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기록물관리 전문 요원으로서 조선시대의 史官

        장순순 대동사학회 2005 대동사학 Vol.4 No.-

        In this pap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historiographer(史官) as an archivist have been researched. According to the current documentary management law, an archivist has to have some appropriate qualifications. Handing down to posterity, the judgment of an archivist is very important because it decides the maintenance of the records themselves, and further that of the personal historical records personal or national ones. In the same manner, to be a historiographer, there should be several conditions or qualifications as well. Above all, they should have knowledge, scholarly attainments and social conditions as a Confucianist. They should pass the test of liberal arts, have the ability to narrate history, broad historical knowledge, can face up to the reality to judge right from wrong, should be from the noble class, and should be honest not to be contrary to public opinions. So the historiographer appointed by these strict conditions and procedures has a privilege not to be interrogated when his faults are not heavy. Historiographers in Joseon dynasty carried out the tasks of collection, maintenance, compilation, evaluation, and preservation of documentaries. The archivists of now carry out the collection of registered documentaries from all the administrations, but the historiographers directly participated in producing records. They recorded all of the administrative works done by not only the King, but also by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They collected data to compile administrative businesses, kinds of previous businesses, and chronicles. Seen above, they not only preserved the documentaries but also produced the records directly. The documentaries recorded and compiled by the historiographers were made based on the historical one among the values of administrative, historical, and informative which contemporary documentaries aim for. That's because the records were made based on the Confucian theory of history description that the historical records could be used as a mirror for the descendants. Therefore the facilities for keeping the government records were not located downtown, but in the deep mountain. Because they were not for the public to read, but for safe keeping and preservation. In evaluating the documentaries, archivists decide the maintenance and abolition of them objectively based on the administrative and historical values, but that of historiographers is a little different from archivists. They described affairs and persons in chronicles and add historical essays on them as well; therefore historiographers did more subjective and direct attempts than archivists when performing evaluation.

      • KCI등재

        조선시대 對馬島 연구의 현황과 과제

        장순순 동북아역사재단 2013 東北亞歷史論叢 Vol.- No.41

        This article examines the current status of historical research on Tsushima during the Joseon period through readings of relevant books and articles published between 1945 and September 2012. First, the study of Tsushima during the Joseon period was led by Japanese scholars, and their research has appeared continuously. Compared to the consistent publications by Japanese scholars, the study of Tsushima in the Republic of Korea began in the 1960s, but slowed in the 1970s and 1980s. In the 1990s, research became invigorated as studies focused on aspects of diplomatic systems and mutual recognition between Joseon and Japan. Since 2000, Korean scholars have moved beyond the earlier systematic studies and now approach this subject through various themes. The horizon of scholarship on Tsushima has thus expanded, and numerous studies of high quality have appeared. Second, looking at the periods examined by scholars in Korea and Japan, Japanese scholars have concentrated on the “medieval period,”or the early Joseon period, while most Korean scholars have paid attention to the late Joseon period or the modern era. Third, there is a great demand for the study of Tsushima in the Joseon period to be studied further. To conduct this research, not only the selection of research themes and trends but also uncovering and utilizing related historical data is important. Fourth, while studying the history of Korea and Japan’s relationship centering on Tsushima, scholars should keep in mind that there is always a possibility that the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Joseon and Japan could be understood as that between Joseon and Tsushima,which should be avoided. Thus, the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Joseon and Japan during the Joseon period should be conducted taking into account the different attitudes and positions of negotiation and the diplomatic negotiations of both countries in the context of their respective national systems and diplomatic relations. Therefore, studies should focus no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seon and Tsushima, but between Joseon and the shogunate (Tsushima). 본 논문은 1945년부터 2012년 9월까지 발표된 조선시대 대마도 관련 논저를 중심으로 조선시대 대마도 연구의 현황을 살펴보기 위한 목적으로 작성된 것이다. 그 결과를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선시대 대마도연구는 일본 연구자들에 의해 시작․주도되었으며 지속적인 연구 성과가 나왔다. 국내 연구는 1960년에 들어오면서 시작되었으며, 70년대와 80년대에는 소강상태에 접어들다가, 1990년대 일본에서 유학한 연구자들의 귀국과 함께 한일관계사학회 등 관련 학회들이 결성되고, 연구자층이 형성되면서 활성화 되었다. 연구 주제는 외교체제와 상호인식에 관한 연구가 주를 이루었다. 2000년에 들어오면서는 기존의 제도사적인 연구의 틀을 벗어나 다양한 주제로의 접근이 이루어지는 등 연구의 지평이 확대되었을 뿐 아니라, 양적․질적으로 괄목할 만한 발전을 이루었다. 둘째, 시기적인 연구경향을 보면 일본 연구자들이 조선전기(일본사의 중세) 연구에 주목한 반면, 국내 학자들은, 소수의 연구자들을 제외하고, 조선후기(근세)에 주목한 경향이 있다. 셋째, 조선시대 대마도 연구는 여전히 양적․질적으로 연구가 요구된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연구 주제의 설정이나 경향성 못지않게 사료의 발굴과 활용에 더욱 주목해야 할 것이다. 넷째, 조선시대 조일관계는 양국의 국가체제의 차이, 대외관계에서의 교섭형태와 외교교섭 태도의 차이점을 고려한 전제 속에서 이해해야 할 것이다. 다시 말하면, 대마도를 중심으로 한일관계사의 고찰할 때, 잘못하면 조선↔일본이 아닌 조선(국가)↔대마도(지역)의 지엽적인 관계로 인식될 수 있는 여지가 상존한다는 점을 연구자들은 인식하고, 조선↔대마도가 아닌 조선↔幕府(대마도)의 관계로 이해하고 접근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통신사의 사행록을 통해서 본 조선 지식인의 대마도인식과 그 추이(推移)

