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The Impact of Social Support on Self-Esteem and Depression of Adolescents in Institutions

        임현승,강성옥,양영미,Lim, Hyun-Sung,Kang, Sung-Ok,Yang, Young-Mi The Korean Society of Business Venturing 2012 벤처창업연구 Vol.7 No.2

        본 연구는 아동시설에 거주하고 있는 청소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이들이 지각하고 있는 사회적 지지가 우울증, 자아 존중 감에 영향을 어떻게 미치는지를 탐색해보았다. 특히 자아존중감이 사회적 지지와 우울과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나타내는지를 검증하였다. 사회적 지지가 독립변수로, 청소년의 우울증을 종속변수로, 자아 존중감을 매개변수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자는 편의 표본 추출 방법으로 경기도 아동보육시설에 거주하는 24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사회적 지지는 청소년의 심리, 정서적 안정에 긍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시설아동의 우울증이 낮게 나타났고 자아존중감은 높게 나타났다. 또한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자아존중 감이 높게 나타났다. 자아존중 감의 매개변수를 검증한 결과 사회적 지지는 자아존중 감을 매개하여 우울증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보육시설에 거주한 청소년의 우울증을 경감하기위한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is research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s among perceived social support, self-esteem, and depression. The study examined whether self-esteem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depression. This research study used a convenience sampling method, and the sample of this study was drawn from 7 child welfare facilities in Gyeonggi-Do. A total 240 surveys were completed. The research study shows that there were strong,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most of the variables. There was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self-esteem. Also, social support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depression. This research study also shows that self-esteem medi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depression. Findings suggest that increased levels of social support were associated with increased self-esteem, which in turn decreased depression.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are discussed.

      • KCI등재

        장애아동 어머니들의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관한 연구: 외로움, 지각된 낙인감, 가족결속력 중심으로

        임현승(Lim, Hyun-Sung),김옥임(Kim, Ok-Lim),이건숙(Lee, Gun-Sook) 한국통합사례관리학회 2020 한국케어매니지먼트연구 Vol.0 No.37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아동을 둔 어머니들의 외로움, 낙인감, 가족결속력이 삶의 질에 어떤 영향을 주는 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용인시 및 경기도에 거주하는 239명의 신체장애, 지적장애 및 자폐장애 아동을 둔 어머니가 연구에 참여하였다. 본 연구는 연구 참여자들을 위해 외로움, 낙인감, 가족결속력과 삶의 질의 측정도구를 사용하였고 다중회귀기법의 통계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외로움과 가족 결속력은 장애아동 어머니들의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주요 요인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즉 장애아동을 둔 어머니들의 가족결속력이 높을수록 혹은 외로움 수준이 낮을수록 삶의 질 수준이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장애아동의 장애 정도는 장애아동 어머니들의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주요 변수임이 확인 되었다. 끝으로 본 연구 결과의 토대로 장애아동 어머니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사회복지 실천적 함의를 토론 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study was to examine the impact of loneliness, stigma and family cohesion on the quality of life among mothers of disability. A participants of 239 mothers of children with physical disability, intellectual disability, autism disorder were recruited from Young In city and other cities in Gyeonggi-do and finished the questionnaires of loneliness, stigma, family cohesion and quality life. Data were entered into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The finding of this research study indicates that loneliness and family cohesion were important predictors for the quality of life. Thus, decreased loneliness and increased family cohesion were associated with a high level of the quality of life. The level of disability also was an important predictor for the quality of life. To enhance mothers quality of life, this research study findings will discuss in terms of implications for social work practices.

