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학교 과학 실험에서 사용하는 접촉식 온도계의 특성 탐색

        전영석(Youngseok Jhun) 한국물리학회 2024 새물리 Vol.74 No.1

        인간에 의한 오차보다 기기 오차가 상대적으로 더 큰 온도 측정에서는 사전에 온도계의 특성 및 온도계 사용 방법에 대해 상세히 이해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학교 현장에서 사용되는 알코올 온도계와 탐침형 온도계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 현장에서 사용되는 여러 개의 온도계가 같은 조건에서 가리키는 값 사이에는 의미 있는 차이가 있었다. 또한 두 온도계 사이의 눈금값 차이는 대체로 측정 대상의 온도에 따라 크게 달라지지 않고 비교적 일정하게 유지되었다. 둘째, 접촉식 온도계가 물체의 온도를 적절히 나타내기 위해서는 눈금이 안정화될 때까지 비교적 긴 시간이 필요하다. 시간 상수를 구하여 비교하면, 짧은 탐침형 온도계가 가장 빨리 안정화되며 이어서 긴 탐침형 온도계, 알코올 온도계의 순서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액체의 온도를 측정할 때 물에 잠기는 온도계의 깊이가 어느 한도 이상인 조건에서는 깊이에 따른 눈금 값의 차이는 비교적 크지 않았으며, 온도계 눈금이 안정화되는 시간만 차이가 났다. In temperature measurement, the instrument error is larger than the human error. In this study, we aimed to analyze the features of alcohol thermometers and probe-type thermometers commonly utilized in school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values indicated by several thermometers under the same conditions. Additionally the difference in readings between the two thermometers generally did not change significantly with measurement target’s temperature. Second, it requires a relatively long time for the scale to stabilize. When comparing the time constant, the short probe thermometer takes the shortest time to stabilize, followed by the long probe thermometer and then the alcohol thermometer. Third, when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a liquid, if the depth of the thermometer submerged in water is above a certain limit, the difference in the scale value depending on the depth is relatively small.

      • KCI등재

        분산프리즘을 이용한 태양 스펙트럼 관찰 장치 구성의 최적화 방안

        전영석(Jhun, Youngseok) 한국과학영재교육학회 2021 과학영재교육 Vol.13 No.3

        2015 교육과정에 의한 초등학교 6학년 과학 국정교과서에 제시된, 프리즘을 지난 태양 빛 관찰 실험 장치 구성의 최적화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이 연구는 초등학교 과학영재들로 하여금 교육과정의 과학 실험으로부터 시작되는 탐구 활동을 수행하도록 유도하기 위한 기초작업의 성격을 지닌다. 먼저 프리즘을 지난 빛의 경로를 파장 별로 계산하여 정확한 스펙트럼을 관찰할 수 있으면서도 학생들이 실험 장치를 쉽게 구성하는 방안을 제안하였으며, 실제 초등학교 교실에서 사용되는 프리즘에 의한 태양 스펙트럼 관찰 결과와 비교하였다. 또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학교 과학영재들의 과학 탐구 활동과 관련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We discussed the optimization method of the alignment of instruments for observing sun spectrum with dispersing prism. The activity is presented in the science textbook for elementary school 6th grade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This study has the nature of basic work to induce elementary school science gifted students to conduct inquiry activities that start from science experiments in the curriculum. First, it was suggested that the path of light passing through a prism is calculated for each wavelength so that the students can easily configure the experimental device while observing the exact spectrum. In addition,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implications related to science inquiry activities of elementary school science gifted students were derived.

      • KCI등재

        과학 수업 시연에 나타난 초등학교 예비교사들의 발문 유형 분석

        전영석 ( Jhun Youngseok )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21 한국초등교육 Vol.32 No.2

