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역사적 사건을 기억하는‘몸’의 진실성 : 다큐멘터리 영화에서 홀로코스트를 재현하는 시퀀스를 중심으로=

        임지아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8639

        Abstract Re-enactment of the Holocaust in Documentary Film with Personal Memories Name : Lim. Jia Major : Study of Cultural Contents Department : Applied Linguistics and Cultural Studies School : Graduate School of Korea University Thesis Adviser : Professor Yoo. Young-dai How can we deliver the truth of Holocaust in documentary film? This paper takes up the phenomenologist Maurice Merleau-Ponty’s idea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 and memories. He explains ‘body schema’ “Body- Schema: body diagrams are a way to express that my body is. after all. world-residential. " 《A phenomenology dictionary》 in his book Phenomenology of Perception Maurice Merleau-Ponty published it in 2012. . The body itself can contain memories of the individual as a part of its substance. Based on his theory. the regeneration of a person’s flesh is created based on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and past sensory activities and manifest themselves in the form of wrinkles and other bodily conditions. Space (Location) is another important factor of creating new flesh. Applying this theory. the body includes its environment and is important to carry new memories. I focus on trauma which is flesh and wrinkles of the body schema theory. Trauma is a kind of carving marks. It can’t be explain it with any language or interpretation in accurate way . These memories manifest themselves in the environment where they were created. In this paper I analyze five documentary films to unpack this argument. namely Shoah (1985) and The Act of Killing (2014) and rest of three movies are dealing with Comfort Women issue Broken Silence(2000). Mourning(1995). Apology(2017) and The Emperor’s Naked Army Marches On (1987). Shoah is a documentary film about the Holocaust by filming the stories of a group of individuals who suffered the genocide perpetrated by the Nazi regime and is created by the Jewish French director Claude Lanzmann Claude Lanzmann was born in Paris. At the age of eighteen. he served as a resistance fighter during World War II and was the editor of the journal Les Temps Modernes. which was led by Sartre and Maurice Merleau-Ponty. . He visited Auschwitz where the atrocities then took place with survivors to film his documentary. Shoah consists primarily of interviews. and with a running time of nine hours and thirty minuets. it is one of the longest documentary films ever created. His main approach in the documentary is the performative mode . Shoah strictly excludes archival footage. It categorizes three different perspectives of the experience of the Holocaust: the Jewish victims. bystanders. and the perpetrators. Lanzmann observes emotions in special locations. especially facial expressions and body reactions of his interviewees. He records their reactions between questioning and answers through an interpreter. It was an effort to film how their trauma was expressed without recognition. After all. Shoah is the world that allowed audiences (viewers) to experience together with survivors by relying on their senses and personal viewpoints of the historical events of the Holocaust. Joshua Oppenheimer's documentary. The Act of Killing (2014) is about the massacre of the 1965 Indonesian coup. which also encapsulates historical events in the form of performative action. The fact that the military dictatorship still exists is an extension of the circumstances in which the perpetrators won. and for the victims. there is still no difference from their current state and when the genocide occurred. In contrast to Shoah. the perpetrators are proud of their sins. so