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PCR방법을 이용한 국화흰녹병균 검출

        전푸름,배신철,박상렬,김정구,안일평,황덕주 한국화훼학회 2014 화훼연구 Vol.22 No.4

        In South Korea, chrysanthemum cut flowers have alarge share in the flower industry and, compared to 2001, theexport of chrysanthemum cut flower increased by 1.9 times in2011. However, Korean growers have faced with difficulty inkeeping competitiveness in world chrysanthemum cut flowermarket due to increase production cost and selling pricecompetition. In order to overcome these problems, it isneeded to develop cultivars that consumers demand andto produce cut flower chrysanthemum with high quality. Diseases and insects can cause severe quality problem ofcut flower chrysanthemum. The most serious damage iscaused by chrysanthemum white rust. The best option tominimize damage caused by white rust is to developcultivars resistant to chrysanthemum white rust, but it willtake so long time to develop a resistant cultivar. Therefore,an alternative way can be development of technique forearly detection of infection by chrysanthemum white rust,which can minimize damage of cut flower chrysanthemum. We preferentially established the system for production ofwhite rust susceptible chrysanthemum plants because it isrequired to supply susceptible plants in laboratoriesthroughout the year to develop the detection technique forwhite rust. Pathogens sampled from susceptible plants wereidentified as chrysanthemum white rust through investigationof shape and size of basidiospore using microscope and analysis of rDNA sequence of the pathogen. In addition,the specific gene for chrysanthemum white rust wasselected from genome database of Puccinia horiana and0.25 ng of its genomic DNA could be obtained by PCRusing primers designed to target the specific gene ofchrysanthemum white rust. Six pg of its genomic DNA couldbe also amplified by Real-time PCR. In the near future, wewill confirm if chrysanthemum white rust can be detectedthrough the PCR method mentioned above before symptomcaused by infection of white rust is become visible. 우리나라의 절화국화는 국내 화훼작물 중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수출 또한 2011년에는 2001년대비 약1.9배 증가하였지만 생산단가 상승과 주변 경쟁국들과의가격 경쟁력으로 수출농가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를극복하기 위해서는 소비자의 기회에 맞는 품종을 개발하고 또한 고품질 국화를 생산하는 것이 필요하다. 국화 품질을 저하시키는 요인 중 하나는 병해충 감염이며, 국화흰녹병이 가장 심각한 피해를 주고 있다. 국화흰녹병 병발생을 근절할 수 있는 근본적인 해결책은 저항성 품종개발이지만 이는 많은 시간이 필요하기에 단기적 방법으로 가시적으로 병징이 나타나기 이전에 국화흰녹병 감염여부를 검정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한다면 병 발생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을 것이다. 국화흰녹병 검정 기술 개발을 위해 실험실 조건에서 이병주의 연중 생산이 필수적이기에 이병주를 생산하는 시스템을 우선적으로 확립하였다. 그리고 자체 생산한 이병주에서 증식된 병원균의 담자포자의 형태적 특성 및 rDNA의 DNA 염기서열분석 결과로 국화흰녹병균임을 입증하였다. 또한 국화흰녹병균 유전체 정보를 이용하여 국화흰녹병균만을 검출할 수 있는 유전자를 선발하였고 이 유전자를 대상으로국화흰녹병균 게놈 DNA 0.25ng까지 검출할 수 있는 프라이머 쌍을 개발하였다. 동일한 프라이머를 이용하여Real-time PCR를 실시하면 게놈 DNA 6pg까지 검출이가능하였다.향후 이러한 방법을 이용하여 병원균 접종후육안으로 병징이 확인되기 이전에 국화흰녹병균의 검출을 확인할 예정이다.

