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사할린 한인 '이중징용'의 배경과 강제성

        장석흥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07 한국학논총 Vol.29 No.-

        This thesis is examination that Koreans of 'duplication draft' and enforcement in Sakhalin. Generally speaking, Koreans of 'duplication draft' is that movement of Koreans coal miner in Sakhalin to Kyushu(九州) and Ibaraki(茨木) by Japanese imperialism's enforcement order. This time, Koreans that enforce movement was about 3,000. Japanese imperialism was go out of coal mine business in Sakhalin. also Koreans coal miner was moved to Japan's mainland. It was determination of 'Cabinet council of Japan'. Most likely Japanese imperialism will lose this war, Japanese imperialism was planed 'national defense strategy' as a last resort. July 28, 1944, The army and navy general headquarters of Japan was determined 'Hereafter operational directions of the army and navy's outline'. And scheduled next importance battle in Japan's mainland, Taiwan(臺灣), The southwest archipelago. In comparison about The U.S. army's attack, was planed 'Defense strategy'. 'Defense strategy No.1' was Philippines, 'Defense strategy No.2' was The southwest archipelago and Taiwan(臺灣), 'Defense strategy No.3' was Japan's mainland, 'Defense strategy No.4' was Chisima(千島) and Hokkaido(北海道). It was progress of war before half a month that 'duplication draft' determination of 'Cabinet council of Japan' in August, 11. In this situation, Japanese imperialism was except Sakhalin area to the last defense line. For reinforcement of Japan's mainland strength, Japanese imperialism was Sakhalin's coal mine of the lockout. On the other hand, was determined 'duplication draft' to Japan's mainland. Put in other words, Most likely Japanese imperialism will lose this war, About coal income and outgoing in Sakhalin was difficult. To desperate countermeasure, Japanese imperialism was go out of coal mine in the northwest Sakhalin. And the manpowers and resources was moved to Japan's mainland. Japanese imperialism was promoted 'duplication draft' of Koreans in Sakhalin for 'national defense strategy'. Also It was put in operation in perfect order like military operations. About 3,000 Koreans were compulsory taken to Kitakyushu(九州) and Ibaraki(茨木). It was not only them but also another people. Not exactly, quite a number of Koreans