there is no effort to cover up their atrocities. Rather. the claims of the victims are delivered in a relatively passive manner. Despite these circumstances. even the perpetrators cannot hide the fact of their own guilt and participation in massacres that their bodies still remember and recall when they are interviewed. Broken Silence (1999) by Korean-American director Dae-si Kim. The Low Voices (1995) by Korea director Yong-joo Byun. and Apology (2017) are documentaries about women who had been forced into sexual slavery during World War II by the Japanese army and are known as comfort women. These three films deal with a Holocaust that is historically suppressed and still distorted by the Japanese military and interviews the remaining survivors known as ‘grandmothers’. These documentaries begin with an introduction to their existence. using for example still images of pictures or introducing one another during their interviews. The filmmaker also revisit the locations which were used a comfort centers with the grandmothers and ask them simple questions like how old they were. They focus on the grandmothers’ facial expressions and body reactions during their visit. Another important issue these documentaries raise is how these survivors contain how their memories and how they can pass them on to new generations such as family members and community people. They share their pain together and transform their painful individual memories to create a social issue. These films are the ongoing experience and understanding of holocaust in the present point of view. 본 논문은 다큐멘터리 영화에서 홀로코스트(Holocaust)를 재현할 때 진실성을 담아내는 몸의 역할을 분석하였다. ‘그 때 그 장소’에서 몸에 각인 된 트라우마(Trauma)를 통해 진실이 표현되는 장면을 모리스 메를로-퐁티(Maurice Merleau- Ponty)가 1960년대 발표한‘지각의 현상학(Phénoménologie de la Perception)’의 이론과 연관지어 연구하였다. 다큐멘터리 영화의 제작 형식에서는‘자기 반영성(Self- Reflexivity)’이 심화된‘수행적 양식’을 중심으로 하여 감독과 출연자의 주관적인 체험을 촬영한 기술적 사례를 다뤘다. ‘수행적 양식’에 따른 다큐멘터리 영화 제작의 목적은‘역사적 사건이 무엇이 문제인가?’에 대한 잘잘못을 가리는 역할에서‘흘러간 사건이 오늘날 어떠한 의미를 갖는가?’하는 현재의 시점에서 부터 문제를 출발하게 하는 발상의 전환을 가져온다. 이로써 역사적 문제는 과거의 사건으로 머무는 것이 아니라, 오늘날의 기억으로 현재화 되어 미래로 다시 촉발(觸發)하면서 과거와 현재 미래를 연결하여 새롭게 역사를 인식하게 되는 중요한 계기를 마련하고 있다. 본 연구는 역사적 사건을 기억하는 개인의 몸을 증거로 몸의 현재성에서 진실을 찾으려는 것이다. 특히 홀로코스트를 다룬 다큐멘터리 영화를 선정하여 연구한 목적은, 트라우마의 발현은 의식의 절차를 거치치 않고 나타나기에 꾸밈이나 왜곡이 없이 진실하다는 것을 전제로 홀로코스트가 가지는 특수한 상황 속에서 형성된 몸의 기억(트라우마)을 끄집어내기 위함이다. 이러한 가설에 입각하여 제2차 세계대전 중에 홀로코스트를 다룬 <쇼아(Shoah)>를 중심으로 몸을 한정하는 공간과 시간을 결정하는 현재성, 이 두 키워드를 가지고 <쇼아>의 장면 분석과 함께 인도네시아의 쿠데타(coup d’État)를 담은 <더액트오브킬링(The Act of Killing)>, 일본군 위안소에 끌려간 할머니들의 이야기를 다룬 <침묵의 소리(Broken Silence)>, <낮은 목소리(The Murmuring)>, <어폴로지(Apology)> 그리고 제2차 세계대전 중 인도네시아 뉴기니에서 벌어진 일본 군대 내의 범죄를 다룬 <가자 가자 신군 (ゆきゆき 神軍)>의 사례를 분석하였다. 1985년 클로드 란즈만(Claude Lanzmann)은 종전 30주년을 맞아 <쇼아(Shoah)>를 완성하였다. 11년에 걸쳐 당시 만행이 벌어졌던 장소와 생존자들이 살고 있는 곳을 직접 방문하여 인터뷰한 영상으로 러닝타임 9시간 30분의 작품이다. 러닝타임으로 볼 때 <쇼아>는 장편의 진수를 보여주는 색다른 방식의 영화에 속한다. ‘수행적 양식’을 택한 클로드 란즈만은 자료 화면과 사운드 입히는 등의 일체의 후반작업을 철저하게 배제하고 홀로코스트 현장에 있었던 서로 다른 관점을 가진 피해자(the victim), 방관자(the bystander) 그리고 가해자(the perpetrator)들의 각기 다른 그들의 현장 속으로 들어가 그들과 ‘그 때 그 장소’를 방문하거나, 당시를 기억해내는 인터뷰로 영화를 촬영하였다. 특히 생존자들 개인이‘그 때 그 공간’에 맞닿아 있을 때의 몸의 변화를 포착하는 과정을 필름에 담았다. 답변이 뻔한 단순한 질문의 반복을 통하여 질문과 질문 사이의 간극에서 그들의 몸이‘그 때 그 공간’에서 어떠한 표정과 반응이 나타나는지 그들의 표출하는 트라우마를 충분히 시간을 두고 관찰하며 장면을 연출 하였다. 이 과정에서 역사적 사건도 사적인 기억으로 재조명하여 객관화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증명하였다. 몸 관찰의 중요성을 이론적으로 증명하기 위해, 심신 이원론 (mind-body dualism, 心身二元論)을 주장한 데카르트(René Descartes)의 지각과 사유를 분리하는 이론 보다는 심신 일원론(mind-body monism, 心身一元論)적인 관점을 주장한 지각의 현상학자 메를로-퐁티의‘몸 스케마(Body-Schema, 신체도식) 이론’에 근거를 두었다. 본 연구에서 다루는 다큐멘터리 영화는 개인의 기억으로 출발한 홀로코스트 (Holocaust)의 재현이 사회화 되어가는 과정을 중요시 다루고 있다. 공간과 시간 속에서 그를 둘러싼 가까운 사람들에게 홀로코스트의 기억이 전달되어 사회적으로 공론화되고 역사로 자리 잡아 가는 과정을 분석하였다. 다큐멘터리 영화 안에서 경험한 사람들의 생생한 기억의 조각들은 ‘공간 속에서 공간화 하는 과정’을 거치면서 감각적 체험으로 공유되고 공감된다.

