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수습교사의 교직생활에 관한 연구

        전현욱(Jeon, Hyun Woo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6

        이 연구는 수습교사의 소외된 교직생활에 대한 보고다. 연구를 위해 사과초등학교에서 수습교사로 근무한 경험이 있는 정지찬과 박혜은, 두 사람을 연구 참여자로 하여 질적 연구의 주요 자료 수집 방법인 참여관찰 및 심층면담, 현지문서 수집의 방법으로 다양한 자료를 수집, 분석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에게 수습교사란 수업을 하는 사람, “교무행정업무”를 보조함으로써 과도한 업무에 따른 교사들의 고단함을 덜어 주는 사람을 의미했다. 그러나 현실은 달랐다. 수습교사는 단지 “잡일”, “허드렛일” 을 하는 “행정보조”에 지나지 않았다. 이와 같은 수습교사에 대한 자기 이해와 현실 사이의 괴리 속에서 수습교사들은 소외를 체험하였다. 분석 결과 소외는 크게 ‘사회화적 소외’, ‘문화적 소외’, ‘시스템적 소외’, ‘관계적 소외’, 그리고 ‘교육적 소외’등 다섯 가지 유형으로 분류될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사회의 유지, 지속, 발전을 위해 교직 후속세대의 교육에 관심을 가지고 심혈을 기울일 필요가 있음과 함께 교사들의 일상을 교육이라는 ‘삶의 형식’으로 재조직할 필요가 있음을 주장하였다. 끝으로 그에 관한 연구를 동료 연구자들에게 제안하였다. This study is a report on the alienation experienced by probationary teachers during their in-class training period. For this research, we recruited two research participants, Ji Chan Jung and Hye Eun Park, who had previously worked as probationary teachers at the Sagwa Elementary School. We collected and analyzed various data using the main data collection methods for qualitative research - participant observation, in-depth interviews, and collection of local documents. According to the research participants, a probationary teacher referred to a person who taught classes and alleviated teachers’ fatigue resulting from heavy workloads by assisting in “teachers’ administrative work.” However, the reality was quite different. Probationary teachers were only “administrative assistants” who did “chores.” In this gap between the self-understanding of probationary teachers and reality, probationary teachers experienced alienation.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we classified alienation broadly into five types: “sociological alienation,” “cultural alienation,” “systemic alienation,” “relational alienation,” and “educational alienation.” Based on the above findings, to ensure maintenance, sustainability, and development of the scholastic community, we argued for the need to take a close and keen interest in the training of future generations of probationary teachers as well as to reorganize their daily lives into a ”particular format” as set forth in education manuals. Last, we have also proposed to fellow researchers possible studies in related topics.