were taken to airfield construction of Chisima(千島) and position of the border. In process, quite a number of Koreans were sacrificed. Koreans of 'duplication draft' in Kyushu(九州) and Ibaraki(茨木) were troubled with more severe circumstance. So, They were attempted escape or died at the bottom of severe work. In case of leaved family behind Sakhalin, couldn't planed escape for fear suffering of their family. But, after defeat of Japanese imperialism, Sakhalin's isolation was became lifelong separation that more suffer. Needless to say couldn't gone Father(and Husnand) from Japan to Sakhalin, leaved family behind Sakhalin were suffered at the bottom of starvation and the grim realities of life. The extreme difficulty of obtaining food of Sakhalin in 1946, too many children were starved to death. As well, the women became single-handed had to marry again in Sakhalin, and family was broken. 이 글은 사할린 한인의 ‘이중징용’의 배경과 강제성을 규명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할린 한인의 ‘이중징용’이라면, 1944년 사할린의 한인탄광부들이 일제의 강제 명령에 의해 일본 큐슈와 이바라키 등지로 이동한 것을 말한다. 이때 강제 이동된 한인의 수는 대략 3천여 명 규모로 알려지고 있다. 일제가 1944년 8월 사할린 탄광을 폐지․휴지시키고, 한인 탄광부를 일본 본토로 강제 이동시킨 것은 ‘각의’의 결정에 따른 것이었다. 당시 패색이 짙던 일제는 마지막 발악으로 본토 사수 작전을 꾀하였다. 1944년 7월 28일 일본 대본영 육해군부는 ‘육해군의 향후 작전지도 대강’을 결정하고, 다음의 결전을 본토, 남서제도, 대만, 필리핀 방면으로 예정하고 미군이 이 방면으로 공격해 올 때를 대비하여 첩호작전을 계획하고 있었다. 첩1호는 필리핀, 첩2호는 남서제도와 대만, 첩3호는 본토, 첩4호는 치시마 및 홋카이도에서의 작전으로, 최후의 결전을 맞이해 갔다. 이는 8월 11일 일본 각의에서 ‘이중징용’을 결정하기 보름전의 전황이었다. 그같은 상황에서 일제는 사할린 지역을 최후 방어선에 제외시키며, 본토의 전력을 증강시키기 위한 전략으로 사할린 탄광을 폐쇄시키는 한편 일본 본토로의 ‘이중징용’을 결정하였다. 즉 패전을 목전에 둔 상황에서 사할린 석탄수급이 어려워지자, 본토 사수를 위한 고육책으로서 사할린 서북부의 탄광을 폐지 내지 휴지하고, 그 인력과 자재들을 본토로 강제 이동시킨 것이었다. 사할린 한인의 ‘이중징용’은 일제가 본토 옥쇄작전을 수행하기 위한 방편의 하나로 추진한 것이었다. 사할린 한인 탄광부의 ‘이중징용’은 군사작전을 방불케 할 정도로 일사불란하게 실시되었다. 그렇게 3천여 명의 한인이 사할린을 떠나 큐슈와 이바라키 등지로 강제 동원되어 갔다. 강제적 이중징용은 그들만에 그치지 않았다. 정확한 숫자가 확인되지는 않지만, 치시마 열도의 비행장 건설현장이나 국경의 진지구축에 동원되기도 했다. 그 과정에서 희생자도 적지 않게 발생하였다. 큐슈나 이바라키 등지로 ‘이중징용’된 한인들은 더욱 혹독한 환경에서 시달려야 했다. 그래서 이들은 도중에 탈출을 시도하기도 하고, 극심한 노동을 이겨내지 못한 채 사망하는 경우도 있었다. 사할린에 가족을 두고 온 경우는 가족들에 해가 미칠까 탈출을 아예 꿈꾸지도 못하였다. 그러나 일제가 패망하고 사할린으로 가는 길이 막히면서, 고통보다 더한 생이별의 절망에 부닥쳐야 했다. 일본에서 사할린으로 가지 못하는 아버지나 남편의 절망도 형언할 수 없었지만, 사할린에 남은 가족들은 기아와 극심한 생활고라는 현실이 겹쳐지면서 더욱 힘든 삶을 보내야 했다. 1946년 사할린의 식량난이 극심한 가운데 수많은 어린 아이들이 굶주림을 견디다 못해 사망하는 일도 많았다. 또한 혼자가 된 젊은 여성들을 하는 수없이 현지에서 다시 가정을 꾸릴 수밖에 없었고, 그 과정에서 가정이 해체되는 아픔을 겪어야 했다.

