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사회 혁신 관점에서 본 서비스 디자인의 정책적 효용성 탐구 -서비스 디자인 적용 사례에서 나타난 방법론적 특성에 근거하여-

        전영옥 ( Young Ok Jeon ),나건(교신저자) ( Ken Nah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6 기초조형학연구 Vol.17 No.3

        최근 서비스 디자인은 사회구성원들의 사회적 요구와 직접적으로 연관된 현안에 있어 문제 해결을 넘어 사회 혁신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일련의 실천적 전략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에 본 논고는 디자인 사고에 기반 한 서비스 디자인의 참여적 디자인 방법론이 사회적 난제의 본질을 파악하고 사회 혁신의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다는 전제하에 사회통합을 유도하는 국가정책으로서 서비스 디자인의 효용성을 고찰하는 데 연구의 목적을 둔다. 연구의 본문에서는 Nesta의 Good Gym 프로젝트, Sitra의 Low2No 프로젝트, Sedes-Research의 Gulliver 프로젝트 분석을 통해 서비스 디자인의 정책적 효용성은 해당 커뮤니티의 사회ㆍ경제ㆍ문화적 흐름을 이해하고 사회구조와 시스템을 거시적으로 관찰하며 포용적인 의견수렴으로 사회구성원들과 소통하는 시점에서 발현됨을 파악했다. 이 때 창의적 문제해결 프로세스인 디자인 사고(Design Thinking)는 기존의 분석적ㆍ논리적 사고로는 해결할 수 없는 사회 문제에 인간 중심적ㆍ공감적인 접근으로 사회 혁신의 단서를 제공한다. 서비스 디자인의 방법론적 특성인 참여적 디자인(Participatory Design)은 공공 현안의 핵심에서 소외된 인간을 화제의 중심으로 이동시켜 문제의 인식에서부터 분석, 해결의 전 과정에 사용자 및 이해관계자들을 포함한 사회구성원들의 주체적인 개입과 소통, 논의와 협력을 이끌어냄으로써 사회가 공감하는 문제 혁신의 합의점을 도출한다. 이와 더불어 정부의 사회제도 개선 역량, 산업체의 재원 지원 등이 사회구성원들과 협력적인 거버넌스 체계를 구축했을 때 사회 혁신의 성공 가능성은 더욱 커진다. Recently, service design is becoming a practical strategy that reveals innovative ways to solve social issues directly related to community members`` social need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therefore, is to study the usability of service design as a series of practical strategy to induce social integration, and this assumes that it is possible to participatory design approach of service design based on design thinking to grasp the essence of the social challenges, presenting the direction of social innovation. In the study, through the analysis of Good Gym project of Nesta, Low2No project of Sitra and Gulliver project of Sedes-Research, political usability of the service design was grasped to be expressed at the time to understand the social, economic and cultural flow of the community, macroscopically observing the social structure and the system with the attitude of embracing opinion convergence. In this case, design thinking which is a process of creative problem solving can be clues to solve specific problems that can not be solved with analytical or logical thinking alone, by observing and approaching human. Participatory design research based on proposes practical innovation methods through actively having the users and the interested parties as the joint main agents of social innovation participate and exploring their latent demands and converting the thinking paradigm. In addition to this, the possibility of social innovation success is further increased when the ability of improving the social system of government and the financial resources support of the industry build a cooperative governance system with members of the society.

