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개별화교육계획(IEP) 운영을 위한 유아특수교사의 관련서비스 전문가와의 정보공유 실태 및 협력 증진방안에 대한 시사점

        장윤용(Chang Yoon Yong),이병인(Lee Byoung In) 단국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21 특수교육논총 Vol.37 No.3

        연구 목적: 본 연구는 IEP 운영을 위하여 유아특수교사와 관련서비스 전문가 간의 정보공유 실태를 파악하고, 협력증진 방법을 모색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 문헌분석을 바탕으로 정보공유의 개념을 정의하고 조사 도구를 제작한 후, 탐색적 자료 분석(EDA)을 사용한 양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유아특수교사의 관련서비스 전문가와의 정보요청·제공·IEP 목표실행과 관련한 의논 행동은 활성화되지 않았다. 정보공유 적극적 집단은 정보를 제공하거나 IEP 목표에 대해 관련서비스 전문가와 의견을 교환하고, IEP 중재 목표의 실행 방법이나 평가를 관련서비스 전문가와 함께 의논하는 등 중재를 위한 적극적 행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보공유 적극적 집단이 대조군에 비해 관련서비스 전문가로부터 더 자주 그리고 더 많은 종류의 정보를 받았다. 둘째, 관련서비스 전문가에게 받는 정보의 양과 빈도가 증가함에 따라 효과 경험의 빈도도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셋째, 유아특수교사 다수가 겪는 소통의 어려움은 연락 수단의 불편함과 근무 중 연락 시간 조정의 어려움, 치료와 교육 현장에서의 중재를 위해 연계할 사항을 찾기 어려움이었다. 넷째, 협력 증진을 위해 가장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조건은 <서로 배우려는 태도>와 <교사의 소속기관에서의 협력시간 확보를 위한 지원>이었다. 결론: 연구의 의의는 IEP 운영을 위한 유아특수교사와 관련서비스 전문가 간의 정보공유를 연구함으로써 지금까지 활성화되지 않았던 관련서비스 전문가와의 정보공유의 실태 및 증진방안을 알아보았다는 데에 있다.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actual situation of information sharing between teachers and the related service providers and to explore ways to promote information sharing for an Individualized Education Program (IEP). Method: This study first created a conceptual definition and survey tool for information sharing based on an analysis of the literature, and then conducted quantitative research using Exploratory Data Analysis (EDA). Result: First, the act of filling out the IEP documentation has been a common practice of ECSE teachers, but the frequency of discussion activities related to requesting/providing information to related service providers is low. The frequency of the experiences of effect of information sharing increased significantly as the amount and frequency of information received from related service providers increased. Second, the difficulties of communication experienced by many ECSE teachers were <Inconvenience of means of contact and difficulty adjusting contact time during work hours> and <Difficulty in linking education with related services>. Third, the conditions that ECSE teachers need the most to promote collaborative relationships were <Attitude to learn from each other> and <Support to secure the time for collaboration at the teachers" agencies>. Conclusio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was to study the sharing of information between ECSE teachers and related service providers to promote information sharing between them. Therefore,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eachers’ training for collaboration with related services. It also provides suggestions for effective information sharing between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related service providers.

      • KCI등재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 아버지의 리질리언스 과정에 대한 질적 연구

        강성리(Kang, SeongRi),조현근(Jo, HyunGeun),장윤용(Chang, Yoonyong) 한국웰니스학회 2016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1 No.2

        본 연구는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를 양육하는 한 아버지의 리질리언스 과정을 이해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근거이론 접근의 분석 방법을 활용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 아버지 1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121개의 개념, 43개의 하위범주, 18개의 범주로 유목화 되었으며, 범주화된 자료는 패러다임 분석을 통해 조건들 간의 관계로 도출되었다. 연구 결과, 첫째,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 아버지는 장애에 대한 개념적 이해의 부족, 개인의 삶과 가족의 삶 사이에의 혼란과 갈등, 경제적 부담을 경험하였다. 둘째, 긍정적인 삶의 태도, 배우자와의 원만한 협력, 사회-제도적 지원이 자녀 양육 의지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 아버지는 적극적으로 노력하기, 신앙으로 극복하기, 부모자조모임 활용하기, 가족지원 프로그램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기의 전략들을 사용하고 있었다. 넷째,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 아버지는 자녀 양육의 성과에 대한 만족감, 자신의 성격 변화, 반복적인 갈등과 체념을 경험하였다. 다섯째,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 아버지는 개인적 노력과 사회적 조력에 의해 삶에 대한 자기-정체성을 재정립하는 리질리언스 과정을 거쳤다. 향후 본 연구는 자폐 범주성 장애 및 발달지체 유아를 양육하는 아버지와 가족,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문가들에게 의미 있는 자료가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qualitative case study is to understand the process of resilience of the father of a child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In-depth interviews were carried out with one father of a child with ASD and the data was analyzed by a grounded theory approach. Analysis revealed 121 concepts, 18 categories, and 43 subcategories and the categorized data was derived the relation between the condition by the paradigm analysis. The result is below. First, the father of a child with ASD experienced a lack of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disability, conflict and confusion between personal life andn family life, as well as economic pressure. Second, the positive attitude toward his life, the cooperation with his spouse, social and legal system affect the will of rearing a child. Third, the father of a child with ASD used the following strategies: actively making effort, overcoming with religion, using self-help meeting for parents, and enthusiastically participating in family support programs. Fourth, the father of a child with ASD experienced the satisfaction of child rearing outcome, the change of his character, and repetitive conflict and resignation. Fifth, the father of a child with ASD experienced the process of resilience, which is reestablishment of his self-identity toward his life with his personal effort and social support. The study will give meaningful resources to a father of a child with ASD and related service provid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