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PCR방법을 이용한 국화흰녹병균 검출

        전푸름,배신철,박상렬,김정구,안일평,황덕주 한국화훼학회 2014 화훼연구 Vol.22 No.4

        In South Korea, chrysanthemum cut flowers have alarge share in the flower industry and, compared to 2001, theexport of chrysanthemum cut flower increased by 1.9 times in2011. However, Korean growers have faced with difficulty inkeeping competitiveness in world chrysanthemum cut flowermarket due to increase production cost and selling pricecompetition. In order to overcome these problems, it isneeded to develop cultivars that consumers demand andto produce cut flower chrysanthemum with high quality. Diseases and insects can cause severe quality problem ofcut flower chrysanthemum. The most serious damage iscaused by chrysanthemum white rust. The best option tominimize damage caused by white rust is to developcultivars resistant to chrysanthemum white rust, but it willtake so long time to develop a resistant cultivar. Therefore,an alternative way can be development of technique forearly detection of infection by chrysanthemum white rust,which can minimize damage of cut flower chrysanthemum. We preferentially established the system for production ofwhite rust susceptible chrysanthemum plants because it isrequired to supply susceptible plants in laboratoriesthroughout the year to develop the detection technique forwhite rust. Pathogens sampled from susceptible plants wereidentified as chrysanthemum white rust through investigationof shape and size of basidiospore using microscope and analysis of rDNA sequence of the pathogen. In addition,the specific gene for chrysanthemum white rust wasselected from genome database of Puccinia horiana and0.25 ng of its genomic DNA could be obtained by PCRusing primers designed to target the specific gene ofchrysanthemum white rust. Six pg of its genomic DNA couldbe also amplified by Real-time PCR. In the near future, wewill confirm if chrysanthemum white rust can be detectedthrough the PCR method mentioned above before symptomcaused by infection of white rust is become visible. 우리나라의 절화국화는 국내 화훼작물 중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수출 또한 2011년에는 2001년대비 약1.9배 증가하였지만 생산단가 상승과 주변 경쟁국들과의가격 경쟁력으로 수출농가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를극복하기 위해서는 소비자의 기회에 맞는 품종을 개발하고 또한 고품질 국화를 생산하는 것이 필요하다. 국화 품질을 저하시키는 요인 중 하나는 병해충 감염이며, 국화흰녹병이 가장 심각한 피해를 주고 있다. 국화흰녹병 병발생을 근절할 수 있는 근본적인 해결책은 저항성 품종개발이지만 이는 많은 시간이 필요하기에 단기적 방법으로 가시적으로 병징이 나타나기 이전에 국화흰녹병 감염여부를 검정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한다면 병 발생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을 것이다. 국화흰녹병 검정 기술 개발을 위해 실험실 조건에서 이병주의 연중 생산이 필수적이기에 이병주를 생산하는 시스템을 우선적으로 확립하였다. 그리고 자체 생산한 이병주에서 증식된 병원균의 담자포자의 형태적 특성 및 rDNA의 DNA 염기서열분석 결과로 국화흰녹병균임을 입증하였다. 또한 국화흰녹병균 유전체 정보를 이용하여 국화흰녹병균만을 검출할 수 있는 유전자를 선발하였고 이 유전자를 대상으로국화흰녹병균 게놈 DNA 0.25ng까지 검출할 수 있는 프라이머 쌍을 개발하였다. 동일한 프라이머를 이용하여Real-time PCR를 실시하면 게놈 DNA 6pg까지 검출이가능하였다.향후 이러한 방법을 이용하여 병원균 접종후육안으로 병징이 확인되기 이전에 국화흰녹병균의 검출을 확인할 예정이다.