        장순순 한일관계사학회 2022 한일관계사연구 Vol.75 No.-

        본 연구의 목적은 조선시대 통신사행에 참가하였던 사행원들의 사행록을 중심으로 조선시대 사람들이 대마도와 대마도인을 어떻게 인식하였는지를 통시대적으로 살펴보고. 나아가 시기에 따라 변화의 추이는 없는지, 변화가 나타난다면 그 배경은 무엇인지에 대해서 규명해보고자 하는 데에 있다. 조선전기 통신사행원의 대마도 인식은 대체로 대마고토의식(對馬故土意識), 대마속주의식(對馬屬州意識), 대마번병의식(對馬藩屛意識)으로 정리할 수 있다. 그러나 조선인들은 대마도는 영토적으로는 일본에 속하며, 대마도인을 일본 혼슈[本州] 사람들과 동일한‘왜인’으로 인식하여 혼슈인과의 사이에 어떤 민족적인 특성을 강조하거나 구분하는 인식은 없었다. 조선후기 통신사의 사행록에서 발견되는 대마도 인식 가운데 주목할 만한 특징은 대마도를 일본의 ‘내지’, 즉, 혼슈와 구별하여 인식하였다는 점이다. 18세기 통신사행부터 구체화된 대마도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은 조선후기 조일 양국의 교섭 과정에서 발생한 결과물이었다. 즉, ① 사행 과정에서 통신사행원들이 대마도인과 직접 접하면서 경험한 체험, ② 임진왜란의 경험과 그것에 관한 기억, ③ 조선과 일본 양국 외교의 중간세력으로서 대마도가 취한 조선을 향한 포지션, ④ 조선후기 한일간의 최대 쟁점이었던 ‘울릉도쟁계’, ⑤ 통신사행의 성격 변화, 왜관에서 발생한 조선인과 대마도인의 빈번한 마찰, 왜관 운영에서 발생한 경제적 부담 등이 대마도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고착화시킨 배경이 되었다.

