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학교수준에서 집단적 교사 혁신성과 참여적 학교풍토, 교사협력 및 전문성개발 활동 간 구조관계 확인: 다층구조방정식모형 분석

        박주호(Joo-Ho Park),장유빈(Yubin Jang) 한국교육학회 2021 敎育學硏究 Vol.59 No.8

        집단적 교사혁신은 학교조직 차원에서 혁신의 확산, 집행, 그리고 지속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하지만, 지금까지 집단적 교사혁신이 심층적으로 분석되어 오지 못했다. 본 연구는 TALIS 2018에 참여한 우리나라 345개 초중등학교 소속의 6,138명 교사를 대상으로 학교수준에서 집단적 교사 혁신성과 참여적 학교풍토, 교사 협력 및 전문성 개발 활동이 어떻게 구조적으로 관계를 형성하는지를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 학교수준에서 변인들 간의 구조관계 모형은 다층구조방정식을 통해서 검증하였다. 그 분석결과에 따르면, 학교수준에서 집단적 교사 혁신성과 외생변인으로서 참여적 학교풍토간의 관계에서, 교사협력 및 전문성개발 활동이 각각 매개변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본 연구 결과는 우리나라 초중등학교의 경우 학교조직 혁신을 이끄는 결정적 요인 중 하나인 집단적 교사 혁신성 향상에 참여적 학교풍토가 잠재적 선행변인으로서 작용하고, 이 과정에서 교사 협력 및 전문성개발 활동이 각각 중요한 연계 역할을 하는 학교조직 행동 메커니즘을 검증하였다. Because school innovation is usually performed through interaction with other organizational members rather than as only an individual activity, collective teacher innovativeness is critical to increasing school innovation. However, there is a paucity of empirical studies that examine the antecedents of collective teacher innovativeness at the school level. Using the South Korean data from the 2018 TALIS (Teaching and Learning International Survey) results, which consists of 6,138 teacher samples from 345 South Korean primary and secondary schools, this study examined how participatory school climate, teacher collaboration,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have a structural relationship with collective teacher innovativeness at the school level. The structural relationship in this study was analyzed using multilevel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MLSEM). The results of the current study show that teacher collaboration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have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ory school climate and collective teacher innovativeness. This finding empirically identifies the mechanism of school organization as being that participatory school climate functions as an exogenous input variable to increasing collective teacher innovativeness, and that teacher collaboration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both have an important indirect role in their relationship in primary and secondary schools in South Korea.

      • KCI등재

        제주도산 브로콜리 및 단백질 분획물의 감각 특성 분석

        쌍짠턴(Chanthorn Sang),영첩(Jie Rong),장유빈(Yubin Jang),홍기배(Ki-Bae Hong),김창숙(Chang-Sook Kim),고순보(Sun-Bo Ko),신의철(Eui-Cheol Shin),이영승(Youngseung Lee),박성수(Sung-Soo Park)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21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50 No.12

        본 연구에서는 제주산 브로콜리의 가공 특성 증진을 목표로 브로콜리의 품종별 풍미와 향기 품질 특성에 관여하는 물질 동정 및 가공 처리 과정에서의 관련 물질의 손실 및 변성을 최소화하기 위한 기술 개발을 추진하기 위하여 처리조건을 달리한 브로콜리의 품종별 일반성분 및 기능 특성 분석과 관능 성분의 추출 및 정제 후 묘사분석 등을 진행하였다. 우선 제주도산 브로콜리를 비교구와 함께 분쇄, 탈지, 추출과정을 통해 얻은 추출물에 대하여 정제과정을 수행하고 분획물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와는 별도로 브로콜리의 품종 및 부위별 일반성분 및 기능 특성을 분석하고 묘사분석을 실시하였다. 일반성분 중 꽃봉오리는 수분함량에서, 줄기에서는 조지방의 함량에서 품종별로 유의적 차이가 있었다. 항산화 활성에서는 뉴탐라그린이 타 품종과 비교하여 모든 부위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활성을 보였다. 전자코 분석에서는 품종별로 고유한 향 성분이 다르게 나타났다. 묘사분석에서는 꽃봉오리와 줄기에서도 녹색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으며, 뉴탐라그린이 꽃봉오리에서 가장 낮은 값을, 줄기에서는 SK3-085가 가장 낮았다. PCA의 결과 뉴탐라그린과 SK3-085에서 조직감 특성 및 꽃향, 단맛 등과 밀접한 관계를 보였고, 녹제는 부정적 맛과 관련된 특성이 나타났다. 브로콜리의 품종별 관능 성분의 정제과정을 통해 얻은 분획물에 대한 묘사분석과 PCA의 분석에서는 뉴탐라그린이 향 관련 유의적 특성과 맛 성분과 관련된 특성을 보였으나 다른 특성에 대하여는 유의적 차이를 찾을 수 없었다. In this study, we sought to identify the substances involved in the sensory and texture quality characteristics of each variety of Jeju broccoli in order to improve their processing characteristics. First, a purification process was performed on the extracts from the broccoli. Separately, the general components and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each cultivar and part of the broccoli were analyzed and a descriptive analysis was performed. Among the general component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broccoli varieties with regard to the moisture content of the flower buds and the crude fat content in the stems. In the analysis of antioxidant activity, New-tamnagreen (B1) showed significantly higher activity in all areas compared with other varieties. The electronic nose analysis showed that each variety had different unique fragrance components. The descriptive analysis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green color of buds and stems between varieties. B1 had the lowest value in buds and SK3-085 (B2) in stems. As a result of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B1 and B2 showed a close relationship with similar texture characteristics, flower aroma, and sweetness, and the Nokje (B3) showed negative taste-related characteristics. In the descriptive analysis and PCA of the fractions obtained through the purification process of sensory components for each broccoli variety, B1 showed significant characteristics related to flavor and taste components, but no significant variations were observed in the other characteristi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