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라쇼몽 - 욕망의 진실에 대하여

        김철권(Kim, Chulkwon),임진수(Lim, Jinsoo) 한국영화학회 2019 영화연구 Vol.0 No.80

        관객은 〈라쇼몽〉을 보고 혼란을 느낀다. 그 이유는 사실의 차원에서 진실을 규명하려 하기 때문이다. 정신분석적으로 그런 시도는 무의미하다. 진실은 사실과 무관하다. 오히려 진실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사실을 무시해야 한다. 진실이 사실과 관계없다고 하는 점은 세 명의 피의자가 동일한 사실을 서로 다르게 진술하는 것에서도 알 수 있다. 사실 따로, 진실 따로이다. 진실은 말의 내용이 아닌 말하는 주체의 의도와 관련되어 있다. 내가 왜 이런 증언을 하느냐? 그것이 바로 주체의 욕망의 진실이다. 영화에서는 세 명의 피의자 모두 각자 자기 욕망의 진실을 이야기하는데, 세 명 모두 자기에게 불리한 증언을 한다. 어느 정도 불리하느냐 하면 자기에게 죽음을 가져오는 불리한 증언이다. 죽음을 불사하는 욕망, 그것이 바로 욕망의 진실이다. 본 논문의 목적은 〈라쇼몽〉에 등장하는 모든 사람들의 욕망의 진실을 밝히는 것이다. 〈라쇼몽〉은 두 구조로 되어 있으며 그것을 반복하고 있다. 사건 현장에 세 사람(도적, 무사, 무사의 아내)이 있고, 이것에 대한 목격담을 이야기하는 세 사람(나무꾼, 승려, 행인)이 있다. 그런데 이 세 사람의 관계가 반복된다. 이것이 바로 반복강박이다. 왼쪽 역삼각형에는 도적, 무사, 아내가 있고 그 안에 단검이 있다. 오른쪽 역삼각형에는 나무꾼, 행인, 승려가 있고 그 안에 아기가 있다. 똑같은 구조다. 여기서 단검과 아기가 반복된다. 프로이트에 의하면 아기는 남근의 상징이다. 따라서 단검도 남근의 가치를 가지며 남근의 역할을 한다. 왼쪽 도적의 자리에 해당되는 오른쪽 자리에는 나무꾼이 있다. 두 사람 모두 훔친다는 공통점이 있다. 도적과 나무꾼은 단검을 중심으로 반복한다. 도적은 단검을 망각하고 나무꾼에서는 도적으로부터 빠져나간 단검이 나타난다. 왼쪽 아내의 자리는 오른쪽에서 승려의 자리가 된다. 아내와 승려의 자리는 회의하는 자리다. 무사의 자리는 행인의 자리로 이동한다. 무사와 행인의 자리는 진실의 자리로 두 사람은 일말의 진실을 드러내고 있다. 무사는 아내에 대한 증오와 사랑의 진실을 말하고 있고 행인은 스스로 자기가 추악하다는 진실을 말하고 있다. 사건 현장에 있은 세 사람에게는 중요한 증상이 나타난다. 도적에게는 가장 값비싼 단검을 가져가는 것을 잊어버리는 단검 망각과 말에서 떨어져 포졸에게 잡히는 두 가지 증상이 나타난다. 무사의 아내에서는 혼절하는 증상이 나타난다. 무사는 멜랑콜리 증상에 빠져 증오와 사랑의 양가감정을 보이면서 자살한다. 증상은 무의식으로 들어가는 핵심 실마리이다. 본 논문은 프로이트와 라캉의 정신분석 이론에 기대어 <라쇼몽>에 등장하는 사람들의 증상과 심리구조를 통해 무의식적 욕망과 그 진실을 탐구해보았다. The audience feels confused when they see 〈Rashomon〉. The reason is because they try to reveal the truth from the facts perspective. Such an attempt is meaningless psychoanalytically. The truth is irrelevant to the facts. Rather, the truth must be ignored in order to grasp the truth. The fact that the truth is irrelevant to the facts can be seen from the 〈Rashomon> that the three suspects state the same facts differently. Truth and facts are two different things. Truth is related to the intention of the talking subject, not the content of the word. Why do I testify this? That is the truth of the subject’s desire. In the film, all three suspects testify the truth of their desires, and all three give adverse testimony to themselves. Their testimony is so unfavorable that it leads them to death. The desire that does not fear death; that is the truth of desir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eal the truth of desire of every character in 〈Rashomon〉. 