      • KCI우수등재

        교육과정 실행의 의미와 방향에 관한 소고

        전현욱(Jeon, hyun wook) 한국교육학회 2021 敎育學硏究 Vol.59 No.5

        교육이 가진 속성 중 하나는 ‘교수-학습의 해석적 상호작용’이다. 따라서 교수와 학습의 결과 일어나야 할 것은 교수 내용 또는 학습 내용에 대한 교수자, 학습자 각자의 해석과 실천, 즉 ‘차이’의 생성이다. 이 맥락에서 교육과정의 실행에 관한 연구는 실행의 결과와 함께 그 과정에서 차이가 생성되어 가는 양상에도 주목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관심을 바탕으로, 이 연구에서는 교육과정 실행이 나아가야 할 한 가지 방향과 의미에 관해 논의하였다. 우선 교육과정 실행의 세 가지 관점인 충실도, 상호작용, 그리고 생성의 관점에 관해 약술한 뒤, 들뢰즈가 분류한 네 가지 유형의 기호의 주요 특성을 참조하여 교육과정 생성의 의미를 논의하였다. 다음으로, 세 교사의 교육과정 실행 사례를 탐색하였다. 이 사례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던 것은 세 교사가 동일한 교육 사상과 이념의 해독을 통해 어떤 교육적 세계관을 형성하였는가에 따라 서로 다른 교육 세계를 구성하고, 교육과정의 실행 과정과 결과에서 차이를 생성한다는 점이었다. 이와 같은 차이 생성 현상의 방향과 의미를 ‘전략에 대한 전술의 형성’, ‘불일치의 공동체’ 개념을 활용하여 논의하였다. 끝으로 학생 행위주체의 관점을 적극 수용하여 행위주체로서 학생의 교육과정 실행 과정과 결과에도 관심을 갖고 연구를 수행해야 할 것을 제안하였다. One of the attributes of education is the interpretative interaction between teaching and learning. Hence, what must be generated as a result of these processes are differences in the interpretation and implementation of relevant contents by teachers and learners. For this reason, a study on curriculum implementation needs to take note of the development of such differences that occur as a result of the curriculum. Given this consideration, this study discusses the significance and direction of curriculum implementation. First, this paper lists the three aspects of curriculum implementation (fidelity, mutual adaptation, and enactment) and describes the major characteristics of the four types of sign proposed by Deleuze and their relationships with the national curriculum. It then introduces cases of curriculum implementation by three teachers, showing that a difference in the process and outcome of this implementation results from the different educational views of those teachers on the same national curriculum. The significance and direction of these differences are discussed using the concepts of “formation of tactics for a strategy” and a “community of dissensus.” Lastly, this paper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focus on the concept of student agency and observe the process and results of curriculum implementation by students as agents.

      • KCI등재

        과정중심평가 만들어 가기에 관한 참여적 실행연구 : 세종시 사과초등학교를 중심으로

        전현욱(Hyun-Wook Je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24

        이 연구는 세종시교육청의 과정중심평가 도입 초기, 과정중심평가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그 실천 방향을 탐색해 가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된 연구다. 연구 참여자들이 직접 연구자가 되어 자신의 연구를 수행하는 참여적 실행연구의 방법으로 이 연구는 수행되었으며, 2017년 5월부터 2018년 4월까지 약 1년 동안 모두 세 명의 교사들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연구는 참여 교사 각자의 연구 과제 수행과 연구 모임의 두 부분으로 이루어졌다. 연구 참여자들은 각자 실행 과목을 정해 매회 연구 모임을 통해 도출되는 연구 과제를 수행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생산된 다양한 산출물과 연구 모임에서 나눈 이야기들이 주요 자료로 수집되었다. 연구 결과 참여 교사들의 연구는 대체로 과정중심평가에 대한 선이해 - 실행을 위한 고민 - 실행 - 실행 후 반성 및 확장, 그리고 과정중심평가에 대한 새로운 이해로 이어지는 계열 속에서 수행되었으나 그 내용은 참여 교사 세 명이 모두 달랐다. 이들의 실행을 분석한 결과 나는 과정중심평가가 ‘과정 중 평가’와 ‘과정에 대한 평가’, 두 종류로 구분될 수 있음을 조심스레 논의하였다. 이어 평가와 관련된 다양한 요소들을 고려할 때 과정중심평가는 최소 24가지 유형으로 구분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understand the process-based evaluation deeply and to investigate the way of practicing in it. A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methodology was used to perform this research and 3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research for one year, from May, 2017 to April, 2018. This research was consisted of two parts, one was study performed by the participants themselves and the other was the seminar for this research. The participants performed their own study subjects that were drawn in the each seminars, and all the materials that were produced through these processes and dialogues in the seminars were collected. The participants performed their project in the series which were continued pre-understanding, deliberation for action, action, reflection and expansion, and renewing a process-based evaluation but the contents of these actions were different each other. After presenting these research results, I discussed that process-based evaluation could be classified in ‘evaluation in process’ and ‘evaluation on process’. Subsequently, I also suggested that when we consider various elements related this kind of evaluation, there would be 24 types of process-based evaluation, at least.

