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서울 종로구 예지동 시계골목의 형성과정과 사회적 기능

        전미영(Jeon, Miyoung) 서울시립대학교 서울학연구소 2021 서울학연구 Vol.0 No.82

        이 연구는 서울시 종로구 예지동 시계 골목의 시계 수리 기술과 작업장 문화의 역사적 변천과 사회적 기능에 대해 살펴보고자 했다. 시계 골목은 해방 전까지 동대문 상권에 인접한 거주공간이었으나, 한국전쟁 이후에는 밀수품과 중고품을 거래하던 암시장으로 기능하였다. 이후 산업화 시기에는 동대문시장과 함께 혼수 예물을 저렴하게 구입할 수 있는 전문 시장으로 알려지기도 했다. 세운4구역 재개발예정지역이기도 한 골목은 2000년대 후반부터 현재까지 재개발 ‘사업지’로서의 다양한 주체들의 다양한 욕망들이 점철된 기다림의 경관을 구성하고 있다. 한편, 구한말부터 산업화 시기까지 최첨단 기술로서 각광받았던 ‘복원’중심의 시계 수리 기술은 오늘날 사라져가는 전통문화가 되었다. 도제식으로 세대를 이어가며 기술을 전수하던 시계 기술자들의 작업장 문화는 복원에서 교체로, 손기술에서 기계에 의존하는 방식으로, 민간영역에서 제도의 영역으로 전환되는 흐름 속에서 지속적 재생산의 위기를 맞고 있다. 예지동의 시계 기술은 국내외의 전문대학과 시계회사를 중심으로 제도화된 서비스 센터와 비교했을 때 ‘시대에 뒤떨어진 기술’로서 인식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주목할만한 것은, 한때 주된 시계 생산국으로 손꼽히던 한국의 시계산업이 그것을 고치는 수리 기술로부터 시작해 발전해왔다는 것이다. 또한, 자동화 기계장치가 아닌 손기술을 사용해 시계를 복원하는 기술은 오늘날 고부가가치를 가진 예술품을 생산하는 스위스의 독립 시계제작자 및 한국의 금속공예 작가들의 기술과 연결고리를 가지고 있다. 시계 골목은 국가의 지원이나 대기업의 자본 없이 자생적으로 성장한, 우리나라 중소 시계회사들의 모태가 되는 생산 공간이었지만, 1990년대 새로운 시간 지시 매체의 등장으로 손목시계의 인기가 떨어지고 치열한 경쟁으로 상당수의 국내 시계회사들이 문을 닫으면서 저가 조립 시계의 생산과 수리 작업을 중심으로 재편되었다. 또한 이 연구는 골목의 경관에서는 파악하기 어려운 작업장 내의 구체적인 일상생활을 살펴보았다. 시계는 하나의 사물이면서 동시에 여러 부속의 조립품으로서 물질의 총합이기도 하다. 연구자는 시계 수리의 큰 영역을 서비스와 제작의 기술로 구분하였다. 시계 마니아들이 ‘시장기술’이라고도 하는 제작의 기술을 수리, 선반, 문자판, 유리, 시야게-도금(부식-레이저, 캇트), 줄(줄땜, 가죽줄)의 세부 분야로 범주화했다. 또한 시계 수리 및 복원에 참여하는 상공인들이 시계골목 일대에서 어떠한 형태로 다양한 층위의 수리 네트워크를 구성하는지를 구체적인 자료를 통해 제시한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historical changes and social functions of watch repair technology and the workshop culture of ‘Clock Alley’in Jongno, located in Seoul, South Korea. ‘Clock Alley’ used to be a resident area nearby Dongdaemoon market. After the Korean war, it became a place where a black market in smuggled or secondhand goods flourished. After the period of industrialization in 1970s, the alley became nationally known as a specialized market for wedding presents at an affordable price. Clock alley is now parts of landscapes of waiting, entangled with various desires from diverse actors since the late 2000s. On the other hand, the technology, which was centered around ‘restoring’rather than simply replacing parts and was hailed as a cutting edge technology until the mid-20th century, now has become a diminishing traditional culture. Reproduction of the workshop culture of the repairers passed down through apprenticeship has been endangered by several interrelated changes: from restoration to replacement, handcraft to machine-based, and private to institutional. Watch repair technology itself even tends to be recognized as an ‘old-fashioned technology’in comparison to a systemized service center run by watch companies and engineering colleges. However, the remarkable thing is that the South Korean (hereafter. Korean) watch industry, once one of the biggest watch producers and exporters, began from such repairing technology. Handcraft restoring skills, distinctive from computer numerical control (CNC) automated machines, also have a technical connection with independent horologists in Swiss and Korean metal craft artists. A watch is not only a single artifact, but also a component assembled from various materials into parts. The study roughly categorizes watch repair technology into two sections: skills of service and skills of making, and sub-categorizes them again into five parts: repair, lathe, dial, glass, polishing-gilding (corrosion and laser, and diamond-cutting), a band (soldering and leather crafting). Under this categorization, the research shows varied layers of the repair networks of the alley, with specific field data.