      • KCI등재

        국가별 산업특성 및 정책동향에 따른 서비스 디자인의 사회문제 해결 유형 분석

        전영옥 ( Young Ok Jeon ),나건 ( Ken Nah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5 기초조형학연구 Vol.16 No.5

        사회문제 해결에 있어 국가 공공정책의 중요한 의제로 부상하고 있는 서비스 디자인은 국가별 산업 특징 및 정책 동향에따라 다르게 활용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영국, 미국, 한국의 서비스 디자인 적용사례 분석을 통해 한국이라는 특수한 지역적 사회적 영역 내 공공의 문제에 효과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서비스 디자인 설계의 초석을 마련하는 데 있다. 먼저, 영국은 정부 기관들의 주도하에 ‘평준화 된 공공서비스의 효율적 개선’에 집중적으로 서비스 디자인 방법론을 활용한다. 현재 영국이 직면한 사회문제와 ’80 년대 제조 산업의 쇠퇴, 국민복지정책의 축소 등에서 기인한 공공서비스의 하향평준화문제를 서비스 디자인을 통해 효율적인 사회 시스템으로 재설계하고 있다. 서비스 산업이 자본주의 시장경제와 긴밀하게연계된 미국의 경우, 서비스 디자인은 ‘민간 서비스의 차별적 고급화’와 지역사회 연대에 기반을 둔 ‘커뮤니티 제도의 개선’이라는 특징으로 이원화된다. 미국 내 민간 비즈니스 영역에서 서비스 디자인은 사용자의 경제적 여건에 따른 차별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한편, 지역 사회문제에 있어서는 비영리공동단체들이 자생적으로 해결방안을 모색하는데 효과적인 수단으로 작용한다. 반면, 서비스 산업 고도화의 일환으로 도입된 우리나라의 서비스 디자인은 주로 공공 서비스의 질적 개선을 위해 시범적으로 적용되고 있다. 공통적으로 위 국가들의 서비스 디자인 적용사례는 사회문제에 있어 예산의감축이나 정책 범위의 축소가 아닌, 문제에 접근하는 새로운 사고 패러다임과 다양한 실행 방법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향후 한국의 사회문제 해결에 있어 서비스 디자인은 새로운 아이디어나 가치의 발굴보다 사회문제에 대한 주인의식(ownership)을 가진 개개인을 발굴하고 그들과 지속력 있는 해결안을 ‘공동창조’하는 통합형 혁신정책(integrated innovation policy)으로 발전해야 할 것이다. In terms of innovation of social problems, service design which emerges as an important topic for national public policy is used in various ways in accordance with each nation`s industrial characteristics and trend of policy. The British Government carried forward the design project of social renovation earlier, and focused on effective improvement of community service, and standardized public goods in using service design. Methodology of service design was connected to England`s current social problems and public service standardized downward caused by decline of manufacture industry in 1980`s, reduction of welfare policy, mass unemployment caused by privatization of national enterprise. Also, effective social system from user`s view has been redesigned. In the USA, the nation where service industry and capitalistic market economy are closely related to each other, dualised characteristics, ‘improvement of community system’ based on regional solidarity and ‘preferential gentrification of service’ exist. In the area of business, service design is aimed to develop upgraded and customized service which is offered by user`s economic environment. Town enterprise, whose expectations for the welfare policy by local government is low, uses service design for improvement of social problems. In case of Korea, the need to develop service industry was understood and the government carried forward the study of service design. The concept applied to process of public policy to solve social problems in the beginning is getting extended to private enterprises. In above instances, it was not the reduction of estimate of policy, but the service design that was used as a tool that provides various methods to practice and new thinking paradigm to approach problems. This study analyzed the paradigm of public policy, which used to be centered on management and is currently focusing on the value of the customer`s experience. The fact that this study can provide a foundation for the study of service design that suggests various social renovation models gives it great significance.

      • KCI등재
      • KCI등재

        고령자의 사회적 자립을 위한 사회 참여형 서비스 디자인 개발 방향

        전영옥 ( Young Ok Jeon ),나건(교신저자) ( Ken Nah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5 기초조형학연구 Vol.16 No.4

