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원거리 허혈양상화가 흰쥐의 간에서 HO-1과 HSP70, iNOS 발현에 미치는 영향

        전수경(Su-Kyung Jeon),서윤경(Youn-Kyoung Seo),백두진(Doo-Jin Paik) 대한체질인류학회 2012 대한체질인류학회지 Vol.25 No.4

        허혈양상회는 허혈 전에 짧은 허혈과 재관류를 반복하는 방법으로 장시간의 허혈과 재관류 손상으로부터 조직을 보호하는데 효과적이다. 이에 저자들은 흰쥐의 다리에서 원거리 허혈양상화를 실시한 후, 간에서 발현되는 HO-1, HSP70, iNOS 단백질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본 실험을 실시하였다. 허혈양상화 처치는 35주령 된 흰쥐의 왼온엉덩동맥에서 5분 허혈과 5분 재관류를 3회와 10회 반복하여 실시하였다. 허혈양상화 후 재관류 0, 3, 6, 24, 72시간에 간에서 발현되는 HO-1, HSP70, iNOS 단백질의 변화는 면역조직화학염색과 Western blot 분석을 이용하여 알아보았고,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간에서 HO-1 발현은 허혈양상화 3회군과 10회군에서 재관류 72시간에 정상대조군보다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다. HSP70 발현은 허혈양상화 3회군에서 재관류 6시간에 정상대조군보다 증가하였고, 재관류 72시간에는 정상대조군과 비슷하였다. 그리고 허혈양상화 10회군에서 HSP70 발현은 재관류 직후에 정상대조군보다 증가하였고, 재관류 24시간과 72시간에는 정상대조군보다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 iNOS 발현은 허혈양상화 3회군과 10회군에서 재관류 24시간에 정상대조군보다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으나, 재관류 72시간에는 감소 하였다. 본 실험결과를 종합해보면, 흰쥐의 왼온엉덩동맥에서 짧은 허혈과 재관류를 반복 실행하면, 간에서 재관류 초기에는 HSP70 발현이 증가하고, 재관류 72시간에는 HO-1 발현이 증가하며, iNOS 발현은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Ischemic preconditioning (IP), short pre-treatment sublethal ischemia, induces a state of protection against subsequent prolonged ischemia-reperfus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xpression of HO-1, HSP70, and iNOS proteins in the liver subjected to the courses of reperfusion after repetitive cycles of remote IP in the rat. Using thirty five week-old rats, the remote preconditioning was undertaken by vascular clamp occlusion of blood flow to one hindlimb, with 3 and 10 cycles of 5 minutes occlusion followed by 5 minutes reperfusion. The liver was removed 0, 3, 6, 24, and 72 hours of reperfusion after remote IP and assayed by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and Western blotting analyses for anti-HO-1, anti-HSP70, and anti-iNOS antibodies. The expression of HO-1 in rat liver increased at 72 hours of reperfusion groups after 3 and 10 cycles of remote IP, compared with normal control groups. The expression of HSP70 in rat liver increased at 6 hours of reperfusion groups after 3 cycles of remote IP, compared with normal control groups. The expression of HSP70 in rat liver increased at 0 hour of reperfusion groups after 10 cycles of remote IP, compared with normal control groups and decreased at 24 and 72 hours of reperfusion groups. The expression of iNOS in rat liver increased at 24 hours of reperfusion groups but decreased at 72 hours of reperfusion groups after 3 and 10 cycles of remote IP, compared with normal control groups. In summary, these results showed that at early phase of reperfusion after remote IP, HSP70 expression was increased in rat liver. However, at 72 hrs of reperfusion after remote IP, HO-1 expression was increased and iNOS expression was decreased in rat liver.