      • 특성화고 학생들의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 및 과학에 대한 태도 증진을 위한 온라인 콘텐츠 활용 수업의 개발 및 적용

        임지아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639

        특성화고 통합과학에서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 과학에 대한 태도 증진을 위한 온라인 콘텐츠 활용 수업의 개발 및 적용 임 지 아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생물교육전공 (지도교수 김 완 연)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으로 미래 인재상이 창의 융합형으로 변화하고 있는 가운데, 교육 방법의 혁신이 필요하다는 문제의식이 공유된다. 이에 유연하고 포괄적인 개 념인 온라인 콘텐츠 활용 수업을 개발 및 적용하였다. 특성화 고등학교에서는 자기 주도 학습 역량이 더욱 중요하며, 최근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수업 환경에서 이 러한 능력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또한, 과학적 소양의 함양은 21세기 세계 시민으 로의 발전과 직결되어 있어 중요하다. 특히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들은 과학에 대한 흥미가 낮고 학업 능력이 결핍된 경우가 많아 이에 대한 과학 교육 방법의 전환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특성화 고등학교 보건간호과 1학년 통합과학 ‘생명 시스템’ 단원 수업에 적용할 '온라인 콘텐츠 활용 수업'을 개발하고, 이를 통해 학생들의 과 학에 대한 태도와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한다. 나아 가 온라인 콘텐츠 활용 수업의 적용이 학생들의 능동적인 학습 참여와 과학에 대한 흥미 향상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온라인 콘텐츠 활용 수업 자료의 주제는 보건간호과 전문 교과 수업과 연관성이 있는 소단원과 실험을 선정 하여 진로 연계성을 높였다. 연구 대상에는 세종 J 특성화 고등학교 보건간호과 총 37명이 실험 집단(18명)과 통제 집단(19명)에 포함되었다. 8차시 동안 통제 집단은 서책형 교과서를 이용해 학습자 중심 수업과 모둠형 활동 수업을 진행하였고, 실험 집단은 온라인 콘텐츠 활용 수업을 이용해 자기 주도적으로 수업에 참여하였다. 온 라인 콘텐츠 활용 수업 자료 개발 도구로는 iOS 기반 기본 무료 애플리케이션인 Pages를 사용하였다. 콘텐츠의 생성 및 배포에는 구글 프레젠테이션, AR 애플리케 이션, Liveworksheets, XELF 등이 활용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모든 그림, 동영상, 온라인 콘텐츠 소스의 저작권을 명시하고 관련 규칙을 준수하였다. 자기 주도적 학 습 능력, 과학에 대한 태도 사전, 사후 검사지를 15분 동안 적용하여 통계 프로그램 을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 온라인 콘텐츠를 활용한 수업은 학습자의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과 과학에 대한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의 하위 영역 중 학습 계획 및 학습 실행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 평가 하위 영역은 유의미한 평균 점수 향상이 나타나지 않 았다. 과학에 대한 태도 하위 영역으로는 과학 관련 태도, 과학의 사회적 의미, 과 학 교과에 대한 태도, 과학적 태도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 므로 이 연구는 특성화 고등학교 과학 교육에 온라인 콘텐츠 활용 수업을 개발하여 적용함으로써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 과학에 대한 태도가 여러 선행 연구와 같이 신장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특성화 고등학생들을 위한 다양한 과 학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개발 필요성과 방향을 제시할 수 있다. 또한 개발된 온라 인 콘텐츠 활용 수업은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 과학에 대한 태도를 증진하기 위한 특성화 고등학교 학교 현장의 동아리, 방과후 수업, 정규 수업 등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간호사의 소진관련 요인 :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간호사의 소진관련 요인

