 자리집기에는 여전히 많은 난제들을 안고 있다. 그 주된 장애요인 중의 하나가 지역연구의 제국주의적인 추악성, 다시 말해 구미 패권적 국익에 봉사해온 정책과학이라는 혐의일 것이다. 이런 점에서 본고는 세계단위론의 연속선상에서 근현대 구미로 대변되는 강한 공간의 세계분할론적인 발상에 대항하는 동아시아적 지역관과 그 이론모델을 안출하기 위해 기획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20세기 전반기 중국의 대표적인 문화학자 주쳰즈(朱謙之, 1899~1972)의 문화유형학, 즉 세계문화유형과 그 지리분포 논의에서 모색해보고자 했다. 주쳰즈가 구도한 ‘대문명권 ― 세계단위’로서의 ‘세계문화의 지리적 3원론’은 지속가능한 공존을 위한 지역인식의 새로운 방법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다. 특히 그것이 종래 구미형이나 이를 복사한 일본형의 제국주의적 지역구획 개념에서 탈피된 동아시아 시각의 ‘탈오리엔탈리즘적 세계단위’라는 점에서 의미심장하다. 주쳰즈는 당시 서구제국주의의 지역구도와 이를 모방한 일제의 굴절된 전쟁주의적 지역인식을 목도하면서 그에 맞서 문화주의적 세계단위와 그런 ‘세계’성을 규명하는 학문적 노력을 경주했다. 그것은 다원주의적 ‘세계문화 3원론’, 이를테면 ‘종교적 문화구역 ― 인도’, ‘철학적 문화구역 ― 중국’, ‘과학적 문화구역 ― 서양’으로 압축된다. 이 세 문화지역은 인구조밀지역에서의 ‘공간 = 지역단위’ 인식이자 ‘시간 = 역사’ 인식이다. 뿐더러 세계단위로서의 공통적인 세계관이나 가치관을 가진 인간 집단이 거주하는 지리적 범위에 해당한다. 이 일련의 ‘문화학적 단위성’의 착상은 오늘날 인류사회의 장기지속적인 평화공존을 위한 새로운 지역연구의 방향설정에 귀중한 지적 영감과 좌표를 제공해준다. Despite the constant efforts to create intellectual and ethical definitions and meanings, ‘area studies’ still has many conundrums to solve to become a pure academic category with global awareness. One of the primary obstacles is likely the ugly imperialistic nature of area studies, namely the suspicion of policy science that has been serving the hegemonic national interests of Europe and America. In this sense, this paper was planned to contrive the East Asian area view and its theoretical model, resisting the idea of the global division theory in the strong space represented by modern and contemporary Europe and America on the continuum of the global unit theory. Specifically, this was attempted by examining the cultural typology of Zhu Qianzhi (1899~1972), a representative Chinese culturologist in the early 20th century; namely global culture type and geographical distribution. The ‘theory of three world cultures’ as the ‘great civilization - global unit’ composed by Zhu Qianzhi can be established as a new method of area recognition for sustainable coexistence. Especially, this has significance as a ‘global unit of post-orientalism’ from the East Asian perspective which breaks away from the concept of imperialistic area division by the Western world or its imitation by Japan. Zhu Qianzhi put academic efforts to inquire into the culturalistic global unit and ‘globality’ while witnessing and confronting the area composition of the Western imperialism and the biased pro-war area recognition of the Japanese imperialism. This boils down to the pluralist ‘theory of three world cultures’ including ‘religious cultural area - India’, ‘philosophical cultural area - China’ and ‘scientific cultural area - the West.’ These three cultural areas are recognized as ‘space = area unit’ and ‘time = history’ in areas of dense population. In addition, they correspond to the geographical ranges in which groups of people sharing a common view of the world and value system reside. This series of ideas for ‘culturological unit’ offers valuable intellectual inspirations and coordinates to set the directivity of new area studies for long-term, peaceful coexistence of the human society.