      • KCI등재

        The Impact of Acculturative Stress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on Depression of Marriage-Based Immigrant Women In Korea: An Examination of Moderating and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임현승 ( Hyun Sung Lim ) 한국가족복지학회 2010 한국가족복지학 Vol.15 No.2

        본 연구는 결혼이민자여성의 우울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고, 사회적 지지가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우울과의 관계에서 매개효과와 완충효과를 나타내는지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 대상자는 경기지역의 다문화관련 기관 10개를 이용하고 있는 결혼이민자 여성 203명을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우울증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었고, 사회적 지지와 우울간의 관계는 부의 관계로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와 완충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다중회귀기법과 회귀기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지지가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우울과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문화적응스트레스와 우울과의 관계에서도 사회적 지지는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상호작용하여 완충효과가 나타났다. 이는 사회적 지지 수준에 높을수록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력 정도가 감소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사회적 지지는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높은 결혼이민자 여성에게 우울증 경감에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에 근거하여 결혼이민자 여성들의 우울의 완화를 위한 사회복지 개입 전략을 제시하였다. This research study examined various factors associated with depressive symptoms. The sample of this research study was drawn from 10 social welfare centers for marriage-based immigrant women in Kyeonggi-do, and a total of 203 participants completed the survey.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study showed that increased acculturative stress is associated with a high level of depression, and a higher perceived social support rate is associated with a low level of depression. This study also analyzed the effect of acculturative stress on depression by testing whether social support moderates or mediates this relationship. To examine whether social support could moderate or mediate the effects of acculturative stress on depression,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d a series of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regression analysis showed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acculturative stress and depression that was mediated by perceived social support. Also, there was evidence in favor of the moderating role. Social support influenced the appraisals of stressful situations, which buffers the effect of acculturative stress on depression. Thus, social support is most beneficial in the presence of high levels of acculturative stress. Implications for the findings are discussed.

      • KCI등재후보

        The impact of social support on depression among college students-Testing the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Lim, Hyun Sung(임현승),Kim, Jun Kyung(김준경),Kim, Bum Jun(김범준) 한국케어매니지먼트학회 2016 한국케어매니지먼트연구 Vol.21 No.-

        대략적으로 20% 대학생들은 우울증에 의해 대학생활과 삶의 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와 자아탄력성은 우울증 감소에 중요한 요인으로 간주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학생들의 자아 탄력성이 사회적 지지와 우울 사이에서 매개효과를 나타내는 지 검증하고자 한 것이다. 경기도에 거주하는 있는 211명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구조화 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학생들의 사회적 지지가 높아질수록 우울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아탄력성이 높아질수록 우울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자아탄력성은 사회적 지지와 우울 사이에 매개효과가 유의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의 토대로 우울증이 높은 대학생들을 위한 사회복지 임상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Approximately 20 % of college students have clinically relevant depression which may affect academic success and quality of life. Social support and resilience were considered to be the two significant factors for depression. The theme of this research study was the impact of social support and the resilience of depression among college students. This study also aimed to explore resilience as a mediat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depression of college students. The samples were 221 college students in Gyeonggi-do. The findings indicated that increased social support was associated with a low level of depression. The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resilience and depression. Also, there was evidence that was in favor of the mediator role of resilience between social support and depression. The implications of clinical practices for college students who have high levels of depression will be discussed.

      • 시설거주 청소년의 종교성이 자아존중감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임현승 ( Hyun Sung Lim ) 한국교회사회사업학회 2013 교회와 사회복지 Vol.22 No.-

        본 연구는 시설거주 청소년의 종교성이 자아존중감과 우울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본 연구를 통하여 시설에 거주하는 청소년을 위한 상담과 사회복지실천 방안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은 경기 지역의 6개 아동양육시설에 거주 중인 청소년 209명이었다.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상관관계에 의하면 종교성이 높을수록 시설에 거주하는 청소년들의 우울증이 낮아졌고 자아존중감은 높아졌다. 또한 자아존중감은 우울증에 정적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둘째, 다중회귀분석 결과에 의하면 인구학적 변인과 종교성의 하위변인들 중 시설거주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요인은 학력(β=-.38 p<0.01), 거주기간(β=-.22 p<0.001) 교회출석(β=-.19 p<0.01)과 기도시간(β=-.16 p<0.05) 순이었다. 시설거주 청소년의 우울증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요인은 종교적 믿음(β=-.43 p<0.001), 교회출석(β=-.35 p<0.001), 기도시간(β=-.31 p<0.001), 영적믿음(β=-.29, p<0.01), 학력(β=-.25 p<0.01)과 성별(β=-.10 p<0.001)순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사회복지 분야에서의 영적요인과 관련하여 몇 가지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study was to examine levels of depression, self-esteem, and religiosity,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se variables. The sample consisted of 209 institutionalized children in Gyeonggi-do. The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significant relationships were found between religiosity and depression as well as religiosity and self-esteem. Also, there was a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depression. The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showed that most of subscale of religiosity were important predictors for depression. Therefore, counselors should consider the impact of gender difference, age, religiosity, and self-esteem on depression. Clinical implications will be discussed.