      • KCI등재

        3·1운동의 역사적 원류와 계승

        장석흥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9 한국학논총 Vol.51 No.-

        This article identifies the historical roots of the March First movement and how the spirit was inherited in the independence movement. At the center of the March First Movement, which declared Korea's independence, was the common people. Until the Korean people came to the forefront of the March First Movement, it was possible for the nation to accumulate the capabilities of its people through the national revolution, including Righteous Army Resistance and the movement for reform of enlightenment after the Donghak Peasant War in 1894. Park Eun Sik called the Korean War a "revolution of the common people" in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of Blood History(韓國獨立運動之血史), and said that the Chondogyo re-emerged to realize its dream that had not been achieved at that time. Ahn Chang-ho looked for the independence movement in the Donghak Peasant War and the Civilization Reform Movement, while giving insight to the independence movement as part of the national revolution. Gye Bong-U called the Korean War the only revolution in Korean history. The power of the national revolution for human freedom and equality, which broke through the old era, was transformed into an independence movement under Japanese colonial rule in the late 19th century. The spirit of freedom, justice, India and peace in the March First Movement was a symbol of Korea's independence movement. The ideology or defense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became pluralistic, and the breadth and breadth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was greatly diffused with the participation of the masses. The independence movement of the Korean people, which inherited the spirit and experience of the March First movement, was under way. The March First Movement has thus developed the history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It was the independence movement that rebuilt the country that collapsed into t the Great Han Empire as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independence movement that abolished feudal remnants and embodied democracy. The tradition of the March First Movement was succeeded by the June 10th National Movement in 1926. The June 10th National Movement, which took place at the funeral(因山日) of Emperor Yonghui on June 10, 1926, was inheriting the March 1 movement in its methods and forms. The June 10th National Movement promoted the promotion of the national party, the National United Party Movement in the Manchuria,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Singanhoe in 1927. Then, in 1929, the Gwangju Student Movement took place nationwide and succeeded the spirit of the March First movement. The truth and justice of the March First movement have been passed on to all parts of the world. The Korean historical novel Autour d'une vie Corénene published in Paris by Seo Yeonghae in 1929, was written to promote Korea's unique historical culture and independence movement, and has emerged as a hot topic in Spain as well as in French. The book translated the text of the 〈Declaration of Independence〉 into French and announced that Korea was a country that declared its independence in 1919 based on the spirit of the March First Movement, freedom, justice, India, and peace. And the March First movement was defined as a peace movement for the freedom of mankind, rather than staying in national independence. The March First Movement was derived from the aim of safeguarding human freedom against anti-humanitarian imperialist aggression. Han Yong-woon's epigram of “No peace without freedom, no freedom without peace” was precisely an insight into the spirit of the March First movement. 이 글은 3·1운동의 역사적 뿌리와 독립운동상에서 그 정신이 어떻게 계승되었는가를 규명한 것이다. 한국의 독립을 선언한 3·1운동의 중심에는 평민이 있었다. 평민이 3·1운동의 전면에 나서기까지는, 1894년 동학농민전쟁 이래 의병과 개화개혁운동 등 민족혁명을 통해 축적된 민족 역량에서 가능한 것이었다. 박은식은 『한국독립운동혈사』에서 동학농민전쟁을 ‘평민의 혁명’이라 일컬으며, 그때 이루지 못한 꿈을 실현하기 위해 천도교가 다시 나섰다고 했다. 안창호는 독립운동을 민족혁명의 차원에서 통찰하면서 그 시원을 동학농민전쟁과 개화개혁운동에서 찾았다. 계봉우는 동학농민전쟁을 한국 역사상 유일무이한 농민의 혁명이라 평가했다. 구시대를 타파하고 인간의 자유와 평등을 위한 민족혁명의 동력은 19세기 말 일제의 침략을 받으며 독립운동으로 전환되어 갔다. 3·1운동에서 내세운 자유, 정의, 인도, 평화의 정신은 곧 한국 독립운동의 표상이었다. 독립운동의 이념이나 방략이 다원해지고, 대중의 참여로 독립운동의 폭과 넓이도 크게 확산되었다. 3·1운동의 정신과 경험을 계승한 민족 총력의 독립운동이 전개된 것이었다. 3·1운동은 그렇게 독립운동의 역사를 발전시켜 나갔다. 대한제국으로 망한 나라를 대한민국으로 새롭게 세운 것이 독립운동이고, 봉건적 잔재를 청산하고 민주주의를 구현한 것도 독립운동이었다. 3·1운동의 전통은 1926년 6·10만세운동으로 계승되었다. 1926년 6월 10일 융희황제 인산일(因山日)에 일어난 6·10만세운동은, 그 방법과 형태에서 3·1운동을 계승하고 있었다. 6·10만세운동은 민족대당촉성운동과 만주의 민족유일당운동, 1927년 신간회 성립을 촉진시켜 나갔다. 그리고 1929년에는 광주학생운동이 전국적으로 일어나 3·1운동의 정신을 계승해 갔다. 3·1운동의 진실과 정의는 세계 각처에 전달되었다. 서영해가 1929년 파리에서 불어로 간행한 한국역사소설 Autour d'une vie coréenne(어느 한국인의 삶)은 한국의 고유한 역사문화와 독립운동을 알리기 위해 저술한 것으로 프랑스어권을 비롯해 스페인 등에서 일약 화제작으로 발돋움했다. 이 책에서는〈독립선언서〉전문을 불어로 번역해 실었으며, 3·1운동의 정신인 자유·정의·인도·평화에 의거해 한국이 1919년 독립을 선언한 나라임을 알렸다. 그리고 3·1운동을 민족 독립에 머물지 않고 인류의 자유를 위한 평화운동으로 정의했다. 3·1운동은 반인류적인 제국주의 침략에 맞서 인간의 자유를 지키기 위한 발로에서 비롯한 것이었다. “자유없는 평화없고, 평화없는 자유없다”는 한용운의 경구는 3·1운동의 정신을 정확하게 통찰한 것이었다.