      • KCI등재

        한국, 미국, 스웨덴의 생태적 패러다임과 친환경구매성향 비교연구

        김선우(Kim, Sunwoo),전미영(Jeon, Miyoung) 한국소비문화학회 2013 소비문화연구 Vol.16 No.4

        생태계가 존재론적 위기에 직면해 있다. 생태위기를 초래한 소비주의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생태적 패러다임으로의 의식전환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생태적 패러다임에 대한 인식이 소비자의 친환경구매성향에 미치는 영향력을 규명하고자, 한국ㆍ미국ㆍ스웨덴 삼국의 20대∼40대 성인 총 1,500명을 대상으로 국제비교연구를 실시했다. 연구결과, 한국과 미국의 생태적 패러다임 수준은 유사한 경향을 보이는 반면, 스웨덴에서는 생태적 패러다임이 두 국가보다 훨씬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나 스웨덴의 높은 환경의식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세 국가 모두에서 생태적 패러다임이 친환경구매성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규명되어, 생태적 패러다임에 기반한 가치적 전환이 향후 친환경소비의 성장과 확대에 중요한 전제조건이 될 수 있음을 확인했다. 또한 세 국가에서 공통적으로 환경운동 활동경험이 친환경구매성향에 기여하는 바가 큰 것으로 나타나 유년기부터 체계적으로 환경활동에 참여한다면, 소비자 개인차원에서 생태주의 가치를 체득함은 물론이고 사회적 차원에서도 친환경구매를 육성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한편 인구통계학적 요인의 영향력은 국가별로 상이한 결과를 보였다. 한국에서는 기혼일수록 높은 친환경구매 성향을 보였고, 미국의 경우 연령이 낮을수록, 스웨덴의 경우 학력이 높을수록 친환경구매성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국가와 문화를 넘어 친환경 소비문화에 보편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변수가 존재하지만, 한편 으로는 국가별 문화와 지속가능발전 수준에 따라 친환경구매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가 상이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생태위기를 극복하고 지속가능한 사회로의 전환을 위해, 개인과 사회구조의 정반합식 변혁이 불가피하다. 생태적 패러다임의 확산과 환경활동은 소비자가 자본주의적 산업사회의 논리를 배태한 일상생활의 구조를 벗어나 주체적이고 성찰적인 소비역량을 강화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방편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사회구조적인 차원에서의 자원저감이 수반되어야 하며 이를 통해 소비의 총량을 줄이는 한편, 물질이 아닌 다양한 문화수단을 통해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개인ㆍ학계ㆍ정부의 노력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 The ecological system is facing existential crisis. Transition to ecological paradigm is required to overcome over-consumption society. This research aimed to conduct cross-cultural comparison on ecological paradigm and pro-environmental shopping behavior of 1,500 consumers in Korea, USA and Sweden. The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ecological paradigm was very dominant in Sweden compared to that in Korea and USA. The ecological paradigm wa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on proenvironmental shopping behavior in three countries respectively, which implies that value transition is a critical condition for sustainable society. In addition, environmental activity involvement was second impactful factor on pro-environmental shopping. Systematic environmental engagement can contribute to the acquirement of ecological value and the pro-environmental purchase as well. The influence of demographic factors was varied by countries. In Korea, married couple had a higher tendency of pro-environmental purchase. In USA, the younger the higher was the proenvironmental purchase tendency. In Sweden, the higher education group had a higher proenvironmental tendency. This result imply that the influential factors can vary according to each country's culture, tradition and the level of sustainable development, while there are common influential factors towards pro-environmental purchases in the global level. The change should be considered both in the individual and the socio-structural level to overcome ecological crisis. The expansion of ecological paradigm and active affiliation with pro-environmental activities can be suggested as remedies to strengthen autonomic and reflexible consumer capabilities. The total amount of consumption should be reduced in a socio-structural level and the transition to cultural society should be activated to fulfill human social and interactional needs.

