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초등 교사들이 생각하는 아동의 창의성에 관한 암묵적 지식 연구: 반구조화된 심층면접 조사 분석을 통한 창의성 개념 생성

        장인희(Chang, In-hee)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1 敎育問題硏究 Vol.0 No.40

        본 연구는 한국의 초등 교사들이 생각하는 아동의 창의성에 관한 암묵적 지식에 관하여 질적 연구를 수행한 것이다. 그 동안 성인을 대상으로 하여 한국인의 창의성을 정의하거나 다른 나라와의 비교연구를 통한 질문지에 의한 양적 연구가 많았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학교라는 한정된 현장(field)에서 전문가 집단이라 할 수 있는 교사들이 생각하는 아동의 창의성 개념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참여자는 창의적 교육을 하고 있다고 알려진 서울ㆍ수도권과 경상남도 초등학교 교사 9명이며, 반구조화된 심층면접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한 후, 수집된 자료는 질적 연구 방법 중 근거이론(Grounded Theory Approach) 방법의 개방코딩과 축코딩 기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한국의 교사들은 창의성을 구성하는 요소로서 남과 다름, 독창성, 비범함, 높은 수준, 사고의 깊이, (사고의) 발전성, 다양성, 유창성, 번뜩임, 융통성, 신기함, 보편성이라 하였다. 이와 같은 창의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관련요인으로서의 여러 가지 인성, 인지능력, 상상력, 경험, 내재적 동기, 흥미, 학교 현장의 지원, 학교 현장에서의 발견, 학교 현장의 이해를 설명하였다. 그리고 창의성은 개인에 따라서 영역일반적이기도 하고 영역특수적이기도 한 양가적 특징을 가지고 있다고 하였으며, 창의적이라고 생각되는 아동들은 자신의 흥미가 있는 영역에서 즐거움을 느끼고 집중력을 나타내는 플로우(flow)의 특징을 보이고 있었다. Focussing on the result of qualitative research, this study discussed implicit knowledge of children’s creativity according to Korean teachers’ opinion. This research focussed on formation of the definite concept of children’s creativity. Experts, in a sense, in restricted school education field participated in the working process. Nine teachers engaged in in-depth interviews in Seoul Metropolitan area and Kyungsangnamdo Province. Collecting data by interviewing was analyzed by GTA(Grounded Theory Approach)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Ingredients of creativity are difference, originality, remarkableness, high level, depth of thinking, expansion of thinking, diversity, fluency, creative spark, flexibility, novelty, universality, and elaboration. Influential factors for these ingredients are various personalities, cognitive capability, imagination, experience, intrinsic motivation, interest, and supportingㆍfindingㆍunderstanding of creativity by the field. Creativity has dual characteristics, i.e., domain-generality and domain-specificity characteristics. Creative individuals show characteristic of flow, i.e., they enjoy and show their concentration in interesting subjects or activity.

      • KCI등재

        대학생의 심리적 안녕감 척도 타당화

        김리진 ( Lee Jin Kim ),장인희 ( In Hee Chang ) 한국놀이치료학회 2016 한국놀이치료학회지(놀이치료연구) Vol.19 No.3