      • KCI등재

        16~18세기 유럽선교사 동아시아학의 형성 -유교경전에 대한 적응주의의 문화 양분적 해석-

        전홍석 ( Hong Seok Jeon ) 한국동서철학회 2016 동서철학연구 Vol.0 No.79

        ‘오리엔탈리즘(Orientalism)’은 서양의 ‘타자 형상’에 대한 담론 분석인 점에서 비교문화 ‘형상학(Imagologie)’ 범주와 겹친다. 그러나 종래 사이드(Edward W. Said)식 동양의 이미지는 서양이 자신의 부정적인 내면을 투사시켜 만들어낸 정체적이고 자신을대변할 수도 없는 열등한 타자에 국한된다. 본고는 16~18세기 내화來華 선교사 연구를 통해 이러한 사이드의 ‘부정적(negative) 오리엔탈리즘’에 조응함과 동시에 상대적으로 간과되어온 ‘긍정적(positive) 오리엔탈리즘’의 발굴을 목표로 기획되었다. 그 내용은 사이드가 주장하는 ‘근대오리엔탈리즘’이 본격화되기 이전 16세기부터 중국에 진출한 유럽선교사의 ‘유교 한문漢文 작품’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구성되었다. 그럼으로써 궁극적으로는 중동의 무슬림오리엔트와 구별되는 동아시아의 ‘중화(유교)오리엔트’ 영역을 확보하고자 했다. 이를테면 ‘중화오리엔탈리즘’의 탄생과 전개 양상을 문화적응주의 제수이트(Jesuit, 예수회원)의 일련의 ‘타자 형상’에 투영된 화문華文 텍스트의 유교 본체 범주, 즉 그들의 유럽 중세 신학체계에 입각한 ‘문화 양분적 해석’과의 상관관계 속에서 다각적으로 이루어졌다. 그것은 문명 외부담론 차원에서 긍정적 오리엔탈리즘 범주의 ‘호혜적 교류 형상 . 진유 고교眞儒古敎’와 부정적 오리엔탈리즘 범주의 ‘배타적 억압 형상 . 속유 이학俗儒理學’으로 집약할 수 있다. 이 ‘양가적 타자 형상’은 다양한 문화적 스펙트럼을 구성하면서 중화오리엔트에서의 ‘천학天學’이 생산되는 하나의 준거틀로 작동했다. 요컨대 이 제반 논증 과정에서 중세에서 근대로의 이행기 ‘유럽선교사 동아시아학(천학)’의 형성과 그에 따른 동아시아의 다채로운 문화 창신創新의 간-문명(inter-civilization)적 요인들을 규명했다. 아울러 사이드로 대변되는 기존 타자담론의 ‘부정적 형상’ 일면성을 수정ㆍ보완하고 그 반대편에 존재하는 ‘긍정적 의미’를 활성화하여 긍정과 부정을 아우르는 오리엔탈리즘의 보다 폭넓은 지평을 타개하고자 했다. Orientalism overlaps with category of Imagologie of comparative culture in that it is analysis of discourse regarding others image of West. Image of East argued by Edward W. Said is limited to others who are inferior and stagnant and are unable to represent themselves and West created by projecting its negative inner world.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find out positive orientalism which has been neglected until now by studying missionary who conducted mission work in China in 16~18th centuries. This thesis focused on analyzing confucianism Chinese classics works written by European missionary who entered China prior to 16th century which modern orientalism argued by Edward W. Said did not appear. This thesis is to secure area of sino centered(confucianism) orient of East Asia that is distinguished from muslim orient of Middle East. Birth and development of sino centered orientalism consisted in correlation with cultural oppositive interpretation based on theology system of Middle Ages projected in a series of images of others of Jesuit of accommodationism. This can be integrated as mutual benefit exchange image . Jinyugogyo which belongs to positive orientalism and exclusive exchange image . Sokyuihak which belongs to positive orientalism in terms of civilization external discourse. Above mentioned images of others acted as frame of reference which organizes various cultural spectrum and produces Cheonhak in sino centered orient. This thesis investigated formation of East Asia Studies(Cheonhak) of European missionary and various inter-civilization elements of East Asia. This thesis was to resolve wider prospect of orientalism that embraces affirmation and negation by correcting and supplementing negative image of existing others discourse represented by Edward W. Said and activating positive meaning.

