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白雲 沈大允의 儀禮正論에 대한 小考

        장병한(Jang, Byoung-han)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10 동양한문학연구 Vol.31 No.-

        19세기 초ㆍ중반에 걸쳐 살았던 白雲沈大允(1806〜1872, 이하 ‘백운’으로 지칭함)의 『三禮』관련 저술서인 『儀禮正論』은 崇君과 尊君의 정신에 근거한 崇經과 尊經의 경학 입장에 기반하고 있다. 그러면서 기존에 禮經으로 통행되고 있던 『儀禮』가 그 전승과정에서 학자들의 거짓과 착오에 의하여 저작된 것임을 진단하고, 과거 鄭玄이 劉向의 『別錄』에서 제정한 통행본 「의례」17편의 차서에 따라 저자의 새로운 의례의 정론을 전개하였다. 백운은 이를 통해 잃어버린 선왕의 예를 재정립하여, 국가의 治亂과 백성들의 禍福의 근거로 삼기를 희망했다. 먼저 <상복>편을 제외한 16편은 각 편의 서두에서 그 편의 의례와 관련한 대의를 밝히고, 기존의 예경으로 통하는 『예기』ㆍ『의례』를 비롯한 각종 경전을 근간으로 하여 『의례』를 재구성하고 있다. 그러면서 기존의 鄭玄의 주석 체계에 대한 비판과 변석을 가하고 있으며, 이전 오랫동안 예의 통설로 통해 왔던 주자의 『주자가례』에 대한 비판과 변정도 아울러 전개하고 있다. <상복>편에서는 기존의 정설로 통하고 있던 子夏傳의 저작설에 회의하고, 혹자의 錯亂說을 제안하였다. 그 서술전개는 경문과 전문을 章句別로 서술하고 자신의 정론은 疏에서 밝히고있다. 여기 疏에서는 「상복」의 경문과 전문의 眞僞를 변별하고, 이에 대한 경전적 근거로서 『禮記』ㆍ『書經』ㆍ『公羊傳』등을 제시한다. 그러면서 賈公彦의 疏에 대해서도 그 是非를 분간하고 이에 대한 변정 또한 가하고 있다. 백운은 여기 『의례』의 정론에서 19세기의 주요한 예 본의 정신 몇 가지를 제안하고 있다. 첫째 : 과거 특정 신분 중심의 의례인 士禮편들을 거짓으로 조작된 것으로 규정하는 동시에, 신분의 차별에 따른 예의 절차나 형식을 달리한 번거로움에서 탈피하여, 신분의 귀천에 따른 차별이 없다는 원칙에 따른 통일된 예의 원칙과 간이성을 제시하고 있다. 둘째 : 이전 예의 엄격한 尊尊의 정신 즉 分殊論에 매몰되어 예의 질서가 지나치게 권위화 또는 경직화 된 것에서 벗어나, 尊尊[分]과 親親[和]의 병행을 강조하고 있다. 셋째 : 19세기 당시 禮俗의 허례허식 및 奇異한 神道로의 경향성을 비판하고, 이에 대한 극복책의 일환으로 인본주의에 근거한 人禮와 人知, 民의 情緖와 實利를 강조하고 있다. 이와 같은 백운의 『의례정론』의 주요 정신체계 즉 ‘士중심의 의례관 부정’, ‘신분의 귀천과 고하에 따른 무차별성’,‘分과 和의 병행성’, ‘사람과 인간 知性의 강조’, ‘庶民의 情緖와 實利의 중 요성 자각’ 등은 이전 의례의 통행본인 『의례』의 煩雜性’과 『주자가례』의 士禮중심주의를 탈피하고 있다는 것에서 뿐만 아니라, 19세기 당시 過禮ㆍ過分의 虛禮虛飾과 지나친 형식주의적인 예 질서 체계를 개선하려는 저자의 현실인식이 반영된, 즉 19세기 예학 질서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안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 저술적 의의를 가늠할 수 있겠다. Baekun Sim Dae-yun (1806〜1872, hereinafter referred to as Baekun), who lived in the early and mid 19th century, authored Uirye jeongnon (Right Theory on Rites) associated with Three Rites, which is a new right theory of on rites from the viewpoint of the study on Chinese classics, which embraces esteem and respect on the basis of worshiping the king and respecting subjects. Baekun realized that the existing rites, practiced as classical rites, were manipulated in the process of transfer due to scholars' falsehood and errors. He then tried to correct these errors, to reestablish the rites for the preceding king, and thus to establish them as the foundation for governing the state and for assessing commoners' blisses and woes. Baekun proposes the spirit of rites of the 19th century in the process of development of the right theory on rites. First, shifting from the complex procedures and formalities that were differentiated according to people's status in the past, he proposes unified and simplified principles of rites under which rites are not differentiated according to low or high status of people. Second, shifting from the past strict spirit of respecting in rites, namely, from the excessively authoritative or rigid rites, he emphasizes the combination of respecting and harmony. Third, he criticizes the empty formalities and vanity of the 19th century, and abnormal divine propensity of rites, he proposes a fundamental measure, which emphasizes humanism-based human rites, human knowledge, and people emotion and practicality. This spirit of Baekun's Uirye jeongnon is deemed to be a bridge in the development of the mental system of subsequent 20th century early modern and modern rite studies, namely, non-class, practicality, usefulness, and simplicity.