        본 연구는 한국대학생을 대상으로 일본의 Ishimura(2014)가 개발한 심리적 안녕감 척도를 타당화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 연구대상은 서울 및 전북의 2개 대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269명이며, 자료분석은 SPSS 22.0와 Amos 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 확증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Ishimura(2014)가 개발한 척도 6요인 43문항을 요인분석한 결과, 5문항이 제외된 6요인 38문항으로 추출되었다. 이를 원척도와 비교하여 요인구조의 적합성을 비교한 결과 탐색적 요인분석을 한 6요인이 보다 더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본 연구에서 추출된 6요인 38문항의 신뢰도는 내적합치도와 반분신뢰도를 통해 확보되었다. 끝으로, 전반적으로 한국 대학생의 심리적 안녕감은 보통수준으로 나타났으며, 하위요인별로는 자기초월, 삶의 적극성, 자기수용, 모험심, 목표 의식, 자율성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척도는 청년 후기 뿐만 아니라 성인기의 행복 관련 요인을 탐색하는 연구와 긍정심리학의 연구분야를 확장하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validate the Psychological Well-Being Scale which was developed by Ishimura (2014). The participants consisted of 269 university students in the Seoul and Chonbuk areas. The data collected from these participants was analyzed by means of exploratory factor analyses,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and reliability analysis using the SPSS 22.0 and Amos 4.0 statistics program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Psychological Well-being Scale (Ishimura 2014) was revealed 6 subfactors and 43 items. Of these, 6 subfactors and 38 items were extracted, with the exception of 5 items. The construct validity of the Psychological Well-Being Scale was also supported by exploratory factor analyses. Second, the reliability of the Psychological Well-Being Scale indicated adequate internal consistency and split-half reliability. Third, on average, the level of university students`` psychological well-being was found to be normal. The Psychological Well-Being Scale is expected to become more useful in the research of exploratory and positive psychology as it relates to not only the late adolescent period but also adulthood as well.

      • KCI등재

        청소년기 창의성에 미치는 주의의 영향 : 유연한 인지통제, 경계주의, 정향주의를 중심으로

        유주형(Yoo, Ju-Hyeong),장인희(Chang, In-hee),김소연(Kim, So-Yeon) 한국인간발달학회 2018 人間發達硏究 Vol.25 No.3

        본 연구는 주의망 과제(Attention Network Task)를 사용하여 집행주의망의 한 종류인 유연한 인지통제 능력이 창의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였다. 서울시 소재 중 ·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14-19세 청소년 200명이 연구에 참가하였으며, 모든 참가자는 ANT 검사를 시행하였다. ANT 검사는 세 종류의 주의망을 측정할 수 있는 과제로, 검사를 통해 경계주의, 정향주의, 집행주의망 점수가 산출된다. 본 연구에서는 집행주의망의 한 기능인 유연한 인지통제 능력 점수를 산출하여, 전체 참가자를 대상으로 ANT 유연한 인지통제 능력 상위 15%에 속하는 30명의 참가자들(상위그룹)과 하위 15%에 속하는 30명의 참가자들(하위그룹)을 선별하여, 두 집단에게 Torrance의 창의적 사고능력 검사(TTCT)를 실시하였다. 두 그룹의 창의성 점수를 비교하기 위해 다변량 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연한 인지통제 능력의 상위 집단이 하위 집단보다 창의성의 총점과 모든 하위영역에서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또한, 유연한 인지통제 능력 상, 하위 집단 60명을 대상으로 경계주의와 정향주의가 창의성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본 결과, 경계주의가 창의성 하위영역 중 유창성을 예측하는 유의미한 변인으로 확인되었다. 반면, 정향주의는 창의성의 어떠한 요인도 유의미하게 설명하지 못하였다. 종합하면, 집행주의망의 구성요소 중 유연한 인지통제 능력은 TTCT로 측정되는 창의성의 총점과 창의성의 모든 하위영역 점수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경계주의망은 TTCT로 측정되는 창의성의 유창성을 설명하는 유의미한 변인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유아의 창의성과 집행기능 간의 관계를 밝힌 선행연구의 결과를 지지하며, 나아가 집행기능의 발달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높은 유연한 인지통제 능력이 창의성의 모든 영역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새로이 규명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We examined how flexible cognitive control (FCC), one of the executive types of attention, affects creativity in adolescents. Two hundred adolescents performed an Attention Network Task (ANT), and then 60 participants were selected based on their scores in FCC function. Specifically, 30 adolescents who had scored thetop 15% FCC scores were included in the higher group, while another 30 adolescents who had scored the lowest 15% of FCC scores were sorted in the lower group. The creativity scores of the two groups of participants were examined using the Torrance Test of Creative Thinking (TTCT). The results of a multivariate analysis revealed that the participants in the “higher” group performed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the “lower” group in all areas of creativity. Next, we conducted a serie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to investigate whether alerting and/or orienting networks also affected the function of creativity.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alerting network explained significant variance only in the fluency scores of TTCT. Overall, using ANT and TTCT, we demonstrate a novel finding that FCC plays a crucial role in all areas of creativity in adolescents, the period in which the executive network develops dramatically. Further, we report the possible role of the alerting network in the function of fluency measured by TTCT.

