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연안정비사업 선정의 타당성 평가체계와 개선방향

        장정인(Jeong In Chang),윤성순(Sung soon Yoon) 한국연안방재학회 2017 한국연안방재학회지 Vol.4 No.4

        In this study, we dealt with the process of establishing more objective and scientific evaluation system to select coastal maintenance projects. The maintenance project evaluation system consists of an indicator evaluation, an on-site evaluation, and an expert evaluation. In order to maximize the merits of the individual evaluation stage and to supplement the limitations, a three-step evaluation system was adopted. In order to integrate the evaluation scores for each evaluation stage, the multi - attribute utility theory, which is one of the multi-criteria decision methodologies, was applied to derive the evaluation weights.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d the public interest and the need for policy through the survey of public awareness. In the case of policy makers, experts judged that business is important in terms of urgency, fitness for particular purpose, and appropriateness of project contents. However, citizens who are beneficiaries of the project judged that the appropriateness of project contents is most important. In addition, we reviewed the recent progress of the post - management system after the coastal maintenance project and discussed the issues to be considered when establishing the coastal maintenance plan. In the long term, it is necessary to link up post - management system with evaluation systems when establishing the next maintenance project.

      • 2020 해양수산업 경기실사지수(BSI) 분석

        장정인(Jeong-In Chang),박동욱(Dong-Uk Park),정수빈(Soo-Bin Jeong),권장한(Janghan Kwon)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2021 한국해양환경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1 No.5

        본 연구는 해양수산업 전반의 경기 동향을 시의성 있게 진단하고 전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2017년 기준 국가 전체 부가가치(1812.1조 원)의 2.2%(39.8조 원)를 차지하고 있는 해양수산업의 경기 동향을 파악하고 전망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시의성 있는 조사가 가능한 기업경기조사를 기반으로 한 기업경기지수(BSI, Business Survey Index)를 분석하였다. 2020년에 실시한 기업경기조사는 수산업 75개, 항만업 75개, 해운업 75개, 조선/기자재업 75개, 레저관광업 50개 기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조사 항목은 업황, 매출, 고용, 설비, 경영 애로사항, 향후 필요한 정책 방향 등에 대해 조사했다. 조사 설문은 7Scale로 구성된 선택지를 바탕으로 구성되었고, BSI 산출은 0-200사이 값으로 표준화 한 값을 각 산업별 규모별 가중치를 적용하였다. 2020년 해양수산업 업황은 27.9로 전년 대비 49.7 하락하였으며, 2021년에는 업황이 소폭 회복되어 36.6으로 전망되었다. 업종별로 살펴보면, 수산업은 2020년 58.6에서 2021년 53.8로 하락을 전망하였고, 항만업은 45로 동일하다. 해운업은 29.4에서 17.8로 하락을 전망하였고, 조선/기자재업은 13.2에서 34.3으로 상승하고, 마찬가지로 해양 관광업도 9.9에서 38.8로 개선이 전망된다. In this paper, we constructed to diagnose and predict the overall economic trends of the marine and fisheries sector in a timely manner. It is very important to understand and forecast the economic trends of the marine and fisheries sector, which approximately 2.2% of the country’s total value-added as of 2017. In the paper, BSI with the advantage of being timely and easy to investigate were used. The business survey conducted in 2020 surveyed 75 fisheries industry, 75 port industry, 75 shipping industry, 75 vessel and offshore plant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industry, 50 marine leisure tourism industry companies. Survey items are industry condition, sales, employment, facilities, management difficulties and future policy directions. Survey questionnaires were constructed on the basis of 7Scale option and BSI was calculated by weighting the values standardized between 0 and 200 for each industry to calculate the industry indices. The BSI of marine and fisheries sector in 2020 fell 49.7 year-on-year to 27.9 and the industry condition was expected to recover slightly to 36.6 in 2021. By industry, the fisheries industry is expected to decline by 53.8 in 2021 from 58.6 in 2020, and the port industry is the same at 45. the shipping industry is expected to fall from 29.4 to 17.8, while the vessel and offshore plant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industry is expected to rise from 13.2 to 34.3, and the marine leisure tourism industry is also expected to rise from 9.9 to 38.8.

