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직무스트레스시 사회적 지원의 조절효과에 미치는 사회적 동일시의 완충작용에 관한 연구

        임창희(Chang-Hee Im) 한국인사관리학회 2007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Vol.31 No.3

          스트레스와 스트레스 결과의 관계모델에서 직장 상사나 동료의 사회적 지원의 조절영향을 한다는 주장이 많이 있어왔지만 이러한 다양한 실증연구들이 모두 일관성 있는 결과를 보였다고는 말할 수 없다. 이는 사회적 지원을 측정할 때 오직 양적인 관점에서 얼마나 자주, 혹은 얼마나 많은 지원을 받는가에만 치중하였기 때문일 수도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지원의 객관적인 빈도나 크기뿐만아니라 질적인 측면을 새롭게 삽입시켰다. 즉, 지원받는 당사자가 지원자의 충고나 지원을 진심으로 공감하고 믿는지 혹은 정반대로 그냥 흘려버리는지가 지원의 빈도 못지않게 중요하다고 보아 이를 사회적 동일시 개념으로 측정하여 직무스트레스-사회적지원-조직성과 모델에 개입시켜보았다.<BR>  이를 위한 연구모델과 가설을 설정하여 설문지를 이용한 서베이 연구를 실시했는데 12개 기업체의 사무직 근로자로부터 받은 설문지 중 유효표본 330개의 자료를 토대로 다중 회귀분석을 통해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SPSS 12.0과  AMOS 4.0 통계프로그램에 의해 측정항목들의 타당성과 신뢰성 등의 검토를 거쳐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에 의하면 모든 연구가설들이 지지되었다. 즉 사회적 지원은 조직성과에 미치는 스트레스의 부정적 영향을 완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고 사회적 동일시는 스트레스에 미치는 사회적 지원의 스트레스 감소효과를 더욱 촉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스트레스가 증대됨에 따라서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이 줄어들 때 사회적 지원이 이를 완화시키는데 사회적 동일시가 약하면 그 완화역할이 미미해져서 스트레스가 직접 반영되기 때문에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이 매우 감소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어떤 두 변수 사이에서 사회적 지원의 조절역할을 여구할 때는 지원자와 지원받는 자의 특수한 관계를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서 타인의 말을 믿고 믿지 않는 개인적 성격도 고려해야 한다고 제언하였다.   This paper investigated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such as protection from stress, promotion of organizational performance, and buffering negative impact of stress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se effects were analysed in the context of moderating role of social identity in a sample of 330 white collar employees.<BR>  For empirical study, the research model included such variables like perceived social support, social identity, stress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variables was analysed. We have tested several hypotheses throug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test and hierarchical regression by AMOS 4.0 and SPSS 12.0 statistical program.<BR>  Results of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showed that social support from supervisors and colleagues protect from job stress. Buffering effect of social support on stress was found in analyses where the moderating role of social identity was considered. Finally buffering effect of social support on the negative relationship of job stress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was found more strongly, if the moderating role of social identity was considered, compared to analyses that did not include any personality factor, that we called in this paper social identity.<BR>  As a result, employee with high social identity whom perceived high social support had the similar level of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regardless of job stress. The results were discussed in context of social support-job stress-outcomes hypothesis. An extension of matching hypothesis may be proposed, referring to the fit between social support, stress, stress outcomes, and individual characteristics, that is, social identity.

      • KCI등재

        수면부족이 직무소진과 웰빙에 미치는 영향

        임창희(Im, Chang-Hee),이승윤(Rhee, Seung-Yoon) 한국인사관리학회 2013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Vol.37 No.3

