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四聲通解》陽聲韻-m尾硏究

        장효만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03 동양한문학연구 Vol.18 No.-

        《사성통해(四聲通解)》는 조선시대의 유명한 언어학자인 최세진(崔世珍) 이 4년간 (1514~1517)의 심혈을 기울여 완성한 근대 중국어 음운학 관련 저서로서, 조선시대 중국어의 학습에 아주 폭넓게 영향을 끼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저서에는 근대 중국어의 양성운(陽聲韻) 인 -m운미의 변화에 관한 내용이 실려 있으며, 중국 북방어의 -m 운미가 일쩍이 -n운미로 완전히 병합되었음을 반영하고 있다. 사실, 당나라시대 어떤 방언들은 -m운미가 -n운미로 병합되는 현상이 이미 나타났었다. 이에 본 논문은《사성통해(四聲通解)》의 ‘함(咸), 심 (深), 산(山), 진(臻)’ 사섭(四攝)운미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함(咸), 심(深), 섭(攝) 의 -m 운미와 ‘산(山), 진(臻)’ 섭(攝)의 -n 운미가 이미 합병되었으며 16세기 초(1517) 에 이르러서는 이 두운미가 병합되는 과정이 이미 완료되었음을 고찰하였다.

      • KCI등재

        试论汉语表致使义的“让”字结构及其对应的韩语表达

        張曉曼,王新娟,尚安新 한국중국언어학회 2013 중국언어연구 Vol.0 No.46

        In the modern Chinese, the sentence make up of Let is a sentence structure which can express very rich notions.However, it did not bring enough attention on the reach for the Chinese itself and second language teaching. Let can be used in two ways: one is normal verb while another is make up Let structure. The hypogynous expression of Let structure can be divided into Let structure with meaning of lead and Let structure for passive meaning. When Let structure be used for the meaning of lead, it can be further divided into three part: Let structure with meaning of allow or tolerate; Let structure with meaning of impetrate or ask and Let structure with meaning of bring about or lead. With a background of the Chinese and Korea language, this text is going to make a reach on the three subdivision of Let structure when it is used with meaning of lead and will discuss its corresponding expressive manner in Korea language.We hope that this reach and discuss can provide help on the process of teaching and reaching for Chinese-Korea second language. 중국어에서 “.”자문은 여러 가지 의미를 지니고 있는데, 여태까지는 중국어 연구 영역이든 중국어를 제2 언어로 가르치는 대외 한어 영역이든 “.”자문에 관한 연구는 많지않다. “.”의 사용법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하나는 일반 동사로 사용하고, 다른 하나는 “.”자문을 구축하는 것이다. 또한 ”.”자문은 사동 의미를 표현하는 “.”자문과 피동 의미를 표현하는 “.”자문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사동 의미를 표현하는 경우, 허락이나 허용 의미를 표현하는 “.”자문, 명령하여 부리는 의미를 표현하는 “.”자문, 또 원인으로 인해 어떤 결과가 나타나거나 어떻게 되게 하는 “치사(致使)”의미를 표현하는 “.”자문,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 본문은 중한 언어 대조 연구의 배경에서, 중국어 중 사동을 표현하는 세 가지 “.”자문을 분석하고 한국어 중에서 그에 대응하는 표현법을 구하였으니 중국어나 한국어를 제2 언어 교육 연구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였다.

      • KCI등재

        试论明清时期汉语语音近三百年的演变 ―以≪翻译老乞大≫,≪重刊老乞大谚解≫右音为例―

        장효만,안말숙 동양한문학회 2013 동양한문학연구 Vol.36 No.-

        The Ming and Qing Dynasties are the late period of modern Chinese development. With great changes in speech sound and many hot issues for academic research, it is an important transition phase from modern Chinese to contemporary Chinese. Therefore, the phonetic study in Ming and Qing Dynasties has become one of the research focuses for Chinese phonology study. Based on Lao Qi Da, a Chinese textbook used in Cho-Sun Dynasty of Korea, the paper discusses the Chinese phonetic evolution in three hundred years(1515~1795) during the Ming and Qing Dynasties by comparing the right annotated pronunciations in Lao Qi Da(1515) and Nokeoltae Eonhae(1795). 명청시대는 근대 중국어에서 현대 중국어로 넘어가는 중요한 과도기로 어음연구에 있어서 커다란 변화를 가져옴과 동시에 학술적으로도 관심을 많이 받기도 하였다. 명청시대 어음연구는 음운학 연구의 주관심 분야 중의 하나이다. 본고에서는 한국 조선시대의 중국어학습 교재인 『老乞大』를 사례로, 1515년에 편찬된 『飜譯老乞大』와 1795년에 편찬된 『重刊老乞大谚解』 두 저서의 우음(右音)에 대한 비교분석을 통하여 명청시대 즉 1515년에서 1795년까지 근 300년 동안의 중국어어음의 변천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 KCI등재
      • KCI등재