      • KCI등재

        건학이념 학슬대회 발표논문 : 법장(法藏)의 『화엄경(華嚴經) 탐현기(探玄記)』에 대한 일고찰 -“원융무애”의 화엄학적 의미 파악을 중심으로-

        장병한 ( Byoung Han Jang ) 영산대학교 동양문화연구원 2014 동양문화연구 Vol.18 No.-

        중국 화엄종의 제3조인 법장의 『화엄경탐현기』에는 원융무애의 진리체계가 다음과 같이 자리하고 있다. 먼저 1) ‘緣起唯心’門의 ‘本影相對’論에서는 마음의 차별에 따른 唯識論에 근거하여 소승교, 대승의 시교, 대승의 종교, 돈교의 각 네 가지 敎義을 자신 화엄의 敎義인 一乘敎로서의 圓敎의 교의를 세우기 위해서는 이 네 가지 교설을 원융무애의 진리체계를 방편으로 하여 깨달음을 얻어야 함을 설하고 있다. 이어 ‘說聽全攝’論에서는 다음 네 가지 각 교의-1) 부처의 心智를 떠나서는 한 법도 체득할 수 없다. 2) 모든 것은 衆生의 마음 가운데 있으니, 衆生心을 떠나서는 다른 부처의 덕이 없다. 3) 오직 두 마음 즉 부처의 마음과 중생의 마음 즉, 唯識의 도리에 달렸다. 4) 부처의 마음과 중생심이 두 마음이 아니라 한 쌍으로 二位를 융합하면 모두 없어지지 아니한 경지에 이른다. -를 궁극의 聖敎 즉 一聖敎의 圓敎가 되기 위해서는 모두가 각각 개별적인 교의만을 주장해서는 안되고 이 네 가지 교의가 모두 함께 원융무애의 경지에 이를 때만이 가능하다고 하였다. 2) ‘理事·事相’門의 ‘理事無碍’論에서는 理와 事는 혼융하여 걸림이 없다고 하여, 有와 非有 혹은 相과 非相이 둘이 아니라고 설하고 있다. 따라서 둘이 없다고 하는 것은 연기의 법에서 有는 空이고 空 또한 不空이어서 有와 空은 둘이 아니어서 하나로 원융하면 둘로 보이는 것이 없어지고 空과 有가 걸림이 없게 된다는 것이다. 다음 ‘事融相攝’門에서 법장은 네 교의 즉 ‘(1) 一이 一 가운데 있다. (2) 一이 일체 가운데 있다. (3) 일체가 一 속에 있다. (4) 일체가 일체 속에 있다.’를 설한 다음, 이 네 가지 각각의 교의가 經敎의 體性으로서의 一乘敎가 되기 위해서는 이미 이들 일체법이 모두 敎體이어서 각각 서로서로 거두어 원융무애 할 때만이 비로소 이러한 經敎의 體性이 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3) ‘釋迦身·菩薩身’論에서, 법장은 앞서 석가의 몸이 여러 근기를 따라서 응하는 차별에 따른 몸의 이름과 敎가 있을 수 있다고 전제한다. 그러면서 그는 자신의 화엄 一乘의 圓敎에 근거한다면, 석가의 몸이 법신·보신·화신 즉 三身의 어느 하나에 구애되지 않은 즉, 十佛이기 때문에 이 三世間에 두루 통하여 主伴을 具足할 수 있는데, 이는 석가모니의 몸은 원융무애하여 지극히 생각하기가 어려운 즉, 不可思議의 몸이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다음 ‘菩薩身’論에서는 一乘圓敎의 교의 입장에서 본다면, 보살은 어떤 일정한 修行 階位에 의존하지 않고도 十信滿心의 不退 경지에서 저 普賢法界의 行德을 갖출 수 있어 因果의 진리에 따라 원융무애한 경지에 이르게 되어 자유자재하게 때로는 보살신, 때로는 부처신, 때로는 보살신과 부처신이 함께 하기도 하고, 때로는 보살신과 부처신이 함께 하지 않은 경지에 이르게 된다고 한다. 위에서 본 바, 법장이 추구한 원융한 세계는 우리들의 현실을 떠난 것이 아니기 때문에, 그에게는 법계연기만이 圓敎, 즉 별교일승이 될 수 있다고 한다. 그래서 법장은 이와 같은 자신 화엄종의 최고 殊勝한 교의인 一乘圓敎를 성취해 내기 위한 하나의 방편적 진리체계로써 화엄학의 ‘원융무애’론 즉, ‘緣起唯心’의 一乘圓敎論, ‘理事無碍’의 混融無碍·無住不二論, ‘釋迦·菩薩身’의 十佛主伴具足論을 그의 『탐현기』에서 우뚝하게 자리매김하고 있다. For China`s Huayan Buddhism, Dusunhwasang (杜順和尙), who rose in the world in the Sui period, launched the Huayan school, and this sect was inherited and proclaimed by Buddhist