      • KCI등재

        朝日 문화교류의 측면에서 본 조선후기 倭館-일본산 담배 및 담뱃대를 중심으로-

        장순순 부산광역시사편찬위원회 2020 항도부산 Vol.39 No.-

        This study aims at examining how Japanese tobacco and tobacco pipes brought into Joseon through the Wegwan were projected in the lifestyles and culture of the people of Joseon from the perspective of Joseon-Japanese cultural exchange. Most studies on cultural exchange through the Wegwan focused on food, paintings and ceramics, but no studies were conducted on tobacco. Japanese tobacco was first imported through Wegwan when merchants from Tsushima began trading from Wegwan after entered the treaty called Giyuyakjo in 1609. It is assumed that it was imported in the form of private trade with the opening of the Wegwan or smuggling for sales in Joseon. Second, it may have been brought into Korea as gifts while performing Wegwan duties. Next is inflow through envoys to Japan such as the Tongshinsahaeng(通信使行) and Munwihaeng(問慰行). Tobacco and tobacco pipes that came into Joseon were spread to others as gifts, etc. in Seoul and other parts of the nation for domestic distribution, and Japanese tobacco and tobacco pipes were known to be of the highest quality in Korea, making it very expensive. It was treated as a very valuable item in that the king would give it as gifts to vassals, and it was distributed in domestic markets such as Dongnae. Distribution of Japanese tobacco and tobacco pipes was sung as folk songs in not only Gyeongsang-do, but all around the nation. Furthermore, due to the influence of Japanese tobacco pipes, Dongnae tobacco pipes and Busan tobacco pipes became known as the most luxurious tobacco pipes of Joseon, and Dongnae was recorded in literature as a great producer of tobacco pipes. Likewise, it is evident that tobacco pipes from the Dongnae and Busan regions becoming known as the best products was due to the impact of Japanese tobacco and tobacco pipes that were brought into Joseon through Wegwan and envoys to Japan. 본 연구는 일본산 담배와 담뱃대가 왜관을 통해서 조선에 어떻게 전해졌고 생활 문화 속에서 어떻게 투영되었는지를 조일 문화교류의 측면에서 살펴보기 위해 작성되었다. 지금까지 왜관을 통한 문화교류 연구가 주로 음식, 회화, 도자기 등에 주목한 것들이었고, 담배에 대해서는 다뤄진 적이 없기 때문이다. 15세기말 아메리카에서 서양으로 전래된 담배는 17세기 초반에는 조선에 전래되었다. 담배는 급속히 보급되고 재배되어 17세기 초부터 한반도의 절대 다수가 즐긴 기호품의 제왕으로 조선인의 일상적인 삶에서 중요한 물질이 되었다. 18세기에는 국내에서 담배의 소비가 보편화되면서 담배는 조선후기에 중요한 상품작물로 등장하였으며, 담배 수요의 증가와 조선후기 상품화폐경제의 발달에 힘입어 담배매매도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한편, 일본산 담배, 즉 지사미는 최고급 담배로 인기가 있었다. 가공 기술면에서 조선에 앞선 일본산 담배는 담배가 전파된 첫 1세기 동안 동아시아 흡연자의 입맛을 사로잡으며 최고의 인기를 누렸다. 먼저, 일본산 담배는 1609년 기유약조 체결 이후 쓰시마의 상인들이 왜관에서 무역을 하게 되면서 왜관무역을 통한 수입되었다. 왜관의 개시 등에서 이루어진 사무역이나 밀무역의 형태로 수입되어 조선에 판매된 것으로 보인다. 둘째, 왜관업무 수행 과정에서 선물을 통한 유입을 들 수 있다. 다음으로 통신사행과 문위행 등 일본사행을 통한 유입을 들 수 있다. 이렇게 조선에 들어오게 된 담배와 담뱃대는 서울 등에 거주하는 주변 사람들에게 다시 선물로 전해져서 국내에 유통되었고, 조선 국내에서 일본산 담배와 담뱃대는 최고의 품질로 알려져 매우 비쌌으며, 국왕이 신하에게 선물로 줄 만큼 귀한 물건으로 취급되었고, 동래지역을 비롯한 국내 장시를 통해서 유통되었다. 이러한 일본산 담배와 담뱃대의 유통은 경상도는 물론이고 전국적으로 담배에 관한 민요로 널리 불렸으며 ‘동래의 담바구’라는 노랫말로 불리고 전승되었다. 또한 일본 담뱃대의 영향으로 동래연죽과 부산연죽이 조선의 최고급 명품 담뱃대로 알려지고, 동래가 담뱃대 제작의 명산지로 문헌에 기록되었다. 이렇듯 동래․부산 지역의 담뱃대가 최상품으로 알려진 배경에는 왜관과 일본사행을 통해서 유입된 일본산 담배와 담뱃대의 영향에 의한 것이었음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1696년 안용복의 渡日과 「元祿九丙子年朝鮮舟着岸一卷之覺書」