      • KCI등재

        합성수지 점토를 이용한 심장발생 모델링 실습 방법 제안

        주경민(Kyeung Min Joo),전수경(Su Kyoung Jeon),권혁이(Hyeok Yi Kwon),황영일(Young-il Hwang) 대한체질인류학회 2021 해부·생물인류학 (Anat Biol Anthropol) Vol.34 No.4

        심장은 복잡한 과정을 거쳐 발생하기 때문에 그에 대한 공간적 이해가 매우 어렵다.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에서는 심장발생 과정의 이해를 촉진하고자 발생 과정에 대한 모델링 실습을 고안하고 2011년부터 의학과 1학년을 대상으로 이를 시행해 오고 있다. 본 실습의 타당성을 알아보고, 각 의과대학에 이 과정의 시행을 제안하고자 이 연구를 시행하였다. 실습에는 시중에서 판매되는 어린이용 합성수지 점토를 이용하였다. 실습 첫날에는 유출로, 오른심실, 왼심실을 한 단위로, 공통심방을 한 단위로 각각 만든 후 이 두 단위를 이어 붙여 발생 30일 또는 35일의 심장을 만들도록 하였다. 2~3일 동안 모형이 마르게 둔 후에 제작된 심장을 유출로, 오른심실, 왼심실을 관통하는 관상단면을 따라 절단한 후 속 모습을 교과서의 모습과 비교하고 성찰하도록 하였다. 이후 색이 다른 점토를 이용하여 방실관, 심실사이구멍, 유출로 등에 심장속막방석이 자라는 모습을 재현하여 심장의 4개 방, 대동맥, 허파동맥이 분할되는 모습을 표현하도록 하였다. 실습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은 전반적으로 긍정적이어서, 실습은 그다지 어렵지 않고 재미있었으며 학습에 도움이 되었고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고 하였다. 또한 동료들과의 토론은 실습을 진행하고 심장발생 과정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고 하였다. 실습 시행 전인 2008~2010년도와 실습 시행 후인 2011~2013년도 사이의 학기말에 실시한 시험에서 심장발생 관련 문항과 그 외 문항의 정답률을 비교하여 보았을 때 각 연도별로 두 문항군의 정답률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두 문항군의 정답률 비율은 실습 시행 이후에 다소 향상된 양상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보았을 때, 2차원 자료로 이해하기 어려운 심장실습에 대해서 점토를 이용한 3차원 모델링 실습은 여러 가지 측면에서 권장할 만한 것으로 판단된다. Because of the complexity of the heart development process, a 3-dimensional understanding of it is not easy. SNU College of Medicine devised a modeling exercise for the developing heart to promote understanding of the process and implemented it for first-year students since 2011. This study was performed to validate this exercise and propose the implementation of this at each medical school. We used commercially available polymer clay for children. On the first day, students made the outflow tract and both ventricles as a unit and the common atrium as another unit. These two units were combined to form an embryonic 30-day or 35-day developing heart model. After leaving the model to dry for two to three days, a coronal section was made through the outflow tract and both ventricles to open the model. Students compared the interior of the model to that depicted in the textbook and reflected on it. Afterward, students marked with colored clay the appearance of the endocardial cushion along the atrioventricular canal, interventricular septum, and the outflow tract, simulating the division of the four chambers and the outflow tract into the aorta and the pulmonary trunk. The students’ perception of the exercise was generally positive, in that it was not difficult to perform, fun, helpful in learning, and they actively participated. They also responded that discussions with colleagues helped them perform the modeling and understand the developing processes of the heart. We analyzed the scores of the embryology exam at the end of the semester and compared those of the years 2008~2010 and 2011~2013, corresponding years before and after the practice, respectively.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correct answer rates of the questions concerning heart development and that of the other questions in all years. However, even though not significant statistically, the ratio of correct answers in the two question groups showed some improvement after the exercise. In conclusion, we recommend three-dimensional modeling exercise using polymer clay for several reasons for a 3-dimensional understanding of heart development, which is difficult to achieve based on 2-dimensional materials.