      • KCI등재

        17∼18세기 프랑스 예수회의 `색은주의 천학` 논고 - 유교 문헌에 대한 색은주의의 문화 동일적 해석 -

        전홍석 ( Jeon Hong-seok ) 한국동서철학회 2016 동서철학연구 Vol.0 No.82

        본 논고는 `부정적 타자 형상`에 한정하는 사이드식의 고정적이고 단선적인 `근대 오리엔탈리즘`의 편협성을 비판·수정하고 그 반대편에 위치한 긍정적 오리엔탈리즘, 곧 동서양 문명의 `호혜적 교류 형상`을 공론화하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그 역사적 모델은 17∼18세기 프랑스 예수회 동아시아학 시대 `색은주의 천학`의 형성 지형에서 모색 해보았다. 논점은 `비교문화 형상학`에 토대하여 유교 문헌에 대한 색은파 조아셍 부베와 조세프 프레마르의 중국전통의 연속성을 강조하는 `문화 동일적 해석`에 맞춰졌다. 이를테면 대항해시기 동서양 간-문명의 `문화적 대화`라는 관점에서 그들의 한문 텍스트에 투영된 일련의 `타자 형상`을 분석함으로써 타문화에 공감하고 다양한 문화적 가치와 모델들을 공유하는 `호혜적 교류 형상`을 구체화고자 했다. 사실 이러한 색은주의 천학의 `긍정적 문화 형상`은 유대-그리스도교 보편주의를 전제로 전개된 것이다. 히브리 유일인격신의 보편적 세계상은 색은주의의 소통코드를 조형해내는 절대적 문화 인자라고 할 수 있다. 이 상호존중, 상호인정의 타자 형상은 신유학을 포함한 중국문화가 그리스도교와 상충되지 않고 동맹임을 내포한다. 요컨대 이국문명을 인식하는 방법과 그에 따른 동서양의 화통을 모색했던 중화오리엔트 색은파 신부들의 지난한 연구 노력은 가장 진보한 인본주의적 투신이자 숭고한 문화 창조의 과정이라 할 수 있다. 더욱이 종래 적응주의가 초래한 동아시아 문화전통의 양분적 파열이 프랑스 예수회 색은주의에 이르러 봉합된 사실은 본래적 `유교오리엔탈리즘`의 완결이라는 점에서 의미심장하다. This study was prepared to criticize and modify the parochialism of fixed and linear `modern orientalism` by Edward W. Said who defined `negative other shape`, and to publicize positive orientalism that stands on the other side, that is, `reciprocal exchange shape` of oriental and western civilizations. The historical model was derived from the topography of shaping France Jesuits` East Asia `Figurism Cheonhak` in the 17∼18th centuries. The arguing points are focused on `culture-identical interpretation` emphasizing the continuity of Chinese traditions by Figurism Joachim Bouvet(白晉, 1656~1730) and Joseph Henry Marie de Premare(馬若瑟, 1666~1736) about Confucianism literature based on comparative culture Imagologie. In other words, in a perspective of `cultural dialogues` of inter-civilization between the East and the West in the era of grand navigation, this study attempted to emphasize other culture by analyzing a series of their other shapes reflected in Chinese texts, and embody `reciprocal exchange shape` sharing diverse cultural values and models. In fact, this Figurism Cheonhak of `positive culture shape` was developed in the premise of Judaism- Christianity universalism. Hebrew monotheistic god`s universal world view can be said to be an absolute culture factor shaping a communication code of Figurism. These shapes of mutual respect and mutual recognition imply that Chinese culture including neo-Confucianism does not contradict to Christianity but that it is an ally. So called, constant research endeavors of Chinese Orient Figurism Reverends in search of methods perceiving foreign civilizations and accompanying eastern and western communication can be said to be the most advanced humanity-based contribution and a lofty process of culture creation at the same time. It is meaningful in that dichotomous ruptures of East Asian cultural traditions brought about by existing accommodationism were sutured up at the France Jesuits` Figurism, which is in fact a completion of intrinsic `Confucianism oriental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