      • KCI등재

        PCR방법을 이용한 국화흰녹병균 검출

        전푸름,박상렬,김정구,안일평,황덕주,배신철 한국화훼산업육성협회 2014 화훼연구 Vol.22 No.4

        우리나라의 절화국화는 국내 화훼작물 중 큰 비중을 차 지하고 있다. 수출 또한 2011년에는 2001년대비 약 1.9배 증가하였지만 생산단가 상승과 주변 경쟁국들과의 가격 경쟁력으로 수출농가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소비자의 기회에 맞는 품종을 개발하 고 또한 고품질 국화를 생산하는 것이 필요하다. 국화 품 질을 저하시키는 요인 중 하나는 병해충 감염이며, 국화 흰녹병이 가장 심각한 피해를 주고 있다. 국화흰녹병 병 발생을 근절할 수 있는 근본적인 해결책은 저항성 품종 개발이지만 이는 많은 시간이 필요하기에 단기적 방법으 로 가시적으로 병징이 나타나기 이전에 국화흰녹병 감염 여부를 검정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한다면 병 발생 피 해를 최소화할 수 있을 것이다. 국화흰녹병 검정 기술 개 발을 위해 실험실 조건에서 이병주의 연중 생산이 필수 적이기에 이병주를 생산하는 시스템을 우선적으로 확립 하였다. 그리고 자체 생산한 이병주에서 증식된 병원균 의 담자포자의 형태적 특성 및 rDNA의 DNA 염기서열 분석 결과로 국화흰녹병균임을 입증하였다. 또한 국화흰 녹병균 유전체 정보를 이용하여 국화흰녹병균만을 검출 할 수 있는 유전자를 선발하였고 이 유전자를 대상으로 국화흰녹병균 게놈 DNA 0.25ng까지 검출할 수 있는 프 라이머 쌍을 개발하였다. 동일한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Real-time PCR를 실시하면 게놈 DNA 6pg까지 검출이 가능하였다.향후 이러한 방법을 이용하여 병원균 접종후 육안으로 병징이 확인되기 이전에 국화흰녹병균의 검출 을 확인할 예정이다. In South Korea, chrysanthemum cut flowers have a large share in the flower industry and, compared to 2001, the export of chrysanthemum cut flower increased by 1.9 times in 2011. However, Korean growers have faced with difficulty in keeping competitiveness in world chrysanthemum cut flower market due to increase production cost and selling price competition. In order to overcome these problems, it is needed to develop cultivars that consumers demand and to produce cut flower chrysanthemum with high quality. Diseases and insects can cause severe quality problem of cut flower chrysanthemum. The most serious damage is caused by chrysanthemum white rust. The best option to minimize damage caused by white rust is to develop cultivars resistant to chrysanthemum white rust, but it will take so long time to develop a resistant cultivar. Therefore, an alternative way can be development of technique for early detection of infection by chrysanthemum white rust, which can minimize damage of cut flower chrysanthemum. We preferentially established the system for production of white rust susceptible chrysanthemum plants because it is required to supply susceptible plants in laboratories throughout the year to develop the detection technique for white rust. Pathogens sampled from susceptible plants were identified as chrysanthemum white rust through investigation of shape and size of basidiospore using microscope and analysis of rDNA sequence of the pathogen. In addition, the specific gene for chrysanthemum white rust was selected from genome database of Puccinia horiana and 0.25 ng of its genomic DNA could be obtained by PCR using primers designed to target the specific gene of chrysanthemum white rust. Six pg of its genomic DNA could be also amplified by Real-time PCR. In the near future, we will confirm if chrysanthemum white rust can be detected through the PCR method mentioned above before symptom caused by infection of white rust is become visible.

      • KCI등재

        한국 사회 환경교육의 발전 과정: 『환경교육』을 통해 본 사회 환경교육의 연구 동향을 중심으로

        장미정,임수정,전푸름 한국환경교육학회 2019 環境 敎育 Vol.32 No.3

        On the 30th anniversary of the Korean Society for Environmental Education, this study aims to identify research trends on social environmental education, to analyze different development periods and to derive insights for future studies. Out of 789 published articles (since 1989) from the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156 social environmental education-related articles were analyzed using the following nine criteria: year of publication, author's affiliation, research method, research topic, agent of education, educational goal, education target, place of education, and form of education. The result reveals that the number of articles that are related to social environmental education is lower than general or school environmental education-related ones. In terms of research topics, studies in educational program take up the majority whilst theoretical and philosophical research has a relatively small portion. The research trend in educational agents and location of education is found to be greatly influenced by relevant environmental education policies. Educational targets, on the other hand, have been simultaneously affected by changes in civil environmental organizations and school curriculum. In regard to the form of education criterion, non-formal education is shown as the majority. Lastly, the ratio between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study has been balanced in the recent years; the qualitative research was remarkably outnumbered in the past. Overall, it is said that social environmental education has developed with keen interactions with environmental and social changes, national/local environmental education policies as well as evolving school curriculum. In order for social environmental education to have a complementary influence in development of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future, it is required to expand its research base to explore and interpret the diverse values of current educational activities, which take place outside of the formal institutions. 이 연구는 (사)한국환경교육학회의 창립 30주년에 즈음하여, 학회지 『환경교육』에 게재된 사회 환경교육관련 연구 동향을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사회 환경교육의 시기별 발전 과정에 대한 고찰, 향후 연구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찾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1989년부터 현재까지 학회지에 게재된 789편의 논문가운데, 사회 환경교육 관련 논문 156편을 대상으로 9가지 영역별 분석(게재 연도, 저자 소속, 연구 방법 연구 주제, 교육 주체, 교육 목표, 교육 대상, 교육 장소, 교육 형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사회 환경교육 관련 논문은 일반 환경교육이나 학교 환경교육에 비해 편수가 적고, 프로그램 연구가 대다수를 차지하였으며, 이론/철학 연구가 상대적으로 낮은 비율로 나타났다. 교육 주체와 교육 장소적 특성에 따른 연구동향에서는 환경교육 정책의 영향을 크게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교육 대상과 관련해서는 민간환경단체의 변화와 학교 교육과정의 영향을 동시에 받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교육 형식과 관련해서는 비형식 교육이 대다수를 차지하였다. 마지막으로 과거에는 질적 연구의 비율이 현저히 높았으나 최근에는 양적 연구의 비율도 높아져 양적, 질적 연구 편수가 비슷해진 것으로 파악되었다. 전반적으로 사회 환경교육은 환경적/사회적 변화와 함께 국가/지자체의 환경교육 정책 및 학교 교육과정 등의 정책의 변화에도 민감하게 상호작용하며 발전해온 것으로 파악된다. 향후 사회 환경교육이 환경교육의 발전 과정에서 상호보완적인 영향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제도권 밖에서 벌어지는 역동적 교육활동의 의미를 탐색하고 해석할 수 있는 연구기반의 확대가 필요한 시점이다.

