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부모방임·학대와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간 관계: 학습의 자기주도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임혜림,김서현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2020 청소년시설환경 Vol.18 No.2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direction in learning in the impacts of parental neglect and abuse on adolescent self-esteem. This study conducted an analysis using the 5th wave data on the panel of 1st graders of elementary school for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KCYPS) with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to answer the research questions.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2,110 adolescents in the fifth grade in elementary school. The main results drawn in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both parental neglect and abuse had negative (-) impacts on adolescent self-esteem. Second, both parental neglect and abuse also had negative (-) impacts on adolescent self-direction in learning. Third, the more the self-direction in learning, the more positive (+) the adolescent self-esteem became. Fourth, according to the result of effect decomposition, both the total effect and the indirect effect of self-direction in learning in the impacts of parental neglect and abuse on adolescent self-esteem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se results show that parental neglect and abuse have direct impacts on adolescent self-esteem, while they also have indirect impacts on it through the mediator variable, self-direction in learning. Especially, this study found that the indirect effect of self-direction in learning was greate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neglect and adolescent self-esteem than in that between parental abuse and adolescent self-esteem. Lastly,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the present study made policy and practical suggestions.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방임·학대가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학습의 자기주도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문제에 답하고자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KCYPS)의 초1패널 5차년도 자료를 사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분석했다. 연구대상자는 초등학교 5학년 청소년 총 2,110명이다. 연구에서 발견한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방임·학대는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모두 부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방임·학대는 청소년의 학습의 자기주도성에 대해서도 모두 부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셋째, 학습의 자기주도성이 증가할수록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은 정적(+)으로 증가하였다. 넷째, 효과분해결과에 따르면, 방임·학대가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학습의 자기주도성의 총효과와 간접효과가 통계적으로 모두 유의미하였다. 이 결과는 방임·학대가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기도 하지만, 학습의 자기주도성이라는 매개변인을 통해서도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의미한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방임과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간 관계에서 학습의 자기주도성의 간접효과 크기가 학대의 경우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연구결과에 바탕을 두어 정책적, 실천적 제언을 하였다.

      • KCI등재

        바디나물과 백화전호 뿌리 정유의 비교 연구

        임혜림,신승원 한국생약학회 2012 생약학회지 Vol.43 No.4

        The dried roots of Angelica decursiva and Peucedanum praeruptorum are registered as the official sources for the drug ‘Junho’ in Korean Herbal Pharmacopoeia. In this study the essential oils were extracted from the roots of the two plants by steam distillation. Their compositions and the biological activities were compared. As the results of GC and GC-MS analysis,forty one and thirty five compounds were identified in the essential oils of Angelica decursiva and Peucedanum praeruptorum,respectively. Both of the two essential oils contained α-pinene as the most abundant component. They showed similar significant antioxidant activities in DPPH scavenging assay, and reducing power test. Their dose dependent inhibitions of the nitrosamine formation were identified in experiment using BHA as control. In MTT test of three cancer cell lines, HeLa, MCF-7 and SK-Hep-1, the essential oil from A. decursiva showed stronger activities than that of P. praeruptorum and their common main component, α-pinene.

      • KCI등재후보

        청소년의 공동반추가 또래관계에서의 지지와 갈등에 미치는 영향: 성별 조절효과 검증

        임혜림(Hye Lim Im) 한국심리치료학회 2018 한국심리치료학회지 Vol.10 No.1

        본 연구는 청소년의 공동반추가 또래 관계에서의 지지, 갈등에 미치는 영향에 초점을 맞추고, 이러한 관 계가 성별에 의해 조절되는지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경상북도 소재 세 고등학교의 1, 2학년 학생 517 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불성실하게 응답하거나 무응답이 많은 자료를 제외 한 후 483명(남성 240명, 여성 243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조절 효과를 검증하기 위 해 SPSS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측정 도구는 공동반추 척도, 자기노출 척도, 반추 척도, 관계 질 척도를 사용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동반추는 친구 관계에서의 지지, 갈 등과 정적인 관계를 나타냈다. 공동반추를 많이 할수록 지지와 갈등에서 높은 수준을 보였다. 둘째, 공 동반추와 지지, 갈등 간의 관계를 성별이 조절하는지 검증한 결과, 공동반추와 지지 간의 관계에서 성별 의 조절효과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공동반추와 갈등의 관계를 성별이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여 성 청소년의 경우 공동반추가 갈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남성 청소년의 경우에는 공동 반추를 많이 할수록 갈등이 증가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공동반추를 많이 할수록 성별에 무관하 게 지지가 증가하였으며 남성 청소년의 경우 갈등도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후속 연구에 대한 제안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examined whether corumination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levels of both support and conflict, and whether gender moderated the association between corumination and both support and conflict. Four hundred and eighty-five adolescents(240 boy, 243 girl)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were asked to questionnaires, including Co-rumination Scale, and Quality of Relationship Inventory (QRI).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corumination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higher levels of both support and conflict. Seco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a moderating effect of gender between corumination and conflict. Corumination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conflict in boys, but not in girls.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and directions for future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족부 진동 자극 유무에 따른 인체의 운동지각 변화 및 정량화