        장순순(張舜順) 한일관계사학회 2014 한일관계사연구 Vol.49 No.-

        본 연구의 목적은 1696년 5월 안용복이 일본 오키(隱岐)로 도항했을 때 (안용복의 제 2차 도일) 일본측 관리가 직접 조사하여 작성한 기록인 ?元祿九丙子年朝鮮舟着岸一卷之覺書?(이하 ?覺書?라 한다)를 토대로 기존 연구에서의 쟁점 내용을 재검토하고, 안용복이 자발적으로 바다를 건너 일본에 간 목적이 무엇인지를 밝히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안용복이 돗토리번주(鳥取藩主)에게 알리고자 하였던 소송 내용이 무엇인지에 대해서 살펴봄으로써 ?覺書?가 갖는 가치를 재확인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이끌어 낼 수 있다. 첫째, 안용복이 오키에서 관리의 조사를 받던 중에 1693년 11월 일본에서 받았다는 물건들과 문서(書付)를 기록한 책 1권을 내놓았다는 내용에서의 문서(書付)는 안용복이 1693년 돗토리번에 억류되어 조사를 받았을 때 돗토리번주나 아라오 슈리(荒尾修理)와 같은 돗토리번의 家老로부터 서계와 같은 외교문서는 아니지만, 울릉도(竹島)와 독도(松島)에서의 조선인의 어업권을 인정하는 문서로 보인다. 그리고 안용복은 그것을 울릉도와 독도가 조선 땅임을 인정해주는 막부장군의 서계로 이해한 것으로 추정된다. 둘째,1696년 당시 안용복은 오키의 관리와 처음 대담할 때 8매로 된 ‘朝鮮八道之圖’를 소지하고 있었고, 지도의 강원도의 부분에 竹島(울릉도)?松島(독도)가 기입되어 있었다는 점은 비록 ?각서?의 내용 중에 안용복의 도일과 소송 목적이 “竹島(울릉도)와 松島(독도)를 조선영토”라고 주장한 내용이 없다 하더라도, 안용복의 독도에 대한 지식의 깊이 정도뿐 아니라 그가 제2차 도일 이전부터 독도라는 섬을 인지하고 있었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증거이다. 셋째, 안용복의 도일 목적은 1693년 일본으로 납치된 후 송환 과정에서 안용복이 대마도에서 냉대에 대한 불만을 호소하기 위한 측면에서도 고려할 수 있겠지만, 독도(松島)가 조선영토라는 사실을 돗토리번에 호소하기 위함이 주된 것이었다. 이상의 내용을 통해서 볼 때 ?각서?는 안용복이 독도가 조선영토라는 사실을 일본에 주장한 사료일 뿐만 아니라 1696년 안용복의 도일 목적이 울릉도와 독도의 조선 영속을 주장하기 위한 것이었음을 밝혀주는 귀중한 자료라고 평가할 수 있으며, 나아가 독도영유권 확보에 있어서 안용복의 역할은 대단히 크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석전의 상징성과 향교 석전의 식민지적 변용

