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IESCOPUSKCI등재
      • 우리나라에 서식하고 있는 모기 ( Culex pipiens )의 항원 추출과 항원성 분석

        이기영,이기선(Ki Sun Lee),이수영(Soo Young Lee),정병주,김규언,류정우(Jeong Woo Ryu),염혜영(Hae Yung Yun),이한일(Han Il Lee),용태순(Tai Soon Yong),전성후(Soung Hoo Jeon) 대한소아알레르기호흡기학회(구 대한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 1999 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지 Vol.9 No.3

        목 적 : 모기에 물린 후 나타나는 여러 가지 반응들은 혈청내 모기 특이 IgE 항체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미 서구에서는 모기에 물린 후 팽진, 구진 등의 피부 국소반응과 출혈성 피부 병변, 혈관 부종, 천식 및 쇼크에 이르는 전신반응에 대한 증례 보고와 면역학적 연구가 시행되어 왔으나, 국내에서는 이에 관한 연구가 전무한 실정이다. 모기 항원은 모기의 몸체, 두흉부, 침샘, 침 등을 이용한 immunoblot 분석을 통해 알 수 있으며, 모기의 종에 따라 그 항원성은 상이하다. 정제된 항원의 제조는 모기 알레르기 환자의 진단 및 면역치료에 필수적이나, 상품으로 시판되는 모기 항원들은 현재까지 그 항원 농도와 단백질 농도가 일정치 않아 표준화가 필요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이에 우리나라에서 서식하는 Culex pipiens의 항원을 추출하여 그 항원성을 분석해 보았다. 방 법 : 연세의대 소아과, 아주의대 소아과 알레르기 클리닉에 내원하여 시행한 피부 반응검사상 모기 항원에 양성 반응을 보인 환아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국립보건원 의동물학과로부터 사육중인 Culex pipiens를 공급받아 마취하에 두흉부를 분리하여 homogenizer를 이용하여 수용성 균질액을 만들고, 원심분리하여 filter에 투과시켜 조항원을 만들었다. Bradford method에 따라 단백질 농도를 측정하고, SDS-PAGE를 시행하여 분리한 후, nitroucellulose membrane에 전이시킨 후, 모기 항원으로 시행한 피부반응검사상 양성 반응을 보인 환아의 혈청을 이용하여 immunoblot을 실시하여 IgE와 결합하는 단백띠를 관찰하였다. 결 과 : 1) Culex pipiens 조항원의 단백질 농도는 10.88 mg/ml 이었다. 2) Culex pipiens 조항원의 SDS-PAGE 결과 20여개의 단백띠가 분리되었다. 3) Immunoblot 결과 70 kD, 60 kD, 34 kB의 단백띠가 IgE와 결합하였다. 결 론 ; 우리 나라에서 서식하는 모기 중 Culex pipiens의 조항원을 제조하였으며, 70 kD, 60 kD, 34 kD의 단백띠가 알레르기를 유발하는 항원으로 추측되며, 향후, 침샘 및 침을 이용한 정제된 항원을 이용한 연구가 시행되어야 할 것으로 기대된다. Purpose : Adverse reactions to mosquito bites have been recognized for some time, and these usually consist of large swellings, generalized urticaria, angioedema, and less frequently asthma. There have been some efforts to define immunologic characteristics of mosquito allergens throughout the world. But, in Korea, the immunologic analysis of mosquito allergen have not been made. Methods : Extracts of locally distributed female mosquito Culex pipiens, were prepared from their heads and thoraxes. By sodium dodecylsulfate-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proteins of two extracts were isolated. Then their proein bands were transferred to nitrocellulose membrane. Immunoblotting was performed with sera of allergic patients to mosquito bites, then completed by antibodies to human IgE. Results : Immunoblotting showed IgE binding proteins weighing 70 kD, 60 kD, 34 kD in Culex pipiens. Conclusion : We found that mosquito antigens induced IgE response, and it suggested that species-specific antigens exist. Further investigation using salivary gland extracts from Culex genus are needed in identifying specific allergens.

      • SCIESCOPUSKCI등재
      • Comparative epidemiological studies on vector/reservoir animals of tsutsugarmushi deseasse between high and low endemic areas in Korea

        REE, Han-Il,CHO, Min-Kee,LEE, In-Yong,JEON, Soung-Hoo INSTITUTE OF TROPICAL MEDICINE YONSEI UNIVERSITY 1995 YONSEI REPORTS ON TROPICAL MEDICINE Vol.26 No.1