      • ‘가족친화 지역사회 조성’ 정책 10년 평가와 과제

        김소영(Soyoung Kim),선보영(Boyoung Sun),전미영(Miyoung Jeon),남지민(Jimin Nam)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2017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2017 No.-

        This paper aims to assess the achievements and limitations of family-friendly community establishment policies from the changing perspectives of families, review the concept and elements of family-friendly communities and thereby discuss how to reorganize such policies. The key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future direction of policies were identified by reviewing family-friendly community establishment policies-related laws and systems and looking into key policies in terms of the realities and needs of families. Korea’s family-friendly community establishment policies have contributed to creating a family-friendly society and culture. In the process, a variety of legal and institutional frameworks such as the Family Friendliness Act, the basic plan for the promotion of healthy families, and a survey of the established family-friendly social environment have been set up, expanding related infrastructure. However, in spite of such policy achievements, many more issues need to be examined to craft appropriate and effective policies that can flexibly react to changes in the family environment. The biggest limitation of current policies is that they very narrowly define families and family-friendly communities in the context of policy targets and spheres. As a result, current policies for the creation of a family-friendly social environment have focused on the establishment of a family-friendly workplace environment for double-income families and the introduction and facilitation of a diversity of related systems. On the other hand, in connection with the community environment where various families live, such policies have been limited to the declaratory discussions on the importance of communities and the introduction of related cases, failing to sufficiently deal with the roles of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in creating communities that can reflect the various needs of families, as well as specific policy measures relating thereto. Families and their members are hardly deemed to be single groups or to have unified needs. Diversity existing in and out of families is expected to further increase in the future. In this vein, existing policies whose focus has been put on specific types of families and their situations should be reviewed and revised, considering the following fundamental questions: ‘how should families be examined?’ and ‘what is a family-friendly environment?’ At the same time, new policies based on family diversity need to fairly assign necessary infrastructure and policy means to enable diverse family and individual needs to be satisfied in a balanced way, rather than to support specific types of families or to set a universal type of family as a key target group. Second, analyzing family trends, conferences with 20-to-40-somethings, a key group that brings about family changes, were held to reorganize a family-friendly community environment in terms of family changes and to shed new light on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 thereof. In the context of trends, how families have changed was studied and via consecutive conferences with 20-to-40-somethings, a main group that causes family changes, the meaning and realities of families were examined from their perspectives.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이 연구는 가족변화의 측면에서 그동안 여성가족부가 추진해 온 가족친화 지역사회 조성 정책을 되돌아보고, 정책의 재구성 방향을 탐색하는 데 목적을 두었음 □ 이 연구는 다음과 같은 배경에서 수행되었음 ○ 첫째, 유동적으로 변화하는 한국의 가족을 고려할 때 가족구성의 선택을 지원하는 측면에서 가족친화적 사회환경 조성의 중요성은 더욱 커질 것으로 전망됨. 가족미래를 전망한 국내외 연구(장혜경 외, 2014; EU, 2011:39)에서도 가족을 둘러싼 환경 조성의 중요성은 지적된 바 있음 ○ 둘째, 지역사회는 개인과 가족이 일상생활을 영위하고, 삶의 질 향상을 꾀할 수 있는 핵심적인 장으로, 가족변화의 양상이 점차 뚜렷해지는 추세에 대응하기 위해 가족친화적인 지역 환경 조성에 대한 정부의 관심과 투자가 요구됨. 가족친화 사회환경의 조성 촉진에 관한 법률 (이하 가족친화법 )에도 지역사회 내에 가족친화 관련 인프라 등 필요한 자원을 제공하고, 참여 가능한 공간을 조성해야 할 정부의 책무를 명시하고 있음(법 제3조, 제13조). 그럼에도 정책 시행 10년여 동안 가족친화 지역사회(마을환경) 조성 정책의 추진은 미진했음 ○ 정책 시행 초기와 달리 현재는 3회에 걸쳐 시행된 가족친화 마을 만들기 시범사업과 가족친화 사회환경 조성 실태조사의 결과, 국내 유사 정책의 성장으로 정책의 성과와 한계를 직·간접적으로 확인할 정책현장이 존재하므로 정책 시행 10년이 된 지금, 가족친화의 개념과 추진체계를 근본적으로 재검토하고, 향후 정책방향을 모색하는 작업은 의미 있을 것으로 보임 2. 연구 내용과 방법 □ 첫째, 가족정책의 맥락에서 가족친화 지역사회 조성 정책과 관련된 주요 법·제도를 검토하고, 변화하는 가족의 현실과 욕구에 비추어 주요 정책 현황을 살펴봄으로써 정책의 의의와 한계, 향후 정책 방향에 대한 함의를 도출하였음 ○ 이를 위해 가족친화 관련 선행연구, 가족친화 사회환경 조성 관련 법령자료, 정책지침, 관련 기본계획 등 행정자료, 가족친화 사회환경 조성 실태조사 측정지표를 검토하였음 □ 둘째, 가족친화 사회환경 조성 정책을 재구성하기 위해 가족변화의 모습과 의미를 재조명하였음. ○ 이를 위해 가족 트렌드 분석과 가족변화의 추동집단인 2040세대와의 연속 집담회를 병행하였음 - 가족 트렌드는 가족에 영향을 미치는 거시환경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트렌드 현상 중 최근 가족과 관련해 중요하게 부상하는 개념만을 발췌한 후 유사한 가치를 공유하는 개념을 분류하는 단계를 거쳐 도출하였음 - 2040세대 집담회는 가족구성과 삶의 양식의 다양성을 반영해 8인의 참가자로 구성하였고, 가족의 현재 모습과 관계, 참가자들이 바라는 모습의 가족을 주제로 2회에 걸쳐 논의하였음. 결과에 대한 분석은 매회 집담회를 마친 후 연구진이 발견한 주요 결과를 작성하고, 그 의미에 대한 해석을 논의했으며, 참가자들과 공유해 재확인하였음 □ 셋째,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가족친화 사회환경 조성 정책의 재구성 방향을 논의하고, 그에 맞춰 가족친화 지역사회 조성을 위한 정책 과제를 제안하였음 ○ 이 과정에서 가족친화 관련 연구자, 서울시의 공유 공간(스페이스 살림, 무중력지대) 운영자와 연구자, 희망제작소 지역정책팀 관계자 등을 만났음. 그들은 사업이나 연구의 기획과 운영 과정, 해결 과제와 현재의 고민을 연구진에게 공유해주었으며, 자신들의 경험을 바탕으로 연구의 정책 방향에 대한 논의해주었음 ○ 가치를 공간에 구현하면서 민간 주도로 운영되는 공공 공간인 서울시 무중력지대(대방), 서울혁신파크, 서울시 언더스탠드에비뉴 등의 사례는 연구진이 직접 방문해 관찰하였음