        장순순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2020 泰東古典硏究 Vol.45 No.-

        본 연구는 유교제례인 문묘 석전이 조선총독부의 유림정책 속에서 어떻게 변용되었는지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서 다음과 같은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조선왕조는 건국 초기부터 석전을 국가에서 주관했다. 우리나라 문묘에는 우리나라 18현이 중국의 유현들과 함께 석전의 대상이 되었다는 점과 문묘 종사에 주자학의 도통이 강조되었다는 점이 중국과 다르다. 그리고 성균관과 전국 향교에 문묘를 설치하여 국가 차원에서 석전으로 거행한 것은 조선 왕조의 이념적 성격을 드러내는 것으로, 조선왕조의 정체성을 내외에 선언한 것이었다고 볼 수 있다. 일제는 통감부 시기부터 유림들의 활동 공간인 향교를 통제했다. 강점 직후, 향교가 총독부와 일본인 관리들의 통제 속에 들어가게 되면서 향교의 기능과 역할에 큰 변화가 있었으며, 더불어 석전에도 큰 변화가 있었다. 첫째, 문묘 석전의 주관자인 제관 및 참여자의 변화를 들 수 있으며, 둘째, 석전 제문의 날짜 표기⋅독축(讀祝)방식⋅날짜 변경, 셋째, 양무 및 계성사 향사의 일시적인 폐지, 넷째, 석전의례 중 서고식(誓告式) 추가, 마지막으로 경학원과 향교의 문묘 개방과 일반인 출입의 허용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변화는 총독부가 ‘원활한’ 식민통치를 위해 유학을 중요하게 여기는 모습을 보여줌과 동시에 석전의례 속에서 오랫동안 지속해 온 조선의 유교적 전통을 의도적으로 배제하고 자신들의 통치 권력의 현재성을 강조하기 위함이었다. 심지어 석전행사를 일반인에게 개방하고, 경학원 명륜당과 전국 향교를 혼례식장으로까지 개방한 조치는 문묘로 상징되는 조선의 전근대적 사회 질서를 파괴함으로써 신민지 통치를 ‘근대화’로 미화한 것이었다. 1937년 중일전쟁 발발에 앞서 총독부는 전국 유림의 동향 파악에 더욱 적극적이었다. 석전을 강연회 등 각종 행사와 연계시킴으로서, 식민지 조선인에게 식민통치의 당위성을 선전하여 일제의 식민통치에 순종하도록 유도하고, 나아가 일제의 침략 전쟁과 식민통치에 철저하게 이용하였다. 이로서 석전은 기존의 제사로서의 기능이나 신성함을 완전히 상실하게 되었고, 일제가 일으킨 침략전쟁의 적극적인 선전의 장이 되었다. This study examines how Munmyo (Confucian shrine) Seokjeon was transformed by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as part of Confucian policies. Findings of this study include the following: Right from the its beginning, the Joseon Dynasty supervised and operated Seokjeon directly. Two major differences between Confucian shrines in Korea and those in China were that 18 major Confucianists in Korea along with those in China were enshrined at Seokjeon and that ideas of Orthodox Neo-Confucianism were emphasized in Confucian shrine affairs. Confucian shrines were built up in various hyanggyos nationwide as well as Seonggyungwan so that rituals were held with Seokjeon on a national level, which represents the ideological nature of the Joseon Dynasty and proclaims the identity of the Joseon Dynasty in and out of the country. Japanese imperialism controlled hyanggyos which were a space of activity for Confucian scholars since the period of the Residency General. Right after the Colonial Period began, hyanggyos were put under the control of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and Japanese officials. As a result, there were significant changes in their functions and roles as well as those of Seokjeon. First, there were changes in rite officiants and participants at Confucian shrines of Seokjeon. Second, indication of dates in memorial addresses of Seokjeon, ways of reading addresses, and dates were changed. Third, Yangmu and Gyeseongsa shrines were abolished temporarily. Fourth, an agreement ceremony was added as part of Seokjeon rites. Finally, Gyeonghagwon and hyanggyo shrines were opened to the public. Such changes were intended to imply that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valued Confucianism for ‘smooth’ colonial ruling and to emphasize Japan’s present governance while excluding Confucian traditions of Joseon that had long been preserved in Seokjeon rituals. Furthermore, Seokjeon events were opened to the general public, and hyanggyos around the country as well as Gyeonghagwon Pyeongryundang became available as a wedding hall, which was to destroy the premodern social order of Joseon symbolized by Confucian shrines and to beautify the colonial rule as ‘modernization’. Before 1937 when the Chinese-Japanese War broke out,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put forth more efforts to grasp movements of Confucian scholars around the country. Seokjeon was connected to various events such as lecture meeting with the intention of justifying the colonial rule among Koreans and induce them to obey Japan’s rulership, and further, to make full use of Korea for their aggressive wars and colonial rule in other territories. As such, Seokjeon lost its original functions for rituals as well as its divineness completely and rather became a space used by Japan to propagate their war of aggression actively.