      • KCI등재

        학교의 교육적 기능 회복 담론 형성을 위한 시론적 연구: 학교생활 통제를 중심으로

        전현욱(Jeon Hyun Woo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5 No.3

        학교는 학생들이 모이는 곳이고, 무엇인가를 가르치는 곳이며, 그 무엇인가를 가 르치는 교사가 있는 곳이다. 국가는 그 가르침을 주관하고 학교를 소유함으로써 학 교의 행정에 관여를 하고, 무엇인가를 가르치는 교사를 양성하여 자격을 부여하고 임용하며, 교사가 가르쳐야 할, 그리고 학생들에게 가르쳐져야 할 그 무엇, 즉 교육 과정을 개발한다. 국가는 그렇게 학생들의 경험세계와는 무관한 교육과정이란 것을 개발하여 학생들에게 가르친다. 애초부터 배움의 자유, 그리고 자율적인 배움은 있 을 수 없는 제도이다. 이와 같은 학교제도를 유지하기 위해 학교는 시간을 분절하고 공간을 구획하며, 학생들의 욕구를 볼모 삼은 보상과 처벌을 적절히 제공함으로써 학생들을 교사들의 통제, 학교의 통제, 그리고 궁극적으로는 국가의 통제 아래에 둔다. 나는 이 연구를 통해 학교제도의 유지를 위해 학교가 채택하고 있는 생활 통제가 어디서 비롯되었는 가를 묻고, 그 작동 기제를 탐색함으로써 시론적이나마 학교교육의 교육적 기능 회 복을 위한 담론을 형성하고자 하였다. A school is a place where students gather, a place where something is taught, and a place for instructors who teach those things. The government interferes with the school’s operation by overseeing its instruction and through its ownership of the school. It also fosters, authorizes, and employs teachers by training them, and develops the curriculum (i.e., what instructors teach and what the students are taught). In this way, the government develops an educational system irrelevant to the students’ world of experiences, and instructs them with it. From the beginning, this system inhibits students’ the ability to learn freely. To maintain such a system, schools place students under the control of teachers, the school itself, and ultimately the government by segmenting their time, compartmentalizing their physical space, and adequately providing reward and punishment to meet students’ needs. Through this research, the author attempts to form the introductory discourse necessary to recover schools’ educational functions by questioning the origins of the controls that schools adopt to maintain the system, and by investigating its operating mechanisms

      • KCI등재

        ‘자기주도학습’의 의미에 관한 한 해석

        전현욱(Jeon Hyun woo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2 No.1

        이 연구는 오랜 기간 교육의 기본 원리였지만 ‘교수중심주의’에 의해 밀려났다가 최근 들어 다시금 주목 받고 있는 ‘자기주도학습’의 의미를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성인교육 분야에서 이루어지는 자기주도학습 사례를 비판적으로 검 토하고 해체하여 개념을 살펴보았고, 그 구조를 일상을 바라보는 기본 틀인 시간과 공간, 관계와 신체의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아울러 자기주도학습이 교육의 원리로서 갖는 두드러진 교육적 속성을 조용환(1997; 2011)이 밝힌 교육의 이념형과의 대비 속 에서 탐색하였으며, 앞의 세 가지 작업을 통해 자기주도학습의 실존적 의미를 해석 하였다. 본문에서 밝힌 대로 자기교육과 자기주도학습이 동일한 삶의 모습을 지칭하는 말 이라면, Gadamer의 말대로 모든 교육은 곧 ‘자기교육’일는지도, ‘자기주도학습’이어 야 할는지도 모른다. 습득한 지식을 이해하고, 자신의 삶에 통합시키는 것은 오직 학 습자 자신의 의도일 것이기 때문이다.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aning of Self-Directed Learning which fell behind with ‘Teaching-oriented principle’ although it has been a basic principle of education for a long time but is getting attention again. For this, cases of Self-Directed Learning which is carried out in adult education areas were reviewed critically, were understood of meanings by deconstruction and analyzed in respects of time and space or a basic frame of viewing the structure, relation and human body. Besides, outstanding educational properties which Self-Directed Learning has as a principle of education were explored in contrast with ideal types of education which Cho(1997; 2011) revealed and the existential meaning of Self-Directed Learning was interpreted through 3 kinds of works. As is discussed in the text, if the word self education has a same meaning with ‘Self-Directed Learning’, all education may be elf education or should be Self-Directed Learning as is said by Gadamer. That is why it may be only the intention of a learner to understand knowledge acquired and integrate it into one’s own life.