〈Rashomon〉 has two structures and repeats them. There are three people (a bandit, a samurai, a wife of samurai) at the scene of the crime, and there are three witnesses (a woodcutter, a monk, a commoner) who talk about their sightings. Incidentally the relationship among these three people is repeated; this is a repetitive compulsion. The bandit, the samurai and the wife form a triangle with a dagger at the center. On the other hand, there is the woodcutter, the commoner, and the monk forming another triangle with a baby at the center. These two triangles have an identical structure. Here, the dagger and baby are repeated. According to Freud, the baby is a symbol of the phallus. Therefore, the dagger also has the value of the phallus and acts as one. The woodcutter corresponds to the bandit in the other triangle and they both steal. The bandit and the woodcutter repeat around the dagger. The bandit neglects the dagger and the woodcutter discovers it. The position of the wife corresponds to the monk; it is a position of regrets. The position of the samurai matches to that of the commoner; it is the place of the truth, the subtle truth. The samurai tells the truth of hatred and love for his wife, and the commoner tells the truth that he is an awful person. The bandit shows two important symptoms. The first is to forget the most expensive dagger, ‘the dagger oblivion’, and the second is to fall down from the horse. The wife manifests syncope. The samurai succumbs to melancholy and commits suicide with ambivalent feelings of hatred and love. People’s words always contain lies and a subtle truth exists within those lies. That subtle truth is not the opposite of falsehood as it always appears together with lies. Falsehood is a condition of existence of that truth. This is why it is called the subtle truth, not because it is only partly consistent with the facts. The truth in psychoanalysis refers to the truth of desire. Desire and truth do not exist apart from each other. The truth of desire is always accompanied with falsehood, so only the subtle truth is revealed. 〈Rashomon〉 is a movie that shows the truth of such desire vividly.