      • KCI등재

        원거리 허혈양상화가 흰쥐의 심장근육에서 NOS와 Akt 발현에 미치는 영향

        조지연(Ji-Yon Jo),서윤경(Youn-Kyoung Seo),전수경(Su-Kyoung Jeon),백두진(Doo-Jin Paik) 대한체질인류학회 2008 대한체질인류학회지 Vol.21 No.1

        원거리 허혈양상화는 생명유지와 밀접한 관련이 없는 장기에서 짧은 허혈과 재관류를 반복하는 과정으로, 심장의 기능 장애에 의한 허혈손상을 감소시킨다고 알려져 있고, 원거리 허혈양상화는 iNOS를 감소시키고 eNOS를 증가시키며, Akt를 활성화시켜 심장근육을 보호한다고 알려져 있다. 본 실험은 원거리 허혈양상화가 흰쥐의 심장근육에서 관찰되는 iNOS와 eNOS, Akt의 발현 및 Akt의 활성화 (phospho-Akt, p-Akt)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35주령의 SD 수컷 흰쥐를 사용하여 대조군과 원거리 허혈양상화군으로 나누었고, 원거리 허혈양상화의 횟수에 따라 3회와 6회, 10회군으로 나누었다. 원거리 허혈양상화는 온엉덩동맥을 5분 허혈과 5분 재관류를 반복하여 실시하였고, 재관류 0시간과 3시간, 6시간, 24시간, 72시간에 심장을 적출하여 iNOS와 eNOS, Akt, p-Akt의 면역조직화학염색과 Western blot 분석을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iNOS는 원거리 허혈양상화에 의하여 증가되었고, 10회군에서는 3회와 6회군보다 증가되었다. eNOS는 원거리허혈양상화에 의하여 증가 또는 감소되었으나, 횟수에 따른 eNOS 발현의 차이는 없었다. Akt는 원거리 허혈양상화 후 재관류 24시간과 72시간에 감소되었고, 횟수에 따른 Akt 발현의 차이는 없었다. p-Akt는 원거리 허혈양상화에 의하여 증가되었으나, 횟수에 따른 p-Akt 발현의 차이는 없었다. 이상의 실험결과로, 흰쥐 뒷다리에서 실시한 원거리 허혈양상화로 증가된 세포보호단백질 eNOS와 p-Akt가 심장근육세포의 보호현상에 관련이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10회 이상의 원거리 허혈양상화는 iNOS를 증가시켜 심장근육의 허혈손상을 일으키는 것으로 생각된다. Remote ischemic preconditioning (IP), brief tolerating cycles of ischemia and reperfusion in remote non-vital organs, can reduce ischemic injury of the heart. IP induces cardiac protection by down-regulating iNOS or up-regulating eNOS. In addition, Akt has been known to protect myocardium against ischemia-reperfusion injury.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observe the expression of iNOS, eNOS, Akt and phospho-Akt (p-Akt) in the rat myocardium after IP. Thirty-five weeks-old male Sprague-Dawley rats were divided into control and IP groups. The IP group was further subdivided into 3 groups based on the number of cycles of IP. For IP, left commom iliac artery was occluded 3, 6 and 10 cycles for 5 min of ischemia alternating with 5 min of reperfusion. The rat were sacrificed at 0, 3, 6, 24 and 72 hours of IP and the heart was removed. The expression of iNOS, eNOS, Akt and p-Akt in the rat myocardium was examined by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and Western blot analysis. The expression of iNOS was increased by IP and was higher in 10IP groups than 3IP and 6IP group. The expression of eNOS was increased or decreased by IP and was showed no difference with increasing episode of IP. The expression of Akt was decreased by IP at 24 and 72 hours after reperfusion, and showed no differences with increasing episode of IP. The expression of p-Akt was increased by IP and showed no difference with increasing episode of IP. These results suggest that hind limb ischemic preconditioning provides cardiac protection through up-regulation of eNOS and phosphorylation of Akt, however excessive episodes of remote preconditioning may induce the myocardial ischemic injury through overexpression of iNOS.

      • KCI등재

        한국인의 발허리뼈 특성과 길이 추정식 산출에 관한 연구

        정화해(Hwa-Hae Jeong),서윤경(Youn-Kyoung Seo),전수경(Su-Kyoung Jeon),백두진(Doo-Jin Paik) 대한체질인류학회 2010 해부·생물인류학 (Anat Biol Anthropol) Vol.23 No.3