      • KCI등재

        사회복지사의 감정노동과 사회적 지지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지지의 완충효과 중심으로

        임현승(Lim, Hyun-Sung) 한국통합사례관리학회 2020 한국케어매니지먼트연구 Vol.0 No.34

        이 연구는 사회복지사의 감정노동과 사회적지지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사회복지사의 사회적 지지가 감정노동과 우울사이에서 완충효과가 있는 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비밀 보장된 표본추출방법을 사용하여 서울 및 근교 도시에 복지관에서 근무하는 287명의 사회복지사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사회적지지, 감정노동과 우울 등의 설문지를 완성하였다. 연구결과 사회복지사의 감정노동이 올라갈수록 우울 정도는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사회적 지지는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수로 확인되었다. 감정노동과 우울사이에서 사회적 지지는 완충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결과를 통하여 사회복지사를 위한 임상적 제안을 하고자 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impact of emotional labor and social support on depression among social workers. This study also investigated whether social support moderates the effect of emotional labor on depression among social workers. A cross-sectional study using anonymous research survey methods was conducted in a sample of 287 social workers in Seoul city and near cities. Research participants completed instruments of social support, emotional labor and depression. The findings indicate that increased emotional labor was associated with a high level of depression. Social support was important predictor for depression. This research study also found that there was evidence in favor of the moderating roles of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depression. For social workers, clinical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will be discussed.

      • KCI등재

        A Study of Predictors of Depression among Elders Living Alone: Focusing on activity daily living, social support loneliness, and geism

        임현승(Lim, Hyun-Sung),김옥임(Kim, Ok-Lim) 한국통합사례관리학회 2021 한국케어매니지먼트연구 Vol.- No.40

        본 연구는 독거노인들의 일상생활 수행능력, 사회적지지, 외로움 및 노인차별이 우울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편의표본 추출을 사용하여 306명의 독거노인 대상으로 사회적지지, 한국형 일상생활수행능력, UCLA 외로움, 폴모아 노인차별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연구의 통계처리는 독립T-검증, 변량분석, 상관관계, 다중회귀기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우울은 노인차별과 외로움 수준이 높을수록 우울이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일상생활 수행능력과 사회적지지 수준이 높을수록 우울 수준이 낮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중회귀통계 처리 결과에 의하면 일상생활 수행능력, 사회적지지, 외로움은 독거노인의 우울에 주요 영향요인임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사회복지 실천적 및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사회복지사와 사례관리자를 위한 사회복지 실천적 함의를 제공하였다. The study purpose was to test the impact of activity daily living, social support, loneliness, and ageism on depression among elders living alone. Data were collected by 306 elderly people over 65 years old using a convenience sampling method and completed the questionnaires of MSSPS, K-ADL(Korean Activities of Daily Living), the UCLA Loneliness, and Palmore Ageism Scale. Survey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using T-test, An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The research study findings indicated that increased loneliness and ageism were associated with a high level of depression. Depression decreases with high level of activity daily living and strong social support. Multiple regression showed that activity daily living, social support and loneliness were significant predictors for depression of elderly living alone. The findings of this study will provide implications of social work practices and social policy. Recommendations to guide health professionals such as social workers and case managers in their work with elderly living alone were made.

