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원대의 왕역·예찬합작 〈양죽서소상〉연구

        장준구 국립문화재연구원 2014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ol.47 No.2

        〈양죽서소상〉은 1363년이라는 분명한 연대를 지닌 원대의 희소한 초상화라는 점에서 유의미하다. 또 최초의 초상화 이론인 『사상비결(寫像秘訣)』의 저자이자 중요한 초상화가인 왕역(王繹)의 유일한 현존 작이라는 점, 대표적 산수화가인 예찬(倪瓚)과의 합작이라는 점, 그리고 산수인물화 형식 초상화의 이른 사례라는 점에서도 주목된다. 그림의 주인공은 본래 원대의 고관대작 양우로 알려져 있었으나, 이는 명대 이일화(李日華)의 오인에서 비롯된 것이다. 실제 피사인물은 송강지역의 은거 문인으로 강남의 문인 사회에서 명망이 높았던 양겸이다. 〈양죽서소상〉은 소식(蘇軾)과 같은 은자의 도상으로 묘사되었는데, 이는 은거 문인 양겸을 표현하는데 있어 적절한 선택이었다. 또 예찬이 그린 바위와 소나무는 군자, 문인이라는 전통적 상징성과 맞물려 작품의 의미를 강화시켜 주었다. 양식적으로는 백묘법을 사용하였다는 점에서 동시기의 여타 초상화들과 차별화된다. 그러나 안면 표현의 경우 채색이 배제되었음에도 오히려 뛰어난 사실성을 보여준다. 반면 신체의 표현에 있어서는 단아하고 절제된 서예적인 선묘를 구사함으로써 작품의 격조를 높이고자 하였다. 〈양죽서소상〉은 기능이라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제의적 성격이 강한 여타 초상화들과 달리 감상적 성격이 강하다. 피사인물 자신과 친구들의 열람, 감상 목적으로 제작된 것으로 서로간의 교유적인 측면에서도 의미가 컸다. 그러나 여기에는 단순한 감상의 차원을 넘어서서 피사인물 자신과 친구들의 심회를 담고자 하는 의도가 컸다. The Portrait of Yang Zhuxi(楊竹西小像) at the Palace Museum in Beijing holds important significance as one of the rare portraits from Yuan Period and as a painting with a definite year of creation in 1363. It is also noteworthy in that it is the only remaining work of Wang Yi(王繹), who was one of the critical portrait painters during the second half of Yuan Period and the author of Xiexiang Mijue(寫像秘訣), the first book on the portrait theories, that it was created in conjunction with Ni Zan(倪瓚), one of the utmost landscape painters of the times, and that it was an early case of landscape and figure painting-format portraits. The figure in Portrait of Yang Zhuxi was originally known as Yang Wu(楊瑀), a high official during Yuan Period, but it was a misunderstanding on the part of Li Rihua(李日華), a literary figure from Ming Dynasty. The actual model was Yang Qian(楊謙), a reclusive literary figure in the Songjiang(松江) region. Yang Qian is estimated as one of the central figures with a high reputation in the literary community of Jiangnan those days. Portrait of Yang Zhuxi was depicted by borrowing the icon of such hermits as Su Shih(蘇軾), which seems like a proper choice to express Yang Zhuxi, a reclusive literary figure. Furthermore, the rocks and pine trees described by Ni Zan reinforced the significance of the portrait through their traditional symbolism of man of virtue and man of letters, respectively. Portrait of Yang Zhuxi used the Baimiao Manner(白描法), thus being differentiated from other portraits from the same period. Even though there is no coloring in the painting, it boasts more excellent realism than colored portraits. It expressed the body with the graceful and controlled Li Gonglin(李公麟) and Zhao Mengfu(趙孟頫) style Baimiao Manner, raising its dignity further. In terms of functions, Portrait of Yang Zhuxi is strongly characterized by the appreciative function unlike other portraits focused on the ceremonial function. Being created to be viewed and appreciated by the model himself and his friends, the portrait was very significant to promote their friendship. However, there was a great intention to reflect the emotions of the model himself and his friends in the painting beyond the simple appreciation level.