      • KCI등재

        Ⅲ급 부정교합자의 양악 수술과 하악 편악 수술 시 연조직 변화에 관한 비교 연구

        박영국,장인희,이영준 대한치과교정학회 2006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36 No.1

        악교정 수술 시행 시 연조직 변화에 대한 대부분의 연구는 Ⅱ급 부정교합을 대상으로 하였다. 또한 수술 방법에 따른 연조직 변화에 대한 비교 연구가 부족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는 골격성 Ⅲ급 부정교합자에서 상악골 전진술과 하악골 후퇴술을 동시에 시행한 양악 수술과 하악골 편악 수술 시행 시, 경조직과 연조직 측모 및 연조직 두께의 변화를 관찰하고, 수술 전후 변화의 상관성을 산출하며, 경조직 변화에 수반하는 연조직 변화의 비율을 산출하여 교정-악교정 수술 복합 치료 계획 수립과 결과의 예측에 이용하고자 시행되었다. 경희대학교 치과병원 교정과에 내원하여 골격성 Ⅲ급 부정교합자로 진단받은 환자 52명을 대상으로 하여, Le Fort I osteotomy를 이용한 상악골 전방이동술과 시상분할골절단술을 이용한 하악골 후퇴술을 시행한 양악 수술군 26명과 하악골 후퇴술만을 시행한 편악 수술군 26명으로 구분하여, 수술 전후 측모두부방사선규격사진을 계측,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양악 수술군은 골격 변화량의 72.4% 비율로 상순 부위 연조직의 전방 이동을 보였으며, 편악 수술군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비순각은 양악 수술군에서 편약 수술군에 비해 더 크게 증가하였다. 이순각은 편악수술군에서 더 크게 감소하였다. 하악골의 후방 이동에 따른 연조직 pogonion의 후방 이동은 양악 수술군에서 98%, 편악 수술군에서 109%로 편악 수술군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 양악 수술군에서는 편악 수술군에 비하여 경조직의 변화에 수반하는 상순에서의 큰 변화가 나타났다. 편악 수술군에서는 상순의 변화는 미약하엿으며, 하순 및 이부의 변화가 양악 수술군에 비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Numbers of postulations lie on the difference of integumental changes with two major surgical remedies of one jaw vs. two jaw surgery in skeletal Class Ⅲ malocclusion. Accordingly it was the aim of the study to elucidate the skeletal profile changes with an accompanying disposition of soft tissues, consequently to yield the correlation and ratio of soft tissue changes with two types of surgical procedures, which in turn make it possible to predict the soft tissue outcomes by means of assembled regression equations. Cephalometric headfilms of fifry two adult skeletal Class Ⅲ comprised of 26 maxillary advancement by Le Fort I osteotomy and mandibular setback by sagittal split ramus osteotomy simultaneously (double jaw surgery, group A), 26 mandibular setback alone (one jaw surgery, group B) were statistically analyzed. Group A manifested 72.4% soft tissue advancement to skeletal changes in the upper lip area, while group B appeared to hav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The nasolabial angle showed more increment in group A than in group B, whereas the mentolabial angle illustrated more reduction in group B. The backward movement of soft tissue pogonion to skeletal change revealed 98% in group A, and 109% in group B. The double jaw surgery group characteristically revealed remarkable integ umental change in the upper lip area, while the one jaw surgery had major effects in the lower lip and soft tissue pogonion area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