      • KCI등재

        The Impact of Childhood Abuse Experience on Depression Among Drug Abusers: Focusing on the Buffering Effect of Social Support

        임현승(Lim,Hyun-Sung) 한국통합사례관리학회 2022 한국케어매니지먼트연구 Vol.- No.42

        본 연구는 약물중독자의 아동기 학대, 사회적 지지와 우울간의 관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약물중독자의 아동기 학대와 사회적 지지가 우울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아동기 학대와 우울간의 사이에서 사회적 지지의 완충효과를 검증을 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171명의 마약중독자는 서울소재 보호관찰소에서 보호관찰을 받고 있는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 참여자를 위해 아동기 학대, 사회적지지 그리고 우울의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결과, 아동기 학대경험은 우울과 정적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사회적 지지지는 우울과 부적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끝으로 약물중독자의 사회적지지는 아동기 학대와 우울간의 관계에서 완충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사회복지 실천적 함의를 제공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childhood abuse and social support on depression among drug abusers who were on probation. This study also tested the buffering role of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abuse and depression. For this study, 171 drug abusers attended probation offices at Seoul city. Participants completed measures of childhood abuse, social support, and depression. The results from this study show that childhood abuse ha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depression, and social support had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depression. Also, social support had the buffer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abuse and depression. This study provides clinical implications for drug abusers.

      • KCI등재후보

        Social support as a moderator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stress and depression according to the disability type of Children

        임현승(Lim, Hyun-Sung),김옥임(Kim, Ok-Lim) 한국장애인평생교육복지학회 2021 장애인평생교육복지연구 Vol.7 No.2

        본 연구는 장애아동어머니들의 양육스트레스, 사회적 지지와 우울간의 관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발달장애아동의 어머니와 지체장애아동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양육스트레스와 우울간의 사이에서 사회적 지지의 역할에 대한 검증을 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경기도에 거주하고 있는 발달장애아동 어머니 120명과 지체장애아동 어머니 82명의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참여자를 위해 양육스트레스, 사회적지지 그리고 우울의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결과 발달장애와 지체장애아동의 어머니 모두 사회적 지지는 우울과 부적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발달장애 어머니들 보다 지체장애 아동의 어머니들은 발달장애아동 어머니들 보다 높은 수준의 우울과 낮은 수준의 사회적 지지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끝으로 발달장애아동 어머니의 사회적지지가 양육스트레스와 우울간의 관계에서 완충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끝으로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임상적 함의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This research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among parenting stress, social support, and depression in moth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y. This study also tested the role of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stress and depression in mothers of children with different types of disability. A total of 120 mother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and 82 mothers of children with physical disability were enrolled from several cities in Gyeonggi-do. Participants completed measures of parenting stress, social support, and depression. This research showed that social support had a negative association with depression in both mother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and physical disability. Mothers of children with physical disability had a higher level of depression but a lower level of social support than mother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Finally, only mother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had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stress and depression. This research study provides clinical implications.

      • 우울, 영성 및 사회적 지지가 대학생들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와 영성의 조절효과 검증을 중심으로-

        임현승 ( Hyun Sung Lim ),고대영 ( Dae Yeong Ko ) 한국교회사회사업학회 2013 교회와 사회복지 Vol.24 No.-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주는 주요 요인들을 탐색해 보고자 총 240명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영성, 우울, 사회적 지지가 자살생각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설문조사하였다. 조사결과, 대학생들의 우울은 자살생각에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지지와 영성은 자살생각과 우울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울과 자살생각 사이에 사회적 지지와 영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한 결과 사회적 지지와 영성은 우울과 자살생각 사이에 조절효과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대학생들의 우울정도가 상당히 높을 때 사회적 지지와 영성은 보다 효과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자살에 대한 사회복지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various factors associated with suicidal ideation. Participants were 240 college students who completed measures that assessed spirituality, depression, social support, and suicidal ideation.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study showed that increased depression is associated with a high level suicidal ideation, and higher social support and spirituality rate are associated with a low level of suicidal ideation and depression. This study also explored social support and spirituality as a moderat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Multiple regression was used to test social support and spirituality as moderating effect. There was evidence in favor of the moderating role that social support and spirituality may serve as a protective factor against suicidal ideation. The findings are consistent with the theoretical notion that social support and spirituality may help buffer against the risk for suicidal ideation. This moderating effect models also suggest that social support and spirituality are most beneficial in the presence of high levels of stress or depression. The implications for social work practices will b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