      • KCI등재

        조선전기 통신사의 개념과 성격

        장순순 전북사학회 2010 전북사학 Vol.0 No.37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ception and characteristics of Tongshinsa(通信使) in the early Chosun period. First, 'Tongshinsa', or 'Shinsa', was created as a delegation dispatched from Chosun to nother countries. This relationship called Kyorin(交隣) during the early Chosun period. Later, Tongshinsa was only dispatched to Edobakuhu(江戶幕府), Japan. During the early Chosun period, the Chosun Gukwangsa(朝鮮國王使) tried to dispatch twenty-four times, but only went to Kyoto(京都), Japan nineteen times. This envoy had several names: Tongshingwan(通信官), Hyeresa(回禮使), Hyeregwan(回禮官), Chogwan(朝官). However, the names of these envoys were used differently, according to changes in Chosun´s diplomatic policy toward Japan. Later, the name of Tongshinsa was chosen. The dispatch of Chosun Gukwangsa is divided by four periods. The envoys of the first period had been dispatched for the purpose of Bobing(報聘) and Hyere(回禮), These envoys showed appreciation, courtesy, and gratitude for the repression of Waegu(倭寇) and the return of Korean prisoners who were captured. The names of the envoys were Hyeresa(回禮使), Hyeregwan (回禮官), and Chogwan(朝官). The Second period of Chosun Gukwangsa was called Tongshinsa. The purpose of this period of displomacy was the celebration of the new Shogun(將軍) and to show condolence for the passing of the old Shogun(將軍). The third period envoy was called Thongshinsa, and was sent to observe Japan's domestic atmosphere. Although the envoys of the fourth period were also named Tongshinsa, at that time it had very different characteristics from the original envoy. During the early Chosun period, Tongshinsa did not have standard rules and regulations to reach an agreement between Chosun and Japan, unlike the later Chosun period. Ashikaga Bakuho(足利幕府) didn't ask Tongshinsa to come nor inform the Chosun Dynasty about the death of the old Shogun. Despite this, the reasons why the Chosun government dispatched Tonshinsa were creating a foreign policy emphasizing the relationship of Kyorin (交隣) with neighboring countries; preventing the expansion of problems related to Waegu(倭寇) and ensuring security by creating a path for negotiation to solve pending issues between Chosun and Japan. Secondly, unlike the later Chosun period, all costs for the detachment of Tongshinsa were paid for by the Chosun government. Thirdly, Tongshinsa in the early Chosun period had political and diplomatic exchanges between Chosun and many Daimyo(大名), or regional leaders, including Bakuhu. Later, Chosun diplomacy only focused on Bakuhu, this point are very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the early Chosun period. Eventually, the Chosun government was disappointed by the rude diplomatic attitudes of Ashikaga Bakuhu and the weakness of Japan's central government. During the early Chosun Dynasty, the Chosun government had lost its influence with Japan. After that, the Chosun government stopped dispatching Tongshinsa.

