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 study on the prevalence of the idiopathic osteosclerosis in Korean malocclusion patients

        이승엽,박인우,장인산,최동순,차봉근,Lee, Seung-Youp,Park, In-Woo,Jang, In-San,Choi, Dong-Soon,Cha, Bong-Kuen Korean Academy of Oral and Maxillofacial Radiology 2010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Vol.40 No.4

        Purpose : This retrospective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prevalence of the idiopathic osteosclerosis (IO) in Korean malocclusion patients according to age, sex, and the Angle's classification of malocclusion. Materials and Methods : This study consisted of 2,001 randomly selected patients from the Department of Orthodontics at the Gangneung-Wonju National University Dental Hospital, Korea. The prevalence of IO in Korean malocclusion patients was recorded using their panoramic radiographs, and the following parameters were surveyed; age, sex, and the Angle's classification of malocclusion. The chi-square test was analyzed to determine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differences in the prevalence of IO between age, sex, and the Angle's classification of malocclusion. Results : The prevalence of IO in the jaws was 6.7% in a total of 2,001 examined orthodontic patients. The majority of IO was found in the mandible (96.58%). The 30-39 age group showed the highest prevalence of IO (9.60%). There was a higher prevalence in females (6.89%) than in males (6.45%). The prevalence of IO in Angle Class I group (7.07%) was the most frequent, followed by Angle Class II group (6.72%), and Angle Class III group (6.40%).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in sex and Angle's classification of malocclusion. Conclusion : The prevalence of IO in malocclusion patients showed the differences between various age groups and most of them were found in the mandibular posterior area. However, sex and the type of malocclusion are not to be considered as a contributing factor of IO.

      • KCI등재

        성장기에서 관절융기 높이 및 경사의 연령적 변화

        최동순(Dong-Soon Choi),장인산(In-San Jang),차봉근(Bong-Kuen Cha) 대한치과교정학회 2010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40 No.6

        관절융기의 높이와 후면의 경사는 교합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며 하악 운동 시 하악과두의 이동 경로를 결정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성장기 아동에서 연령별로 관절융기의 높이 및 경사의 변화를 평가하는 것이다. 양호한 골격을 보이는 5.9세부터 19.7세까지 총 160명(남자 71명, 여자 89명)의 대상자가 선정되었고, 이들의 측두하악관절 단층방사선사진에서 관절융기의 높이, 관절융기 후면의 경사가 측정되었다. 남녀 각각 9.0세 미만(Group 1), 9.0 - 10.9세(Group 2), 11.0 - 12.9세(Group 3) 13.0 - 14.9세(Group 4), 15.0 - 16.9세(Group 5), 17.0세 이상(Group 6)의 6군으로 나누었고, 그룹 간 비교를 위해 일변량분산분석, 남녀 간 비교를 위해 Mann-Whitney 검정을 실시하였다. 각 연령 그룹의 평균 관절융기 높이는 남자에서 4.8 mm, 6.1 mm, 6.4 mm, 7.0 mm, 8.0 mm, 9.2 mm였고, 여자에서 4.8 mm, 5.4 mm, 6.4 mm, 6.9 mm, 7.6 mm, 7.1 mm였다. 각 연령 그룹의 평균 관절융기 경사는 남자에서 29.5˚, 34.4˚, 35.5˚, 37.6˚, 40.3˚, 42.6˚였고, 여자에서 29.7˚, 31.7˚, 34.7˚, 37.4˚, 39.3˚, 36.2˚였다. 관절융기의 높이와 경사는 남자에서는 Group 5까지, 여자에서는 Group 4까지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다. 남녀 간 비교에서는 Group 6에서만 남자가 여자보다 유의하게 컸다. 관절융기의 성장가속기는 여자가 남자보다 4년 가량 빨랐고, 남자는 여자보다 더 늦은 나이까지 성장하였다. 성장기 중 관절융기의 높이와 경사는 매우 많은 변화를 보였으며, 따라서 이 시기에 교정치료 시 기능적인 정상교합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관절융기의 연령적 변화와 성장 양상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대치교정지 2010;40(6):411-420)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changes in height and inclination of the articular eminence during the growth period. Methods: One hundred and sixty subjects (71 males and 89 females) with a normal skeletal pattern and TMJ function, ranging in age from 5.9 to 19.7 years were divided according to their chronological age into six groups. Lateral individualized corrected TMJ tomograms were taken of all subjects, and the height and inclination of the articular eminence were measured. UNIANOVA was used to compar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age groups. Mann-Whitney test was used to compare the differences between male and female subjects. Results: The height and the inclination of the articular eminence were increased and became steeper with age, and the height and the inclination were larger in male than in female subjects. Conclusions: Dynamic changes in the height and the inclination of the articular eminence were observed during the growth period, therefore a full understanding of the growth of the articular eminence is important for orthodontic and orthopedic treatment in this period. (Korean J Orthod 2010;40(6):411-420)

