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농업인력 실태와 농업인력 정책 시사점

        전익수 ( Iksu Jun ),김병률 ( Byung-ryul Kim ) 한국농업정책학회 2011 농업경영정책연구 Vol.38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actual conditions of Korean agricultural labor and suggest policy implications to address problems found in the examination. Korean agriculture faces labor force problems such as 1) mismatch between labor supply and demand, 2) evasion of agricultural work by labor brokering companies near to rural area 3) high dependency on foreign workers, 4) low supply of foreign workers, and 5) agricultural labor market disturbance by the Projet Hope, a public work program. However, these problems were fundamentally caused by seasonality of labor demand, shortage of new entrants of agricultural labor, and relatively low wage of the employed workers. For the basic problems specific policy suggestions were made. This study conducted telephone and mail surveys on local opinion leaders (850 people), farmers (1960 people) and labor brokering companies near to rural area (500 companies) to examine the current situation of Korean agricultural labor. Authors also conducted interviews on some agribusiness CEOs about the agricultural labor problems.

      • KCI등재

        귀농인 실태조사를 이용한 취약계층 귀농인 실태 비교분석: 사회적 농업 적용대상자 관점

        리재웅(Rhee, Zaewoong),전익수(Jun, Iksu) 한국농촌사회학회 2021 農村社會 Vol.31 No.1

        본 연구는 취약계층 귀농인과 다른 일반 귀농인에 대한 비교 분석을 통해 취약계층 귀농인들이 왜 사회적 농업의 대상자로 인식되어야 하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사회적 농업의 취지가 일반 농업 정책인 귀농정책에 적용되기 위해서 어떤 조치들이 취해져야 하는지도 분석하였다. 분석 대상 그룹인 취약계층은 소득 기준에 따른 저소득층을 의미한다. 정부의 다양한 저소득층 지원사업의 대상 기준을 토대로 1~2분위 그룹 및 1~3분위 그룹을 저소득층으로 구분하였다. 여기에 사용된 분위의 기준은 국가통계인 가계·금융복지조사에서 제시하는 가구원 수별 소득 5분위 자료이다. 귀농 전부터 귀농 준비과정 그리고 귀농 이후의 삶까지 전 영역에서 나타나는 특징을 살펴보기 위해 귀농 준비, 주택, 영농, 농업생산 활동 이외의 경제활동, 지역 내 활동, 생활, 정부 지원영역으로 나누어 그룹간 비교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취약계층 귀농인은 그간 사회적 농업에서 나타난 사회적 배려 대상자와 비슷한 특징을 보였다. 이러한 취약성은 귀농 준비과정부터 정착 이후 삶까지 모두 나타났다. 이는 취약계층 귀농인도 사회적 농업의 취지에 맞는 대상자로 보고 접근해야 할 당위성을 보여준다. 이에 귀농지원 정책에서 취약계층에 대한 배려를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do a comparative analysis to analyze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of migrant farmers; vulnerable group and the other group. The vulnerable group means the low-income group which is used in social welfare policies and programs. The group was measured 1st to 2nd quantile group or 1st to 3rd quantile group out of the 5-quantile group of the household income which is categorized in terms of the number of family members. The comparison was made over various areas including preparation for returning to farming, housing, farming practice, nonagricultural economic activities, social activities in the region, governmental support, etc. The data used in the analysis was a governmental survey on urban-to-rural migrant farmers about the actual conditions of returning to farming and rural village in 2016. The analysis result showed that the low-income group was relatively more vulnerable in the series of steps from preparation for returning to farm, farming practice, settlement, and social activities after settlement. The vulnerability of the low income migrant farmers was similar to those of the social farming participants. The results reinforced the suggestion that the vulnerable group should be considered as the target group of social farming.

      • KCI등재

        조사논문 : 충청지역 농축산 농가들의 회계기록 인식 조사 분석

        서상택 ( Sangtaek Seo ),전익수 ( Iksu Jun ) 한국축산경영학회,농업정책학회(구 한국축산경영학회) 2014 농업경영정책연구 Vol.4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farmers` recognition on accounting record and its related policies to promote the record keeping. Ninety farmers from Chungcheong province were surveyed and categorized according to whether or not accounting record keeping was practiced during their farming and the two groups were analyzed to see any differences in the attitude and preferences through cross tabulation analysis. The result shows that the attitude and preferences of the two groups were very similar except for the usefulness of the accounting record especially in terms of the possibility of participation in governmental subsidy programs. The positive rate of record keepers toward the usefulness was statistically lower than that of non record-keepers implying that the incentives for the accounting record keepers were not properly provided. This study also suggests some policy-related ideas to increase the rate of accounting record keeping.