      • KCI등재

        치매 노인의 사회참여 향상을 위한 작업치료 중재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전푸름,유은영 대한작업치료학회 2024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32 No.3

        목적 : 본 연구는 치매 노인의 사회참여 향상을 위한 작업치료 중재를 적용한 연구를 체계적으로 고찰하여 중재의 효과 및 종류, 평가도구를 분석하고 작업치료 임상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근거를 정립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2014년부터 2024년까지의 문헌을 RISS, Pubmed, Embase를 통해 검색하였다. 주요 검색어로는 “치매(dementia)”, “사회적 활동(social activity)”, “여가활동(leisure activity)”, “놀이 활동(play activity)”, “사회적 상호작용 활동(social interaction activity)”, “지역사회 기반 활동(community based activity)”, “사회참여(social participation)”, “작업치료(occupational therapy)”가 사용되었다. 선정 및 배제 기준에 따라 최종적으로 9편의 연구를 선정하였다. 결과 : 연구의 질적 수준, 비뚤림 위험, 중재의 종류, 중재의 효과, 평가도구를 확인하였다. 선정된 연구는 대부분 높은 질적 수준과 낮은 비뚤림 위험을 가지고 있었다. 중재의 종류는 크게 다섯 가지로 분류되었고 작업 및 활동 기반 접근과 인지 작업치료가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었다. 선정된 모든 문헌에서 작업치료 중재가 치매 노인의 사회참여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사회적 활동과 수단적 일상생활활동의 향상이 두드러졌다. 총 23가지의 평가도구가 사용되었는데, 캐나다작업수행측정(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과 사회행동척도(Social Behavior Scale)가 가장 높은 활용 빈도를 보였다. 결론 :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작업치료 중재가 치매 노인의 사회참여 향상에 효과가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임상 활용의 근거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Objective: This article aimed to systematically review studies on occupational therapy to improve social participation in older adults with dementia to elucidate associated intervention types, effects, and assessment tools. Methods: Literature published from 2014 to 2024 was searched using RISS, PubMed, and Embase. The main search terms included “dementia”, “social activity”, “leisure activity”, “play activity”, “social interaction activity”, “community based activity”, “social participation” and “occupational therapy”. Nine studies were selected based on the 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Results: The selected studies showed high quality and a low risk of bias. The interventions were mainly occupational or activity-based, and cognitive occupational therapy was commonly employed. All studies reported that occupational therapy improves social participation, highlighting improvements in social activities and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Overall, 23 assessment tools were used, with the 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 and Social Behavior Scale being the most frequently used tools.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ed the effectiveness of occupational therapy in improving social participation in older adults with dementia, thereby providing valuable insights for clinical practice.

      • 국가 교육과정 관련 환경교육 연구 동향을 통해 본 환경교육 패러다임 변화: KCI 등재지를 중심으로

        전푸름,윤순진 한국환경교육학회 2024 한국환경교육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Vol.2024 No.6

        학교 환경교육이 독립형과 분산형을 병행하여 이루어져 왔다는 점, 환경 교과 선택률이 낮다는 점 등을 고려한다면 학교 환경교육을 환경 교과 교육과정에 한정할 수 없다. 따라서 이 연구는 한국 학교 환경교육 패러다임 변화를 국가 교육과정 관련 환경교육 연구 동향에 대한 체계적 문헌 고찰을 통해 살펴보았다. 초·중등학교 국가 교육과정 관련 환경교육 선행연구(KCI 등재지 133편)를 수집 및 분석하여 교육과정 개정 시기별 연구량과 연구 키워드를 시대적 맥락에 비추어 해석하고, 제6차 및 제7차 교육과정을 ‘학교 환경교육 확립기’, 2007 개정 및 2009 개정 교육과정을 ‘지속가능발전교육 확산기’, 2015 개정 교육과정을 ‘역량과 통합 지향기’, 2022 개정 교육과정을 ‘기후위기와 생태전환교육 도입기’로 구분하였다.