        최근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이에 따른 스포츠 여가 활동을 즐기는 인구가 증가하면서 나이와 직업에 상관없이 발허리뼈의 피로골절이나 골절 또는 변형 등이 빈번하게 나타나고 있다. 발허리뼈 수술 및 치료로 절단술을 시행할 때 발허리뼈의 길이와 선열을 잘못 예측하였을 경우 합병증이 유발되므로 수술 부위에 대한 정확한 해부학적 구조의 이해는 필수적이다. 이에 본 연구자들은 한국인 발허리뼈의 특징을 구명하고 절단술시행 시 필요한 발허리뼈 길이의 추정식을 개발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시신 27구(남자 15구, 여자 12구, 평균연령 69.2세)의 발 54쪽을 대상으로 각각의 발허리뼈의 전체길이와 관절면사이길이, 발허리뼈 머리에서 전체너비와 관절면너비, 발허리뼈 몸통에서 전체너비, 발허리뼈 바닥에서 전체너비와 관절면너비를 계측한 후 SPSS 13.0으로 통계처리하여 다음과 같은 발허리뼈 길이 추정식을 산출하였다. 첫째발허리뼈의 길이는 둘째발허리뼈 관절면길이×0.770+7.780이었고, 둘째발허리뼈 길이는 셋째발허리뼈 전체길이×0.976+6.050이며, 셋째발허리뼈 길이는 넷째발허리뼈 전체길이×1.000+0.922, 넷째발허리뼈 길이는 셋째발허리뼈 전체길이×0.917+4.167, 다섯째발허리뼈 길이는 넷째발허리뼈 전체길이×0.901+7.972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한국인의 발허리뼈의 구조적 특징을 구명하고 발허리뼈 수술 시 필요한 발허리뼈 길이의 추정식을 제시한 것으로 생각된다. As the interest in health is increasing and the population enjoyed the leisure sports is steadily increasing, the stress fracture, fracture or variant of metatarsal bone of foot has been shown frequently. The mistaken estimation about the length and rank of metatarsal bones during the osteotomy of the metatarsal bones of foot can be complicated. It is essential to have detailed knowledges about the anatomical structure of surgical region.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metatarsal bones of foot and to develop a regression equation that can predict the length of metatarsal bones during the osteotomy.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fifty four feet (30M/224F). We measured the whole length and the article length of metatarsal bone. Also, we measured the whole width and the article width in the head, body, base of the metatarsal bone. The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win 13.0. The regression equation models of length of the metatarsal bones were developed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gression equation predicted first metatarsal length was second metatarsal articular length×0.770+7.780, second metatarsal length was third metatarsal length×0.976+6.050, third metatarsal length was fourth metatarsal length×1.000+0.922, fourth metatarsal length was third metatarsal length×0.917+4.167, fifth metatarsal length was fourth metatarsal length×0.901+7.972. The results of this study would be useful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tatarsal bone of the foot, to develop a regression equation for prediction of the length of the metatarsal bone.

      • KCI등재

        한국인에서 턱뼈구멍과 턱뼈혀돌기의 형태계측적 연구

        이상완(Sang-Wan Lee),정화해(Hwahae Jeong),서윤경(Youn-Kyoung Seo),전수경(Su-Kyung Jeon),김신영(Shin-Young Kim),장만호(Manho Jang),백두진(Doo-Jin Paik) 대한체질인류학회 2012 대한체질인류학회지 Vol.25 No.4