      • KCI등재

        미니플레이트의 골내 고정원 적용 시 초기 안정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한 3차원 유한요소법적 연구

        이남기(Nam-Ki Lee),최동순(Dong-Soon Choi),장인산(In-San Jang),차봉근(Bong-Kuen Cha) 대한치과교정학회 2008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39 No.5

        본 연구는 골내 고정원으로 사용하는 미니플레이트 시스템의 초기 안정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시행하였다. 미니플레이트의 고정에 사용되는 미니스크류의 길이, 수 및 적용되는 교정력의 방향에 따른 골내 응력 분포 양상과 미니스크류의 변위 정도를 분석하기 위하여 3차원 유한요소분석을 시행하였다. 단순화한 골 모델에 6 hole의 곡선형 미니플레이트를 위치하고 직경 2 mm의 미니스크류로 고정하되 각각 6 mm와 4 mm 길이의 두 가지 종류로 세 개 또는 두 개로 고정한 총 네 개의 유한요소모델을 제작한 후 각각의 모델에서 4 N의 교정력을 미니플레이트의 고정되지 않은(unfixed) 가장 원심측 두 개의 hole을 연결한 가상의 축에 대해 0<sup>o</sup>, 30<sup>o</sup>, 60<sup>o</sup>, 90<sup>o</sup> 방향으로 각각 적용하였다. 미니플레이트를 고정하는 미니스크류가 동일 길이일 경우 개수가 작을수록, 동일 개수일 경우 길이가 짧을수록 골에 나타나는 최대 응력과 미니스크류의 최대 변위가 증가되었다. 골에 나타나는 최대 응력은 해면골에 비해 피질골에 집중되어 응력의 대부분은 피질골에서 흡수되었다. 미니플레이트의 가상의 축에 대해 교정력의 견인 방향이 증가할수록 골내의 최대 응력과 미니스크류의 최대 변위가 증가되었다. 골내의 최대 응력과 미니스크류의 최대 변위는 적용된 견인력 지점에서 가장 가까운 미니스크류 고정 부위였다. 이상의 결과로 미니플레이트 시스템의 초기 안정성을 위해 2 mm 직경의 미니스크류를 사용 시 4 mm보다는 6 mm 길이의 미니스크류를, 2개보다는 3개 식립하는 것이 더 유리하며, 미니플레이트의 가상의 축에 대해 적용하는 교정력의 견인방향이 가급적 일치되도록 미니플레이트를 위치시키는 것이 좋을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stress distribution in bone and displacement distribution of the miniscrew according to the length and number of the miniscrews used for the fixation of miniplate, and the direction of orthodontic force.<br> Methods: Four types of finite element models were designed to show various lengths (6 mm, 4 mm) and number (3, 2) of 2 mm diameter miniscrew used for the fixation of six holes for a curvilinear miniplate. A traction force of 4 N was applied at 0<sup>o</sup>, 30<sup>o</sup>, 60<sup>o</sup> and 90<sup>o</sup> to an imaginary axis connecting the two most distal unfixed holes of the miniplate.<br> Results: The smaller the number of the miniscrew and the shorter the length of the miniscrew, the more the maximum von Mises stress in the bone and maximum displacement of the miniscrew increased. Most von Mises stress in the bone was absorbed in the cortical portion rather than in the cancellous portion. The more the angle of the applied force to the imaginary axis increased, the more the maximum von Mises stress in the bone and maximum displacement of the miniscrew increased. The maximum von Mises stress in the bone and maximum displacement of the miniscrew were measured around the most distal screw-fixed area.<br> Conclusions: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miniplate system should be positioned in the rigid cortical bone with 3 miniscrews of 2 mm diameter and 6 mm length, and its imaginary axis placed as parallel as possible to the direction of orthodontic force to obtain good primary stability.