        基于韩国资料的汉语入声再认识

        張曉曼 동양한문학회 2016 동양한문학연구 Vol.45 No.-

        Among all the scholars of Chinese study around the world, it is rare that scholars in Korea Dynasty of South Korea had written rich works on Chinese study with deep understandings,and precise views in a wide range of areas. Chinese entering tone includes entering-tone terminals and entering-tone category, and the entering-tone disappearance is an important aspect of Chinese tone simplification. The paper aims to re-understand the Chinese entering tone and disscuss how and when Chinese entering tone disappears based on the Korean documents. 한국 조선왕조 시대의 학자들은 중국어에 대한 이해가 깊었다. 그들은 수많은 저서를 남겼는데 연구범위가 광범위하고 관점이 정확하여 세계 각국의 중국어 연구분야에서도 매우 보기 드물다. 중국어의 입성은 입성운미(入聲韻尾)와 입성조류(入聲調類) 두 가지를 포함하며 입성의 소실은 중국어 성조가 간소화(簡素化)하게 된 중요한 요인이다. 본 논문은 한국의 자료에 근거하여 중국어의 입성에 대해 재인식하며 표준 중국어(普通話:보통화)에서 입성의 소실과 소실 시기에 대해 연구해 보고자 한다.

      • KCI등재

        面向韩国学生的汉字教学探析

        장효만 동양한문학회 2015 동양한문학연구 Vol.40 No.-

        The integration of form, pronunciation and meaning of Chinese character and the feature of taking character as the basic structural unit of Chinese language determine the particularity of Chinese character teaching. Guided by the character-based teaching theory and following the features and rules of Chinese characters, this paper analyzes the Chinese character teaching based on the difficulty and emphasis in Chinese character learning for Korean students in Chinese character cultural circle and suggests the opening of an independent Chinese character course in order to better meet the need of Chinese teaching. 한국의 한어교육에서 한자교육의 어려움은 주지하고 있는 바이다. 그 원인의 하나는 복잡하고 어려운 한자의 특징과, 부속적인 형태로 존재한 한자교육이 오랫동안 충분한 중시를 받지 못한데 있다. 한어교육의 발전에 따라 학자들은 차츰 문제의 엄중성을 인식하고 한자교육에 중시를 돌리고 있다. 한자는 형태, 소리, 뜻을 동시에 나타내며, 또한 글자를 기본단위로 하여 구성되어 있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이런 특징은 한자교육이 특수성을 띠게 한다. 본고에서는 “자본위(字本位)” 교육이론을 바탕으로 한자문화권 한국학습자들의 한자학습 난이도에 근거하여 한자교육의 현황을 조사하고 한자교육의 새로운 방법에 대해 탐구하였으며, 한자교육방법과 교과과정설치 그리고 교재편찬에 대해 건설적인 방안을 제시하고 독립적인 한자과목을 개설할 것을 건의하였다. 이는 한어교육의 활성화에 일조를 할 것이다.

      • KCI등재

        동정자음 연구

        장효만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02 동양한문학연구 Vol.16 No.-

        동정자음은 조선시대의 저명한 음운학자 초세진의 저술인 사성통해에 부록형식으로 수록되어 있는 저술로서, 중국어 음가상의 음운변화에 관한 기록이다. 본 논문 중에서 언급한 정은 정태적인 것으로 글자의 본뜻을 의미하며, 아울러 자연적, 과거형태 등에 쓰여진다. 이 때의 음가는 곧 정음 곧 본음이다. 동은 동태적인 것으로 글자의 쓰임에 있어서의 변화를 의미한다. 또한 사동, 시작시간형태 등을 의미하며, 이러한 변화된 음가는 단차된 음이다. 이러한 음가는 성조변화를 통하여 글자의 뜻을 구별할 수 있다. 중국의 전통음운학에서는 이러한 음운형상을 사성별의라고 지칭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보다 깊이 있게 연구하고자 한 것이다.

      • KCI등재

        試論漢語表致使義的“讓”字結構及其對應的韓語表達

        장효만,왕신연,상안신 한국중국언어학회 2013 중국언어연구 Vol.0 No.46

        중국어에서 사동 의미를 표현하는 “讓”자문 및 그에 대응하는 한국어 표현 중국어에서“讓”자문은 여러 가지 의미를 지니고 있는데, 여태까지는 중국어 연구 영역이든 중국어를 제2 언어로 가르치는 대외 한어 영역이든“讓”자문에 관한 연구는 많지 않다. “讓”의 사용법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하나는 일반 동사로 사용하고,다른 하나는 “讓”자문을 구축하는 것이다. 또한“讓”자문은 사동 의미를 표현하는 “讓”자문 과 피동 의미를 표현하는“讓”자문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사동 의미를 표현하는 경우, 허락이나 허용 의미를 표현하는 “讓”자문, 명령하여 부리는 의미를 표현하는 “讓”자문, 또 원인으로 인해 어떤 결과가 나타나거나 어떻게 되게 하는 “치사(致使)”의미를 표현하는 “讓”자문,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 본문은 중한 언어 대조 연구의 배경에서, 중국어 중 사동을 표현하는 세 가지“讓”자문을 분석하고 한국어 중에서 그에 대응하는 표현법을 구하였으니 중국어나 한국어를 제2 언어 교육 연구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