      • 해양수산 위성계정의 구축현황과 향후과제

        장정인(Jeong-In Chang),정수빈(Soo-Bin Jeong),권장한(Janghan Kwon),박동욱(Dong-Uk Park)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2021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1 No.5

        해양경제는 해양을 기반으로 한 산업 활동과 해양생태계 서비스의 총합을 의미하며, 이 양대 축 중 자료의 가용성이 높은 산업 활동 측면의 해양경제 규모 측정 작업이 우리나라를 비롯한 주요 해양국을 중심으로 진행 중이다. 해양경제의 규모파악과 구조분석 등 객관적인 근거에 기반 한 정책의사결정은 해양기반의 지속가능한 경제성장을 가능케 하는 중요한 방안으로 꼽힌다. 그러나 현행 국민계정 체계나 표준산업분류체계에서는 해양수산 분야가 별도로 식별되지 않아, 해양경제활동을 경제지표 위주로 측정할 수 있는 객관적인 체계가 아직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국민계정과 비교하여 해양수산업의 기여도를 객관적으로 평가하고, 통계의 시의성을 확보하면서, 해양경제 측정범위의 향후 확장가능성을 고려한 해양수산 위성계정 체계를 마련하고자 한다. 해양수산 위성계정은 해양수산업 특수분류에 속하는 10개 산업에 대해 작성된다. 해양수산 위성계정의 체계는 UN의 SNA 2008에서 제시한 위성계정 유형 중 첫번째 유형에 해당하며, 국민계정과의 연계성을 고려하여 총 5개 계정(생산계정, 소득계정, 자본계정, 국외거래계정, 고용계정)으로 구성되며, 부가가치를 비롯한 총 14개 변수를 포함한다. 해양수산 위성계정은 국민계정의 공급사용표를 활용하여 산업기준 통계사용의 정합성을 확보한다. 또한 수산업, 해운업, 항만업을 중심으로 시범적으로 작성한 결과를 제시한다. 해양수산 위성계정은 해양수산 중장기 정책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으며, 중장기 해양수산 부가가치 전망을 위한 주요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The ocean economy consists of two main elements: ocean-based industries and marine ecosystems. Korea and other major ocean countries have been focusing on ocean-based industries, which is one of the two main elements of the ocean economy and included in the scope of national accounts. Policy decisions based on evidences such as GDP of the ocean economy and structural analysis are considered important ways to enable sustainable economic growth based on the ocean. However, the current national account system and Korea standard of industrial classification system does not identify the marine and fisheries sectors separately, and there is still a lack of an objective system to measure marine and economic activities based on economic indicato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satellite accounts pertaining to the marine and fisheries industries, compatible with various statistics of the Korean system of national accounts. It encompasses 10 marine and fisheries industries defined in the Special Classification System of the Marine and Fisheries Industry. Basic structure of Korean ocean economy satellite accounts is consistent with first type of satellite accounts in SNA 2008 by UN. it consists of 5 accounts such as production, income, capital, external transaction and employment and 14 variables including

      • 해양수산 부가가치 중장기 전망

        권장한(Janghan Kwon),장정인(Jeong-In Chang),정수빈(Soo-Bin Jeong)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2021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1 No.5