      • KCI등재

        미니플레이트의 골내 고정원 적용 시 초기 안정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한 3차원 유한요소법적 연구

        이남기,최동순,장인산,차봉근 대한치과교정학회 2008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38 No.5

        본 연구는 골내 고정원으로 사용하는 미니플레이트 시스템의 초기 안정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시행하였다. 미니플레이트의 고정에 사용되는 미니스크류의 길이, 수 및 적용되는 교정력의 방향에 따른 골내응력 분포 양상과 미니스크류의 변위 정도를 분석하기 위하여 3차원 유한요소분석을 시행하였다. 단순화한 골 모델에 6 hole의 곡선형 미니플레이트를 위치하고 직경 2 mm의 미니스크류로 고정하되 각각 6 mm와 4 mm 길이의 두 가지 종류로 세 개 또는 두 개로 고정한 총 네 개의 유한요소모델을 제작한 후 각각의 모델에서 4 N의 교정력을 미니플레이트의 고정되지 않은(unfixed) 가장 원심측 두 개의 hole을 연결한 가상의 축에 대해 0˚, 30˚, 60˚, 90˚ 방향으로 각각 적용하였다. 미니플레이트를 고정하는 미니스크류가 동일 길이일 경우 개수가 작을수록, 동일 개수일 경우 길이가 짧을수록 골에 나타나는 최대 응력과 미니스크류의 최대 변위가 증가되었다. 골에 나타나는 최대 응력은 해면골에 비해 피질골에 집중되어 응력의 대부분은 피질골에서 흡수되었다. 미니플레이트의 가상의 축에 대해 교정력의 견인방향이 증가할수록 골내의 최대 응력과 미니스크류의 최대 변위가 증가되었다. 골내의 최대 응력과 미니스크류의 최대 변위는 적용된 견인력 지점에서 가장 가까운 미니스크류 고정 부위였다. 이상의 결과로 미니플레이트 시스템의 초기 안정성을 위해 2 mm 직경의 미니스크류를 사용 시 4 mm보다는 6 mm 길이의 미니스크류를, 2개보다는 3개식립하는 것이 더 유리하며, 미니플레이트의 가상의 축에 대해 적용하는 교정력의 견인방향이 가급적 일치되도록 미니플레이트를 위치시키는 것이 좋을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stress distribution in bone and displacement distribution of the miniscrew according to the length and number of the miniscrews used for the fixation of miniplate, and the direction of orthodontic force. Methods: Four types of finite element models were designed to show various lengths (6 mm, 4 mm) and number (3, 2) of 2 mm diameter miniscrew used for the fixation of six holes for a curvilinear miniplate. A traction force of 4 N was applied at 0˚, 30˚, 60˚, and 90˚ to an imaginary axis connecting the two most distal unfixed holes of the miniplate. Results: The smaller the number of the miniscrew and the shorter the length of the miniscrew, the more the maximum von Mises stress in the bone and maximum displacement of the miniscrew increased. Most von Mises stress in the bone was absorbed in the cortical portion rather than in the cancellous portion. The more the angle of the applied force to the imaginary axis increased, the more the maximum von Mises stress in the bone and maximum displacement of the miniscrew increased. The maximum von Mises stress in the bone and maximum displacement of the miniscrew were measured around the most distal screw-fixed area. Conclusions: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miniplate system should be positioned in the rigid cortical bone with 3 miniscrews of 2 mm diameter and 6 mm length, and its imaginary axis placed as parallel as possible to the direction of orthodontic force to obtain good primary stabi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