      • KCI우수등재

        任伯年의 <蕉陰納涼圖>와 吳昌碩의 여름

        장준구 한국미술사학회 2019 美術史學硏究 Vol.304 No.304

        This paper examines Enjoying the Shade of Banana Palms , a portrait of Wu Changshuo (1844-1927) by Ren Bonian (1840-1895). The painting involves the two people of great historical significance, Ren the painter, who represents the Shanghai Painting School in the late nineteenth century, and Wu the sitter, who led the School in the early twentieth century. Ren’s portrayal of Wu presents the figure with his upper body exposed. The striking half-nude was not to represent a motif to avoid the heat but to evoke a long iconographic tradition of depicting a recluse indifferent to secular affairs. And yet the portrait belies the reality of the time of its production: in fact Wu has been serving as a low-ranking official. Only after giving up his ambition to achieve success and fame did Wu return to the life of an artist, which he has aspired for a long time, and make an inscription on the scroll, which marks the moment when the painting arrived at its genuine completion. 본 논문은 19세기 후반의 上海 화단을 대표했던 任伯年(1840~1895)이 20세기 초기 상해 화단을 대표하게 되는 吳昌碩(1844~1927)을 위해 그려준 초상화인 <蕉陰納涼圖>의 표현 및 성격을 검토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초음납량도>는 이 중요한 두 사람 중 한 명인 임백년이 그리고, 또 다른 한 명인 오창석이 모델이 된 초상화이다. 임백년은 상반신을 완전히 벗은 파격적인 모습으로 오창석 초상을 그렸다. 여기에는 더위를 식히기 위한 탈의가 아닌, 탈속적 의미와 연결되는 오랜 은자 도상의 전통이 숨겨져 있다. 그러나 작품 속 오창석의 모습은 말단관리로 있던 작품 제작 당시의 상황과 다른 것이었다. 그는 입신양명의 꿈을 접고 자신이 진정 바라던 예술가의 삶으로 돌아간 뒤, 그림 위에 제시를 썼고, 이를 통해 진정한 작품의 완성이 이루어졌다.

      • KCI등재

        오대십국시대의 화조화가 서희(徐熙)

        장준구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3 인문학연구 Vol.62 No.1

        Xu Xi(徐熙) was a painter who was active in the Southern Tang Dynasty(南唐) during the Five Dynasties period and was an important figure who set the turning point for flower and bird painting. He received the highest evaluation since then, along with Huang quan(黃筌) of Seochok(西蜀), who was active during the same period, and was referred to as a double wall in painting. The influence of these two artists on painting after the Song Dynasty was absolute. Despite being an artist with such important meaning, no systematic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Xu Xi so far. This is because unlike the relatively abundant records, his definite work has not been handed down. This paper examines Xu Xi sequentially and comprehensively, including the origin and activities, the comparison between the style of painting and ancient painting shown in the record, and the credibility of Seoljukdo(雪竹圖). 서희(徐熙)는 오대십국시대(五代十國時代) 남당(南唐)에서 활동했던 화가로 수묵 화조화의 전환점을 마련했던 중요한 인물이다. 그는 같은 시기 활동했던 서촉(西蜀)의 황전(黃筌, 903-965)과 함께 화조화에 있어서 쌍벽으로 지칭될 정도로 당시부터 최고의 평가를 받았다. 황전은 귀족층의 애호를 받았으며, 서희는 지식인 계층으로부터 아낌을 받았다. 이 두 화가가 송대 이후 화조화에 미친 영향은 절대적인 것이었다. 직전 시대인 당대(唐代) 화조화의 수준을 월등히 뛰어넘었기 때문이다. 수묵 화조화의 본격적 시작이라고 할 수 있는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는 화가임에도 불구하고 서희에 대해서는 지금까지 체계적인 연구가 이루어져 있지 않은 실정이다. 비교적 풍부한 기록과 달리 그의 확실한 진작이 한 점도 전해지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출신과 활동, 기록에 보이는 화풍과 고분회화와의 비교 그리고 전칭작인 <설죽도(雪竹圖)>의 신빙성까지 서희에 대해서 순차적, 종합적으로 검토한다. 이를 통해 피상적으로만 언급되었던 서희의 회화의 실제에 보다 가까워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수묵화조화의 초기 양상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陳洪綬의 ≪隱居十六觀冊≫ 연구

