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심리적 계약위반이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임현명(Hyunmyung Lim),노명화(Myunghwa Rho),정원호(Wonho Jeung) 대한경영학회 2015 大韓經營學會誌 Vol.28 No.10

        현대 조직은 급변하는 환경에 대응하기 위해 끊임없이 변화하고 있다. 조직에서 시행되는 다양한 변화는 구성원들이 조직에 대해 암묵적으로 갖는 심리적 계약의 이행 또는 위반에 영향을 줌으로써 개별 구성원의 효과성은 물론 조직 전반의 효과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조직이 경영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시행하는 변화는 일반적으로 조직이 구성원들에게 제공하는 자원의 감소를 수반한다. 이러한 자원의 감소는 구성원이 조직과의 상호호혜적 교환에서 갖는 암묵적 기대를 의미하는 심리적 계약이 위반되었다는 인식을 야기할 수 있다. 자원의 감소로 인한 심리적 계약위반을 인지한 개인은 조직에서 겪게 된 부정적인 경험으로 인하여 긍정심리자본의 감소를 경험함과 동시에 자원의 항상성 파괴로 인하여 더 많은 스트레스를 지각할 수 있다. 또한 심리적 계약위반으로 인해 낮아진 긍정심리자본은 그 자체가 스트레스 요인으로 작용할 뿐 아니라 스트레스에 대한 대처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침으로써 스트레스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른 본 연구의 목적은 심리적 계약이론과 자원보존이론을 중심으로 조직의 변화로 인해 야기된 심리적 계약위반이 구성원의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두 변인간의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경영효율화가 진행 중인 공공조직의 구성원 165명으로부터 수집된 설문자료를 바탕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첫째, 개인이 조직에 대하여 인식한 심리적 계약위반은 조직 구성원의 스트레스를 증가시키는 것이 확인되었다. 둘째, 이러한 심리적 계약위반은 개별 구성원의 심리적 자원인 긍정심리자본을 감소시키는 것이 확인되었다. 셋째, 구성원의 긍정심리자본은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것이 검증되었다. 마지막으로, 긍정심리자본은 심리적 계약위반과 스트레스간의 관계를 부분매개 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심리적 계약위반이 개인의 심리적 자원인 긍정심리자본을 매개로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증함으로써 이와 관련된 이론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또한 경영 효율성 제고를 위해 다양한 변화를 시도하고 있는 현대조직의 변화관리에 대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한다. Modern organizations constantly change their processes and structures in order to meet the requirements of continuously changing external environments. The changes within organizations, however, may influence the effectiveness of organizational members as well as organizations because those changes are likely to impact on the implicit psychological contracts perceived by organizational members. Based on psychological contract theory and conservation of resources theory,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 of psychological contract violation on employees’ stress. Moreover this study intended to explore the mechanism through which psychological contract violation affects employees’ stress. In order to achieve this end, this study introduce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proposed the mediating role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contract violation and employees’ stress. In order to test the hypotheses,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sample of 165 employees in the public organization which was on the process of restructuring for the management efficiency.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summarized as follow. First, perceived psychological contract violation of employees is positively related to their stress, which indicates that when people perceive that their organization violates psychological contract, they are more likely to experience stress. Second, psychological contract violation has a negative effect on the employee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which implies that psychological contract violation is supposed to reduce the level of psychological capital of the focal people. Third, when employees have more psychological capital, they experience less stress. Finally, employees’ psychological capital partial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contract violation and stress. In summary,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violation of psychological contract by organization might reduce the psychological state of their employees, which in turn have them experience high level of stress. Psychological capital reduced by the perception of psychological contract violation not only becomes the factor increases stress but makes the person not to be very efficient to handle stressful situations. These results suggest several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irst, this study shows the hidden mediating mechanism of psychological capita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contract and stress. Second, this study suggests that managers should recognize importance of psychological contract of organizational members in the process of change management of organizations.