        임지아 가천대학교 메디컬캠퍼스 일반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8639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간호사의 소진관련 요인 본 연구는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간호사의 소진관련 요인으로 간호 근무환경, 직무스트레스, 직무결과 즉, 간호의 질과 이직의도와 소진과의 관 련성을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2023년 2월 17일부터 2023년 3월 24일 까지 경기, 인천 소재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을 운영하는 종합병원 간호사 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최종 257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는 SPSS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고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간호근무환경은 직무요구(r=-.441, p&lt;.001), 직무자원(r=-.752, p&lt;.001)에 부(-)의 상관관계에 있고, 간호근무환경 중에서 충분한 인력과 물질적 지원, 간호관리자의 능력과 리더십·간호사에 대한 지지 순으로 직무 요구와 직무자원과 관련성이 컸다. 둘째, 개인소진과 직무요구는 유의미한 관련성(t=-2.218, p=.027)이 있었 다. 셋째, 개인소진(r=-.283, p&lt;.001), 업무소진(r=-.337, p&lt;.001), 환자관련소 진(r=-.293, p&lt;.001)은 간호의 질과 부(-)의 관련성이 있었으며, 개인소진 (r=.493, p&lt;.001), 업무소진(r=.526, p&lt;.001), 환자관련소진(r=.516, p&lt;.001)은 이직의도와 부(-)의 관련성이 있었다. 넷째,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로지스틱 회귀분석(logistic regression analysis)으로 분석하였다. 개인소진에는 임상경력(OR=0.99, 95% CI=0.98-0.99)과 직무요구가(OR=1.04, 95% CI=1.01-1.07), 업무소진에 는 임상경력(OR=0.99, 95% CI=0.98-0.99)과 간호관리자의 능력과 리더십· 간호사에 대한 지지가(OR=2.95, 95% CI=1.29-6.72), 전체 소진에는 임상경 력(OR=0.99, 95% CI=0.99-0.99)이 유의미한 영향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다섯째, 직무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다중 회귀분석 (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간호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일반간호사(β=-.175, p=.019)에 비해 책임간호사가, 간호 관리자의 능 력·리더십 ·간호사에 대한 지지(β=.148, p=.043)가 클수록 간호의 질은 좋았 으며, 환자관련 소진(β=-.207, p&lt;.001)은 간호의 질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한 결과 여성이(β=.133, p=.030) 남성 에 비해, 업무소진(β=.209, p=.013) 과 환자관련소진(β=.191, p=.013)이 클수 록 이직의도가 컸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소진 예방은 직무결과 향상에 도움이 될 것이다. 특히 환자관련 소진 예방 및 감소는 간호의 질 향상과 이직의도 감소에 기여할 것이다. * 주요어: 간호·간병통합서비스, 소진, 직무요구, 직무자원, 간호근무환경, 직무결과, 간호의 질, 이직의도