        쯔쯔가무시병 환자의 유병률이 가장 높은 남해안 연안지역과 유병률이 낮은 동해안 연안 지역에서 매개 진드기 및 들쥐와 연관되는 제반 역학적 비교조사를 1993년 10월에 실시하였다. 채집된 6종의 들쥐(187개체) 중 등줄쥐(Apodemus agrarius)가 양지역에서 모두 절대 우점종이었고 개체군 밀도에 있어서도 차이가 없었다(트랩 채집률 각각 20.4%, 19.4%). 국내 매개종으로 확인된 Leptotrombidium pallidum과 L. scutellare는 모두 채집된 6종의 들쥐중 등줄쥐에 주로 기생하였는데, 두당 각각 59마리와 69마리가 기생하고 있었다. 등줄쥐의 Rickettsia tsutsugamushi 병원체에 대한 항체 양성률은 남해안 43.2%, 동해안 63.6%로 동해안 지역에서 약간 높게 나타나 환자 발생과는 다른 양상을 보였다. 지역에 관계없이 등줄쥐의 감염률(항체 양성률)과 매개종인 L. scutellare와 L. pallidum의 개체군 밀도간에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r=0.87). 이와같은 사실은 들쥐에 대한 양종의 매개 효율성(vector efficacy)이 똑같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양지역간의 가장 중요한 역학적 차이는 매개종으로, 남해안 지역에서는 L. scutellare가 절대 우점종(74.9%)인 반면에 동해안 지역에서는 L. pallidum이 절대 우점종 (60.4%)이었다. 두종의 개체군 밀도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조사지역이 불충분하여 확실하게 결론지을 수는 없지만, L.scutellare의 개체군 밀도가 높을수록 환자 유병률도 높게 나타나, L. scutellare가 인체에 대한 매개효율성(vector efficacy)이 L. pallidum보다 월등하게 높은 중요한 매개종이라 생각된다. Comparative epidemiological studies on vector reservoir animals of tsutsugamushi disease were carried out in between south coast (the highest endemic) areas and east coast (low endemic) areas in October 1993. Fauna of field rodents and their population densities were not different between two areas. Antibody positive rate of Apodemus agrarius sera was higher in east coast (43.2% in south coast and 63.6% in east coast). High correlation (r=0.87) was shown between antibody positive rate of A. agrarius sera and population density of the vector mites (Leptotrombidium scutellare and L. pallidum). L. scutellare was predominant in south coast, showing 110.6 chigger index (74.9% of the total chiggers), whereas L. pallidum was predominant in east coast, showing 126.3 chigger index (60.4% of the total). As higher population density of L. scutellare was found in south coast where the prevalence rate of tsutsugamushi disease is the highest, it result from more frequent vector-human contact.

      • Field Trial on Control Effect of Poison Baits against German Cockroaches

        Ree, Han-Il,Lee, Du-Ho,Lee, In-Yong,Jeon, Soung-Hoo INSTITUTE OF TROPICAL MEDICINE YONSEI UNIVERSITY 1995 YONSEI REPORTS ON TROPICAL MEDICINE Vol.26 No.1

        최근 널리 사용되고 있는 몇가지 독먹이 제제의 바퀴 방제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서울시내 모대학의 실험동물 사육실과 한 고층아파트 건물을 대상으로 소규모 야외시험을 실시하였다. 실험동물 사육실에는 hydramethylnon 2% 제제 설치시 2주 후 96.6%, 4주 후 99.2%의 방제율을 보였고 이와같은 방제효과가 조사기간인 18주(97.8%) 까지 계속되었다. Chlorpyrifos 0.6% 제제의 경우는 설치 2주 후 93.5%의 방제율을 보였고 12주까지 동일한 수준으로 계속된 후 18주에는 69.9%로 감소하였다. 고층아파트의 경우, hydramethylnon 2% 제제 처리시 2, 4, 6 및 8주만에 각각 81.4%, 88.8%, 91.5% 및 95.6%의 방제율을 보였고, chlorpyrifos 0.6%의 경우, 처리 2, 4, 8주에 각각 61.3%, 66.6%, 72.0% 및 84.6%의 방제율을 보였다. Fenitrothion MC 5%의 경우, 2, 4, 6, 8주에 각각 53.2%, 52.5%, 58.5% 및 27.7%의 방제율을 나타냈다. 이와같이 각 제제의 방제율이 큰 차이를 보인 원인은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겠으나, 그중 한 요인으로는 설치한 약제의 양을 들 수 있을 것이다. 즉 1 box에 들어있는 독먹이의 양을 비교한 결과 hydramethylnon 66g(8.25g×8discs), Chlorpyrifos 29g(2.9g×10discs)였고 fenitrothion MC는 19.2g(3.2g×6discs)이었다. Small scale field trials on control effect of three poison bait products against German cockroaches(Blattella germanica) were carried out in laboratory animal rooms and an apartment building in Seoul. The trial in the laboratory animal rooms showed that hydramethylnon 2% bait treatment gave the reduction rate of 96.6%, 99.2%, 99.0%, 99.5% and 97.8%, in 2, 4, 8, 12 and 18 weeks after treatment respectively, and chlorpyrifos 0.6% bait treatment gave the reduction rate of 93.5%, 93.5%, 92.7%, 92.3% and 69.9% in 2, 4, 8, 12 and 18 weeks after treatment, respectively. The trial in the apartments showed that hydra-methylnon 2% bait treatment gave 81.4%, 88.8%, 91.5% and 95.6% of reduction rate on 2, 4, 6 and 8 weeks post-treatment respectively, chlorpyrifos 0.6% bait treatment gave 61.3%, 66.6%, 72.0% and 84.6% on 2, 4, 6 and 8 weeks post-treatment respectively, and fenitrothion MC 5% bait treatment gave 53.2%, 52.5%, 58.5% and 27.7% on 2, 4, 6 and 8 weeks post-treatment. Such differences in the reduction rate would be resulted from many factors, and the amount of the bait would be one of them, as shown that a package of the fenitrothion MC 5% bait and the chlorpyrifos 0.6% bait contained only 19.2g(3.2g×6discs) and 29g(2.9g×10discs) respectively whereas a package of the hydramethylnon 2% bait contained 66g(8.25g×8dis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