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반논문 : 19세기 강우지역 학자들의 「신명사도명(神明舍圖銘)」 해석과 그 의의

        전병철 ( Byeol Cheol Jeon ) 경상대학교 남명학연구소 2010 남명학연구 Vol.30 No.-

        「神明舍圖」와 「神明舍銘」은 南冥 曺植의 학문적 특징을 선명하게 보여주는 것으로, 南冥學의 핵심 사상이 담겨 있는 圖說이다. 그런데 后山 許愈가 「神明舍圖銘或問」을 지어 이것에 관한 해석 작업을 시도하기 이전까지 300년 동안은 어느 누구도 그 내용과 의미를 밝히려고 하지 않았다. 后山은 「神明舍圖銘彧問」을 지어 南冥의 「神明舍圖銘」을 상세히 해석하고 그것이 가지는 유학사적 의미를 밝히고자 하였다. 그는 「神明舍圖銘」에 南冥의 心學이 오롯이 담겨 있다고 생각했다. 그리하여 南冥의 「神明舍圖銘」에 대한 주해 작업을 경상우도 학자들의 공적 안건으로 발의함으로써, 南冥의 학문과 수양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南冥學의 요체를 분명하게 파악하려고 시도하였다. 그러므로 「神明舍圖銘或問」은 后山의 개인적 저술이라는 의미를 넘어, 당시 慶尙右道의 학자들이 학문적인 측면에서 본격적으로 남명학을 조명하는 촉발점이 되었으며, 그 작업에 그들의 학문적 역랑을 집결시킬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Sinmyeongdosa」 and 「Sinmyeongsamyeong」 clearly demonstrates the academic characteristics of Nammyeong Josik, and it is Doseol which contains the essential ideology of Nammyeonghak. However, before Husan Heoyu attempted to construe this by writing 「Sinmyeongsadomyeonghokmun」, nobody was going to reveal its contents and meaning for 300 years. Husan wrote 「Sinmyeongsadomyeonghokmun」 and interpreted 「Sinmyeongdosamyeong」 by Nammyeong, in detail, and attempted to unearth its meaning in the context of Confucian history. He assumed that the simhak (study of heart) of Nammyeong is contained in 「Sinmyeongdosamyeong」 without intact. Therefore, he attempted to correctly understand the studies and cultivation of Nammyeong, and clearly identify the key of Nammyeonghak by motioning the annotation work of 「Sinmyeongdosamyeong」 by Nammyeong as an official matter of scholars in Gyeongsangwoo-do. Hence, 「Sinmyeongsadomyeonghokmun」 triggered to highlight Nammyeonghak seriously for scholars in Gyeongsangwoo-do at that time, from an academic perspectives by going beyond the meaning of a personal work of Myeongsan, and furnished an opportunity for concentrating their academic capacity on the job.

      • KCI등재

        기획논문 : 19세기 하동 지역 성재(性齋) 문인(門人)의 학문 성향 -간취당(澗翠堂) 정우윤(鄭瑀贇)과 니곡(尼谷) 하응로(河應魯)를 중심으로-

        전병철 ( Byeol Cheol Jeon ) 경상대학교 남명학연구소 2011 남명학연구 Vol.32 No.-

        19세기 河東 지역 性齋門人 澗翠堂 鄭瑀贇과 谷河 河應魯는 집안 대대로 내려온 家學을 통해 南冥學派의 학문을 이어받고 謙齋 河弘度 의 강학처인 慕寒齋를 중심으로 인근 학자들과 강학하였는데, 이것은 南冥學에 연원을 두고 있는 측면이다. 그리고 명망과 학식이 뛰어난 당대의 스승을 찾아 性齋 許傳에게 나아가 배웅을 청한 것은 남명학의 연원을 지켜나가는 가운데 학문적 외연을 확장해 나간 것이다. 특히 성재 허전의 가계적 배경과 학문적 연원이 남명학파와 긴밀한 연관이 있는 점으로 본다면, 이들이 성재를 찾아간 까닭은 성재의 명망과 학식 외에도 그럴 수 밖에 없는 필연적 개연성이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간취당 정우빈과 니곡 하응로에게 나타나는 남명학의 연원과 사승의 학맥이라는 학문 성향을 생각할 때, 이들에 대한 학파적 분류를 단순히 사승으로만 제한할 수 없다고 판단된다. 여러 갈래로 뻗어나간 나무의 가지를 가리키면서 다른 나무라고 말할 수 없듯이, 같은 학문적 연원에 뿌리를 두고서 각기 다른 사승의 학맥을 계승한 19세기 강우지역 학자들의 학문적 특징은 남명학파의 역사적 배경과 깊은 연관을 가진 이채로운 현상이라고 말할 수 있다. Ganchuidang Jeong Wu-yun and Nigok Ha Eung-ro, both Seongjae literary men in the Hadong area during the 19th century, inherited the learning of the Nammyeong Hakpa (school) that was handed down within the family (lineal learning) and pursued studies with nearby scholars centering on Mohanjae, which was the place pursuing studies of Gyeomjae Ha Hong-do. This aspect originated from Nammyeonghak. Also, the fact that they visited Seongjae Heo Jeon and asked for teaching while seeking the greatest teacher with an excellent reputation and learning of the times was an academic extension while keeping the origin of Nammyeonghak. In particular, given that the lineal background of Seongjae Heo Jeon is closely related to Nammyeong Hakpa, the reason that they visited Seongjae might have been inevitable and unavoidable aside from the reputation and learning of Seongjae. Therefore, considering the origin of Namrnyeonghak and the academic propensity that is the academic legacy of their private teacher (**사승) shown by Ganchuidang Jeong Wu-bin and Nigok Ha Eung-ro, it is concluded that their classification in terms of school cannot be limited simply by their private tacher (**사승). As we are unable to say that one tree can be a different tree while looking at its branches spreading to several offshoots. the academic characteristics of scholars in the Gangwu area during the 19th century, who inherited the academic legacy of different teachers (**사승) rooted on the same academic origin, can be an unusual phenomenon deeply associated with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Nammyeong Hakpa.