      • 한국어 교육을 위한 연결어미 연구

        임지아 동아대학교 2010 국내박사

        RANK : 248639

        한국어에서 교착어로서의 특징을 가장 잘 나타내고 있는 것이 ‘어미’이다. 모국어 화자의 경우 언어 직관에 의해 어미의 의미나 사용 제약, 환경 등을 자연스럽게 습득할 수 있다. 그러나 한국어를 모어로 사용하고 있지 않는 외국인 학습자의 경우는 ‘어미’에 대한 직관이 없기 때문에 형태적, 통사적, 의미적인 사용 환경에 대해 체계적인 교육이 필요하다. 특히 연결어미는 앞 문장과 뒤 문장을 다양한 의미관계로 이어주거나 문장의 의미를 확대시켜 주기도 하며, 비슷한 기능을 하면서 저마다의 독특한 의미를 가지기도 한다. 이와 같이 연결어미는 문법적으로 매우 다양하고 복잡한 양상을 띠고 있기 때문에 한국어 학습자나 교사 모두에게 어렵게 느껴질 수밖에 없는 분야이다. 즉 학습자의 입장에서는 비슷한 기능을 가진 연결어미의 미묘한 차이를 구별해 내기란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니며, 교사의 입장에서도 그 의미차이를 어떻게 가르쳐야 하는가가 문제가 될 수밖에 없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문법 교육의 관점에서 한국어 학습용 연결어미를 선정하고, 나아가 보다 효과적인 학습을 위해 학습용 연결어미를 사전적 주석의 형식으로 제시하였다. 먼저 학습용 연결어미의 선정은 한국어 교재와 한국어 능력 시험 문항에서 제시되고 있는 연결어미의 양상과 한국어 학습자가 인식하고 있는 연결어미의 양상, 선행 연구자들의 분석에 따른 연결어미를 바탕으로 이루어졌다. 선정된 학습용 연결어미는 총 50개로 ‘나열, 동시, 순서, 전환, 대립․대조, 이유․원인, 조건, 목적, 양보, 선택, 방법․수단, 배경’ 등의 의미로 분류하였다. 선정된 학습용 연결어미 중 사용빈도수나 오류발생률이 높은 학습용 연결어미를 사전 주석의 형식 모형으로 설명하였다. 그 중 오류발생률이 가장 높은 ‘조건’의 학습용 연결어미 ‘-(으)면, -(으)려면, -아/어야, -거든’의 수업을 실시하였다. 교수․학습 방법은 각 연결어미의 통사적, 의미적, 형태적인 특성을 사전 주석의 형식으로 문법 교수와 의사소통 교수를 병행한 PPPT모형의 수업을 학습자 중심으로 실시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실험반의 정답 률(68.6%)이 통제반의 정답 률(57.6%)보다 11% 정도 높게 나타났으며, 연결어미를 사전 주석의 형식으로 정보를 제공해 주어서 연결어미가 언제, 어떻게 사용되는지 자세하게 알게 되어 좋았다고 하였다. 한국어 학습자들이 학습자 스스로 학습용 연결어미의 용법을 정확히 알고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면 학습자들이 보다 유창하게 의사소통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학습용 연결어미의 통사, 형태, 의미적인 용법을 ‘사전’으로 제시한다면 한국어 학습자와 교사 모두에게 효과적인 지침서가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fact that Korean is an agglutinative language is best supported by endings which are attached to Korean words. Native Koreans have intuition about Korean language, so they can naturally learn meanings that the endings have and limitations and environments related to the use of the endings. But foreign learners whose native language is not Korean don't have such intuition as the native Koreans have. For the foreigners, therefore, an organized education about environments where the endings are used in morphologic, syntactic and semantic ways should be provided. Especially, ending connectives found in Korean language connect two neighboring sentences in accordance with a variety of semantic relationships or expand the meaning of sentence. The connectives are similar in function, but each of them has a unique meaning of its own. Grammatically, the ending connectives are very diverse and complicated. So they are certainly big challenge to both Korean language learners and teachers. Thus, it's quite difficult for learners to discriminate delicate differences among the meanings of ending connectives which are similar in function. And teachers may feel very confused about how to effectively teach the meanings. In this study, ending connectives were selected from the viewpoint of Korean grammar education and such connectives that could be more effective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were provided in form of annotative dictionary. The selection was made based on ending connectives that are usually found in question items of the Test of Proficiency in Korea(TOPIC), perceived by Korean language learners and already analyzed in previous studies. The selected connectives, 50 in total number,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ir meanings like enumeration, spontaneousness, sequence, transition, confrontation and contrast, reason, cause, condition, purpose, submission, choice, method and means and background. Out of the selected ending connectives, those which is relatively high in the frequency of usage or high in the rate of error in use were separately provided in form of annotative dictionary. Out of the annotations, those which means 'condition' and Korean language make errors in using are '-(eu) myeon', '-(eu) ryeomyeon', '-a/eoya' and '-geodeun'. These ending connectives were actually taught in a Korean language class that was designed by this study. Concerning the methods of teaching and learning the educational ending connectives. PPPT Technique which includes providing syntactic, semantic and morphologic characteristics of the selected endings in form of annotative dictionary and both the grammar teaching and communicative teaching of the connectives was applied to a learner-centered Korean language clas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the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to questions related to ending connectives was higher by 11% on the part of the experimental group(68.6%) than the control group(57.6%). The former group said that ending connectives provided in form of annotation were more helpful to understand when and how the endings should be used. Korean language learners would be able to fluently communicate in Korean if they accurately understand the applications of the educational ending connectives and get the skills of using them freely, And if a dictionary that shows syntactic, morphologic and semantic characteristics of the educational ending connectives, it would be a very effective material for both Korean language learners and teachers.