        아래턱수술의 기술이 발전하면서 시술시 아래이틀신경과 혈관다발의 손상으로 나타나는 합병증을 줄이고 아래이틀신경전달마취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턱뼈구멍과 턱뼈혀돌기의 위치와 구조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이 증가되고 있다. 한국인 시신 104구(남자 65구, 여자 39구)의 아래턱뼈 208쪽을 대상으로 앞모서리패임, 교합면, 턱뼈패임, 턱뼈각점, 근육돌기점 그리고 관절돌기점을 기준으로 턱뼈구멍과 턱뼈혀돌기의 위치를 계측하였고, 턱뼈구멍의 직경, 턱뼈혀돌기의 높이와 방향을 계측하여 그 구조를 확인하였다. 또한 턱뼈가지의 두께와 턱뼈각을 계측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앞모서리패임에서 턱뼈가지 뒤모서리와 만나는 선의 위치는 턱뼈혀돌기와 일치하는 경우가 42.2%, 턱뼈구멍과 턱뼈혀돌기 꼭대기 사이에 위치하는 경우가 33.8%로 나타났다. 교합면 연장선은 턱뼈구멍과 턱뼈혀돌기 사이에 위치하는 경우가 47.7%이었고, 턱뼈혀돌기와 일치하는 경우가 35.6%이었다. 턱뼈패임에서 뒤모서리와 평행하게 그은 선이 턱뼈혀돌기와 일치하는 경우가 55.8%로 가장 많았다. 턱뼈구멍은 턱뼈가지 앞뒤너비의 중간보다 뒤쪽에 위치하였다. 앞모서리패임을 기준으로 턱뼈가지 앞뒤너비에서는 57.3% 지점에 위치하였고, 교합면이 기준인 경우는 56.5% 지점에 위치하였다. 턱뼈구멍은 턱뼈패임을 기준으로 턱뼈가지 전체 높이에서 48.0% 지점으로 중간보다 약간 위쪽에 위치하였고, 턱뼈혀돌기는 35.7% 지점에 위치하였다. 턱뼈구멍은 턱뼈각점과 근육돌기점을 잇는 선의 40% 지점에 위치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아래턱 대상의 수술시 유발되는 합병증을 감소시키고 새로운 시술법을 개발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라 생각된다. Interest in the correction of jaw deformities has increased due to the development of techniques and instruments of jaw operation. The accurate position of the mandibular foramen and lingula is important for the prevention of the complications and successful inferior alveolar nerve block. This study was conducted on 104dried mandibles (65 males, 39 females) from Korean cadaver. The positions of the mandibular foramen and lingula were measured on the coronoid notch, occlusal plane, mandibular notch, gonion, koronoid and kondylion. The structures of the mandibular foramen and lingula were determined and the thickness of ramus and the angle of mandible were measured. Independent t-tests and paired t-tests were performed to determine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e results as follows; The line between coronoid notch and posterior border of ramus was located on the same level with the tip of lingula in 42.2% of the cases, and in between the mandibular foramen and the tip of lingula in 33.8% of the cases. The occlusal plane was located on the level between the mandibular foramen and the tip of lingula in 47.7% of cases, and on the same level with the tip of lingula in 35.6% of the cases. The line between lower end of the mandibular notch to inferior border of the mandible, in parallel to the posterior border of the mandibles, met the tip of lingula in 55.8% of the cases. The mandibular foramen was located posteriorly to the midpoint on the anteroposterior(AP) width of the ramus. It was located at 57.3% of AP width from the coronoid notch and 56.5% from the occlusal plane. The mandibular formen and the tip of lingula were located superiorly to the midpoint on the vertical height of the ramus, on the 48.5% and 35.7% of vertical distance from the coronoid notch, respectively. The mandibular foramen was located at 40% of the length on the line from the gonion to the koron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provide important morphometric information to prevent the complications in mandibular surgery and also provide the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the new techniques.

      • KCI등재

        덤벨체조가 농촌지역 여성 고령자의 신체조성, 생활체력 및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이기철 ( Ki Chul Lee ),정창주 ( Chang Joo Jeong ),손기수 ( Ki Su Son ),권은진 ( Eun Jin Kwon ),신재후 ( Jae Hoo Shin ),전수경 ( Soo Kyoung Jeon ),우임수 ( Im Soo Woo ),이원경 ( Won Gyeong Yi ) 한국운동영양학회 2004 Physical Activity and Nutrition (Phys Act Nutr) Vol.8 No.2

        The present study evaluated the possibility of dumbbell exercise as to improve the health status of elderly women in rural area. Although approximatly 300 volunteers of elderly women living in rural area of Gumi city were subjected, 32 of them were attended the whole training program for 6 months. All examine were operated before training. 3 months and 6 months after starting point of training respectively. The items of measurement and their results were as the following, 1. The blood pressure slightly increased after 3 months, and blood sugar level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3 months and then slightly increased. 2. The self living ability not significant changes but slightly increased, that means positive effect of dumbbell exercise on self living ability in their old age. 3. The cognitive ability,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MMSE) Korean version questionnaire were used, slightly increased. 4. All items of the physical fitness except masticate strength were increased, that means positive effect of dumbbell exercise on physical activity level in elderly people. Therefore all items level was better than before dumbbell exercise, including blood sugar level, cognitive ability, physical fitness. That assumed dumbbell exercise help elderly people` both physical and mental ability.