priests such as Jieom (智儼), Beopjang (法藏), Deunggwan (澄觀), and Jongmil (宗密) in Jisangsa Temple (至相寺) in the Tang period. Huayan teachings are based on the Avatamska Sutra, which is claimed as the whole and perfect teachings; All things in the world voluntarily engage in "non-obstruction of particular-phenomena and particular-phenomena (事事無碍)" and in "getting involved with others (相卽相入)"; thus, subjects and objects are free. Its teachings also include "One is all and all is one (一卽一切)" and "all things are one (一切卽一)," allowing subjects and objects to be established; "non-obstruction of particular-phenomena and particular-phenomena (事事無碍)."In connection with Perfect Teaching of Huayan, according to Tamhyeongi of Beopjang, the great priest of Huayan Teachings in East Asia, the principle of Mutual Non-Obstruction was featured as the greatest truth system as a means to achieve the Huayan school`s highest teaching, namely, Perfect Teaching for Single Vehicle of Huayan (一乘圓敎). Given the times` background, such claim had to be made to express the legality of Single Vehicle of Huayan with regard to the Samseung Legality Theory of Beopsang Teachings, because Beopsang Teachings was credited with the discovery of Aroeyasik that captured even unconsciousness in addition to the origin of Knowledge. However, Aroeyasik as fundamental action cannot be seen thus, it can be interpreted as various meanings. Beopjang believed that 『the Avatamska Sutra』 was the fundamental foundation, but attempted observation from the viewpoint of the people pursuing Yukdo, but not as the only mind of the Janaejeung (自內證) world, because the Beopjang-pursued world of Mutual Non-Obstruction remains in our real world. To him, only Beopgye Yeongi could be Single Vehicle (圓敎), namely, Byeolgyoilseung.*As such, in his Tamhyeonggi, Beopjang highlighted Huayan Teaning`s Mutual Non-Obstruction as a means of truth system designed to achieve the Perfect Teaching for Single Vehicle of Huayan, the highest teaching of Huayan school. (‘緣起唯心’의 一乘圓敎論, ‘理事無碍’의 混融無碍·無住不二論, ‘釋迦·菩薩身’의 十佛主伴具足論).