      • KCI등재

        사회참여를 통한 은퇴 노인의 삶의 만족도 영향요인에 대한 경로분석

        전푸름,서은혜,김주은,엄유빈,유은영 대한작업치료학회 2025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33 No.2

        목적 : 본 연구에서는 은퇴 노인의 성공적인 노화에 중요한 요소인 사회참여 정도가 건강상태, 일상생활활동, 우울과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가지는지 검증하여 사회참여와 삶의 질 사이의 경로를 확인하고자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에는 한국고용정보원에서 제공하는 2022년 제9차 고령화연구패널조사(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를 활용하여 65세 이상 은퇴 노인 646명의 건강상태, 일상생활활동, 우울, 사회참여, 삶의 만족도를 추출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주요 변인 간 관계와 사회참여의 매개효과 확인을위하여 경로모형을 수립하고, 각 경로의 직접효과와 간접효과 및 총효과를 산출하였다. 기술통계와 상관관계분석에는 SAS 9.4를, 직간접효과와 총효과 분석에는 Mplus 8.11를 사용하였다. 결과 : 은퇴 노인의 평균 연령은 75.98세 였으며, 남성이 63.86%였다. 경로분석 결과, 사회참여의 매개효과는건강상태와 삶의 만족도 간 관계에서 0.859 (95% CI = [0.11, 0.60], p = < 0.001)로 가장 크게 나타났다. 일상생활활동과의 효과값이 0.536 (95% CI = [0.30, 0.85], p = < 0.001)로 그 뒤를 이었으며, 우울과는–0.485 (95% CI = [-0.75, -0.26], p = < 0.001)의 간접효과가 확인되었다. 이에 따라 은퇴 노인의 사회참여가건강상태, 일상생활활동, 우울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유의미한 매개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결론 : 본 연구에서는 은퇴 노인의 건강상태, 일상생활활동, 우울이 사회참여를 통해 삶의 질을 효과적으로극대화할 수 있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사회참여의 역할을 입증하여 은퇴 노인의 삶의질 향상을 위한 실천적 중재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한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성공적 노화를 통한삶의 질 향상을 강조하는 한국의 노인 복지 정책 및 서비스에 대한 기반으로도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Objective: This study examined whether social participation mediates the relationships between health, 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and identified its pathway to enhance quality of life. Methods: A secondary analysis of the 9th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KLoSA) was conducted on 646 retired older adults. A path model was used to assess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participation and estimate the direct, indirect, and total effects. We used SAS 9.4 and Mplus 8.11 for analysis. Results: Participants had an average age of 75.98 years, and 63.86% were male. Social participation had the strongest mediating effect between health status and life satisfaction (β = 0.859, 95% confidence interval [CI; 0.11, 0.60], p < 0.001). The indirect effects were 0.536 for ADL (95% CI [0.30, 0.85], p < 0.001) and -0.485 for depression (95% CI [-0.75, -0.26], p < 0.001). Thus, social participation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n the impact of key variables. Conclusion: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the health status, ADL, and depression of retired older adults can effectively maximize life satisfaction through social participation. Therefore, this study provides basic data for developing interventions to enhance retired seniors' quality of life through social participation and may support Korean welfare policies promoting successful aging among older adults.