      • KCI등재

        수업 시간에 ‘쫓겨남’의 의미

        전현욱(Hyun Wook Je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19

        이 연구의 목적은 ‘수업 시간에 쫓겨남’이라는 독특한 사건이 그 당사자인 학생들에게 어떻게 의미화 되는지 살펴보고, 이를 통해 ‘수업’과 ‘교실’에 작용하는 지향성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나는 ‘수요 글쓰기’ 시간을 이용해 학생들에게 이 사건과 관련하여 글을 쓰게 하였고, 당시의 생각과 느낌을 비교적 자세하게 밝혀 썼다고 생각되는 다섯 아이들의 글을 자료로 삼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학생들은 ‘수업 시간에 쫓겨남’이라는 사건에 대하여 ‘갈등의 이중성’,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 ‘쳇바퀴’ 등 크게 세 가지 의미를 부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를 면밀히 분석한 결과, 학생들은 ‘수업’과 ‘교실’에 대해 ‘구조적’, ‘주체적’, ‘공간적’ 지향성을 가지고 있음을 알게 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나는 나 자신의 교사로서의 태도를 성찰하였다. 그 결과 당시 나를 지배한 감정은 ‘화’임을 알게 되었으며, 그 ‘화’의 의미를 해석해 가면서 교사로서 내가 가져야 할 삶의 자세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re are two things which I want to illuminate from this article as the purposes of this study: to recognize the meaning of ‘being kicked out form a class’ to students who experienced the incident, and to figure out the intentionality acting upon the ‘class’ and ‘classroom’ of the students. For these, I made the students write a paper related to that situation during ‘Wednesday writing activity time’. Among the papers, I chose five which were well-described the feeling and the thought about that moment to analyze them. As a result ot this precess, I came to gather 3 things from those papers which the students had attached to the incident: ‘the duality of conflict’, ‘the unbearable lightness of being’, and ‘the treadmill’. Further, I could find there is the intentionality which they had about ‘the class’ and ‘the classroom’: ‘the structural’, ‘subjective’, and ‘spatial’ intentionality. Based on the results, I tried to reflect on my attitude as a teacher and had enlightenment: the emotion which had dominated me at the incident was ‘anger’! Thus, interpreting the meaning of the ‘anger’, I will arrive at a conclusion what I want to discuss this article about the attitude which a teacher should prepare.

      • KCI등재

        초임기 초등교사의 교육활동 변화체험 연구

        전현욱(Jeon Hyun Woo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5 No.10

        인간의 삶의 환경은 끊임없이 변한다. 그 변화에 적응하는가 혹은 적응하지 못하 는가에 따라 인간은 생존 및 실존하기도, 또는 도태되기도 한다. 교사의 삶도 다르 지 않다. 나는 이 연구를 통해 삶의 환경이 급격하게 변했을 때 교사로서, 특히 교육 활동과 관련하여 그 속에서 무엇을 체험하는지, 그리고 그 체험의 구조는 어떠한지 알고 싶어 이 연구를 수행했다. 연구 참여자들의 체험을 살펴본 결과 교육 활동의 변화는 몇 가지 과정, 구체적으로 ‘성찰을 통한 자각’, ‘깨달음’, ‘도움을 받음’, ‘방향 설정’, ‘확신, 그리고 실천’을 거쳐 일어나고 있음이 드러났다. 그리고 이는 곧 ‘학습’ 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또한 그것이 참여자들이 자신들의 교육활동의 변화에 대하 여 가지고 있는 지향성임이 드러났다. 아울러 이 학습은 ‘위기’, ‘만남’, ‘발견’의 요소 들이 상호 얽혀 있는 매우 복잡한 현상임을 알게 되었다. 물론 이때의 ‘학습’이란 단 순히 다른 사람의 말을 기계적으로 외워서 앵무새처럼 되뇌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 다. 변화의 주체로서 자기 자신의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삶, 그리고 거기서 오는 생 생한 체험들이 근간이 될 때 비로소 올바른 의미를 가지게 되는 하나의 삶의 형식이다. The environment around us is constantly changing.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o adapt those changes, humans are often survival, existence or selection. The life of teachers is not much differen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when the circumstances of life are suddenly altered, as teacher, particularly regarding their educational activities what they experience in it, and what is the structures of that lived experience. Changes in the educational activities were taking place through several processes. And these may be understood as a learning and turn out to be an intentionality for changes of their educational activities that the research participants have. Of course, this learning does not mean to repeat and memorize the other’s words mechanically. It is one of the forms of life and it can obtain the correct meaning through our vivid lived experience that we experience as a subject of change.