        초등학교 예비교사들의 과학 수업 실연에서 발문을 분석하여 과학 수업에 대한 인식과 예비교사 양성교육에서의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분석 대상은 초등학교 교사 양성기관의 3학년에 재학중인 인문사회계열 심화과정의 예비교사 29명과 자연계열 심화과정의 예비교사 34명이며, 이들은 과학 교재 연구 및 내용지도법과 관련된 동일한 강의를 수강하였다. 강의 과정에서 제작한 동영상을 바탕으로 예비교사들이 수업 실연에서 사용한 발문을 Blosser의 발문 분류 기준에 따라 인지·기억적 발문, 수렴적 사고 발문, 확산적 사고 발문, 평가적 발문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예비교사들은 수업 실연 과정에서 폐쇄적 발문에 해당하는 인지·기억적 발문과 수렴적 사고 발문을 개방적 발문에 해당하는 확산적 사고 발문 및 평가적 발문보다 많이 사용하고 있었으며 심화과정에 따라 발문의 수와 비율에 차이를 보였다. 구체적으로 인문사회계열 심화과정의 예비교사는 자연계열 심화과정의 예비교사보다 더 많은 수의 발문을 사용하였으며, 확산적 사고 발문의 비율이 높았다. 수업 실연에 대한 동료 평가 점수는 인문 사회계열 심화과정의 경우 확산적 질문의 수와 상관이 있었으며 자연계열 심화과정의 경우에는 발문의 총 수와 상관이 있었다. 수업 실연에 대한 동료 평가 및 수업 실연 과정을 심층 분석한 결과, 개방적 발문의 비율이 낮은 것은 발문 방법에 대한 정보나 훈련의 부족이라기 보다는 초등학교 과학 수업 및 수업 실연과 관련하여 형성된 인식에 의한 것임을 알게 되었다. 예비교사는 과학 수업 실연에서 개념 및 지식의 습득을 중요하게 다루며, 차시 학습을 확인하고 수업을 전개한 다음, 학습의 결과를 명료화하여 확인하는 일련의 과정이 잘 구성된 상태로 매끄럽게 연결되어야 하며 학습의 전 과정에서 교사가 주도권을 가지고 학습의 경로에서 이탈하지 않아야 한다는 모습을 보였다. 또한 초등학교 교과서가 폐쇄적 발문을 통해 인지적 영역에 치우친 학습 목표를 달성하도록 구성되었다는 점도 예비 교사의 발문 형태에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perception of science class and to obtain implications for pre-service teacher training by analyzing the questions of element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science class demonstration. The participants of the research were 29 pre-service teachers in a department related with liberal and social science(department L) and 34 pre-service teachers in a department related with natural science(department S), who were enrolled in the 3rd grade in a university of education, and they took the same lectures on science learning and instruction in elemetary schools. Based on the video clips produced during the lecture, the questions used by the preservice teachers in the class demonstration were analyzed by dividing them into cognitive-memory questions, convergent thinking questions, divergent thinking questions, and evaluative thinking questions according to Blosser's question classification criteria. As a result of the analysis, pre-service teachers used cognitive-memory questions, which correspond to closed questions, and convergent thinking questions, which correspond to closed questions, more than divergent thinking questions and evaluative questions, which correspond to open questions, in the course demonstration process. In addition,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total number and distribution of questions by department. Specifically, the pre-service teachers in the L department used more questions and the ratio of divergent thinking questions was higher than the pre-service teachers in the S department. Peer evaluation scores on classroom demonstrations were correlated with the number of divergent thinking questions in the L department while correlated with the total number of questions in the S department. As a result of peer evaluation and in-depth analysis of the classroom demonstration process, it was found that the low rate of open questions was not due to the lack of information or training on questioning methods, but rather the perception formed in relation to elementary school science lessons and classroom demonstrations. Pre-service teachers treat the acquisition of concepts and knowledge as important in the science class demonstration, and the series of processes of confirming the subsequent learning and developing the class, and then clarifying and confirming the learning results, should be smoothly connected in a well-organized state In the whole process, it was shown that the teacher should take the initiative and not deviate from the learning path. Also, it was confirmed that the fact that elementary school textbooks were structured to achieve learning goals biased in the cognitive domain through closed questions also had an effect on the questioning patterns of pre-service teachers.