      • 한국어 교육용 어휘에 관한 연구

        임지아 동아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48639

        제2언어를 학습함에 있어 ‘어휘’는 출발점이자 귀착점이다. 이러한 ‘어휘’는 단순히 말을 배우기 위해서 암기만 하면 되는 것이 아니라 어떻게 사용하느냐가 중요한 문제이다. 그러므로 올바르게 어휘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어휘 교육이 필요하나 어휘 교육은 문법이나 듣기, 말하기 학습에 비하여 소홀히 다루어진 분야이다. 또한 한국어 교재에 있어서도 어휘는 문법과 문형 학습의 보조적인 부분으로 인식되어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 어휘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여 한국어 교육의 균형점을 찾고자 한다. 먼저 어휘 학습의 기초가 되는 어휘와 어휘력을 정리한 뒤 한국어 교육 과정에서 사용되는 교육용 어휘를 분석하고, 효과적인 어휘 교육을 위해 중국인 학습자의 어휘적인 특징에 따른 어휘 지도 방법을 살펴보았다. 또한 이러한 어휘를 문맥 속에서 잘 이해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의미 관계에 따른 체계적인 학습이 필요하다. 이에 의미 관계 중에서 한국어 학습자의 유의어 오용 실태를 조사하여 유의어 교육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한국어 교재에서 다루어지는 유의어를 의미적, 화용적, 통사적 측면으로 나누어 의미 차이를 명료화하고 확실하게 설명할 수 있도록 그 기준을 제시하였으며, 이를 고유어간 유의어군, 고유어와 한자어 유의어군, 한자어간 유의어군으로 나누어 목록화하였다. 실제로 제2언어 학습자들은 학습 단계가 높아질수록 어휘에 대한 학습의 양이 크게 늘어나게 되는데, 이때 학습되는 어휘는 양적인 측면은 물론 질적인 측면도 함께 고려해야 한다. 왜냐하면 초급 단계에서 어휘적인 오류는 주로 철자와 모국어 간섭에 의한 것이지만 중․고급 단계로 올라갈수록 의미적, 문체적, 연어적 오류를 많이 범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어휘적인 오류를 없애기 위해 어휘를 의미 관계에 따라 단일 어휘 내부의 의미 관계와 어휘소 사이의 의미 관계로 나누었다. 그리고 의미 관계에 따른 각각의 어휘 교수 방안을 제시하였고, 이를 현장 수업에 실시한 결과 의미 관계에 따른 수업은 초급 단계의 학습자보다 고급 단계로 넘어가는 중급 단계의 학습자들에게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이다’의 접사적 성격에 대한 연구