      • KCI등재후보

        企劃論文 : 건학이념 원융무애의 이해; “원융무애”의 경전적 근거와 그 의미에 대한 일고찰

        장병한 ( Byoung Han Jang ) 영산대학교 동양문화연구원 2010 동양문화연구 Vol.5 No.-

        동아시아 불교학 전통에 있어, 소승과 대승의 교리 체계의 발전과 전변의 역사 가운데, 하나의 주요한 사상체계로서 불교학의 중심에 자리하고 있는 것으로 ‘원융무애’론을 들 수 있다. ‘원융무애’론은 ‘무애’→‘원융’→‘원융무애’라는 일단의 공식적 단계를 거치면서, 또한 다양한 의미의 전변을 겪으면서 구체화되기에 이른다. ‘무애’의 의미로는 초기경전인 『중아함경』: 해탈의 정신경계로서의 ‘심무애’, 『잡아함경』: 존자의 정도(正道) 수행을 통해 획득한 ‘무애변’, 『장아함경』: 삼매의 경지에서의 ‘석벽무애’로서 자리하고 있다. 이어 대승경전에서는 『화엄경』: ‘여래의 법신=허공=무애무차별’, 『능가경』: ‘무애=불생불멸=석제환인=손톱=신체=땅=허공’ 등의 의미가 특이하게 자리하고 있다. ‘원융’의 의미와 관련해서는 『능엄경』의 ‘불생불멸의 청정자성한 불성인 여래장의 본성적 의미와 천태학의 확립자인 지의의 ‘원융삼제론’이 크게 자리하고 있다. 이들 무애와 원융사상은 뒤이어 전개되는 법장의 화엄학의 교리서의 하나인 『화엄경탐현기(華嚴經探玄記)』에서 주요한 경전적 의미를 가지면서 명실상부한 ``원융무애’론이 정립되게 된다. 여기‘원융무애’론은 부처의 덕의 출세간적 원리로서 전제되는 한편, 현실적인 원리로서는 ``리(理)``의 주도하의 ``이사무애(理事無?)``에서 ``사사무애(事事無?)``로의 완전한 현실세계의 전환을 기획하고 있다. 세간과 출세간, 이상과 현실은 불이(不二)와 불일(不一)의 연속선상에 놓여 있다. 우리는 이들 이상과 현실, 세간과 출세간의 연속선 위에 서있는 하나의 연기적 존재로서, 이 심오하고 오묘한 ‘원융무애’의 사상 세계의 현실적 실천성과 관련하여 끊임없는 고민이 요구될 것이다. The theory of Wongyung-mue developed as it underwent a series of Muye (boundlessness), Wonyung (fullness) and Wongyung-mue (fullness and boundlessness), as well as diverse meanings. The meaning of Muye is closely related to "Buddha`s enlightened being=emptiness=boundless and indiscriminate" in the Avatamska Sutra, as well as to "boundless=not live not perish= ?akrodev?n?m Indrah=nail=body=earth=emptiness" in the Lankavatara Sutra. Wonyung is closely related to the essential meaning of "Tathata-garba who does not live nor die, and that is a purified Buddha in Lakvatra Stra, as well as to the theory of perfect interpretation of the triple truth of Zhiyi, the founder of Consciousness-only School. These Muye and Wonyung thoughts were combined with the ensuing Hwaeom school doctrine of the sutra, and established the true theory of Wonyung-muye. While the theory of Wonyung-muye is based on the supra-ordinary world of the virtue of Buddha, it, in a realistic principle, attempts to completely convert itself from Isa-muye (the realm of principles and facts harmonized) to Sasa-muye (the realm of all facts interwoven and mutually identified). Based on the Wonyung-muye theory of Isa-seongsa (fulfilling work through reasoning), the mutual principle between the whole and individuals attempts at mutual survival and coexistence of individuals and the whole. Between the world and the supra-ordinary world, the ideal and the reality lie at the extended line of not being two and not being one. We are a fog-like being that stands on the extended point of the ideal and reality, and the world and the supra-ordinary world, and in connection with the practice of this in-depth, mysterious Wonyung-muye thought world, we are required to continuously train ourselves.