      • KCI등재후보

        안중근의 독립운동 구상과 의거의 성격

        장석흥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0 한국학논총 Vol.34 No.-

        Ahn Jung-Geun's noble undertaking was just not intend for punishment of Hirobumi Ito. In fact, keeping the peace of Orient was ultimate goal by informing Japanese invasion of Korea to the world through the international trial. However, a primary goal to execute Hirobumi Ito was a successful, but east peace ambitious goal to raise public awareness to the world was fell off by a Japanese illegal court. Though, Ahn presents philosophy of Korea independence and clearly struggle for searching for essential meaning of Noble Undertaking by writing 'Theory of Oriental Peace' for five month in jail. Russo-Japanese bilateral cooperation was more desperate to win the fierce challenge of United States in situation of Manchuria When Hirobumi Ito went to Harbin. At that time, Japan have defused Kando(間島) problems through Kando Convention for domination of South Manchuria and tried to full of South Korea 'merge'. Especially the Russo-Japanese bilateral had a challenge which was a final stage of split occupation of Manchuria. Ahn thought that stabilization of Manchuria and further East peace should be the premise to preservation of Korea independence in international level. His perception established theory of Korea independence at peace in East Asia. Ahn‘s philosophy for peace in East Asia and independent of Korea was 'Theory of Oriental Peace' that was developed by righteous struggle and continuous enlightenment in Manchuria, Maritime Province of Siberia. His argument was not that rejects or denies west itself. Ahn just wanted to stop the invasion of Western independence and the preservation of peace against the Western imperialism. In this sense, 'Theory of Oriental Peace' could be connected world peace without being buried by a racist ideology. Cause Ahn was not only patriotic martyr of Korea, but also patriotic martyr of the East and the world. 안중근 의거는 이등박문 처단 그 자체를 목적으로 삼은 것이 아니었다. 이등박문 처단 후 국제재판에서 일제의 한국침략 실상을 세계에 알려 동양평화를 지키는 것이 궁극적인 목표였다. 그러나 1차 목표인 이등박문 처단을 성공리에 결행했으나, 동양평화를 세계에 널리 알리려는 원대한 목적은 일제의 불법재판에 의해 차단되고 말았다. 그렇지만 안중근은 5개월 여의 옥중투쟁 과정에서 한국 독립의 철학을 제시하고, ‘동양평화론’의 집필 등을 통해 의거의 본질이 무엇인가를 세상에 뚜렷이 남겼다. 이등박문이 하얼빈을 찾던 시점의 만주정세는, 미국의 거센 도전을 이겨내기 위해 러일 양국의 공조체제가 더욱 절실하던 때였다. 일본은 남만주 지배를 위해 간도문제로 불거진 청과의 대립을 간도협약으로 진정시킨 직후였고, 한국에 대한 완전 ‘병합’을 목전에 두고 있던 때였다. 특히 러일 양국은 무엇보다 최종의 단계로서 만주 분할점령이라는 과제를 남기고 있었다. 안중근의 정세 인식은 만주가 일본의 영향력에 놓이게 되면 그만큼 한국 독립이 어려워질 수 밖에 없으며, 한국 독립이 보전되기 위해서는 만주지역의 안정, 나아가 동양평화가 전제되어야만 한다는 국제적 수준에 이르렀던 것으로 보여진다. 이러한 그의 인식은 동양평화 차원에서 한국 독립의 이론을 정립하는 기반을 이루는 것이었다한국독립과 동양평화를 위한 안중근의 사상과 이념은 해외 망명 이래 만주, 연해주 일대에서 의병투쟁이나 계몽운동을 끊임없이 전개하면서, 독립운동의 철학을 정립한 것으로 ‘동양평화론’이 그것이었다. 서양 침략을 막아야 한다는 논리는, 당시 동양을 침략하는 서양 제국주의에 대항하여 독립과 평화를 지키자는 것이지, 서양 그 자체를 배척하거나 부정하는 것이 아니었다. 그런 점에서 동양평화론은 인종주의에 매몰되지 않은 채 세계평화사상과 연결되고 있었다. 때문에 안중근은 한국의 의사만이 아닌 동양과 세계의 의사였다.