      • KCI등재후보

        중학생 과학영재의 온라인 학습 수행과정 분석

        전영석(Jhun, Youngseok) 한국과학영재교육학회 2020 과학영재교육 Vol.12 No.3

        COVID-19 유행에 따라 갑작스럽게 온라인 교육 방식으로 전환된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 소속 중학생 영재의 과학 학습 과정을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은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에 재학 중인 중학교 1학년 학생 18 명이었으며 14회에 걸쳐 진행된 온라인 수업 중 9회의 강의에 대해 학생들의 성취도와 사전 및 사후 면담 결과를 통해 영재 학생 대상 온라인 교육의 설계와 운영에 필요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강의는 Paul Hewitt의 ‘수학 없는 물리(Conceptual physics) 12판 중 1장부터 10장까지 역학 부분의 내용을 바탕으로 개념 중심의 학습을 제공하였는데, 교재 읽기, 연습문제 풀이, 동영상 강의 수강, 활동 과제 해결, 및 연습문제와 활동 과제 해설 동영상 시청의 순서로 진행되었으며 실시간 상호작용은 없었다. 연습문제는 교재와 함께 제공되는 워크시트 형식의 문서를 번역하여 제공하였으며 활동 과제는 내용이해, 개념적용, 인지적 자극, 엑셀 프로그램 활용, 탐구의 5개 영역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학생들의 학습 과정을 살펴보면 일부 학생은 활동 과제를 충실히 이행하지 못하고 누락하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활동 과제의 영역 별로 성취도를 살펴보면 내용이해 영역은 비교적 높았으나 인지적 자극과 엑셀 프로그램 활용 영역은 성취도가 낮았다. 학습 결과와 면담을 통해 과학 학습에 대한 동기가 높고 자율적 학습 능력이 뛰어난 영재 학생이라고 하더라도 상호작용이 부족한 일방적 학습 과정은 효과가 떨어진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영재 학생이 제시된 과제의 맥락과 가치를 이해하고 능동적이고 적극적으로 학습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오프라인과는 구분되는, 상호작용 촉진, 학습 과정 관리 등 온라인 학습환경에 적합한 교수학습 전략을 도입하여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online learning process with middle school science gifted students at a university affiliated science gifted education center as the off-line learning process had to be suddenly changed into an online education system due to COVID-19 epidemic. The research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8 1st graders of middle schools enrolled in a science gifted education center affiliated with the university and responded to pre- and post interview after participating in nine lectures of online learning. The online lectures were provided as concept-oriented learning based on the contents of the mechanics part from chapters 1 to 10 of the 12th edition of Paul Hewitt’s ‘Conceptual Physics.’ Lectures were proceeded in the order of ‘reading textbook and solving exercise’, ‘watching lecture video clip and performing provided activities’ and ‘watching commentary video clip’ without real-time interaction. The exercises were kinds of worksheets provided with the textbook, and the activity task consisted of five areas: content understanding, conceptual application, cognitive stimulation, using an Excel (TM) program, and inquiry. For the learning process, some students did not complete activity tasks and missed some of them. In additions, when looking at the achievement level of each area of the activity task, the content understanding area was relatively high, while the cognitive stimulation and Excel program application area showed low achievement level. It was concluded that even gifted students with high motivation for science learning and excellent self-study ability were ineffective in the unilateral learning process lacking in interaction. Besides, in order to enable gifted students to understand the context and value of the presented assignments and to carry out learning activities readily and positively,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suitable for online learning environments such as promotion of interaction and management of learning processes, and differentiated from offline should be introduced.

      • KCI등재

        예비교사와 경력교사의 과학 수업 관점 비교

        전영석 ( Jhun Youngseok ),정하나 ( Jung Hana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017 초등과학교육 Vol.36 No.1

        The competence of teachers, comes out through their lesson, is one of the key factors of school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comparing the viewpoints on the science lessons in the elementary classrooms between pre-service teachers and highly experienced teachers in order to draw implications on pre-service teacher educating system.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are 14 junior students in a university of education and 9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are highly educated and have much career experience. Each student participant observed one video clip with science lesson of their classmate. The total number of the video subject to observation is 4. Meanwhile experienced teachers observed 1 or 2 videos which are the same to those the students watched. The participants made a class criticism according to the General Standards for Class Critique made by KICE. The in-depth analysis of the criticism yielded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pre-service teachers had narrow views on the science class mainly limited in the practical part of class, but experienced teachers had wide views covered to class-knowledge, plan, and practice. Second, most experienced teachers thought that learning is the process by which students acquire knowledge or concepts by themselves, and the main purpose of the class is to help students` learning. Meanwhile, there were many pre-service teachers who thought that conveying knowledge or concepts to students was the main purpose of the class. Third, experienced teachers thought that a good science class should maintain consistency around the learning goals from the planning,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However, many pre-service teachers did not take the learning objectives so seriously.