      • KCI등재

        〈세브린느〉: 여성의 피학증적 환상과 사랑

        김철권(Kim, Chulkwon),임진수(Lim, Jinsoo) 한국영화학회 2021 영화연구 Vol.- No.88

        본 연구의 목적은 영화의 주인공인 세브린느의 이해되지 않는 행동, 즉 사회적으로 요조숙녀의 위치에 있는 그녀가 왜 낮 시간에 창녀로서 생활하는지를 정신분석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본 글에서는 다섯 개의 환상과 두 개의 회상을 그녀의 심리로 들어가는 실마리로 잡았다. 이해하기 힘든 행동은 무의식적 욕망으로만 설명될 수 있는데 그것은 환상 속에서 가장 잘 드러나기 때문이다. 동시에 세브린느의 말을 통해 피학증적 사랑과 창녀 생활에 대한 그녀 내면의 진실을 분석하려고 하였다. 그녀의 환상은 그녀가 피학증적 사랑을 욕망하고 있음을 잘 보여준다. 그녀는 창녀 생활을 하면 할수록 평소 멀게 느껴지던 남편과의 관계가 더 가깝게 느껴지고 남편을 더 사랑하게 된다고 고백한다. 그녀는 창녀 생활을 통해 남편인 피에르가 프로이트가 말하는 ‘상처 입은 제삼자’가 되어 자신에 대해 엄청난 의심과 질투, 분노와 공격성을 보여주기를 원한다. 그래야 자신이 원하는 피학증적 사랑을 충족시킬 수 있고 동시에 자신이 피에르의 욕망의 대상임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세브린느는 남편 피에르가 마르셀처럼 상처 입은 제삼자가 되어 매춘부에 대한 사랑처럼 격렬한 사랑을 해주기를 갈망한다. 영화의 마지막 시퀀스에서 전신마비가 되어 휠체어에 앉아있는 피에르가 위송에게서 모든 이야기를 들은 후에 눈물을 흘리고, 그 모습을 바라보는 세브린느는 미소를 짓는다. 피에르가 눈물을 흘린다는 것은 그가 상처 입은 제삼자가 되었다는 의미이고 그래서 세브린느는 미소를 짓는다. 영화의 마지막 장면은 피에르가 휠체어에서 일어서는 환상으로 끝나는데 그것은 영화의 첫 장면으로 이어진다. 영화의 첫 시퀀스에서 피에르는 세브린느와 함께 마차를 타고 가면서 “나도 과격해질 수 있어”라고 말한다. 환상 속에서 피에르가 변한 것이다. 마지막 장면에서 위송에게서 모든 것을 들은 피에르가 상처 입은 제삼자가 되면서 질투와 의심, 분노와 공격성을 일으킨다. 그래서 마부에게 세브린느를 마차에서 끌어내려 채찍으로 때리게 하고 강간하게 한다. 세브린느는 남편이 자신을 욕망하게 만들면서 동시에 자신의 피학증적 욕망도 충족시킨다. 영화는 환상 속에서 해피엔딩으로 끝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ain the incomprehensible behavior of Séverine who is the main character from a Freudian psychoanalytic perspective. It’s not easy to understand why she lives as a prostitute during the day, even though she is an elegant lady from a part of her society’s upper class. There are five fantasies and two recollections captured as clues into her psychology. Because her incomprehensible behavior can only be explained via unconscious desires they are best revealed in fantasies. Furthermore, the author attempted to analyze her inner truth of masochistic love and prostitution through her own words. She confesses that the more she lives as a prostitute, the closer and more in love she feels to her husband to whom she usually feels distant. Her fantasies show well that she has a strong desire for masochistic love. Throughout her life as a prostitute, she desires her husband Pierre to be Freud’s ‘injured third party’ and shows great doubt, jealousy, anger and aggression against her. Only then can she satisfy the masochistic love she desires, and confirm that she is the object of Pierre’s desire. Séverine longs for her husband Pierre to be an ‘injured third party’ as Marcel does and gives her intense love, such as a love for prostitutes. In the final sequence of the film, Pierre, who is paralyzed, sits in a wheelchair and shed tears after hearing the whole story from Husson. Séverine smiles at the sight of him grieving. Pierre’s tears mean he has become the ‘injured third party’. This is why Séverine smiles. The last scene of the film ends with a fantasy of Pierre standing up from his wheelchair, which leads to the first scene of the film. In the first sequence, Pierre says to Séverine as he goes in a carriage. “I can be violent, too.” In the fantasy, Pierre has changed. When Pierre hears the whole story, he becomes the ‘injured third party’. It causes him to feel jealousy and anger. That’s why he orders the horseman to pull Séverine off the wagon, whip her and rape her. Finally, Séverine makes her husband desire her and fulfills her masochistic desire at the same time. The film ends with a fantastical happy ending.

