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확장형 데이터 표현을 이용하는 이진트리의 룰 개선

        전해숙,이원돈,Jeon, Hae Sook,Lee, Won Don 한국정보통신학회 2014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18 No.6

        In ubiquitous environment, data are changing rapidly and new data is coming as times passes. And sometimes all of the past data will be lost if there is not sufficient space in memory.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make rules and combine it with new data not to lose all the past data or to deal with large amounts of data. In making decision trees and extracting rules, the weight of each of rules is generally determined by the total number of the class at leaf. The computational problem of finding a minimum finite state acceptor compatible with given data is NP-hard. We assume that rules extracted are not correct and may have the loss of some information. Because of this precondition. this paper presents a new approach for refining rules. It controls their weight of rules of previous knowledge or data. In solving rule refinement, this paper tries to make a variety of rules with pruning method with majority and minority properties, control weight of each of rules and observe the change of performances. In this paper, the decision tree classifier with extended data expression having static weight is used for this proposed study. Experiments show that performances conducted with a new policy of refining rules may get better.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데이터는 빠르게 변하고 새로운 데이터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서 출현한다. 그리고 때로, 메모리 공간이 충분하지 않다면, 모든 과거의 데이터를 잃을 수 있다. 그러므로, 과거의 모든 데이터를 잃지 않도록 또는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서 룰을 만들고 새로운 데이터와 결합하는 문제를 해결할 필요가 있다. 이진트리를 만들고 룰을 추출할 때, 각 룰의 중요도는 일반적으로 리프의 클래스의 총 개수로 정해진다. 주어진 데이터에 맞는 최소한의 유한한 상태 억셉터를 찾기 위한 계산 문제는 NP 하드 문제이다. 추출된 룰은 정확하지 않고 정보의 유실이 있다고 가정된다. 이러한 전제조건 때문에, 본 논문은 룰을 개선하기 위한 새로운 접근을 제시한다. 이것은 이전 지식 또는 데이터로 된 룰의 중요도를 제어하는 것이다. 룰 개선을 할 때, 본 논문은 다수와 소수 특성을 이용하는 푸루닝 방법을 사용하여 다양한 룰을 만들고 룰의 각각의 중요도를 제어하고 성능의 변화를 관찰한다. 본 본문에서 고정된 중요도를 갖는 확장된 데이터 표현을 갖는 이진트리 분류기가 사용되었다. 시험 결과는 룰 개선을 위한 새로운 정책을 이용해서 수행한 성능이 더 좋을 수 있음을 보여준다.

      • KCI등재

        노년기 의료서비스 이용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전해숙(Hae-Sook Jeon),강상경(Sang Kyoung Kahng) 한국노년학회 2011 한국노년학 Vol.31 No.4

        현재 우리나라가 경험하고 있는 급속한 인구고령화 현상은 노년층 사이의 만성질환 및 의료서비스 이용의 증가로 연결된다. 의료서비스 이용은 궁극적으로 서비스 소비자들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준다. 하지만 노년기의 의료서비스 이용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나 만성질환의 유무에 따라서 의료서비스 이용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상이한지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많지 않다. 본 연구는 노년기 의료서비스 이용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살펴보고, 의료서비스 이용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만성질환 유무에 따라서 상이한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한국복지패널 3차년도 조사에 참가한 65세 이상 노인 3,944명을 대상으로 구조방정식(Structural Equation Modeling)과 다중집단 구조방정식분석(Multi-Group SEM)을 하였다. 관련변수들을 통제한 상태에서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노인 전체적으로는 외래서비스 이용이 많을수록 삶의 만족도 수준은 낮고, 입원일수가 많을수록 삶의 만족도 수준이 높은 반면, 건강검진 서비스 이용수준은 만족도와 유의한 관련성이 없었다. 하지만 의료서비스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만성질환의 유무에 따라서 상이하였다. 만성질환이 있는 사람들은 입원서비스 이용 수준이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주지 않는 반면, 없는 사람들은 입원일수가 많을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았다. 질병이 있는 사람들은 건강검진서비스 수준이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반면, 질병이 없는 사람들은 건강검진 서비스를 많이 받은 사람들의 만족도 수준이 낮았다. 외래서비스 이용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질명유무에 따라서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노년기 의료서비스 이용이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준다는 것과 의료서비스 이용이 만족도에 주는 영향이 만성질환이 있는 노인들과 없는 노인들 사이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이론적 실천적 함의에 대해서 논의하고 향후 연구의 방향에 대해서 제안하였다. The rapidly aging society entails the increases of medical service utilizations among the elderly. Medical services utilized by the elderly influence their life satisfaction. However, little is known about the effects of medical service utilizations on life satisfaction. Much less is known about whether the effects of medical service utilizations on life satisfaction tend to vary by the presence of chronic health conditions. Including 3,944 individuals aged 65 and over who participated in the 3rd wave of Korean Welfare Panel Study, the current study aims to examine (1) the relationships between medical service utilizations and life satisfaction and (2) whether the effects of medical service utilizations on life satisfaction vary by the presence of chronic health conditions. Data were processed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and multi-group SEM. Results indicate that (1) levels of both outpatient and inpatient service utilizations are related to life satisfaction, whereas levels of health monitoring service utilizations are not and (2) the effects of medical service utilizations varied by the chronic health condition status of the elderl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in order to enhance levels of life satisfaction, medical services should be strategically utilized by the elderly depending on their chronic health condition status. Based on the findings, we discussed implications for practice and policy, suggesting future research directions based on the limitations of the current study.