      • KCI등재

        광복 후 ‘안중근 의사 유해 찾기’의 경과와 역사적 검토

        장석흥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3 한국학논총 Vol.39 No.-

        이 글은 광복 후 70여 년간 안의사유해찾기의 과정을 정리하고, 향후 과제를 전망하고자 한 것이다. 광복 후 안의사유해의 봉환을 처음 제기한 것은 1946년 3월 안의사 순국 36주기에 맞추어 우덕순 등이 성립한 안중근의사기념사업회였으나 구호에 그치고 말았다. 그리고 안의사유해찾기에 누구보다 고심하던 백범이 1949년 서거하고, 6·25전쟁 이후 남북 대립이 극심해진 상황에서 안의사유해찾기는 관심에서 오랫동안 멀어질 수 밖에 없었다. 이후 안중근의사의 동상이 남산에 세워지고, 순국기념일에 추모식을 거행하면서도, 안의사유해찾기는 엄두를 내지 못한 채 20여 년이 넘는 세월을 기다려야 했다. 1980년대 들어 중국 개방의 바람이 불면서 국교수교 전이라 해도, 민간차원의 방문이 허용되면서 안의사유해찾기도 활기를 띠기 시작했다. 그렇지만 연구조사가 뒷받침되지 않은 채 증언, 소문에 의해 안의사유해를 찾으려는 안타까운 장면이 연출되었다. 안의사유해찾기운동은 중국과 국교 수교 후 정부차원에서 추진되면서 활성화되었다. 1993년 7월 외무부는 일본정부에 안의사 묘소확인 자료수집 확인을 요청하였고, 동년 8월 한중 외무차관 회의에서 유해발굴 협조를 요청하였다. 2006년 6월에는 역사적인 ‘안중근의사 유해 남북한 공동발굴단’이 구성되어 중국 정부의 협조를 받으며 현장을 정밀 조사한 결과 안중근의사의 추정 묘역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런데 발굴에 앞서 11월 경 북한 핵실험이 암초가 되어 안의사유해발굴 공동사업이 중단되고 말았다. 2010년 4월 민관합동으로 ‘안중근의사유해발굴 추진단’이 결성되면서, 안의사유해찾기는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고 있다. 추진단의 목표는 당연히 안의사 유해를 찾아 봉환하는 일이다. 그것은 안의사의 소망이자 뜻이기도 하다. 그래서 정부와 민간이 힘을 합쳐 노력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묘지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일이 급선무이다. 현재 추진단은 묘역을 추정하고는 있지만, 이미 일대에 아파트가 들어섰고 나머지 지역도 조만간 개발 될 예정이다. 결정적 새로운 자료가 확보되지 않는 상황에서는 중국 당국도 발굴을 허가하지 않을 것이다. 그렇게 볼 때 안의사유해찾기는 더욱 어려워진 상황에 놓여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렇지만 안의사유해를 찾기가 사실상 불가능한 상황이 오더라도, 어디에 있었으나, 무엇때문에 찾을 수 없었는가를 철저하게 규명하여 역사에 분명히 남겨야 할 것이다. The aim of this thesis is to survey the efforts made for the past 70 years to find the body of a Korean national hero, Ahn Jung-geun, and to suggest what should be done in the future to successfully acomplish the task. It was Ahn Jung-geun Memorial Assocation founded by Woo Duck-soon and others in March, 1946, 36 years after Ahn Jung-geun's death that first proposed the project for the recovery of Ahn Jung-geun's body, but no effective result ensued. And the interest in the project was quite out of people's mind for a long time since the death of Kim Gu in 1949 who was an eager advocate of the project, and the Korean war which lasted for three years. Later a statue of Ahn Jung-geun was erected in Nam San in Seoul, and the memorial service was held every year, but there had been no efforts made for about 20 years to recover the remains of Ahn Jung-geun Euisa. In 1980s China opened its doors to major foreign influences and trades, and some Korean civilian visits to China were allowed by the Chinese government, though the diplomatic relationship between Korea and China was not yet officially established. So there arose a renewed vigor for the project to recover the remains of Ahn Jung-geun. Unfortunately, however, the project was not planned and conducted with systematic researches, mainly based on witness reports and rumors. It was only when the South Korean government promoted it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diplomatic relationship between Korea and China that the campaign to recover the remains of Ahn Jung-geun was revitalized. In 1993 South Korean foreign ministry requested to the Japanese government that it should help in collecting related documents and locating the grave of Ahn Jung-geun, and at the meeting of Korean and Chinese vice-secretary of foreign ministry held in August in the same year, the Korean government asked for the help of the Chinese government in locating and excavating the grave of Ahn Jung-geun. In June 2006 the historic 'North and South Korean Joint Excavation Team' was made, and the team, with help of the Chinese government, confirmed the location of Ahn Jung-geun's supposed grave after a close examination of the site. However, the actual excavation was suspended because of the North Korea's atomic bomb experiment in November in the same year. The project entered upon a new phase as the civilian-official joint excavation team was formed in April, 2010. The objective of the team is to find and return the remains of Ahn Jung-geun to his mother country, which is Ahn Jung-geun's wish as well. To achieve the task, it is most important to locate the exact place where Ahn Jung-geun was buried. At the moment, the joint team presumes where the grave is, but there have already been built apartment complexes near the site, and the remaining area is also to be developed. The Chinese government will not allow excavation without decisive new evidence. In view of this, the prospect for the project is getting worse than before. Even though it so turns out that the recovery is actually impossible, it should be closely examined where was Ahn Jung-geun's grave, and why it was impossible to find it.