      • KCI등재

        PCR방법을 이용한 국화흰녹병균 검출

        전푸름,박상렬,김정구,안일평,황덕주,배신철 한국화훼산업육성협회 2014 화훼연구 Vol.22 No.4

        우리나라의 절화국화는 국내 화훼작물 중 큰 비중을 차 지하고 있다. 수출 또한 2011년에는 2001년대비 약 1.9배 증가하였지만 생산단가 상승과 주변 경쟁국들과의 가격 경쟁력으로 수출농가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소비자의 기회에 맞는 품종을 개발하 고 또한 고품질 국화를 생산하는 것이 필요하다. 국화 품 질을 저하시키는 요인 중 하나는 병해충 감염이며, 국화 흰녹병이 가장 심각한 피해를 주고 있다. 국화흰녹병 병 발생을 근절할 수 있는 근본적인 해결책은 저항성 품종 개발이지만 이는 많은 시간이 필요하기에 단기적 방법으 로 가시적으로 병징이 나타나기 이전에 국화흰녹병 감염 여부를 검정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한다면 병 발생 피 해를 최소화할 수 있을 것이다. 국화흰녹병 검정 기술 개 발을 위해 실험실 조건에서 이병주의 연중 생산이 필수 적이기에 이병주를 생산하는 시스템을 우선적으로 확립 하였다. 그리고 자체 생산한 이병주에서 증식된 병원균 의 담자포자의 형태적 특성 및 rDNA의 DNA 염기서열 분석 결과로 국화흰녹병균임을 입증하였다. 또한 국화흰 녹병균 유전체 정보를 이용하여 국화흰녹병균만을 검출 할 수 있는 유전자를 선발하였고 이 유전자를 대상으로 국화흰녹병균 게놈 DNA 0.25ng까지 검출할 수 있는 프 라이머 쌍을 개발하였다. 동일한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Real-time PCR를 실시하면 게놈 DNA 6pg까지 검출이 가능하였다.향후 이러한 방법을 이용하여 병원균 접종후 육안으로 병징이 확인되기 이전에 국화흰녹병균의 검출 을 확인할 예정이다. In South Korea, chrysanthemum cut flowers have a large share in the flower industry and, compared to 2001, the export of chrysanthemum cut flower increased by 1.9 times in 2011. However, Korean growers have faced with difficulty in keeping competitiveness in world chrysanthemum cut flower market due to increase production cost and selling price competition. In order to overcome these problems, it is needed to develop cultivars that consumers demand and to produce cut flower chrysanthemum with high quality. Diseases and insects can cause severe quality problem of cut flower chrysanthemum. The most serious damage is caused by chrysanthemum white rust. The best option to minimize damage caused by white rust is to develop cultivars resistant to chrysanthemum white rust, but it will take so long time to develop a resistant cultivar. Therefore, an alternative way can be development of technique for early detection of infection by chrysanthemum white rust, which can minimize damage of cut flower chrysanthemum. We preferentially established the system for production of white rust susceptible chrysanthemum plants because it is required to supply susceptible plants in laboratories throughout the year to develop the detection technique for white rust. Pathogens sampled from susceptible plants were identified as chrysanthemum white rust through investigation of shape and size of basidiospore using microscope and analysis of rDNA sequence of the pathogen. In addition, the specific gene for chrysanthemum white rust was selected from genome database of Puccinia horiana and 0.25 ng of its genomic DNA could be obtained by PCR using primers designed to target the specific gene of chrysanthemum white rust. Six pg of its genomic DNA could be also amplified by Real-time PCR. In the near future, we will confirm if chrysanthemum white rust can be detected through the PCR method mentioned above before symptom caused by infection of white rust is become visible.

      • KCI등재

        발달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치유농업(Agro-healing) 프로그램의 체계적 고찰