      • KCI등재

        컴퓨터 및 정보 리터러시 관점에서의 피지컬 컴퓨팅 교육 교재 분석

        정하나,전영석,Jung, Hana,Jhun, Youngseok 한국정보교육학회 2018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22 No.4

        컴퓨터 정보 리터러시는 21C를 살아가는 학생들에게 길러주어야 할 주요 핵심 역량 중 하나이다. 미국, 영국 등 세계 여러 나라는 학생들의 컴퓨터 정보 리터러시를 신장시키기 위하여 소프트웨어 교육 내용을 교육과정에 포함시키고 있다. 우리나라도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소프트웨어 교육을 강조하였다. 위와 같은 교육적 변화에 대처하기 위해 많은 책자 형태의 소프트웨어 교육 교재들이 개발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교재들이 컴퓨터 정보 리터러시를 신장시키기에 적합한지 알아보는 연구는 아직 미흡하다. 본 연구에서는 국가 기관의 주도로 온라인 상에 보급된 네 권의 소프트웨어 교육 교재가 컴퓨터 정보 리터러시를 신장시키기에 적합한 지 평가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초등학생에게 피지컬 컴퓨팅을 지도하기 위한 교재로 한정하였다. 우선, 교육부에서 제공한 '검 인정 교과서 평가 기준'과 '2018 ICILS 평가 틀'을 참고하여 교재 평가 기준을 개발하였다. 다음으로 소프트웨어 교육에 전문성을 갖춘 12명의 현장 교사를 선정하였고, 개발된 평가 틀을 이용하여 교재 평가를 실시하였다. 평가가 끝난 후, 평가 위원들이 매긴 점수를 평균 내어 3.5 이상을 우수한 교재로, 3.5 미만은 미흡한 교재로 구분하였다. 그리고 우수한 교재의 특징과 미흡한 교재의 특징을 추출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컴퓨터 정보 리터러시를 길러 줄 수 있는 피지컬 컴퓨팅 교육 교재 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Computer and Information Literacy(CIL) is one of Key Competences in 21st century. Many countries, including Korea, have adopted related contents in their national curriculum for conducting software education. With this movement, many book-type instruction materials for software education have been developed in Korea. However, it is scarce to find researches that evaluate the instruction materials from the perspective of CIL. In this study, we selected 4 instruction materials which were distributed by government with 'SW centered society' web site as well as were developed to teach physical computing for elementary students. Also, we analyzed if they can foster students' CIL. First of all, the evaluation framework was developed based on 'The Manual for Authorized and Approved Textbook' and 'The 2018 ICILS(International Computer and Information Literacy Study) Assessment Framework'. Then, 12 school teachers who have professional insight of software education evaluated the 4 instruction materials with the framework. Averaging the score given by evaluators, we determined that which instruction materials were superior or not. Finally, we figured out the characteristics of superior and inferior instructional material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suggested implications for developing instruction materials for physical computing education to build students' CIL.

      • KCI등재

        자석 및 자기장 주제에 대한 과학 학습용 웹기반 시뮬레이션의 현황 및 개선 방안

        이수아,전영석,Lee, Sooah,Jhun, Youngseok 한국정보교육학회 2017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21 No.2

        본 연구를 통해 자석 및 자기장과 관련된 웹기반 과학학습 시뮬레이션들의 현황을 살펴보고, 시뮬레이션의 내용과 전략 및 디자인 측면에서 적절성을 평가하였다. 연구를 위해 과학학습 시뮬레이션 평가 기준을 고안하였으며, 초등교사 8명이 참여하여 자석 및 자기장 관련 시뮬레이션 14종을 평가 기준에 맞추어 평가하고 각 시뮬레이션의 특징을 기술하였다.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시뮬레이션들을 상 그룹과 하 그룹으로 분류하였고, 상 그룹의 시뮬레이션에서 강점과, 하 그룹의 시뮬레이션에서 보완할 점들을 교수학습 내용, 교수학습 전략, 화면구성, 기술의 측면에 따라 분석하고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를 근거로 교수학습에 효과적인 자석 및 자기장 주제의 웹기반 시뮬레이션 개선을 위한 방안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is to review current state of web-based simulations for science learning about magnets and magnetic field, and evaluate the appropriateness of simulations in terms of contents, strategies and design. We designed a set of criteria for evaluating science simulations and applied it to 14 simulations about magnets and magnetic field. For the evaluation, eight elementary teachers participated and they described specific characteristics of each simulation according to the criteria. Based on the evaluation, we divided the simulations into two groups, excellent vs. normal groups. We analyzed strengths from the simulations in excellent group and weaknesses from the simulations in normal group according to the contents, learning strategies, screen format, and technical features. Implications for ways of improvement in developing web-based science simulations effective to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about magnets and magnetic field were discussed.