      • KCI등재

        원통형 종이포트 고추 묘의 생육 차이가 초기 뿌리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

        서태철(Tae Cheol Seo),안세웅(Se Woong An),김선민(Sun Min Kim),남춘우(Chun Woo Nam),전희(Hee Chun),김영철(Young Chul Kim),강태경(Tae Kyoung, Kang),김성우(Sung Woo, Kim),전수경(Su Gyeong Jeon),장길수(Kil-Su Jang) (사)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17 생물환경조절학회지 Vol.26 No.4

        본 연구는 최근에 도입된 원통형 종이포트 묘에 대한 현장 활용가능성을 검토하고자 기존의 프러그 묘를 대조구로 하여 몇가지 육묘조건에 따른 묘의 생육 차이를 분석하고, 정식 후 수량을 비교하였다. 전주 유리온실에서 수행된 육묘 실험에서는 묘의 생육은 프러그 트레이 50공에서 지속 시비한 처리에서 생육량이 가장 많았다. 생육은 육묘 상자의 구멍에 채우는 상토량에 따라 영향을 받으며, 육묘 상자 보다는 시비 처리에 따른 차이가 더 컸다. 공시한 ‘청양’, ‘대권선언’, ‘롱그린맛’ 품종 모두 같은 양상을 보였다. 육묘 후 비닐하우스와 노지에 심어서 뿌리 발달과 수량을 조사한 결과, 비닐하우스 재배 시 ‘청양’ 품종의 뿌리 내림은 종이포트묘와 프러그묘 간에 차이가 없었으며, 공시한 3 품종 모두 최종 누적수량의 차이는 없었다. 전주 지역 노지재배에서는 ‘청양’은 종이포트묘가, ‘대권선언’과 ‘롱그린맛’은 프러그묘가 누적수량이 많았다. 영양 지역에서 ‘대권선언’ 품종은 종이포트묘와 프러그묘 간에 수량 차이는 없었다. 결론적으로 육묘 처리 조건에 따른 원통형 종이포트 고추묘의 생육의 변화는 기존의 프러그묘와 같은 양상이며, 정식 후 재배조건과 품종에 따른 미미한 차이는 있었으나 전반적으로 수량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나 앞으로 원통형 종이포트 고추 묘에 대한 활용가능성은 높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ossibility of application of the recently introduced cylindrical paper pot seedlings in hot pepper (Capsicum annuum L.) cultivation. The seedling growth, initial rooting after planting and accumulated fruit yield were investigated with the treatments of tray type (paper pot and plug) as a main factor, tray cell number (40 cell and 50 cell) as a sub-factor, and fertigation method (continuous fertigation and fertigation after 35 days sowing) as a sub-sub factor, respectively. The growth of pepper seedlings was significantly affected by tray type and fertigation method showing the highest value at 50 cell plug tray with continuous fertigation, and the effect of fertigation was greater than that of trays. ‘Cheongyang’, ‘Daekwonseoneon’ and ‘Longgreenmat’ cultivar showed all the same pattern in seedling growth. These three-cultivar seedlings were planted in plastic house and in open field in Jeonju area, respectively, and another ‘Daekwonseoneon’ seedlings raised Yeongyang local area was also planted at the same area.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rooting of ‘Cheongyang" pepper at 2 weeks after planting in plastic house. The accumulated fruit weigh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paper pot seedlings and plug seedlings in three cultivar grown in plastic house. However, that of ‘Cheongyang’ pepper showed higher at paper pot seedlings than plug seedlings and the other two cultivar were higher at plug seedlings in open field. ‘Daekwonseoneon’ pepper yield grown in open field in ‘Yeongyang’ area was not significant between paper pot seedlings and plug seedlings. In conclusion, the pattern of seedlings growth grown in the cylindrical paper pot was the same as those of the conventional plug seedlings and also fruit yield was similar between paper pot seedlings and plug seedlings even though minute difference among cultivars. These results suggest that pepper seedlings grown in paper pot should be highly applicable to pepper cultiv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