      • 포용적 리더십이 신입구성원의 조직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다층모형 연구 : 특성 및 일일 핵심자기평가의 조절된 매개효과

        임현명(Hyunmyung Lim),정원호(Wonho Jeung) 한국인사ㆍ조직학회 2015 한국인사ㆍ조직학회 발표논문집 Vol.2015 No.3

        최근 들어 국내 청년층의 실업률이 꾸준히 증가하고 취업난이 더욱 가중된 반면, 어렵사리 취업에 성공한 신입사원들 중 조직 및 직무 부적응으로 인해 1년 내 조기퇴사하는 비율이 증가하는 모순된 사회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이에 따라 오늘 날 정부, 교육기관, 기업 등 각계각층에서 청년들의 조직 및 직무적응 유도및 신입사원의 조기퇴사율 감소를 통해 청년과 기업 모두가 상생할 수 있는 방안을 다각적으로 모색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처럼 모순된 사회적 현상과 최근 그 심각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는 신입구성원의 부적응 및 조기퇴사율 증가 문제와 관련하여, 적정 독특성 수준 이론(Optimal Distinctiveness Theory)을 바탕으로 포용적 리더십(Inclusive Leadership)이 신입구성원의 조직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한다. 더불어 행 위적 탄력성 이론(Behavioral Plasticity Theory)과 자원보존이론(Conservation of Resources Theory)을 바탕으로 포용적 리더십이 신입구성원의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메커니즘에서 특성 및 일일 핵심자기평가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한다. 가설의 검증을 위해 육군 상비사단에서 신병교육을 받는 218명의 훈련병을 대상으로 8회의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이중 187명에 의해 작성된 187개의 특성 설문과 914개의 일일단위 설문을 바탕으로 다층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리더가 일일단위 포용적 리더십을보일수록 신입구성원의 일일 핵심자기평가 및 일일 정서적 몰입이 높아지는 것이 확인되었다. 둘째, 신입구성원의 특성 핵심자기평가는 신입구성원의 일일 정서적 몰입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반면, 일일 핵 심자기평가는 신입구성원의 일일 정서적 몰입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신입구성원의 일일 핵심자기평가는 일일 포용적 리더십이 일일 조직몰입을 향상시키는 정(+)적인 효과를 부분매개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신입구성원의 특성 핵심자기평가는 리더의 일일 포용적 리더십이 신입구성원의 일일 핵심자기평가를 매개로 신입구성원의 일일 정서적 몰입에 미치는 정(+)적 영향을 완화하는 조절된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고, 본 연구가 가진 한계와 더불어 향후 연구방향을 논의하였다. During the recent years, one contradictory phenomenon increasing the unemployment rate of young people and the early leave rate of the new recruits at the same time has been emerged in South Korea. Found that a significant number of new employees that leave their first job due to the organizational or job maladjustment, various ways to derive the adaptation of new members and to reduce the early leave rate of them have been discussed in political, economical, educational, and many other fields. With respect to this social phenomenon,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 of inclusive leadership on newcomer’s organizational adaptation based on the optimal distinctiveness theory and the moderated mediating mechanism of trait and daily core self-evaluation based on the behavioral plasticity theory and conservation of resources theory. 187 trait data and 914 daily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sample of 187 trainees on the recruit training course of the Republic of Korea Army. The results derived from the multi-level modeling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 First, daily inclusive leadership of leader is positively related to daily core self-evaluation and daily affective commitment of newcomers. Second, while trait core self-evaluation has no significant effect on daily affective commitment, daily core self-evaluation has positive effect on the commitment. Third, daily core self-evaluation of newcomer partial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leader’s daily inclusive leadership and newcomer’s daily affective commitment. Finally, trait core self-evaluation negatively moderates the positive mediation effect of daily core self-evaluation between daily inclusive leadership and daily core self-evaluation.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several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findings and discusses the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 KCI등재

        포용적 리더십이 정서적 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다층모형연구 : 상태적 핵심자기평가의 매개효과와 특성적 핵심자기평가의 조절효과