        고령자의 사회적 자립은 고령자에게 다양한 사회 활동과 역할을 부여하여 노후 생활의 만족도를 유지시킨다는 점에서 고령화로 야기되는 사회·경제적 문제 해결의 본질적인 핵심이 된다. 본 논고는 고령자를 신체적 결함과 정서적 이질감을 지닌 존재가 아닌, 사회의 주요 구성원이자 문화적·정치적 규범의 생산자로 인식하고 고령자 인터뷰 결과를 바탕으로 고령자의 사회적 자립을 저해하는 요소들을 분석하였다. 이 요소들은 개인 영역, 주거환경 영역, 사회 영역에서 각각 고령자의 ‘정서적 인식변화’, ‘생활환경적 제약’, ‘사회문화적 단절’이라는 3 개의 주요 동인(動因)으로 분류되었다. 고령자의 정서적 인식변화에 따른 사회 자립의 고충은 노후의 소득 단절에 대한 불안감 해소, 심리적 위축 예방을 위한 정신건강 관리 및 대응을 통해 개선될 수 있다. 고령자가 갖는 생활환경적 제약은 고령자의 의식주와 관련된 활동 및 이동장애, 신체적 건강의 위협 요소를 파악하고 일상생활의 자립을 돕는 주거환경과 생활용품, 서비스 편의를 개선할때 완화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고령자가 느끼는 사회문화적 단절은 고령자 복지정책, 교육, 취업 등과 관련된 정보 접근성을 향상시키고 주거지 및 인근 공간을 중심으로 고령자의 문화적·역사적 성장 배경에 적합한 여가, 문화 활동 서비스를 제공하여 고령자에게 보다 폭넓은 사회적 교류와 정서적 교감의 기회를 보장함으로써 해소될 수 있다. The elderly establish their self-identity and gain satisfaction through various social activities in their later years. Therefore, their social self-reliance is fundamental in solving social and economical problems attributed to aging. In this paper, the elders are considered to be producers in cultural and political areas as well as members of our society, rather than as a group that has physical and emotional defects. Thus, this paper analyzed some factors that impede the social self-reliance of the elderly according to results of user interviews. These factors were categorized according to three main causes: ‘emotional changes,’ ‘restriction of life environment’ and ‘disconnection from social culture’ in terms of their respective residential environment and social areas. In terms of elders`` ‘emotional changes,’ difficulties with social self-reliance should be improved by relieving their anxiety about their income in later years and managing mental health to prevent psychological shrinkage. For ‘restrictionof life environment’, the factors that could threaten elders`` physical health, activities related to their food, clothing, and shelter should be explored and understood. Also, the elders`` self-reliance should be increased through improvement of service, daily supplies, and residential environment for elders. Finally, ‘disconnection from social culture’ could be solved by improving accessibility of information related to welfare policy, education and jobs. Provision of free time or cultural services suitable for them can guarantee extensive social interchanges that will benefit the elderly.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말뭉치를 바탕으로 한 한국어 감탄사 연구

        전영옥 ( Young Ok Jeon ) 한국텍스트언어학회 2009 텍스트언어학 Vol.27 No.-

        In this study I examined the Korean exclamations that appear in corpus. In particular, I compared how exclamations are implemented in written corpus, semi-spoken corpus and spoken corpus, which are categorized based on the interaction between the speaker and the listener and real-time production. I used the 21st century Sejong corpus [2007] for analysis. This study indicates that exclamations have the characteristics of oral speech and thus supports the existing study empirically. Exclamations appear most frequently in spoken corpus, less frequently in semi-spoken corpus and very little in written corpus. Comparing their frequencies in 100,000 words, a single exclamation use appears in written corpus, 4 uses in semi-spoken corpus and 58 uses in spoken corpus. Simple comparison of their frequencies verifies that exclamations mostly appear in spoken corpus. Such a difference in the frequencies of exclamations is based on the meanings and functions of exclamations. Exclamations are us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environment of written, semi-spoken and spoken corpus. In written corpus, they mainly convey the sense of exclamations whereas, in semi-spoken corpus, they exhibit additional meanings and functions based on the interaction with the listener, and in spoken corpus, they are used with extended meanings and functions, even as a mechanism for resolving real-time production burde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