        장준구 명지대학교(서울캠퍼스) 인문과학연구소 2023 인문과학연구논총 Vol.44 No.2

        Chen Hung-shou(1599-1652)'s Album Sixteen Views of Living in Seclusion is the last work of his life and the representative work of his later years, representing his decades of artistic activities. In addition, it plays a large part in his paintings and plays an important role in grasping the nature of paintings on the theme of seclusion that he produced throughout his life. In this paper, it is noted that Chen Hung-shou's paintings on the theme of retirement, which was produced a lot in the second half of his life, is closely related to the artist's own life history, and his later work, Album Sixteen Views of Living in Seclusion symbolically shows this. This is a useful example not only in understanding the nature of Chen Hung-shou's paintings, but also in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onfucian consciousness and works in the early Qing Dynasty 진홍수(陳洪綬, 1599-1652)의 1651년 작, ≪은거십육관책(隱居十六觀冊)≫ 은 그의 현존하는 마지막 기년명 작품이자, 말년의 대표작으로 그의 짧지 않은예술 활동을 대변할만한 그림이다. 뿐만 아니라, 그의 회화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또 평생에 걸쳐 제작했던 은거(隱居)를 주제로 한 회화의 성격을 파악하는 데 있어서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논문에서는 진홍수가 생애 후반기 많이 제작했던 은거를 주제로 한 회화작품이 화가 자신의 인생역정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말년의 작품인 ≪은거십육관책≫이 이를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작품임에 주목한다. 이는 진홍수의회화에 있어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은거 주제 회화의 성격을 파악하는 데 있어서 뿐만 아니라, 청대 초기의 유민의식과 작품과의 관계를 파악하는 데 있어서도 유용한 사례가 된다

      • KCI등재

        한국 근대 고사인물화 병풍의 한 가지 예: 韓維東 筆 《故事人物圖》 병풍

        장준구 미술사연구회 2022 미술사연구 Vol.- No.42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content, method of express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Gosa Inmuldo folding screen produced by Han Yudong (1913~2002) in 1947. This is a valuable example of the representative style of Gosa Inmulhwa (figure painting of old stories) in the modern era. It demonstrates that the Gosa Inmulhwa approach, which was derived from paintings produced within Shanghai in China, had been popular in Korea from the end of the 19th century to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Gosa Inmulhwa depicts historical figures from various periods in China, such as Wang Xizhi and Ni Zan, in fine lines and colors on a long folding screen, from edge to edge. Modern Gosa Inmulhwa inherits the contents and expression method of classical paintings through the works of Jang Seungup, An Choongsik, Cho Seokjin, and Kim Eunho. It also reflects the change of approaches to figure painting over the course of time. The Gosa Inmulhwa, including Han Yudong’s Gosa Inmuldo folding screen, was a very traditional genre in the first half of 20th century Korea. Gosa Inmulhwa was rarely exhibited at the Joseon Art Exhibition, which was a prestigious art contest in Korea. At that time, ink-and-wash color paintings tended to emphasize realistic drawings whereas oil paintings were heavily influenced by Modernism. However, in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when interest in tradition and modernity intersected, there was a considerable demand for traditional works, such as the Gosa Inmuldo folding screen. It was continuously used for the purpose of decorating or praying for luck in daily life in Korea. The Gosa Inmuldo folding screen, painted in 1947 shortly after liberation, reflected the expression and character of the Gosa Inmulhwa genre in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Gosa Inmulhwa folding screens were typically manufactured in various widths during the modern period, and therefore they were often sold separately and divided into separate sections, which makes it difficult to fully examine the entire image, as depicted on the original object. In this context, Han’s Gosa Inmuldo folding screen is even more meaningful, because its scenes are fully intact over ten sections. 본 논문은 1947년에 제작된 韓維東(1913~2002)의 《故事人物圖》 병풍의 내용 및 표현방식, 성격 분석을 목표로 한다. 이 작품은 근대기 고사인물화의 전형을 온전히 보여주는 귀한 사례로 중국 上海 지역의 회화를 토대로 19세기 말부터 한국에서 유행했던 고사인물화가 20세기 전반까지 이어져 온 모습을 보여준다. 王羲之, 倪瓚 등 중국 각 시대의 저명한 인물들의 고사를 위아래로 긴 화면 속에 세밀한 선과 고운 색으로 그려냈다. 張承業, 安中植, 趙錫晉, 金殷鎬로 이어지는 고사인물화의 내용과 표현방식을 계승하면서도 시대의 흐름에 따른 도상의 변모도 반영하고 있다. 한유동의 《고사인물도》 병풍을 비롯한 고사인물화는 20세기 전반의 상황에서 매우 전통적인 것이었다. 유력한 공모전이었던 조선미술전람회에 고사인물화와 같은 작품은 손에 꼽을 정도만 출품되고 있었음은 이를 잘 보여주는 단면이다. 당시에는 수묵채색화에서조차 데생력이 강조된 사실주의적인 회화가 그려지고 있었음은 물론 유화에서는 모더니즘 계열의 작품도 제작되고 있었다. 그렇지만 전통과 근대가 교차하던 20세기 전반의 상황 속에 《고사인물도》 병풍과 같은 전통적인 작품의 수요는 사실 적지 않았다. 일상생활에서 치장 혹은 축수를 위한 목적으로 지속적으로 활용되고 있었던 것이다. 해방 직후인 1947년에 그려진 《고사인물도》 병풍은 바로 그러한 20세기 전반 고사인물화의 표현방식과 성격을 잘 반영하고 있다. 특히 근대기 여러 폭으로 제작된 고사인물화 병풍의 경우 분리된 채 한 폭씩 나뉘어 표장되어 별도의 경로로 유전되는 경우가 많아서 그 전모를 온전히 살펴보기 어려운 편이다. 《고사인물도》 병풍은 10폭이 온전히 전해지고 있는 사례이기에 더욱 의미가 깊다.