        본 연구는 우리나라 국가경제와 연계한 해양수산업의 경제규모를 객관적으로 추정하기 위한 전망모형을 개발하여 해양수산업의 미래 추이와 성장가능성을 전망하였다. 해양수산업 전망을 위해 투입산출표를 기반으로 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해양수산업 전체와 해양수산업 세부 산업의 부가가치, 고정자산 등을 작성하였다. 우리나라 해양수산업의 GDP 기여율은 2013년까지 3%대를 유지하였으나 점진적으로 하락하여 2015년에는 작성기간 중 최저치인 2.5%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해양수산업 전망은 패널고정효과모형을 바탕으로 한 조건부 예측모형인 KMI-FCT21모형을 통해 이루어졌다. 2020년 해양수산업의 부가가치는 전년대비 9.8% 하락한 42.84조원인 것으로 추정되었으며, 2021년에는 경제가 회복세에 접어들 것으로 전망되면서 전년대비 3.7%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었다. 수산물 생산·가공·유통업, 해운업 등은 2021년에 코로나19 펜데믹 이전인 2019년 수준으로 회복할 것으로 추정되었으나 해양수산 관련 서비스업과 해양수산 레저관광업의 회복에는 시간이 걸릴 것으로 전망되었다. 2022년 우리나라 해양수산업의 부가가치는 45.72조원으로 전체 GDP의 2.4% 규모에 달할 것으로 전망되었다. In this paper, we develop an economic outlook model to quantify the size and forecast potential growth of ocean economy in Korea. To this end, we construct the database based on input-output tables and measure value-added and fixed capital formation in entire and sub-industries of ocean economy. Calculations on the basis of the database estimate the ocean economy’s value added remained approximately 3% of GDP until 2013, but it gradually declined to 2.5% in 2015 which is the lowest level in the sample period. We use the KMI-FCT21 model which is a panel fixed effects model with conditional forecasts to forecast value-added of ocean economy. The results suggest that ocean economy’s value-added in 2020 fell 9.8% year-on-year to 42.84 trillion won, and is estimated to increase 3.7% since the global economy is expected to recover in 2021. Our findings indicate that the fisheries and shipping industries would back into the level of before the COVID-19 pandemic in 2021. However, we find that the recovery of the ocean service industry and leisure tourism industry would take longer time. This study shows that the value-added of ocean economy will reach 45.72 trillion won in 2022, which is 2.4% of GDP.

      • 한국 해양수산업의 지역별 부가가치 순이입 분석

        정수빈(Soo-Bin Jeong),장정인(Jeong-In Chang),박동욱(Dong-Uk Park)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2021 한국해양환경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1 No.5

        본 연구에서는 2015년 기준 지역산업연관표를 활용하여 해양수산업분야 및 관련 분야를 식별하고, 해양수산업의 지역별 부가가치 현황을 분석한다. 또한 부가가치 기준의 무역분석(TiVA)개념을 지역산업연관표에 적용하여 해양수산업의 지역별 부가가치의 순이입 구조를 분석한다. 또한 무역 특화지수의 개념을 부가가치에 응용하여 부가가치 특화지수를 분석하여 지역별 주요 해양수산업의 경쟁력을 분석한다. 분석결과 수산물 생산업은 전남, 부산지역이 부가가치의 순이입 및 부가가치 특화지수가 모두 매우 높아 경쟁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해운업은 부산, 제주, 전남지역이 경쟁력이 있고, 조선업은 전남, 울산지역이 경쟁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 보면 경쟁력 있는 산업을 보면 경남지역에서는 하역서비스와 수산물 가공업, 수산물 생산업이 경쟁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남지역에서는 수산물 생산업 및 가공업, 해운업, 조선업, 하역서비스 등 주요 해양수산 부문에서 경쟁력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부산지역에서는 해운업, 수산물 생산 및 가공업의 경쟁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In this research, we identified the marine and fisheries sectors and related industry by using the regional input-output tale of the base year 2015, and analyzed the status of value added of marine and fisheries industry by region. And the concept of Trade in Value Added(TiVA) is applied to the regional input-output table to analyze the structure of net value added by region of marine and fisheries industry. In addition, by applying the concept of the trade specification index to value-added, the value added specification index is calculated to analyze the competitiveness of major marine and fisheries industries by reg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we recognized the fishery production industry is competitive in the Jeonnam and Busan regions, with both the net trade in value-added and value added specification index are very high. As for shipping industry, Busan, Jeju and Jeonnam regions were competitive, and in the shipbuilding industry, Jeonnam and Ulsan were competitive. By region, the Gyeongnam showed high competitiveness in cargo handling service, fishery product processing and fishery production industries. The Jeonnam region was analyzed to be competitive in major marine and fisheries sectors such as the fishery production and processing industries, shipping, shipbuilding and cargo handling services. And in Busan, the shipping and fishery production and processing industries were competitiv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