        하예나,전푸름,서은혜,김주은,유은영 한국발달장애학회 2025 발달장애연구 Vol.29 No.1

        본 연구는 발달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치유농업(Agro-healing) 프로그램 연구에 대해서 체계적으로 고찰하여 분석하였다. 검색어로 치유농업, 치유농장, 사회적 농업, care farming, social farming, green care farming, agro healing, 데이터베이스로 RISS, 연세대학교 도서관, Pubmed, Web of science, EMBASE, CINAHL, MEDLINE, PsycINFO를 사용하여, 2015년 1월 1일부터 최근 10년 동안 게재된 실험 연구를 검색하였다. 최 종 선정된 문헌 7편으로, 선정된 논문의 연구 동향과 질적 수준, 치유농업 프로그램의 대상자, 치유농업 프로그 램의 효과, 치유농업 프로그램의 방법과 자원, 치유농업 프로그램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한 평가도구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치유농업 프로그램은 발달장애인의 사회적 상호작용 증진, 신체기능 향상, 정서적 안정, 인지기능 개선 등 다방면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으며, 연령과 관계없이 아동부터 노인까지 폭넓게 적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치유농업 프로그램은 발달장애인의 주요 어려움인 사회적 상호작용 및 의사소통 문제를 개선 하는 데 효과적이었다. 치유농업 프로그램의 운영은 모두 그룹 활동 형태로 진행되었으며, 일부 연구에서는 가 족이 함께 참여하였다. 기간은 최소 8회기에서 최대 2년까지 다양하며, 한 회기의 평균 소요 시간은 약 2시간 내외로 나타났다. 평가도구로는 인터뷰 방법을 가장 높은 빈도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발달장애인을 위 한 치유농업 효과 영역 및 운영 방법을 제시함으로써 치유농업 프로그램 적용을 위한 임상적 근거자료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 된다. This study systematically reviewed research on Agro-healing programs for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key words used included care farming, social farming, green care farming, agro healing. The databases searched were RISS, Yonsei university library, PubMed, Web of Science, EMBASE, CINAHL, MEDLINE, and PsycINFO. Experimental studies published over the past 10 years, from January 1, 2015, to the present, were examined. A total of seven final selected studies were analyzed in research trends and qualitative levels, participants characteristic of Agro-healing programs, effects of Agro-healing programs, methods and resources used in Agro-healing programs, and assessment tools used to measure the effects of Agro-healing programs. Agro-healing programs were found to have positive effects in various aspects, including enhancing social interactions, improving physical functions, promoting emotional stability, and advancing cognitive functions in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se programs were confirmed to be applicable across a wide age range, from children to older adults. Notably, Agro-healing programs were particularly effective in improving social interaction and communication difficulties, which are major challenges for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ll Agro-healing programs were conducted in a group activity format, and some studies included family participation. The duration of the programs varied from a minimum of eight sessions to a maximum of two years, with an average session lasting approximately two hours. The most frequently used assessment method was interviews. The findings of this study provide clinical evidence for the application of Agro-healing programs by identifying their effective domains and operational methods for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KCI등재

        자폐 스펙트럼 장애 아동의 정신건강 중재에 대한 연구 동향: 계량서지학적 분석

        서은혜,전푸름,김아람,유은영 대한작업치료학회 2025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33 No.2

        목적 : 본 연구는 자폐 스펙트럼 장애 아동의 정신건강 중재에 대한 연구 동향을 계량서지학 분석을 통해파악하였다. 연구방법 : Web of Science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2014년부터 2024년까지 게재된 문헌을 수집하였으며, VOSviewer를 활용하여 국가/기관, 학술지, 저자, 키워드 및 클러스터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 최종 2,569개의 출판물이 검색되었고, 2021년에 출판물의 수가 급증하며 가장 많은 문헌이 출판되었다. 정신의학 분야에서 연구가 가장 활발히 이루어졌고, 미국과 영국은 높은 문헌의 수, 인용 횟수, 연결 강도로선두를 차지하였다. 총 10개 키워드의 동시 출현 분석 결과, 신경과학, 중재, 심리 및 인지, 사회적 지지, 유전, 동반 질환, 사회성 및 의사소통, 진단 및 평가, 심리측정, 심리교육이 포함되었다. 결론 : 본 연구는 최근 10년간 자폐 스펙트럼 장애 아동의 정신건강 중재에 대한 문헌 간 연결성 및 흐름을거시적 관점에서 객관적으로 파악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를 통해 국내 연구자들이 자폐 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정신건강 작업치료 연구 방향과 중재 개발에 있어 유용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research trends in mental health interventions for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through a bibliometric analysis. Methods: Literature published between 2014 and 2024 was collected from the Web of Science database, and analyses of countries/institutions, journals, authors, keywords, and clusters were conducted using VOSviewer. Results: A total of 2,569 publications were identified, with a significant surge in publications in 2021. The field of psychiatry showed the most active research output, with the United States and the United Kingdom leading in terms of the number of publications, citations, and connectivity strength. Co-occurrence keyword analysis identified 10 clusters: neuroscience, interventions, psychology and cognition, parents’ mental health, genetics, comorbidities, social interaction and communication, screening and assessment, psychometrics, and psychoeducation. Conclusion: This study provides a macro-level perspective on the connectivity and flow of literature on mental health interventions for children with ASD over the past decade. These findings are expected to serve as foundational data for domestic researchers in developing research directions and interventions for occupational therapy targeting the mental health of children with ASD.