      • KCI등재

        정신요양시설 입소 정신장애인의 정신건강자신감 관련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전해숙(Hae Sook Jeon) 한국콘텐츠학회 2016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6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정신요양시설 입소 정신장애인의 정신건강자신감 영향요인을 살펴보고 영향요인 및 메카니즘이 입소기간에 따라서 차이가 있는지를 탐색적으로 고찰하는 것이다. 분석대상은 정신요양시설 실태조사에 참여한 정신요양시설 입소 정신장애인 1,742명으로 구조방정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입소기간에 따른 차이를 탐색하기 위해 평균입소기간이 10년 미만 입소 정신장애인(n=962)와 10년 이상 입소 정신장애인(n=780)간 다중집단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학력, 유병기간, 정신과적 증상, 및 인지된 스티그마는 직·간접적으로 정신건강자신감에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영향력의 효과분해 결과 유일하게 유병기간만 인지된 스티그마를 통한 유의한 간접효과를 나타내었다. (3) 다중집단분석 결과는 입소기간에 따른 영향요인 및 메카니즘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의의 및 한계를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predictors of mental health confidence(MHC) among individuals in psychiatric long-term care facilities(PLCF). It further examined whether the predictors and underlying mechanisms differed by the length of hospitalization. Sample consisted of 1,742 individuals residing in PLCF who participated in the Survey on PLCF. Structural equational modeling was used to examine the predictors of MHC. Multi-group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was used to examine whether the predictors and mechanisms differed by the length of hospitalization between those of 10 years or less (n=962) and 10 years and more (n=780).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1) Education, duration of mental illness, and psychiatric symptoms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MHC. (2) Duration of mental illness presented significant indirect effects on MHC via its effects on perceived stigma. (3) The predictors and underlying mechanisms differed by the length of hospitalization. Based on the findings,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초고령 노인의 자살위험성 궤적 영향요인

        전해숙(Jeon, Hae-Sook) 강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6 사회과학연구 Vol.55 No.2

        본 연구는 85세 이상 초고령 노인의 자살위험성 궤적을 추정하고, 자살위험성 궤적의 예측요인을 정신건강변수인 우울과 사회안전망 변수인 공공부조 수급여부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분석을 위해 한국복지패널 데이터를 사용하였으며, 복지패널 자살질문이 투입된 연도인 2012년을 기준으로 85세 이상 초고령 노인 198명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분석방법은 2012년부터 2014년까지 추적 조사한 데이터를 사용하여 잠재성장모형 분석을 하였다. 잠재성장모형 무조건부 모형 분석결과 초고령 노인의 자살위험성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자살위험성 변량은 개인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잠재성 장모형 조건부 모형 분석결과 초기 우울수준이 높은 사람들이 높은 수준의 초기 자살위험성을 보여주었으나, 우울수준은 기울기에는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았다. 한편 공공부조 수급자 초고령 노인들은 초기치에는 높은 수준의 자살위험성을 나타내었으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위험성의 증가속도가 낮아졌다. 이러한 결과는 초고령 노인자살의 영향요인이 우울과 사회안전망 모두이지만, 자살위험성을 낮추고자 하는 예방사업의 방향은 사회안전망 확보가 더 필요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ed (1) to estimate the trajectory of suicide risk among the oldest-old aged 85 and over and (2) to examine the predictors of the suicidal risk trajectory with specific focuses on depression and public assistance. Sample consisted of 198 oldest-old who participated in the Korean Welfare Panel Study as of 2012 when questions of suicide were included in the survey. Data were analyzed through Latent Growth Curve Modeling(LGCM). The result of unconditional LGCM showed that the suicide risk of the oldest-old tends to increase with age. The results of conditional LGCM revealed (1) that those with depression showed higher levels of suicide risk than those without and the initial gaps maintained with time and (2) that those with public assistance showed higher levels of suicide risk than their counterparts but they presented a slower increasing rate and the initial gaps became smaller with time. Based on these findings, implications for research and practice were discussed.