        임지아 忠南大學校 大學院 2020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고에서는 ‘이다’의 문법 범주를 ‘이다’의 문법적 특성을 잘 설명해 주는 접사로 보았다. 접사로서의 ‘이다’ 구문 특성을 살펴봄으로써 접사 ‘이다’는 어휘적 접사와 통사적 접사로 분류할 수 있다는 것을 확립하였다. 2장에서는 ‘이다’의 문법적 특성을 제시하면서 ‘이다’에 관한 각 가설을 검토하였다. 조사설은 ‘이다’의 의존성, 통사적 구성과 결합이 가능함, 구개음화 현상, 관형어의 수식, 문법적 의미를 갖고 있는 문제들을 설명할 수 있지만 그 외의 나머지 문제는 설명하지 못하는 약점이 있었다. 용언설은 ‘이다’가 어미와 결합하여 활용이 가능한 것과 관형어의 수식밖에 설명할 수 없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접사설은 ‘이다’의 문법적 특성을 거의 다 설명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이다’를 접사로 보는 것이 타당성이 가장 높다. 3장에서는 ‘이다’는 접사로서 선행 요소와의 결합에서 양면성을 띠고 있으므로 새로운 단어 형성에 참여하는 어휘적 접사인 ‘이다1’과 통사적 구성과 결합하는 통사적 접사인 ‘이다2’로 나누어서 상호 대립 관계를 보인 ‘이다’ 구문의 통사적 특성을 살펴보았다. ‘이다’에 선행하는 서술성 명사는 ‘이다1’과 ‘이다2’의 분류 경계성이라면 ‘다행’과 같은 명사, ‘-적’ 파생명사, 부사의 순서로 어휘적 접사 ‘이다1’과 결합할 가능성이 커질 것이며 ‘것이다’, ‘부사구나 부사절인 부사어’, 일반 명사의 순서로 통사적 접사 ‘이다2’와 결합할 가능성이 커진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리고 ‘이다’는 접사로서 실질적 의미를 가진다고 보기 어려워서 ‘이다’에 선행하는 NP1과 NP2의 의미 관계를 통해 ‘이다’ 구문의 의미적 특성을 검토하였다. NP1과 NP2 사이의 의미 관계에 따라 ‘이다’ 구문은 크게 동일지시성과 비동일지시성 특성을 드러냈다. 그 외에 담화적인 차원에서 사용하는 특수 용법인 ‘이다’ 구문은 문법적인 것과 상관없이 관용 표현 구문으로 쓰이는 경우나 담화 상황과 관련된 화용적 특성을 살펴보았다. 담화상황에 따라 비유적 의미, 주문, 확인, 반문, 설명, 요구, 알림 등 많은 간접 화행과 관련된 화용적 특성을 보일 수 있었다. This study regarded the grammatical category of ‘yi-da(be)’ as an affix illustrating the grammatical property of it and also established that ‘yi-da’ can be categorized as lexical and syntactic through examining its sentence structure properties. In the second chapter, each theory on ‘yi-da’ was reviewed by presenting its grammatical characters. The issues about the dependence of ‘yi-da’, possibility for syntactic configuration and combination, palatalization, adnominal phrase and grammatical meaningfulness can be explained with the theory of postposition but, the others are hard to be answered with the theory.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theory of predicate is confined to explaining the adnominal phrase and the utilization of ‘yi-da’ when combining with the ending. However, the almost grammatical properties of ‘yi-da’ have been explained through the theory of affix. It is the most reasonable to regard ‘yi-da’ as an affix therefore. ‘Yi-da’ as an affix shows the double-sidedness when combining with the preceding element. So, in the third chapter, the syntactic character of ‘yi-da’ sentence structure which has the mutual opposition of ‘yi-da 1’ participating in the new term formation as a lexical affix and ‘yi-da 2’ combining with the syntactic structure as a syntactic affix has been elaborated. When the predicate noun preceding ‘yi-da’ reveals the classification scope between ‘yi-da 1’ and ‘yi-da 2’, the combination possibility to ‘yi-da 1’ in order of the noun such as ‘luck’, derivation ‘-geok’ and adverb and to ‘yi-da 2’ in order of the ‘gut-yida(will)’, adverb in adverbial clause and phrase and general term would increase. And through the semantic relation between NP1 and NP2 which precede ‘yi-da’, the semantic feature of ‘yi-da’ sentence structure has been discussed because ‘yi-da’ as an affix is hardly considered to have a material sense. ‘Yi-da’ has been revealed to have a coregerentiality and the opposite one largely depending on the semantic relation between NP1 and NP2. Besides, for a special usage of ‘yi-da’ structure in a discourse level, the pragmatic character related to the discourse situation and an idiomatic expression case regardless of the grammatical character have been discussed. The pragmatic properties connected to the indirect speech act including figurative meaning, order, confirmation, cross-question, explanation, requirement and notification can be expressed according to the discourse situation.