        그간 수면부족은 경영학이 아닌 의학, 보건학 등 타분야에서 교대근무자나 야간 작업자들만 대상으로, 그것도 제조업 근로자나 육체노동자들에만 한정하여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본 연구는 일반 사무직 근로자를 대상으로 수면부족이 직무소진이나 근로자의 웰빙에 미치는 영향을 직무환경 변수와의 관계 속에서 종합적으로 파악해보려는 것이었다. 이를 위한 도구로써 그동안 직무환경과 종업원의 심리적 반응의 관계를 다룬 직무요구-자원(JD-R) 모형을 기반으로 하였다. 즉 발전된 JD-R 모형에서는 직무요구와 직무자원이 개인의 자아효능감, 낙천성, 자존심 등의 개인적 성격변수를 매개로 직무소진과 웰빙에 미치는 영향과정을 다루어 왔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직무환경이 근로자의 심리적 건강과 웰빙에 미치는 영향과정에서 수면부족이 어느 정도 매개역할을 한다고 판단함과 동시에 그 영향은 남녀간에 차이를 보일 것이라는 이론적 연구들을 바탕으로 가설을 설정하고 설문조사에서 얻어진 자료를 토대로 변수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구조방정식 모형을 검토하였다. 연구결과 JD-R모형에서 주장하듯 직무요구는 소진에만 직무자원은 웰빙에만 서로 독립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과정이 아니라 수면과 직무만족은 소진을 통해 복합적으로 웰빙에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였다. 동시에 수면부족의 부분적 매개역할과 남녀간의 영향력 차이도 다중 집단분석으로 확인되었다. 끝으로 본 연구의 발전적 확장과 개선을 위한 제언과 실무적 활용방안이 논의되었다. Job burnout, job dissatisfaction, and poor mental health among workers have been found to be major reasons for job failure. Research focus, therefore, has been on elucidating the factors that cause work-related burnout and poor quality of life in organizations. Among the many causes, poor working conditions is considered as likely main causes of burnout and poor well-being. Thus, it becomes critical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s among working conditions, job satisfaction, burnout, and workers' well-being. The Job Demands-Resources(JD-R) model suggests that job characteristics have impact on employee well-being. More specifically, the model proposes that job demands are the main predictors of job strain while job resources are the most important pre야ctors of work engagement. Drawing from the JD-R model, we propose that job demands and job resources influence employee well-being. In particular, we suggest sleep deprivation as a key mechanism that can expla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characteristics and employee well-being. Our path equation model indicates that excessive job demands and enough job resources are directly associated with job dissatisfaction and sleep deprivation, and indirectly associated with burnout and poor mental well-being. Using a heterogeneous sample of 471 workers at diverse organizations, we conducted a structural equations modeling. Our finding confirms the relationships from job demands to sleep deprivation and satisfaction, and from job resources to satisfaction. We further found strong effects of sleep deprivation and satisfaction on burnout and well-being. Job resources and job satisfaction seemed stronger factors predicting burnout than job demands and sleep deprivation were. In addition, we conducted a multi-group path analysis to generate separate subgroup models of male and female group. The results show that the amount of sleeping hours is related to job satisfaction to a greater extent for female workers than for male workers. These findings shed light on the mechanisms underlying the relationships among job characteristics, sleep deprivation, burnout, and workers' mental well-being. Theoretical, practical implications as well as future directions and limitations are discussed.

      • KCI등재

        부정적 감정성향과 집단자기효능감의 관계에 미치는 개인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원의 매개역할