      • KCI등재

        귀농인 농업소득 분위별 결정요인 비교 분석

        민관기(Kwankye Min),전익수(Iksu Jun) 한국농업경제학회 2021 農業經濟硏究 Vol.62 No.2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determinants of agricultural income by quantile through quantile regression considering the heterogeneous distribution of agricultural income of returning farmers. Unlike OLS of the mean concept, quantile regression is an analysis method that can consider the entire distribution, including each quantile. In this study, the 25th, 50th, and 75th quartiles were analyzed and compared to each other and they were compared with the OLS result. The results showed that 15 factors in the OLS result, 4 factors in the 25th quartile, 9 factors in the 50th quartile, and 14 factors in the 75th quartile were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This can leads to a conclusion that the OLS result, which is based on the average concept, was relatively more influenced by high quantiles such as the 75th quartile. In other words, this implies that the characteristics of low-income return farmers were relatively less reflected. The magnitude of the influence also showed a similar tendency to increase with higher quantiles.

      • 직업 경로의존성이 농촌지역 결혼이민여성의 소득에 미치는 영향

        리재웅 ( Zaewoong Rhee ),이상현 ( Sang-hyun Lee ),취뤼 ( Rui Qu ),전익수 ( Iksu Jun ) 한국농공학회 2023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23 No.0

        한국 미혼 여성들에게 농촌의 현실이 그다지 매력적인 것으로 인식되지 못함에 따라 1980년대 중반 우리나라에서는 ‘농촌총각 장가보내기’가 중요한 사회적 과제로 부각되었다(이진교, 2016). 당시 국제결혼은 하나의 매력적인 대안으로 제시되어 1990년대 농촌 지역에서 국제결혼이 급증하였으며,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외국인 여성과 한국 남성의 결혼이 꾸준히 상승했다(이진교, 2016). 농촌지역 결혼이민여성의 경우 모국에서 힘든 경제 상황에서 탈피하기 위해 한국인 남성과 결혼하는 경우가 다수를 차지(임형백, 2007)하기 때문에 경제활동을 통한 소득 창출은 결혼이민여성의 안정적인 사회적·경제적 통합을 도모하는 데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이지원, 2015). 결혼이민여성의 경제활동은 기초적인 생활여건의 충족, 새로운 사회에서의 적응, 가족원으로서의 정체감, 자아실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며 특히, 소득수준은 본국 가족 후원과 직결된다(류진아, 2016; 이지원, 2015). 한편, 결혼이민여성들은 원활하지 않은 의사소통, 정보취득의 취약성 그리고 낮은 의사결정 권한 등으로 피부양자의 위치를 탈피하기 어려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고수정·김순양, 2017). 이러한 특징을 고려할 때 취업의 기회와 직업 선택에 있어 부양자인 한국인 배우자 의존성이 매우 높을 수 있고, 한국인 배우자를 따라 선택한 직업은 쉽게 바뀌지 않는 경로의존성(Path Dependence)을 갖게 될 수 있다. 경로의존성은 ‘시간’의 개념하에서 사회현상을 설명하는 이론(David, 1985; Arthur, 1989)으로 넓은 의미에서 경로의존성은 초기의 선택이 나중의 경제활동 방향을 제약하며, 그 선택이 최선이 아니더라도 새로운 것으로 대체되지 않고 기존의 방식이 유지되는 현상을 의미한다(김두리, 2021). 농촌지역의 결혼이민여성이 속한 다문화가정은 지속 가능한 농촌을 유지하거나 견인해가는 핵심계층으로 부상(양순미, 2013)하고 있는 만큼 이들의 안정적인 사회적·경제적 통합을 도모하기 위해 결혼이민여성의 소득수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을 탐색하고 연구할 필요가 있다. 선행연구에선 결혼이민여성의 취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전은희, 2014; 이정태 등, 2013), 소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지원, 2015)을 규명하였으나 직업 경로의존성, 농촌지역 거주지 환경 특성은 고려되지 않았다.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첫째, 경로의존성 이론을 활용하여 직업 경로의존성 개념을 제시하고 다년간 조사된 Data 및 심층인터뷰를 중심으로 농촌지역 결혼이민여성의 직업 경로의존성을 확인한다. 둘째, 직업 경로의존성이 농촌지역 결혼이민여성의 소득에 어떠한 영향력을 미치는지 실증분석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