      • KCI등재

        초․중․고등학교 학생들의 학교 환경교육 경험 및 요구 조사

        주형선,김남수,전푸름,이선경 한국환경교육학회 2021 環境 敎育 Vol.34 No.4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students’ perception of environment and sustainable development, and assess their needs for environmental education in Korea.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two groups. First, the sample was prepared by selecting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from all over the country. Next,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environmental education support project of the Ministry of Environment between 2017 and 2020 were selected for the survey. The survey was conducted via online questionnaire survey between November and December 2020.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students were shown to be interested in various environmental issues as well as climate change/climate crisis. As for ‘how to obtain information on environmental issues’, ‘Internet’ and ‘school class or activity’ were found to be high in both groups. Second, ‘climate change/climate crises’ among environmental issues provided in schools got the overall highest rate of learning. Regarding pedagogies for environmental education in school’, ‘lecture’ was the most popular, which was higher in middle and high schools. Third, ‘environmental issues that they would like to learn from school in the future’ were not only ‘climate change/climate crisis’ but also ‘water crisis’, ‘ecosystem conservation’, and ‘sustainable city.’ In addition, they hoped that environmental education would be conducted in various ways, and be ‘included in environmental education in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 and ‘environmental festivals and events’ as well as ‘regular classes’ at school.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suggested to continuously provide opportunities for students to systematically acquire information about the environment through classes and school life. It was proposed to prepare an institutional plan to secure time for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curriculum, expand student-participatory environmental education, and continuously implement school environmental education support projects as well. 본 연구에서는 학교 환경교육의 주요 주체라고 할 수 있는 학생의 환경․지속가능발전에 대한 인식과 환경교육에 대한 요구를 조사하였다. 조사 대상은 두 집단이었다. 우선 전국의 초․중․고등학생을 모집단을 하여 표본을 선정하였다. 다음으로 2017년∼2020년 사이 환경부의 환경교육 지원 사업에 참여한 초․중․고등학교 학생을 조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조사는 2020년 11월∼12월 사이 온라인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주요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은 기후변화/기후위기뿐만 아니라, 다양한 환경 사안에 관심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 사안에 대해 정보를 얻는 방법’은 두 집단 모두에서 ‘인터넷’과 ‘학교 수업이나 활동’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학교에서 배운 적이 있는 환경 사안’을 조사한 결과 전체적으로 ‘기후변화/기후위기’를 학습한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학교에서 환경 사안을 학습한 방법’은 ‘강의’의 비중이 가장 높았으며, 중․고등학교에서 더 높았다. 셋째, ‘학교에서 앞으로 배우고 싶은 환경 사안’은 ‘기후변화/기후위기’뿐만 아니라, ‘물 위기’, ‘생태계 보전’, ‘지속가능한 도시’ 등 다양했다. 또한, 학교 ‘수업시간’뿐만 아니라, ‘창의적 체험활동에 환경교육 포함’, ‘환경축제, 행사 개최’ 등 다양한 방법으로 환경교육이 이루어지기를 희망했다. 이상의 조사 결과를 토대로 학생들이 수업과 학교생활을 통해 환경에 대한 정보를 체계적으로 습득할 수 있는 기회를 지속적으로 제공할 것, 환경 사안 상호 간의 관련성을 고려하여 보다 통합적인 환경교육을 수행할 것, 교육과정에서 ‘환경교육’을 수행하기 위한 시간을 확보하기 위한 제도적 방안을 마련할 것, 학생 참여형 환경교육을 확대할 것, 학교 환경교육 지원 사업을 꾸준히 시행할 것 등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차기 국가 교육과정에서의 환경교육 강화전략 마련을 위한 기초 연구: 환경교육 내용 분석틀 개발을 중심으로