      • Mg-Al LDHs(Layered Double Hydroxides)의 합성과 특성분석에 관한 연구

        장석흥,김명훈,강일모,박진원 한국화학공학회 2007 화학공학의이론과응용 Vol.10 No.2

        본 연구에서는 향후 액상 분리막을 제조하기 위한 막 코팅 재료로써 hydrotalcite 구조를 가지고 있는 Mg-Al LDHs를 합성하고 또한 그에 따른 물적 특성을 파악하고자 다양한 분석 장치를 이용하였다. 우선 Mg2+/Al3+의 몰 비에 따른 Mg-Al Layered double hydroxides(LDHs)는 공침법에 의해 제조했다. 또한 합성할 때는 상온에서 질소 분위기로 하였으며 외부 공기와의 접촉을 최대한 차단하였다. X-ray diffraction(XR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SEM), Zeta Potential과 Thermogravimetric analysis(TGA)등의 분석을 통해 Mg-Al LDHs의 물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Zeta 분석을 통해 몰 비가 증가함에 따라서 등전점의 pH가 감소하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것은 Mg2+/Al3+의 비가 크면 클수록 양전하와 층상 속에 OH-와 CO32-가 서로 밀착되어 층상 간에 간격이 좁아지고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본 실험에 의한 분석 결과 몰 비에 따른 표면 전하의 이동도가 크게 변화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Mg2+/Al3+의 비 증가에 따른 음이온 흡착 능력의 차를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 KCI등재

        대한민국 임시정부 주불특파위원, 서영해의 독립운동

        장석흥 한국근현대사학회 2018 한국 근현대사 연구 Vol.84 No.-

        This article identifies the independenc movement of Seo Yeong-hae, who was active in Paris. He made his name known to the Korean independent movement circles through the 1929 anti-imperialist world congress in Paris. That same year he established the Agency Korea. And he had emerged as the most high-profile writer in French literary circles after he published a Korean historical novel, “Autour d’une vie coréenne”. Later, Seo Yeong-hae published his articles on Far Eastern affairs in French newspapers to denounce the invasion of the Japanese imperialism. In 1934, he published “Miroir, cause de malheur”. In 1934,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named Seo Young-hae a member of the Foreign Affairs Committee in France and encouraged an independence movement at the Europe. He spent three years underground with the Resistance after he was released. After 1944, he resumed contact with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served to link the Free France government with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이 글은 파리를 무대로 활동한 서영해의 독립운동을 규명한 것이다. 그는 1929년 파리에서 열린 제2회 반제국주의세계대회를 통해 독립운동계에 이름을 알렸다. 같은 해 고려통신사를 설립하고, 한국역사소설 『어느 한국인의 삶과 주변』을 출간해 프랑스 문단에서 각광을 받는 작가로 부상했다. 이후 서영해는 극동문제와 관련한 논설을 프랑스의 여러 신문에 발표하면서 일제 침략성을 고발했다. 1934년에는 『거울-불행의 원인』을 출간했다.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1934년 서영해를 주불 외무위원으로 임명하면서, 유럽 지역에서의 독립운동을 독려해 갔다. 그는 한국의 독립 문제가 세계 평화와 함께 이뤄질 것이라는 신념을 가지고 있었다. 파리가 독일군에 점령당한 뒤 레지스탕스들과 함께 3년 여를 지하생활로 보냈다. 파리 해방 후 그는 임시정부와 연락을 재개하며 자유 프랑스와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연결하는 가교 역할을 담당했다.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