      • KCI등재

        우지정(禹之鼎)의 초상화

        장준구 명지대학교(서울캠퍼스) 인문과학연구소 2022 인문과학연구논총 Vol.43 No.3

        Yu Zhijdng is a representative portrait painter in the first half of the Qing Dynasty, and is a representative figure who further raised the status of the portrait painter and the level of the portrait. Prior to Yu Zhijdng, a figure like Jeung-kyung in the late Ming Dynasty had already been pioneering as a high-quality portrait painter, but he's status exceeded those achievements. In addition, He's independent achievements were that he introduced an embankment on past paintings and produced a poetic portrait based on the biography of literature. In particular, unlike previous portrait painters, he also had advantages in calligraphy, and based on this, he wrote the title and poem of his work on the screen in his own handwriting, showing a three-syllable appearance like literary artists. This can be said to show that he is a special type of intelligent and high-quality portrait that is different from before. He was a pioneer in the pluralistic development of portraits of Qing period.

      • KCI등재

        중국 학 그림의 역사적 전개

        장준구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2 인문학연구 Vol.61 No.3

        This paper examines the expression method and character of Chinese academic painting in connection with changes in the times. The academic painting, which was confirmed to have appeared for the first time in the period of the North and South Korean War through records, was developed by period with Taoist symbolism, Confucian symbolism, and Buddhist symbolism. In the early days, it was often drawn as a bird symbolizing utopia, which is connected to Gonryunsan Mountain, a Taoist utopia, but as the times changed, the tendency to be treated as a bird symbolizing hermit, intellectual, and bureaucracy increased. As the characteristics of birds that live long in the Qing Dynasty were highlighted, it was actively dealt with in the harmony of livestock, resulting in further spread. This is interesting because it is also associated with changes in Chinese painting and painting. This aspect is difficult to grasp through analysis of other animals, which disproves that crane paintings were important and attracting attention in Chinese painting. 이 논문은 중국 학 그림의 표현방식과 성격을 시대의 변화와 결부시켜 검토한다. 기록을 통해 위진남북조시대에 처음으로 등장한 것으로 확인되는 학 그림은 도교적 상징성, 유교적 상징성, 불교적 상징성을 두루 띠며 시대별로 전개되었다. 도교적 이상향을 상징하는 새로 자주 그려졌으며, 시대의 변화에 따라 은둔자, 지식인, 관료를 상징하는 새로 다루어지는 경우가 많아졌다. 마지막 왕조시대인 청대가 되면서 장수하는 새로서의 특징이 부각되고 축수적 화조화의 제재로 적극적으로 다루어지면서 더욱 확산되는 결과를 가져왔다. 이는 중국 화조화 및 회화의 변화와도 결부되는 것이라 흥미롭다. 이러한 면모는 다른 동물에 대한 분석을 통해서는 파악하기 어려운 것으로 그만큼 학 그림이 중국 회화에서 중요했고, 또 주목받았음을 방증해준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