        임창희(Chang-Hee Im) 한국산업경영학회 2008 경영연구 Vol.23 No.1

          조직행동 연구분야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역할이나 조절역할 등에 관해서는 많은 학자들이 매우 많은 관심을 가져 왔지만 자기효능감을 결정하는 원인변수가 무엇인지에 대한 연구는 별로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동시에 자기효능감을 개인수준에서만 관찰하였다. 즉, 집단효능감을 개인효능감과 정확하게 구별하지 않고 집단적 자신감이라는 개인자기효능감과 유사한 차원에서 연구되었다. 그러나 본 논문에서는 개인효능감이 자기 개인을 향한 자신감이라면 집단효능감은 집단을 향한 개인의 자신감으로 보고 그것이 개인자기 효능감과 가지는 상호관계, 그리고 개인적 특성이 개인자기효능감과 집단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과정, 그리고 이 과정에서 사회적 지원의 역할 등을 파악한다. 이에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점에 초점을 두고 이론적인 인과모형을 만들어 검토하였다.<BR>  첫째, 개인 자기효능감과 집단자기효능감의 구별성과 상관관계<BR>  둘째,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개인적 특성인 부정적 감정성향의 역할<BR>  셋째, 개인의 부정적 감정성향이 집단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칠 때 존재하는 개인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원의 매개역할 검증<BR>  연구방법으로는 선행연구들을 토대로 변수간 영향관계를 나타내는 이론적 경로가설과 구조모형을 정립한 후, 289명의 남녀 직장인들로부터 수집한 설문지 응답자료들을 분석하여 연구모델들의 적합도 분석, 구조모델의 비교분석 등을 통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BR>  관련 변수들은 모두 유의적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으며 가설에서 제안한 대로 부정적 감정성향은 개인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원에 부(-)의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사회적 지원 또한 개인자기효능감과 집단자기 효능감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그리고 개인자기효능감도 집단자기효능감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이러한 영향력들은 모두 유의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비교모형을 만들어 분석한 결과도 제안 모형이 가장 우수한 모델로 판명되어 부정적 감정성향이 집단자기효능감에 직접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본 논문에서 제시한 매개변수에 의해 간접적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입증되었다. 그 외에 연구의 시사점과 한계점, 그리고 미래 연구자들을 위한 제언을 결론에 제시하였다.   The higher one"s self-efficacy(SE), the more likely one is to engage and persist in task-related behavior. Many researchers have found that SE positively predicts coping strategy, job performance, etc., and it acts as a moderator ameliorating the negative effects of stressors on employees" job satisfaction. Unfortunately, less attention has been paid to how organizations could boost SE and the majority of research has focused on outcomes of efficacy beliefs, where as considerably less is known about the antecedents of SE. Moreover, although SE has been conceptualized at multiple levels of analysis, only limited multilevel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SE. Furthermore, multilevel researchers have apparently assumed that SE beliefs are consistent across level of analysis, yet this assumption has too rarely been tested.<BR>  We have supposed that the concepts of SE at both the personal level(PSE) and group level(GSE) are related to important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outcomes, and that it is possible that there are unique antecedents of PSE and GSE. H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the two concepts are similar or distinct. In this research, we focus on negative affectivity as a personal traits as well as socio-emotional support, and we will prove that NA influences on GSE, and personal SE and social support have a mediating role between NA and GSE by test of the hypotheses. The data obtained from 289 mail and female workers who are working in divers organization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are analyzed by statistical methode: structural equation method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etc. with AMOS 4.0 and SPSS 12.0K for Windows.<BR>  There was a very strong relationship between PSE and GSE. Finally NA is related to GSE negatively, and this relationship is mediated by PSE and social support. Path analysis showed that the interrelation of NA, PSE and social support and their relation with GSE are explained to a certain degree by our proposed mediating model.<BR>  In this examination, we were particularly interested in identifying potential discontinuities in the predictors of SE and the data analysis supported all of our hypotheses, and results provide several extensions to research on SE, personality traits, group, and multilevel processes, with important implications for managerial practices. First of all, extending research on efficacy beliefs, our study found that PSE and GSE evolved through somewhat different mechanisms. Specifically, PSE and social support and NA as a personal factor were found to be important direct predictors of GSE.<BR>  Though this study contributed both academically and practically, it has some limitations, and additional comments for future research are presented at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Assessment on variables was done by direct reports of the respondents, for example, which the objective degree of the GSE and social support can be different compared with respondents" self assessment. Finally, it was discussed with theoretical and managerial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the future research.