      • KCI등재후보

        鄭泰元의 學問과 思想에 대한 一考察

        張炳漢 慶尙大學校 南冥學硏究所 2004 남명학연구 Vol.17 No.-

        지금까지 학계에 잘 알려지지 않았던 雙州 鄭泰元(1824, 순조 24- 1880, 고종 17)은 영남 진주에 거주하면서 대체로 栗谷과 尤菴의 학문과 인격을 존모하면서 기호학파의 학맥을 계승하였고 평생 衛正斥邪와 尊華攘夷의 이념을 고집하여 실천하였다. 그는 당시 老論의 宗匠이었던 梅山 洪直弼(영조 52, 1776- 철종 3년, 1852)의 문하에서 師事하였지만 그렇게 크게 벼슬에 있어 출세를 하지 못한 형편 이었으며 다만 1879년(고종 16) 부친 西湖公의 遺命에 따라 56세의 老年으로 司馬試에 합격하여 士林들로부터 많이 羨望한 바 되어 촉곤 趙羲贊등의 추천을 받기도 하였으나 끝내 要路에 등용되지 못한 채 57세(1880)를 一期로 생애를 마쳤다. 그는 당시 文詞에 있어 '鳴國之手'가 되겠다는 칭찬을 들을 만큼 뛰어난 학문적 역량을 갖추고 있었으며, 당시 교유한 문사로서는 많은 族叔·族兄·族弟를 비롯하여 100여명의 학자가 있었는데, 특히 족형인 芝窩 鄭奎元과는 同堂講學하며 시절탁마한 사이였으며, 艮齋 田愚(1842-1922)의 스승이었던 鼓山 任憲晦와는 같은 梅山의 문하에서 수학하면서 편지왕래와 직접 방문을 통해 깊이 있는 학문적 토론을 가지기도 하였다. 또 그는 '효'의 정신과 숭조의식에 투철하여 이를 향토·국토애로 승화 발전시켜 민족적 자부심과 자아의식으로 구체화하여 문명의 기운이 중국으로부터 동방의 우리나라에 도래하고 있는 것으로 인식하였다. 요컨대 쌍주는 영남 진주에 거주하면서 학맥은 대체로 金昌集, 李縡, 金元行, 朴胤源, 洪直弼로 이어지는 노론 낙론게에 속해 있고, '直=內修'의 도맥은 공자-주자-송시열-매산 홍직필에 연결되어 있으며 理氣論의 사상적 도맥은 율곡-송시열에 접맥되어 있지만 '道心'의 개념 정의와 관련해서는 일부 율곡의 설에 대해서 의문을 제기하기도 한다. 內修外攘의 문제와 관련해서는 主理적 이념을 기초로 하는 같은 기호학파내의 衛正斥邪論과 尊華攘夷論에 기초하고 있지만 畿湖지방의 華西 李恒老(1792-1868), 湖南의 蘆沙 奇正鎭(1798-1879), 嶺南의 寒洲 李震相(1818-1886) 등과 같이 학파적 차원 또는 집단적 그룹차원에서의 구체적이고 계획적인 대응을 하는데 까지는 발전하지는 못하였다. 다만 진주를 중심으로 하는 일부 지식인 유생들과 함께 만동묘 복설과 華陽書院 복원에 관한 상소를 올리는 등의 현실적 실천을 전개하였다는 것과 경세론과 관련해서는 주자-율곡의 公道論的 사상에 기초한 「삼정구폐소」를 올리는 정도의 현실개혁적 의지를 피력하였다는 데서 그의 학문사상의 역사적 의의를 가늠할 수 있을 뿐이다. Ssangju Jung Tae-won(1824-1880), who has not been known before the academic world, succeeded Kiho school and practiced his strong conviction that was weizhengchixie(衛正斥邪) and zunhuarangyi(尊華攘夷) through a whole life respecting Yulgok and Wooam's learning and characters in Jinju, Youngnam province. Even though studied under Maesan Hong Jick-pil(1776-1852) who was the head of Noron(老論), he didn't have great success in rank and he was 56 years old when managed to pass Sama Examination(司馬試) in 1879 following his father's last words. After that he was looked enviously by Neo-Confucianism scholars(士林) and was recommended by Chockgon Jo Hui-chan. He had, however, never been in a high position and then passed away in 1880. He had a great academic talent in phraseology. Among around 100 scholar he sassociated with including, especially with Jiwa Jung Kyu-won, he taught with and kept a close relationship., he studied under Maesan and had academic debates with Gosan Im Hun-hoi, a teacher of Ganjae Jeon Woo(1842-1922). Beside, with filial piety and worship ancestors, he concretised it into love for his native place and nation. These consciousness was embodied into national self-conceit and self-awareness, thus he thought the time of civilisation was coming from China to Korea In short, Ssangju was associated in Noron Nakron school, linked from Kim Chang-jib, Lee Jae, Kim Won-haeng, Park Yun-won and Hong Jik-pil. Though conneted with Confucious-Zhuzi-Song Si-yul-Maesan Hong Jik-pi1 in thought line of 'zhi(直)=nei ziu(內修)' and conneted with Yulgok-Song Si-yul in the thought line of Liqi theory, he raised a question on definition 'dao xin(道心)' notion to Yulgok's view. On the matter of 'neixiuwairang( 內修外攘)' although he based on weizhengchixie(衛正斥邪) and zunhuarangyi(尊華攘夷) theories, which had the same thougth of Kiho school, concentrating on li, he couldn't developed detailed plan in the dimension of a school or group like Hwaseo Lee Hang-no(l792-1868) in Kiho province, Nosa Ki Jung-sin(1798-1879) in Honam Province or Hanju Lee Jin-sang(1818-1886) in Youngnam Province. We can merely watch the historical meaning of his study from the fact that he voiced an opinion to reform a society such as presenting a memorial to the king on Mandongmyo Boksul(萬東廟復設) and a restoration of Hwayangseowon(華陽書院), and presenting Smjunggupyeso for governing, which based on Zhuzi-Yulgok's gong dao(公道) theory with a party of scholars, centered in Jinju.