      • KCI등재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의 향약정책과 關北鄕約

        장순순 한국하이데거학회 2019 현대유럽철학연구 Vol.0 No.54

        This study focused on the point of ‘difference’ or ‘discrimination’ regarding the geographical features of the ‘Gwanbuk Region’, or otherwise known as Hamgyeong-do as the characteristics of Gwanbuk-Hyangyak enacted by Tominaga Fumikazu who was the governor of Hamgyeongbuk-do in 1932 to review the village code (hyangyak) policies of not only the authorities of Hamgyeong-do but also that of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The results are as follows. Considering the fact that hyangyak (village codes) were organized and operated in different parts of the Korean Peninsula in the late 1920s, it appears that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paid attention to the traditional hyangyak of Joseon early on from its occupation. Following the March 1 Movement in 1919,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changed its policies against Joseon to maintain and utilize the autonomous order of villages in order to minimize Korean resistance against colonial rule. During the course of this, the status of hyangyak was investigated. The Gwanbuk-Hyangyak enacted by Tominaga Fumikazu showed clear intervention of the government in its overall operation. The government intervened in commendation for persons who did well and in punishment for members who made mistakes, as well as in the selection of leaders of the hyangyak and provincial hyangyak. It also emphasized obedience to the nation and government offices, and it clearly states that the purpose of its enactment is to create ‘citizens loyal to the empire’ who follow the colonial policies of the empire. It defined “disrupting local customs, non-compliance to the national constitution, and not following village codes and rules’ as wrongdoings. Furthermore, it encouraged to report suspicious outsiders and persons who did not follow the village codes to the government, in order for the hyangyak to act as a supporting role for the authorities including the police. The reason for the unique features of Gwanbuk-Hyangyak can be found in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the Gwanbuk region. First, ‘Gwanbuk’, or the Hamgyeong-do region was a frontier area, but was also a place where Confucian cultures were well implanted since the Joseon Dynasty. Second, Hamgyeong-do, which is located in the northeast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with highly active anti-Japanese and independence movements including justice army movements since the late Joseon Period up until the 1920s. The third reason was the appointment of the hyangyak expert Tominaga Fumikazu to Hamgyeongbuk-do. He began his public career as an administrator for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in 1916 and after taking on posts as the Jeollabuk-do Police Director and Police Bureau’s Security Manager, he was appointed as the governor of Hamgyeongbuk-do in October 1931. From the early 1920s, he focused on hyangyak as an ideology to control Koreans and published various studies becoming an authority in hyangyak. Therefore, his appointment as the governor Hamgyeongbuk-do became a good opportunity for him to materialize his ideas for the provincial policies of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In result, Gwanbuk-Hyangyak that had intense intervention by the colonial authorities, unlike other existing hyangyak of the past, was born. 본 연구는 1932년 함경북도 지사 도미나가 후미카즈[富永文一]가 제정한 관북향약의 특징을 차이’ 혹은 ‘차별’이라는 점에 주목하여, ‘관북지방’ 즉 함경도라는 지역적 특성과 함께 분석함으로써 함경도 당국, 나아가 조선총독부의 향약정책을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910년대 후반에도 한반도 각지에서 향약이 조직되고 운영되었던 것으로 보아 조선총독부는 강점 초기부터 우리의 전통적인 향약을 주목한 것으로 보인다. 1919년 3·1운동 이후 총독부는 식민지배에 대한 조선인의 반발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촌락단위의 자치적 질서를 잔존·이용한다는 방식으로 대조선인 정책을 바꾸게 되면서 조선지역 내 향약의 실태를 조사하였다. 관북향약은 전반적으로 그 운영에서 官의 개입이 매우 두드러진다. 선행자 표창과 과오가 있는 약원에 대한 처벌에도, 향약과 都鄕約의 간부 선발에도 관의 개입이 있었다. 그리고 국가와 관공서에 대한 복종이 강조되고, 그 제정 목적이 일제의 식민정책에 순응하는 ‘제국의 충성스러운 국민’을 만드는 것임을 분명히 하고 있다. “지방의 풍속을 해치고, 國憲을 준수하지 않으며 기타에 향약 강령과 절목을 따르지 않는 것”을 과실로 정의하고, 외부에서 온 수상한 자와 향약의 규정에 따르지 않는 자를 관에 고발하도록 규정하고 있어 향약이 경찰 등 당국의 보조적 역할을 수행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관북향약만의 특징은 관북지역이 갖는 지역적인 특징에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다. 첫째, 조선시대 이래 ‘관북’, 즉 함경도 지역은 변경지이기도 하지만 유교문화에 토양이 잘 다져져 있는 곳이었다는 점이다. 둘째, 한반도 동북지역에 위치한 함경도는 구한말부터 1920년대에 이르기까지 의병운동을 비롯하여 항일독립운동이 활발했던 지역이었다는 점이다. 셋째, 향약전문가 도미나가 후미카즈의 함경북도 부임을 들 수 있다. 그는 1916년부터 조선총독부 관리로 관직에 발을 디딘 후 전라북도 경찰부장, 경무국 보안과장을 거쳐 1931년 10월 함경부도 지사로 부임한 인물로, 1920년대 초부터 조선인들을 통제하기 위한 이데올로기로서 향약에 주목하여 여러 편의 글을 발표한 향약의 권위자였다. 따라서 함경북도 지사로서의 그의 부임은 총독부의 지방정책을 그가 자신의 구상 속에 실현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그 결과 기존의 향약과 다른 식민당국의 개입이 강한 관북향약이 탄생할 수 있게 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