        임현명(Hyunmyung Lim),정원호(Wonho Jeung) 한국인사조직학회 2016 인사조직연구 Vol.24 No.4

        본 연구에서는 적정 독특성 수준 이론(optimal distinctiveness theory)을 바탕으로 포용적 리더십(inclusive leadership)이 정서적 몰입(affective organizational commitment)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특성 및 상태적 핵심자기평가(core self-evaluation)를 중심으로그 메커니즘을 검증하고자 한다. 적정 독특성 수준 이론에 따르면, 인간은 소속과 고유함의두 가지 대립되는 욕구를 동시에 충족하고자 하는데, 포용적 리더십은 이 둘을 모두 충족시킬 수 있는 대표적인 리더 행동이다. 따라서 리더의 포용적 리더십이 구성원의 자신에 대한 인식과 조직에 대한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가정하고 이를 검증하고자 한다. 한편, 기존 연구에서는 핵심자기평가를 주로 개인의 특성(trait)으로 간주하고 횡단연구를 통해 그 메커니즘을 검증해 왔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핵심 자기평가의 상태(state)적 속성에 주목한 최근 연구결과들을 바탕으로 핵심자기평가의 특성적 속성과 상태적 속성을 동시에 고려한 종단연구를 설계하였다. 이를 통해 포용적 리더십이 정서적 몰입에 미치는 영향에서 상태적 핵심자기평가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 이 과정에서 특성적 핵심자기평가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가설의 검증을 위해 육군 상비사단 신병교육대 훈련병 218명을 대상으로 10회의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이중 187명에 의해 작성된 914개의 자료를 바탕으로 다층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확인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리더가 포용적 리더십을 보일수록 구성원들의 상태적 핵심자기평가 및 정서적 몰입이 높아지는 것이 확인되었다. 둘째, 특성적 핵심자기 평가는 정서적 몰입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반면, 상태적 핵심자기평가는 정서적 몰입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상태적 핵심자기평가는 포용적 리더십이 정서적 몰입을 향상시키는 정(+)적인 효과를 부분매개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특성적 핵심자기평가는 상태적 핵심자기평가가 정서적 몰입에 미치는 정(+)적 영향을 완화하는 조절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고, 본 연구가 가진 한계와 더불어 향후 연구방향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 of inclusive leadership on affective commitment based on the optimal distinctiveness theory and the moderating and mediating mechanism of trait and state-like core self-evaluation. Optimal distinctiveness theory explains that individuals seek a balance between belongingness and uniqueness. This research suggests that inclusive leadership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leadership behaviors for the balance and investigates the effects on core self-evaluation and affective commitment. Meanwhile, most of the research has considered core self-evaluation as a set of traits, but several recent studies verify a state-like aspect of core self-evaluation. Thus, this research adopts the two different aspects of core self-evaluation into one longitudinal model and tests the mediating effect of state-like core self-evaluation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trait-like core self-evaluation in the effect of inclusive leadership on affective commitment. For the hypotheses verification, 187 trait data and 914 daily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sample of 187 trainees on the recruit training course of the Republic of Korea Army. The results derived from the multi-level modeling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 First, inclusive leadership of a leader is positively related to a state-like core self-evaluation and affective commitment. Second, while traitlike core self-evaluation has no significant effect on affective commitment, state-like core self-evaluation has positive effect on the commitment. Third, state-like core self-evaluation partial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a leader’s inclusive leadership and a trainee’s affective commitment. Finally, trait-like core self-evaluation negatively moderates the positive effect of state-like core self-evaluation on affective commitment.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several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findings and discusses the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 KCI등재

        사회공학 사이버작전 개념정립 연구

        신규용(Kyuyong Shin),강정호(Jungho Kang),유진철(Jincheol Yoo),김지원(Jeewon Kim),강성록(Sungrok Kang),임현명(Hyunmyung Lim),김용주(Yongju Kim) 한국정보보호학회 2018 정보보호학회논문지 Vol.28 No.3

        최근 사이버 공격기술을 활용해 목표시스템을 직접 공격하는 기술적 사이버작전 대신 목표시스템을 관리하는 사람의 취약점을 이용해 목표시스템에 침입하는 사회공학 기법이 각광을 받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도 불구하고 사이버작전과 사회공학 기법 사이의 연관관계에 대한 명확한 개념이 정립되어 있지 않아 많은 혼란이 있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사회공학 사이버작전에 대한 명확한 개념정립을 통해 향후 사회공학 사이버작전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를 위한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다. Recently, instead of technical cyber operations that directly attack the target information system by using cyber attack techniques, social engineering techniques that indirectly invade the system by exploiting the vulnerabilities of persons who manage the system are being watched. Despite this trend, there is a lot of confusion because there is no clear concept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cyber operations and social engineering techniques. Therefore, this paper aims at establishing a clear concept of a social engineering cyber operation, helping future researchers in this litera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