      • KCI등재

        戴震과 沈大允의 理欲觀 문제

        張炳漢 한국한문교육학회 2003 한문교육논집 Vol.21 No.-

        동아시아 특히 중국과 한국에서 그 간 성리학적 질서 체계에 가장 치열하게 反旗를 들고 이를 극복하려 하였던 학자를 든다면,중국에서의 18세기 晥派의 巨匠인 戴震(字 東原, 1724~1777)과 한국에서의 19세기 생존했던 沈大允(字 晋卿, 號 白雲, 1806~1872)이 여기에 해당한다. 대진은 '以理殺人'이란구호를 내걸고 반성리학적 운동에 앞장선 반면,심대윤은 그 간 육칠 백년 동안 통치이념으로 작용했던 정주학을 백성의 해독적 요소로 규정한 것에서, 이들의 철학 사상적 접합점이 반성리학적 극복과 운동에 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 첫째, 대진과 심대윤은 모두 한학의 훈고학과 송학의 관념적 해석방법을 비판하는 가운데, 대진은 공평한 마음자세와 글자의 훈고를 주요하게 인식하였고, 심대윤은 현실 인간생활의 징험과 경전적 고증을 중요하게 여겼다. 둘째, 대진과 심대윤은 모두 성리학적 理의 형이상학적 절대 진리체계와'理在氣先'를 부정하는 가운데, 대진은 『시경』에 근거하여 理는 사물·사실의 어떤 법칙 즉 필연의 이치로서 分理·肌理 ·주리 ·文理 ·條理 등이라고 하였고, 심대윤은 形以前의 '生生之理' 즉 '만물을 생성하게 하는 원리'로서 그 존재가치를 인정받지 못하는 것과 '형이후'의 '克用之理' 즉 '만물 생성 이후 각 형체의 개성적 작용 원리로 만물마다 각 다른 것으로서의 理'를 나누어 말하였다. 여기서 특히 대진의 '사물 필연의 법칙'과 심대윤의 '극용지리'는 그 의미가 상통하고 있다. 셋째, 대진과 심대윤은 모두 성리학적 본체로서의 理의 질서체계를 해체하고 氣의 중심 질서 체계로의 전환을 시도하여 대진은 '太極卽氣化之陰陽' 또는 '性卽氣稟·氣質', 심대윤은 '太極卽氣', '性卽氣'를 주장하였다. 이로 보면 대진의 氣에 대한 정의가 그 변화성과 구체성을 더욱 뚜렷하게 제시하고있음을 알 수 있다. 넷째,대진과 심대윤은 북송의 二程子와 주자에 의해서 확립된 '存天理,滅人欲' 즉 理와 欲의 대립적 구조 인식의 역사적 모순성과 폐해성을 진단하고 이의 극복 대안으로 理와 欲의 統一적 구조 인식 체계를 제안한다. 특히 대진은 이러한 리욕의 통일구조를 왕도정치에 적용·정의하여 백성의 情과 欲을 체득하게 하고 완수해 주며 더 나아가 함께 누리는 것이라고 하였다. 반면 심대윤은 名利에 대한 欲을 '天命之性' 즉 '生卽利'로 규정하고 또 이러한 '性利'의 무한정의 私欲 추구를 방지하기 위해 '與人同利=公利=義=善'이란 덕목 공식을 제안하였다. 여기서 대진은 과거 성리학의 理를 欲으로 동일시하고 있는 반면 심대윤은 理를 완전히 제거하고 性을 利와 동일시하고 있는 점이 다르다. 하지만 대진의 '與百姓同之'와 심대윤의 '與人同利'의 사상은 그 기맥이 상통하고 있다. 바야흐로 중국의 18세기와 한국의 19세기는 바로 전근대적 질서체계를 극복하고 근대적 질서체계로의 방향을 모색하고 있었다. 이때 중국의 대진과 한국의 심대윤은 서로 다른 지역에서 1세기 정도 차이를 두고 살았지만,이들이 지향하는 철학사상적 세계관과 이를 통한 현실개혁과 개량의지는 상통한 면이 있다. 그래서 과거 理 ·靜의 중심적 우위 질서체계에서 氣 ·動의 중심적우위 질서체계로의 전환을 모색하는 가운데,性卽理의 극복개념으로서 性(理)卽欲과 性卽利를 제창하여 그 동안 性理에 의해 억눌렀던 情欲이 인간의 본성임을 齋唱하였다. 이후 중국과 한국은 그 간 6-7백년 동안 인간의 물질에의 본원적 욕망을 질곡하던 관념적 성리학의 절대성이 약화됨과 동시에 18세기이후 서양 자본주의 이념이 유입됨에 따라 본격적인 근대적 국가로의 진입이 시작되게 된다. 뿐만 아니라 특히 대진의 '氣化之陰陽,'生生不息', '性卽欲','與百姓同之'의 철학사상 체계는 뒤이어 오는 洪秀全의 泰平天國의 革命사상과 孫中山 혁명민주주의 사상에, 심대윤의 '氣動', '性卽利', '與人同利'의 철학 사상체계는 19세기 후반의 동학혁명(1862)과 갑오개혁사상(1894)과 같은 민중·민본주의의 발전에도 일정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생각된다. 