      • KCI등재

        한국 사회 환경교육의 발전 과정: 『환경교육』을 통해 본 사회 환경교육의 연구 동향을 중심으로

        장미정,임수정,전푸름 한국환경교육학회 2019 環境 敎育 Vol.32 No.3

        On the 30th anniversary of the Korean Society for Environmental Education, this study aims to identify research trends on social environmental education, to analyze different development periods and to derive insights for future studies. Out of 789 published articles (since 1989) from the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156 social environmental education-related articles were analyzed using the following nine criteria: year of publication, author's affiliation, research method, research topic, agent of education, educational goal, education target, place of education, and form of education. The result reveals that the number of articles that are related to social environmental education is lower than general or school environmental education-related ones. In terms of research topics, studies in educational program take up the majority whilst theoretical and philosophical research has a relatively small portion. The research trend in educational agents and location of education is found to be greatly influenced by relevant environmental education policies. Educational targets, on the other hand, have been simultaneously affected by changes in civil environmental organizations and school curriculum. In regard to the form of education criterion, non-formal education is shown as the majority. Lastly, the ratio between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study has been balanced in the recent years; the qualitative research was remarkably outnumbered in the past. Overall, it is said that social environmental education has developed with keen interactions with environmental and social changes, national/local environmental education policies as well as evolving school curriculum. In order for social environmental education to have a complementary influence in development of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future, it is required to expand its research base to explore and interpret the diverse values of current educational activities, which take place outside of the formal institutions. 이 연구는 (사)한국환경교육학회의 창립 30주년에 즈음하여, 학회지 『환경교육』에 게재된 사회 환경교육관련 연구 동향을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사회 환경교육의 시기별 발전 과정에 대한 고찰, 향후 연구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찾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1989년부터 현재까지 학회지에 게재된 789편의 논문가운데, 사회 환경교육 관련 논문 156편을 대상으로 9가지 영역별 분석(게재 연도, 저자 소속, 연구 방법 연구 주제, 교육 주체, 교육 목표, 교육 대상, 교육 장소, 교육 형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사회 환경교육 관련 논문은 일반 환경교육이나 학교 환경교육에 비해 편수가 적고, 프로그램 연구가 대다수를 차지하였으며, 이론/철학 연구가 상대적으로 낮은 비율로 나타났다. 교육 주체와 교육 장소적 특성에 따른 연구동향에서는 환경교육 정책의 영향을 크게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교육 대상과 관련해서는 민간환경단체의 변화와 학교 교육과정의 영향을 동시에 받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교육 형식과 관련해서는 비형식 교육이 대다수를 차지하였다. 마지막으로 과거에는 질적 연구의 비율이 현저히 높았으나 최근에는 양적 연구의 비율도 높아져 양적, 질적 연구 편수가 비슷해진 것으로 파악되었다. 전반적으로 사회 환경교육은 환경적/사회적 변화와 함께 국가/지자체의 환경교육 정책 및 학교 교육과정 등의 정책의 변화에도 민감하게 상호작용하며 발전해온 것으로 파악된다. 향후 사회 환경교육이 환경교육의 발전 과정에서 상호보완적인 영향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제도권 밖에서 벌어지는 역동적 교육활동의 의미를 탐색하고 해석할 수 있는 연구기반의 확대가 필요한 시점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