      • KCI등재

        노년기 우울궤적의 예측요인

        전해숙(Hae-Sook Jeon),강상경(Sang Kyoung Kahng) 한국노년학회 2009 한국노년학 Vol.29 No.4

        건강상태와 심리사회적 요인이 우울증상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것은 기존연구를 통하여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하지만 기존의 종단데이터 부족과 분석방법의 한계로 이러한 변수들과 우울증상 궤적과의 관계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많지 않다. 이러한 기존 연구의 한계를 염두에 두고, 본 연구는 건강상태 및 심리사회적 요인과 우울증상의 궤적간의 관계를 살펴보는 것을 주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전국 대표샘플인 한국복지패널데이터 1, 2, 3차 자료를 이용하여 60세 이상의 노인들(N=4,919)의 우울궤적 예측요인을 잠재성장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사회경제적 변수를 통제한 상태에서 건강변수와 심리사회적 변수들이 우울궤적에 미치는 영향은 기존연구와 유사한 점도 있지만 다른 점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건강변수는 우울증상의 수준에는 영향을 미치지만 우울증상의 변화속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심리사회적 변수는 기존 연구와 동일하게 모두 우울수준에 영향을 미치지만, 기존 연구와는 다르게 변수에 따라서 우울증상의 변화속도에 미치는 영향은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자아존중감과 가족관계 변수는 우울증상 변화속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반면, 사회적 관계는 우울증상 변화속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실천 및 향후 연구를 위한 함의를 논의하였다. It is well known that health and psychosocial factors are closely associated with depressive symptoms. Due to limitations in available data and analysis methods, however, little is known about the effects of health and psychosocial factors on depression trajectory. In order to address the limitations, this study examines the predictors of depression trajectory using latent growth curve modeling involving individuals aged 60 and over who participated in the Korean Welfare Panel Study (N=4,919). Controlling for socioeconomic variables, health and psychosocial variables were cross-sectionally associated with depressive symptoms, which is consistent with previous findings. However, the effects of health and psychosocial variables on the rate of depressive symptom change varied. Health variable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levels of depressive symptoms at wave 1, but these were not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rate of depressive symptoms change. By contrast, although psychosocial variable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depressive symptoms at wave 1, the effects of psychosocial variables on the rate of depressive symptom change varied. Specifically, while self-esteem and family relationship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rate of depressive symptom change, social relationship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the rate of depressive symptom change.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discussed implications for intervention and future research.

      • KCI등재

        노인 인지문제 개선 예측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고령자패널데이터(KLoSA)를 이용하여

        전해숙 ( Jeon Hae Sook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3 保健社會硏究 Vol.33 No.2

        본 연구는 노인들의 손상된 인지기능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지에 대해 알아보고 노인의 인지기능의 개선 여부와 관련된 요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을 위해서 고령화연구패널조사 1차년도와 2차년도 자료를 사용하였다. 분석대상은 1차년도에 참여한 총 조사대상자 중에서 인지기능에 문제가 있고 2차년도 인지정보를 통해서 인지 문제 유지 또는 개선여부 판단이 가능한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하였다(N=1,569명). 인지기능장애는 K-MMSE(Korean version of Mini-Mental State Examination)에서 23점을 평가기준점으로 하였다.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1차년도에 인지기능의 손상이 있었던 노인의 78.6%는 여전히 인지기능의 장애가 있다고 답한 반면 21.4%는 인지기능이 호전되었다고 보고하였다. 인지기능개선의 예측요인으로는 연령, 성별, 교육, 종교, 소득과 같은 사회인구학적 요인들이 노인의 인지기능 개선과 유의미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연령이 낮을수록, 남성이 여성보다, 교육이 높을수록, 종교가 있는 노인이, 소득이 높을수록 인지문제 개선확률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정기적 운동을 하는 노인들과 사교모임수가 많은 노인들이 인지문제를 개선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기반을 두어 노인들의 인지기능 개선을 위한 실천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how cognitively impaired function of the elderly is changed over time and what factors are associated with cognitive improvement over 2 years. The study used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 Wave 1 and Wave data. Participants included 1,569 elders aged 65 and over who scored 23 or lower in K-MMSE(Korean version of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at Wave 1. Hierarchical logistic regression was employed for the analysi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1) 78.6% of the participants reported that they had cognitive impairment at Wave2, while 21.4% of the participants that their cognitive impairment was improved over 2 years. (2) Socio-demographic factors such as age, gender, education, religion, income are found to be associated with cognitive improvement over 2 years. That is, younger participants, males, individuals with higher education, with religion, and with higher income presented higher probability of cognitive improvement. (3) Those practicing regular physical activity and having more numbers of socially engaging activities presented higher probability of cognitive improvement over 2 years. Based on the results implication was discussed.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