      • KCI등재

        히든: 진실의 진실에 대하여

        김철권(Kim, Chulkwon),임진수(Lim, Jinsoo) 한국영화학회 2020 영화연구 Vol.- No.85

        본 논문의 목적은 진실의 차원에서 <히든>을 분석하기 위한 것으로 조르쥬와 마지드의 개인적 진실과 감독의 영화적 진실에 초점을 맞추었다. 조르쥬는 의식적으로는 자신이 아무 잘못이 없다고 부인하지만 무의식적으로는 죄책감을 느낀다. 그래서 아내에게 마지드의 존재를 숨기고, 마지드가 자살한 후에야 비로소 어린 시절에 있었던 일을 아내에게 말한다. 그때도 돌팔이 의사, 멍청한 닭, 마지드의 탓을 대며 자신을 방어한다. 조르쥬가 죄책감을 느끼고 있다는 결정적인 증거는 어린 시절의 마지드로 추정되는 소년의 시선을 두려워하는 것이다. 입에 피를 흘리는 아이의 ‘시선’을 대면할 때 조르쥬는 깜짝 놀라고 두려워한다. 그 시선 때문에 악몽을 꾸고 잠에서 깨어난다. ‘섬뜩함’, ‘끔찍함’, ‘철렁함’은 바로 진실이 나타나는 모습이다. 조르쥬는 자신이 거짓말을 했다는 것 때문에 괴로워하는 것이 아니라 죄책감 때문에 괴로워한다. 조르쥬의 진실은 죄책감이다. 마지드는 조르쥬에 대한 엄청난 분노와 증오 때문에 자살한다. 그는 조르쥬를 불러 그의 눈앞에서 자신이 어릴 때 칼로 살아있는 닭의 목을 내리쳐 죽이는 것과 똑같은 방식으로 칼로 자신의 목을 그어 자살한다. 자신이 죽인 닭과 자신을 동일시하는 것이다. 동시에 그는 조르쥬의 목을 따고 싶은데 그렇게 할 수 없으니까 조르쥬와 동일시하여 자기 목을 따는 것이다. 혹은 어린 마지드가 도끼로 닭의 목을 칠때 그는 닭과 조르쥬를 동일시하여 조르쥬의 목을 치는 마음으로 닭의 목을 쳤을 가능성도 있다. 마지드는 닭과 동일시되고, 죽이고 싶은 조르쥬와 동일시되어 자살한다. 닭=마지드=조르쥬가 된다. 마지드는 자기를 죽임으로써 조르쥬를 죽이는 것이다. 그래서 일부러 조르쥬를 오게 해서 바로 그 앞에서 칼로 자기 목을 그어 자살하는 것이다. 마지드의 진실은 조르쥬를 죽이고 싶도록 미워하는 분노다. <히든>에서 모든 이야기는 비디오테이프를 중심으로 전개된다. 비디오테이프는 숨은(히든) 시선이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영화에서 등장하는 비디오테이프를 통해 우리는 감독이 모든 것을 조작하고 있다는 증거를 발견하게 된다. 모든 비디오테이프의 촬영 위치는 영화를 찍은 위치와 동일하고 때로는 편집되어 배달된다. 조르쥬의 친구인 피에르와 조르쥬의 부인인 안나가 만나는데 뒤에서 대머리 남자가 힐끗힐끗 그들을 보고 있다. 안나의 외도를 보고 있는 것은 미지의 인물인데 그 사실을 알고 따지는 것은 조르쥬와 안나의 아들인 피에로다. 피에로가 다니는 학교로 배달된 엽서는 누가 진실을 조작하는가를 보여주는 중요한 단서가 된다. 엽서에는 수신자가 피에로이고 ‘그의 아빠가 시켜서 피에로를 위해’라고 적혀있다. 현실에서 피에로 아버지인 조르쥬가 그런 엽서를 보낼 리는 없기 때문에 여기서 말하는 그의 아빠는 가상의 진실된 아빠다. 진실을 안다고 가정된 주체가 보낸 것이다. 마지막 장면에서도 피에로가 다니는 학교 앞에서 조르주의 아들인 피에로와 마지드의 아들이 만나 대화를 나눈다. 대화 내용이 알려지지 않고 전적으로 보여주기만 하기 때문에 여러 가지 추측을 불러일으킨다. 이런 식으로 <히든>에서는 감독만이 모든 것을 알고 있고 모든 것을 보고 있다. 감독의 편집과 카메라에 의해서 모든 것이 조작된다. 이것이 <히든>의 영화적 진실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film ‘Hidden’ in the light of truth, focusing on the personal truths of Georges and Majid and the movie director’s cinematic truth. Georges feels unconsciously guilty, although he pretends that he has done nothing wrong on a conscious level. He hides Majid’s presence from his wife and tells his wife what happened in his childhood only after Majid committed suicide. Even then, he defends himself by blaming a quack doctor, a stupid chicken and Majid. The crucial evidence that Georges feels guilty is he fears the gaze of a boy who is presumed to be Majid in his childhood. Georges is astonished and frightened when he faces the ‘gaze’ of the boy bleeding in his mouth. He suffers from nightmares and wakes from sleep because of the gaze. ‘Uncanny’, ‘horrible’ and ‘heart-sinking’ are the very appearance of truth. When the truth appears, it comes in the form of ‘scary’, ‘horrible’, and ‘heart-sinking.’ What bothers Georges is not the fact that he lied, but the guilt. Georges’ truth is the feeling of guilt. Majid kills himself because of a tremendous fury and hatred for Georges. He asks Georges to come to his house and cuts his neck with a knife in front of Georges’ eyes. In fact, the way he commits suicide is the same with the way that he killed a chicken when he was a child. He killed a live chicken by hitting it with an axe at that time. In other words, he identifies himself with the chicken he killed. It can also be said that he cut his own neck, identifying himself with Georges. It’s because he wanted to cut Georges’ neck but he couldn’t. It is highly likely that young Majid hit the neck of a chicken with an axe, as if hitting Georges in the neck. That is, he equates the chicken with Georges. Majid kills himself, being identified with the chicken and with Georges whom he wants to kill. The chicken equals Georges and Georges equals Majid. In other words, Majid kills Georges by killing himself. Majid’s truth is anger at Georges. In “Hidden”, all the stories unfold around videotapes, showing that there is a hidden gaze. It is through the videotapes that the audience can find evidence that the movie director is manipulating everything. The location of where all videotapes are taken is coincides with the position of where the film was shot. In addition, the videotapes are often delivered in edited form. The same goes for the scene in which Pierre, Georges’ friend, meets Georges’ wife, Anna. There is a bald man glancing at them from behind. It is unknown person who witnesses Anna’s extramarital affairs, and it is Pierre, the son of Anna and Georges, who is questioning her about it. The postcard delivered to Pierre’s school is a crucial clue, showing who manipulates truth in the film. The recipient column of it reads ‘Pierre’ and the sender column reads ‘For Pierre, because your father had me do it’. In reality, Georges, who is Pierre’s father would have never sent such a postcard. Therefore, what ‘his father’ means here is a fictional ‘true father’. It was sent by a subject assumed to know the truth. In the last scene, Pierre, Georges’ son, meets Majid’s son in front of the school that Pierre attends. The scene is seen from afar. It raises various speculations because the audience does not know what they are talking about. Only the director can see everything and knows everything in the film ‘Hidden’. Everything is manipulated by filming and editing by the director. This is the cinematic truth of the film ‘Hidden’.