        이선경,김남수,주형선,곽영순,박윤경,박형빈,전푸름 한국환경교육학회 2020 環境 敎育 Vol.33 No.3

        차기 국가교육과정에서 환경교육 강화 전략을 도출하기 위해서는 현 교육과정에서 그 현황을 일차적으로 분석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가 교육과정내 환경교육 내용 및 반영 수준을 분석하기 위한 환경교육 분석틀을 개발하여, 차기 국가교육과정에 환경교육 내용의 포함, 정량적, 정성적 개선 및 강화 전략을 마련하기 위한 출발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환경교육은 지속가능성을 포함하거나 지향하는 광의의 환경교육 또는 ‘환경·지속가능발전교육’으로 전제하였다. 이를 위해 일본, 대만, 호주, 핀란드 등 외국의 교육과정내 환경교육, 국내 교육과정 내 환경교육 내용 분석 관련 연구와 OECD Learning Framework(OECD, 2018), Sustainability Framework of Australia(DEWHA, 2010), Environmental Literacy Framework by NAAEE(Hollweg et al., 2011) 등과 우리나라 중학교와 고등학교에서의 환경과 교육과정 등의 교육에서의 프레임워크를 탐색하여 환경교육 분석틀을 개발하였다. 이 분석틀에는 환경지식, 환경가치·태도, 환경역량, 환경실천과 참여의 네 가지 범주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들 범주는 서로 분리되어 고립적으로 존재하기보다 상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았다 본 연구의 분석틀은 환경실천과 참여를 강조하고 이를 가능하게 하는 일련의 과정을 하위 요소로 제시하였다는 점이 특징이다. 이 환경교육 분석틀을 이용하여 교육과정이나 교과서의 환경교육 관련 내용을 분석하면, 학교 현장에서 어떠한 형태의 환경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는지 또는 추후 보완되어야 할 내용과 방식이 어떠한 것인지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해 줄 것이다.

      • KCI등재

        생애주기 맞춤형 환경교육 프로그램의 패러다임 연구

        장미정,김문옥,유영초,이다현,임수정,전푸름 한국환경교육학회 2021 環境 敎育 Vol.34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truct a classification system and paradigm of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s according to the life cycle to be presented at the national level, and to present a plan to develop a life cycle customized program based on this. To conduct this study, the life cycle was divided into six stages: infancy, childhood, adolescence, and early adulthood, mid adulthood, late adulthood. The purpose of environmental education was classified into environmental knowledge, environmental sentiment, and environmental practice. The topics were subdivided into living environment, ecological environment (local environment), global environment, and cultural environment, and 11 classification criteria were developed for educational methods such as lectures, commentary, play, field trip, experience, discussion, labor, and project. In order to extract the priorities of these classification criteria and secure validity, this research team conducted a survey, AHP survey, and FGI survey targeting those in charge of excellent institutions operating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s. As a result, environmental education goals, topics, and educational methods that should be prioritized for each life cycle were presented. In addition, educational programs for disadvantaged groups who are likely to be alienated from environmental education were separately reviewed.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basic concept of life-cycle environmental education was created, examples of policy tasks and life-cycle program development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human development stage, macro-environmental issues, and examples of life-cycle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이 연구는 국가 수준에서 제시해야 할 생애주기에 따른 환경교육의 분류체계와 패러다임을 구성하고, 이에 근거한 생애주기 맞춤형 프로그램의 개발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연구 목적으로 한다. 이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생애주기는 유아기, 아동기, 청소년기, 성인전기, 성인중기, 성인후기의 6단계로 나누고, 환경교육의 목적은 환경지식, 환경정서, 환경실천으로 분류하였다. 주제는 생활환경, 자연환경(지역환경), 지구환경, 문화환경으로 세분화하였고, 교육방법은 강의․해설, 놀이, 견학․체험, 토의․토론, 노작, 프로젝트 등 11가지로 분류기준을 개발하였다. 이와 같은 분류기준을 바탕으로 우수환경교육프로그램 운영기관 담당자 대상 설문조사, AHP 설문조사, FGI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를 통해 생애주기별로 우선시 되어야 할 환경교육 목표와 주제, 교육방법의 패러다임을 구성하여 제시하였고, 환경교육에서 소외될 가능성이 큰 특수대상(장애인, 군인, 환경보건 약자, 환경재난 지역 거주자 등)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별도로 검토하였다. 연구 결과로 생애주기 환경교육의 기본 콘셉을 작성하고, 인간의 발달단계의 특성에 따른 정책과제와 생애주기별 프로그램, 거시환경과 현안의 특성에 따른 정책과제와 생애주기별 환경교육 프로그램, 특정 대상 맞춤형 정책과제와 생애주기별 환경교육 프로그램을 예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