        임혜림(Hyerim Lim),박수경(Sukyung Park) 대한기계학회 2012 大韓機械學會論文集B Vol.36 No.11

        최근 현실감을 주는 3D 영화에 진동, 바람과 같이 감각 정보를 추가하여 시각 자극으로 유도되는 운동지각을 향상시키기 위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추가적인 감각 정보에 의한 운동지각 변화를 정량화하는 연구는 많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회전하는 시각 자극과 함께 추가적인 감각 정보를 가하여 그에 따른 운동지각과 이를 정량화하는 것에 대해 연구하였다. 가해진 시각 자극에 대해 피험자의 몸의 기울어짐과 피험자가 느끼는 지표면을 나타내는 체성 감각 막대의 각도를 측정한 결과 추가적인 감각 정보로 인해 운동지각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칼만 필터를 이용하여 구한 시각 정보의 중요도 또한 증가함을 보였다. 따라서 시각 자극과 일치하는 다른 감각 정보는 시각 자극으로 유도되는 운동지각과 시각의 중요도를 증가시키는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다. Nowadays, some movie theaters provide additional sensory information in 3D movies to enhance visually induced motion perception. However, no studies have investigated how motion perception increases. Thus,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effect of visual coherent sensory information on visually induced motion perception and quantification of sensory information. A visual stimulus rotated sinusoidally and visual coherent sensory information were applied as vibrations to a subject’s foot. We measured the sway of the subject’s body by using a force plate and somatosensory bar rotation that represents the subject’s perception of the horizon using an encoder. By using this data, we obtained the weight of the sensory information using a Kalman filter.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subjects rotated the somatosensory bar more when visual coherent vibrations were applied. The weight of vision also increased when visual coherent vibrations were applied. Thus, we can conclude that visual coherent sensory information tends to enhance visually induced motion perception and weight of vision.

      • KCI등재

        연구논문 : 인체구강모델을 이용한 구강점막자극 동물대체시험법 개발

        임혜림 ( Hye Rim Lim ),이정선 ( Jung Sun Yi ),김태성 ( Tae Sung Kim ),고경육 ( Kyung Yuk Ko ),안일영 ( Il Young Ahn ),김주환 ( Joo Hwan Kim ),이진하 ( Jin Ha Lee ),양송이 ( Song Yi Yang ),김광만 ( Kwang Mahn Kim ),손수정 ( Soo Jun 한국동물실험대체법학회 2015 동물실험대체법학회지 Vol.9 No.1

        Ensuring the biological safety of dental materials is important, because people of all ages use them and they stay inside the mouth of a person for years once they are put into it. However, current oral irritation tests bring pain to animals, and there are no internationally accepted alternative test methods. In this study, we have developed a new method to test for oral irritation using three-dimensional (3D) human oral mucosal models in the light of growing needs for alternatives to animal testing in order to ensure the safety of dental materials. The commercially available 3D human oral mucosal models (EpiOral™, HOM™) were cultured, using normal oral epithelial cells, and histologically and phenotypically similar to native buccal tissues. Two controls and three dental materials that are widely used in dentistry were selected for testing. These included a polyethylene film (negative control), 1% Triton X-100 (positive control), resin, denture base resin and impression materials. These three dental materials were prepared according to manufacturers’ instructions, and were turned into 0.7-cm discs in diameter. And then, we directly placed the controls and the three dental materials on the top of each human oral mucosal model for 24 hours and measured tissue viability via the MTT assay and cytokine secretion. When cell viability is less than 50% or cytokine secretion is more than 250 pg/ml, a test material is evaluated as an irritant. The negative control, resin and denture base resin turned out non-irritants while the positive control and the impression materials irritants. Since the results of the oral mucosal irritation test of dental materials using human oral mucosal models matched those of existing cytotoxicity tests, it seems that the oral mucosal test can be a good alternative method.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oral mucosal irritation test employing the 3D human oral mucosal models can be an alternative test method for dental materials. And further validation studies are required in order to take advantage of this method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