      • KCI등재
      • KCI등재

        <아비정전>: 동 쥐앙이 된 다리 없는 새

        김철권(Kim, Chulkwon),임진수(Lim, Jinsoo) 한국영화학회 2021 영화연구 Vol.- No.89

        본 논문의 목적은 <아비정전>에 드러난 아비의 말과 행동을 근거로, 아비를 여성 유혹자인 ‘동 쥐앙’의 위치에 놓고 그의 심리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아비를 동 쥐앙으로 해석하는 근거는 다음 두 가지이다. 하나는 어머니에게 고착되어 있는 것으로 이것은 아비가 자신을 다리 없는 새라고 상상하는 것의 심리적 이유이기도 하다. 어머니에의 고착은 동 쥐앙 심리의 핵심적인 특성이다. 또 다른 하나는 여자들을 대하는 아비의 태도로 그는 여자들을 유혹한 후에 자신에게 매달리는 여자는 버리고 또 다른 여자를 찾아 나선다. 유혹과 버림은, 원초적인 아버지와 영웅적인 아버지를 자아 이상으로 삼는 동 쥐앙의 전형적인 모습이다. 아비는 자신을 다리 없는 새라고 생각하는데, 그 새는 처음부터 다리가 없었다기보다는 어머니라는 말뚝에 다리가 묶인 채 날려고 했기 때문에 다리가 뽑혀버린 것이다. 다리는 어머니라는 말뚝에 묶여 있지만 날개는 있기에 어디든 날아다닐 수는 있다. 그러나 다리가 없기에 그는 어느 여자에게도 묶일 수는 없다. 반대로 어느 여자도 아비를 잡을 수 없다. 그런 점에서 아비는 평생 어머니를 찾아 나선, 어머니에게 고착된 동 쥐앙으로 볼 수 있다. 여기서 아비가 그리워하는 어머니는 현실에서의 어머니가 아니고 영원히 상실된 대상으로서의 어머니이다. 영원히 상실된 어머니를 현실의 어머니에게 투사하는데, 처음에는 양어머니에게 투사하고 나중에는 생모에게 투사하지만 결국 그 환상이 깨어져 죽는다. 아비가 어머니에게 묶여있다면 그로부터 유혹당한 수리진과 루루는 아비에게 묶여있다. 아비가 수리진과 루루를 유혹하는 과정을 보면 그는 동 쥐앙처럼 여자의 마음을 귀신같이 간파하고 있다. 그런 점에서 아비는 여자의 마음을 낚는 사랑의 낚시꾼이자 사랑의 유혹자이며 사랑의 심리학자인 동 쥐앙이다. 동 쥐앙이 욕망하는 것은 여자가 아니라 유혹이며, 이런 유혹의 욕망은 모든 여자를 거느리는 전능한 아버지처럼 자신의 남근의 전능성을 실현하기 위한 것이다. 그래서 동 쥐앙은 자기 확신으로 가득 찬 나르시시즘으로 무장되어 있다. 아비 역시 여자에 대해 오만하고 자기확신에 차 있으며 자기애적이다. 아비는 자신의 결정에 대해 결코 의심하지 않으며, 자책이나 후회, 갈등을 하지 않는다. 아비가 보이는 이러한 나르시시즘은 동 쥐앙의 심리적 특성 중의 하나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ain Aafei’s psychology by comparing him in the position of a seducer of women to a Don Juan, based on his words and actions revealed in the film ‘Days of Being Wild.’ Aafei’s behaviors and psychology can be analyzed comparative to a classic Don Juan with regards to two rationales. The first one is that he is fixated on his mother. It is also the psychological reason why he imagines himself as a bird without legs. This fixation on his mother is the key characteristic he shares with Don Juan. The second rationale that can be compared is his attitude toward women. He seduces women and then abandons them even if they cling to him, then he leaves looking for another woman. The seduction and abandonment is a typical feature of Don Juan who has subconscious ego of a primal and a heroic father as his ideal role model. Aafei regards himself as a bird whose legs were pulled out because it tried to fly with its legs tied to a stake called his mother. Although his legs are tied to a stake, he can fly anywhere because he has wings. But he can not be tied to any other woman since his legs are tied to his mother. On the contrary, no woman can not catch Aafei. In this regard, Aafei can be seen as Don Juan who has been obsessed with his mother for life. The mother that Aafei misses here is not a mother in reality, but a mother as an object that has been lost forever. He projects a mother as a lost object onto his mother in reality. He projects it onto his stepmother at first and projects it onto his birth mother later, but finally dies when his fantasy is broken. Meanwhile, Surichen and Lulu, seduced by him, are tied to him just like Aafei who is tied to his mother. It is well demonstrated in the process of his seduction of Surichen and Lulu that he sees through women’s desires. In this regard, Aafei is similar to a Don Juan who is a pick-up artist, a seducer of women, and understands women’s psychology. It is not women but chasing women itself that Don Juan desires. This desire for chasing women is to realize the omnipotence of his phallus, just like the omnipotent father who has all the women. That’s why Don Juan is armed with narcissism full of self-confidence. Aafei is also arrogant, self-confident and narcissistic about his relationships with women. He never doubts his decisions, never blames himself, and he never regrets or has conflicts. This narcissism that he shows is one of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Don Jua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