요컨대 18세기 중국 대진과 한국 심대윤의 理·欲의 통일적 구조 재정립은 동아시아의 근대 자본주의와 민본주의의 발전과 신장에 있어 어느 정도 자양분이 되었다는 것에서 그 철학사상적 의의를 부여할 수 있다. Daejin(1724~1777), the prominent leader of Chinese Hwan party in 18th century, and Sim Dae-yun(1806~1872), a great scholar on Chinese Classics of Korea in 19th Centuryare the most against neo-Confucian order system and try to overcome it. Daejin was against new-Confucianism with '以理殺人' and Sim Dae-yun criticizes that the neo-Confucian ideas, the ruling principles for six, seven hundreds years in Chosun dynasty, has bad effect on the common people. The common point between these two scholars is that they are against neo-Confucianism and try to overcome it. They criticize the ideological and subjective comment attitudes of exegetical studies and Song studies, assert objective research methods and also disapprove metaphysical absolute truth system and '理在氣先' and secure universality of 'Li' and superity of 'Qi(氣)'. They diagnose that the premodem coordinate structure of 'Li' and desire established by Two Cheong brothers and Chuzi has historical ill effects and errors therefore need to re-establish modern unified recognition structure of 'Li' and desire. It was a attempt to convert 'Li' order system as neo-Confucian essence into a system centered 'Qi(氣)'. Daejin, especially, connecting 'li' and desire isssue with the rule of right, defines that 'man's preference for property and sex is an intrinsic attribute and it is the very 'Li' being with common people. Sim emphasis that the preference for fame and wealth is '天命之性', '性卽利' and also '與人同利', 公利=義 to prevent this from running into private preference. Following after them, the absoluteness of ideological neo-Confucianism, the fetter of instinct desire for matters for six or seven years, has weakened in China and Korea, at the same time these nations started to enter into modem nations in earnest as western Capitalism came after 18th century. Daejin's philosophical system of '氣化之陰陽, 生 生不息' '性卽欲', '與百姓同之' affects Hong Su-jeon(洪秀全)'s peace haven revolution thought and Son Jung-san(孫中山)'s revolution democratic ideas, sim Dae-yun's '氣動', '性卽利', '與人同利' affects the popular movement and democracy such as Donghak(東學) revolution (1862) and the Kap-o Reform ideas of 1894. In 18th century, the establishment of unified 'Li' and desire structure of Daejin, in China, and Sim Dae-yun, in Korea, nourishes the development and extension of modem Capitalism and democra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