      • KCI등재

        연구논문 : 정서고갈과 이직의도의 관계에 미치는 조직컴미트먼트와 조직시민행동의 매개역할

        임창희 ( Chang Hee Im )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014 인적자원관리연구 Vol.21 No.2

        그 동안 정서고갈, 조직컴미트먼트, 조직시민행동, 이직의도 간에는 많은 상관성이 존재한다는 사실이 주장되어 왔음에도 불구하고 이들 모든 변수를 함께 고려하여 종합적으로 관찰한 연구는 없었다. 본 연구에서는 개인의 정서고갈이 이직의도에 악영향을 미치는 구체적 과정에 초점을 두고 정서고갈이 자동적으로 이직의도를 초래하는 것인지 아니면 그 사이에 관련 변수들의 매개과정을 거치면서 부정적 영향을 부추기는 것인지 검토하려 했다. 이를 위해 사회적 교환이론을 전제로 설정된 매개 가설들을 입증하였다. 그리고 직무요구-자원(JD-R) 이론이나 자원보존이론 분야의 대부분 연구자들이 정서고갈이 직무만족이나 이직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만 주장해왔으나 본 연구에서 조직컴미트먼트나 OCB에 의해 매개된다는 점을 가설로 설정하고 네 변수 간의 종합적 구조모형을 만들어 제안모형의 우수성을 입증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대인서비스업 종사자들로부터 받은 설문자료를 분석하여 가설을 검정하는 경험적 조사방법이 사용되었다. 결과를 요약하면 이직의도는 정서고갈의 직접적인 영향도 받지만 정서고갈에 의해 좌우되는 조직컴미트먼트와 OCB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고 있음이 입증되었다. 즉 정서고갈로 인하여 조직컴미트먼트가 낮아져서 이직의도가 높아지는 것 이외에도 조직컴미트먼트로 인하여 OCB의 질이 좋아지기 때문에 이직의도가 감소하는 경향도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analyze the impact of emotional exhaustion on turnover intention among emotional labor employees. The differential mediating effect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on the associations between emotional exhaustion and turnover intention were examined. Data were collected from diverse emotional workers using a questionnaire survey in Korea. The results revealed full mediation effect for turnover intention at work places. There was a significant mediation effect for turnover intention. The first results from the regression analysis shows us that the emotional exhaustion has a strong effect on his or her organizational commitment, OCB, and turnover intention. All the hypotheses of proposed relationship among variables were accepted. The second contribution of the current results from the equation analysis of hypothetical suggestion support the proposed mediator model in which the potential effect of emotional exhaustion on turnover intention can be mediated through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CB. Thus, it would appear that organizational commitment can support maintaining a positive OCB, which has negative associations with individual turnover intention. In summary, the proposed model indicates that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CB can be a useful social quality in diminution of the turnover intention. In general, emotional workers who evidence stable higher levels of emotional exhaustion tend to leave their organization, but the commitment and OCB can decrease their intention to leave. This study has several limitations. First, not all industrial groups were represented here. Second, future research should consider how differences in commitment and OCB level might play a role in the more global processes connecting stable differences in other industry. Our research has been limited to only commitment and OCB. Third, only one emotional work group was examined here and one should be cautious in generalizing the results to other occupational groups.

      • KCI등재
      • KCI등재
      • KCI우수등재

        직장여성의 성희롱 태도에 관한 연구

        임창희(Chang Hee Im),홍용기(Yong Gee Hong) 한국경영학회 1996 經營學硏究 Vol.25 No.3

        Organizations are a natural environment for the emergence of romantic relationship. Many people spend much of their working lives in organizations thinking about sex or romantic relationships, but very little attention has been paid organizational sexual harassment. In recent years, an increasing amount of employment-related litigation has centered on sexual harassment. This study explored five competing hypotheses about sexual behavior at work, including personal sexual orientation, sexualization of the at work, and sexual experiences at work, workers in male or female dominated jobs, co-worker or supervisor`s sexual behavior and attitudes toward sexual harassment. We found that women in personal sexuality oriented, sexualization of workplace, and sexual experiences at work, were more likely than other women to label as sexual harassment. The result of this have a number of implications for the field of organizational behavior and for managers concerned with sexual harassment in their organizations.

      • KCI우수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