      • KCI등재

        가족 유사성 접근법을 적용한 물체의 빠르기 주제의 융합지식 구성 연구

        이수아,전영석,Lee, Sooah,Jhun, Youngseok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018 초등과학교육 Vol.37 No.2

        For STEM education science teachers usually choose topics which are related to both science and other disciplinary contents. Nevertheless it is not clear for the teachers to adopt what kind of criteria for their choices. Interdisciplinary teaching is not a mixture of science content with another one from different disciplines as resources for the content teaching. Instead the criteria and perspectives for the integration need to be clearly defined.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how to integrate science and other disciplines in terms of interdisciplinary teaching. Family resemblance approach by Wittgenstein, recently revised by Erduran and Dagher, was applied to comparative analysis of science, math, and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documents in Korea. Aim and value, methodological rules and methods, knowledge, and activities in each discipline were compared and analyzed with the view of FRA. Results of the study described alternative criteria of how to find appropriate topics for interdisciplinary teaching.

      • KCI등재후보

        컴퓨터 활용 과학실험수업에서 나타나는 초등과학영재학생들의 학습특성

        김현수(Kim, Hyunsu),전영석(Jhun, Youngseok) 한국과학영재교육학회 2020 과학영재교육 Vol.1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컴퓨터 활용 실험수업(Computer Based Experiment, CBE)에서 초등과학영재학생의 학습특성을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에 재학 중인 초등학생 8명을 대상으로 4차시에 걸친 컴퓨터 활용 과학실험수업을 실시하였다. 수업 전략은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학습 효과를 높이는 방향으로 설정하였으며 매시간 수업 결과를 바탕으로 수정하여 다음 차시의 수업에 반영하였다. 학습 효과를 파악하기 위하여 학생의 성취 수준을 CBE 동기화, CBE 학습화, CBE 내면화, CBE 의미화의 4단계로 설정하였으며, 수업에서의 학생 활동을 관찰, 원인추론, 피드백, 그래프, 의사소통 항목으로 세분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수업이 진행됨에 따라 모든 학생들의 성취 수준이 높아졌으며 관찰, 원인추론, 피드백, 그래프 만들기와 해석, 실험 토의 등 분석한 모든 항목에서 의미 있는 학생 활동이 일어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관찰과 관련해서 실험기구, 실험상황, 모니터에 나타나는 실험 결과에 대한 관찰이 모두 활발하게 있어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수업 과정에서 교사의 설명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거나 교재의 지시를 따르는 활동의 비율이 높은 수업에서는 학생 사이의 의미있는 담화가 줄어드는 반면, 원인 추론 및 그래프 만들기 활동과 관련해서는 교사의 적절한 안내가 중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능동적인 피드백을 위해서는 충분한 시간이 필요하다는 점도 알게 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learning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science gifted students in Computer Based Experiment (CBE). In the research, CBE lesson with 4 classes were given to the eight elementary school students attending the Science Gifted Institute affiliated with the university. The teaching strategy was set to increase the learning effect based on the prior research, and was modifi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each class to reflect it in the next class. In order to analyze the learning effect, we set the student s achievement level in four stages: CBE motivation, CBE acceptance, CBE personalization, and CBE proficiency, and examined students’ behaviour in the classes in aspects of observation, cause inference, feedback, graph, and communication.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achievement level of all students increased as the class progressed, and it was confirmed that meaningful student activities occurred in all analyzed items such as observation, cause reasoning, feedback, graph making and interpretation, and experimental discussion.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students’ observation was performed during whole process of experiment on such as apparatus, phenomena, and the result on the monitor.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meaningful interaction among students is reduced in the case where the teacher s explanation plays a large part and where dominant are the activities merely following the instruction in the worksheet. Finally, we also noticed that it needs enough time for students’ active feedback.

      • KCI등재

        ‘거울과 그림자’ 단원 수업 활동의 인지요구도와 학생의 인지수준과의 관계 분석

        이도이 ( Lee Doyi ),전영석 ( Jhun Youngseok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018 초등과학교육 Vol.37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comparing cognitive development of elementary 4<sup>th</sup> graders and cognitive demand of activities in lesson ‘The mirror and the shadow.’ Also, the researchers tried to reveal how cognitive development of elementary 4<sup>th</sup> graders and cognitive demand of textbook activities affects the achievement of students. To study students’ cognitive development, the researchers use GALT(Group Assessment of Logical Thinking). Piaget’s scientific thinking is used to evaluate cognitive demand of textbook activities. With several experts in science education the researchers discussed which scientific thinking is contained in each activities. The results were followed as : (1) The third of activities are significantly affected by students’ cognitive development. (2) The another third of activities are influenced by not only students’ cognitive development but also other factors experimental instrument. (3) The environmental factors had meaningful impact on the other third of activ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