      • 경남학 : 감수재(感樹齋) 박여량(朴汝樑)의 지리산 유람과 그 인식 - 「두류산일록(頭流山日錄)」의 분석을 중심으로-

        전병철 ( Byeol Cheol Jeon ) 경상대학교 경남문화연구소 2010 慶南文化硏究 Vol.31 No.-

        감수재 박여량의 「두류산일록」은 1610년 9월 2일부터 8일까지 7일 동안의 지리산 유람을 날짜별로 기록한 일기체 형식의 유산기이다. 형식의 구성은 지리산 유람을 하게 된 배경을 서술한 도입부, 날짜별로 이동한 장소와 견문 및 감상을 서술한 여정부, 여정을 마친 후 유람의 전체적인 감회를 서술한 마무리로 구성되어 있다. 내용의 특성은 두 가지로 요약할 수 있는데, 첫째는 사물에 대한 통찰과 그것을 통한 자신의 성찰이다. 둘째는 령남(嶺南) 사림(士林)의 산수 유람에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특성을 계승한 점이다. 또한 감수재는 지리산을 우리나라 국토의 중심이 되는 곳으로 여겼으며, 구도적 강학처로 인식하였다. Gamsujae Park Yeo-rang`s Duryusan Illog(daily record) was a diary style travel account by date about travel to Mt. Jiri for seven days from September 2, 1610 to 8. It was divided into introduction describing the background of the travel to Mt. Jiri, the itinerary part showing places by date and experience and thoughts, and the conclusion expressing overall emotion after the travel.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tent can be summarized as two. First, it was insight about things and self-examination based on the insight. Second, it succeeded the common characteristics of Yeongnam Sarim`s sightseeing tour. In addition, Gamsujae considered Mt. Jiri as the center of Korean territory and structural Ganghakcheo(the education place).

      • KCI등재

        송정(松亭) 하수일(河受一)의 학문(學問)과 문학(文學)

        전병철 ( Byeol Cheol Jeon ) 동방한문학회 2011 東方漢文學 Vol.0 No.46

        松亭 河受一(1553~1612)은 南冥 曺植(1501~1572)의 제자인 覺齋 河沆(1538~1590)으로부터 南冥學의 핵심을 전수받아 謙齋 河弘度(1593~1666)에게 이어준 인물이다. 각재는 물론 겸재가 남명학파에서 차지하는 위상을 생각해 본다면, 송정은 남명학파에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는 인물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송정은 사물을 관찰하여 자신에게 돌이켜 반성하는 ``觀物反己``의 수양 방법을 견지하였으며, 이것은 그가 문학작품을 창작하는 데에 중요한 動因으로 작용하였다. 그렇기에 송정에게 있어서는 문학작품의 창작이 관물반기의 수양을 심화시키는 연장선상에 있다고 이해된다. 송정의 학문과 문학은 서로 상보적인 관계에 있으며, 수양과 실천을 강조한 남명학파의 학문적 특성이 문학에까지 확장된 형태라고 파악할 수 있다. 다만 남명은 시를 짓는 것이 수양을 하는 데에 방해가 된다고 경계한 반면에, 송정은 수양을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 문학을 적극 활용함으로써 그 효용적 가치를 인정한 점이 다르다고 말할 수 있다. Songjeong Ha Soo-il is a person who inherited the essence of the Nammyeong studies from Gakjae Ha Hang, who was a pupil of Nammyeong Jo Sik, and handed it down to Gyeomjae Ha Hong-do. Given the status not only of Gakjae but also of Gyeomjae in the Nammyeong school, Songjeong may be evaluated as being a figure who is of great importance in the Nammyeong school. Songjeong held on to the cultivation method of ``Gwanmulbangi``, which enables one to look back on and reflect on himself through the observation of an object, and which served as an important driving force for him in the creation of literary works. Therefore, to Songjeong, the creation of literary works is understood to be in the continuum of deepening the cultivation of Gwanmulbangi. Songjeong`s studies and literature are complementary, and they may be identified as being in the form in which the academic characteristics of the Nammyeong school, which had emphasized cultivation and practice were extended even to literature. However, Nammyeong was different from Songjeong in that Nammyeong guarded against the composition of a poem, believing that it would impair cultivation, whereas Songjeong actively utilized literature as one of the means of cultivation, thereby approving its value in usefuln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