      • KCI등재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의 단어재인에서 간섭자극 억제능력

        황민아(Mina Hwang),임종아(JongAh Lim),최경순(Kyungsoon Choi),고선희(Sunhee Ko),최소영(Soyoung Choi),김주형(Joohyoung Kim),전미영(MiYoung Jeon)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6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1 No.1

        여러 연구에서 ADHD 아동들의 반응 억제 결함이 충동성과 과잉행동 및 그에 따른 다양한 행동문제를 야기하는 근본적인 결함이라고 주장하였다(Barkley, 1997; Schachar, Tannock, Marriott, & Logan, 1995). 본 연구에서는 단어재인 과제에서 언어적 간섭자극이 주어졌을 때 ADHD 아동의 억제능력을 일반 아동과 비교하고자 하였다. 방법: 3-6학년에 재학 중인 ADHD 아동 11명과 일반 아동 19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모든 아동들은 어휘, 문장따라말하기, 단어재인, 읽기이해에서 정상적인 발달 수준에 있었다. 아동들은 교차-양상 단어재인 간섭과제를 수행하였는데, 아동들은 청각적으로 제시되는 간섭단어를 무시하고 동시에 시각적으로 제시되는 목표단어를 가능한 빠르게 읽도록 지시받았다. 간섭자극의 유형에 따라 세가지 간섭조건이 구성되었는데, 중복간섭 조건에서는 간섭단어와 목표단어의 목록이 같았고, 비중복간섭 조건에서는 간섭단어와 목표단어의 목록이 달랐고, 무간섭조건에서는 청각적 간섭단어가 제시되지 않았다. 결과: 목표단어의 읽기 반응 시간에 대해서 집단×간섭유형의 이원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집단의 주효과, 간섭유형의 주효과 및 집단과 간섭유형의 상호작용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무간섭조건에서 ADHD 아동과 일반 아동의 목표단어 읽기 반응시간은 유의미하게 다르지 않았지만, 두 간섭조건에서는 ADHD 아동이 일반 아동에 비하여 목표단어 읽기 반응시간이 유의미하게 느렸다. 논의 및 결론: ADHD 아동들은 일반 아동과 비슷한 수준의 단어재인 능력을 갖고 있더라도 언어적 간섭자극이 주어지는 경우에 간섭자극의 처리를 효율적으로 억제하는 데 어려움을 겪어서 결과적으로 목표단어의 단어재인이 방해를 받았다. ADHD 아동의 억제 결함이 언어처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Objectives: It has been proposed that the primary deficit in attention deficit hyperactive disorder (ADHD) is in response inhibition, resulting in impulsiveness and hyperactivity and causing various behavioral problems (Barkley, 1997; Schachar, Tannock, Marriott, & Logan, 1995).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inhibition skills of children with ADHD during word recognition while interfering words were presented. Methods: Eleven children with ADHD and 19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all in grade 3 to 6, partici¬pated in the study. All participants were developmentally within normal range in vocabu¬lary, sentence repetition, word decoding and reading comprehension. They performed a cross-modal Stroop-like task of word recognition, where two different words were simulta¬neously presented visually and auditorily. The subjects were asked to read the target word on a computer screen as fast as they could, while ignoring the auditorily presented inter-fering word. Three conditions were constructed based on interference types: interfering words and target words from the same set of words, interfering words and target words from different sets, and no interfering words. Results: Without interference, the ADHD chil¬dren were not different from the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in the reaction time of tar¬get word reading. However, in the two conditions with auditory interference, the ADHD children’s reading time was significantly slower than the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children with ADHD were less effective in inhibiting the interfering words while reading. The influence of inhibition deficit of ADHD children on language processing was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