      • KCI등재
      • KCI등재

        통합학교 아이들: 학교생활 적응 경험의 의미

        전현욱 ( Hyun Wook Jeon ) 한국교육인류학회 2008 교육인류학연구 Vol.11 No.2

        이 연구의 목적은 통합학교에 다니게 된 아이들이 겪게 된 삶을 내러티브 탐구를 활용하여 객관적으로 바라보고 그 의미를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세 명의 연구 참여자를 대상으로 관찰, 면담, 기타 문서자료 등의 방법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교육적 의미를 찾을 수 있었다. 첫째, 통합으로 인해 참여자들은 기존의 익숙했던 것들, 즉 친숙했던 이전 학교의 공간 구조, 통학방법, 학교교육계획에 따른 여러 가지 교육활동, 주간 계획, 일과시간 등으로 유·무형적인 요소가 혼합되어 있었으며, 그 종류 또한 다양했다. 둘째, 학급구성원이 늘어난 것은 단순히 물리적으로 그 수가 늘어난 것만을 의미하지 않으며, 많은 부분에서 학생들의 삶에 긍정적·부정적인 변화를 일으켰다. 참여자들은 학교생활에 즐거움을 느끼게 되었고 친구를 선택하고 사귈 수 있는 범위가 넓어졌다는 점에서 긍정적 변화를 경험했다. 이와는 반대로 성적이 떨어지고 생활의 질서가 무너졌으며 선생님들이 엄해지고 원치 않는 것을 억지로 받아들여야 한다는 점에서 부정적인 변화를 겪었다. 셋째, 참여자들은 시간이 흐름에 따라 차차 통합학교 생활에 대부분 적응했으나 질서와 규칙을 지키는 점에서는 아직도 부족함을 시인했다. 결국 통합학교 생활에 적응한다는 것은 학교의 모든 것을 자신에게 의미를 가진것으로 받아들인다는 것을 뜻하며, 또한 재미를 추구하며 살아갈 때의 변화를 받아 들이고 인식하는 일이다. The purpose of this inquiry was to objectively observe the lives of children that attend consolidated schools, and to delve into its significance. For this purpose, data was collected through methods such as observation, interviews, and collection of other document data, with three participants serving as research subjects. The results were analyzed. Through implementing narrative inquiry on the participants, organized based on this data, several educational points were discovered about their experience in the consolidated schools. First, through consolidation, the participants went through changes from their usual lives in the past. Their once familiar material and immaterial factors combined, including space structure, way of attending school, various educational activities according to the curriculum, and daily schedule, went through numerous types of changes. Second,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classmates means more than just the physical increase of numbers, but it generated numerous positive and negative changes in the lives of the students. Positive changes that the participants went through included the fact that they enjoyed school life and their range of friends to choose from expanded. In contrast, school grades plummeted, the orderly way of life crumbled, teachers became more strict, and the students were forced to accept things against their will. Third, the participants generally adjusted to their new lives over time, but they admitted that they were still not used to abiding by the rules or an orderly system. `Adjusting` here means accepting all significant aspects of school, and also, in pursuit of enjoyment, it means accepting the changes that occur in their liv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