      • 메리 스크랜턴과 그 영향을 받은 여성지도자 연구

        임지아 협성대학교 신학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39

        제1절 요약 본 연구에서는 초기 한국 감리교 여성 선교사인 메리 스크랜턴의 생애와 선교활동 및 그의 영향을 받은 여성 지도자들을 살펴보았다. 1884년 미감리회 해외여선교회에서 한국으로 파송 받은 메리 스크랜턴은 남성중심의 사회에서 억압 받고 있는 한국 여성들을 인식하여 “여성이 여성에게 복음을 전한다.”는 선교이념으로 억압의 굴레에서 벗어 날 수 있는 것은 기독교의 복음을 바탕으로 한 여성 교육임을 깨닫고 이화학당을 설립하게 된다. 초기에는 버려진 아이나 가난한 아이, 또는 비천한 신분의 아이들이 왔으나 교육을 통해 남자와 동등 됨을 가르침으로 한국 사회와 한국 교회의 진출 가능성을 넓혀주었다. 자발적인 여성 교회를 통해 여성들만의 공간을 만들어 마음의 평안과 활발한 활동을 이룰 수 있었다. 1차 선교기간이 끝난 후 휴가를 마치고 온 메리 스크랜턴은 순회 전도를 통해 이화학당뿐만이 아니라 동대문, 상동, 지방을 순회하며 복음전도에 힘썼다. 또한 믿음의 기초를 단단하게 하기 위해 교육했던 것이 부인성서학원으로까지 발전하였고 나중에는 협성여자신학교로 발전되었다. 1989년에는 고령의 나이에도 불구하고 지방 선교활동을 하며 지방의 여성들의 계몽까지도 노력하였다. 그리하여 덕고개, 무지내, 수원, 장지내까지 여학교를 설립하는 열정을 보여 주었다. 메리 스크랜턴의 영향을 받은 여성 지도자들은 이경숙, 여메례, 박에스더, 백헬렌, 하란사가 있다. 먼저 이경숙 부인은 메리 스크랜턴의 후임인 피어스와 함께 달성교회당 여성사역을 맡았고 나아가 수원종로교회 여선교회사업과 교회에서 설립한 삼일 여학교의 교육사업을 관장하였다. 여메례는 여성병원 보구여관에서 홀 부인의 조수로 일하게 되면서 간호사 겸 전도부인으로 근무하게 되었다. 또한 보호여회를 설립하여 감리교여성이 만든 최초의 선교단체로 여성선교의 길이 열려 졌다. 그리고 이화학당 안에 학생 자치단체인 “러빙 소사이어티(loving society) 모임을 만들어 신앙 훈련을 이끌었다. 박에스더는 보구여관에서 셔우드와 같이 일한 그녀는 셔우드의 헌신적인 모습을 통해 의료의 꿈을 키워나가기 시작했다. 그리하여 1900년 6월 볼티모어 여자의과대학에서 의학박사 학위를 받고 한국인 최초 여성의사가 되었다. 백헬렌은 메리 스크랜턴과 피얼스 밑에서 전도교육을 받게 되면서 공식적으로 3년 동안 전도부인으로 활동하였다. 메리 스크랜턴은 제물포에 많은 사람들을 구원하기 위해 백부인을 파송하였다. 하란사는 메리 스크랜턴을 도와 정동예배당 건설에 애썼고, 거기서 영어 여자반을 열어 훗날 교육사업에 장구한 기간 봉사한바 있는 신 알버트 손메례, 양우르더등을 가르쳐 길러내었다. 메리 스크랜턴은 교육사업과 복음전도사업 둘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지 않고 한국 여성들의 해방과 계몽을 위해 평생을 노력하였고 한국 여성들의 잠들어 있는 의식을 깨워주었다. [ Abstract ] This is a study of Mary Fletcher Scranton (M. F. Scranton) who was a Methodist Episcopal Church missionary. This study mainly discusses her life, missionary activities and Korean women leaders who were affected by M. F. Scranton. M. F. Scranton was appointed to the first female missionary in Korea by the Woman's Foreign Missionary Society (WFMS) in 1884. And she witnessed the suppression of Korean women in a male-dominated society. She founded "Ehwa Hakdang(Ewha Girls School)" on a Missionary ideology "Evangelization of women by women". Because she believed that women education based on the Gospel would be able to set them free. In the early days, students of "Ehwa Hakdang" were orphans or children of lower class. She taught Korean that all people are equal in the eyes of God, so she helped Korea and the church in Korea to have great growth potential. She also organized the voluntary church for women. With this, she was able to achieve peace of mind and be active in the women-only space. M. F. Scranton had a little vacation after the first mission period. Then she began an evangelism tour to Dongdaemun, Sang-dong and rural area. She set up a bible school for women through great sacrifices to support religious education. It was the predecessor of "Methodist Hyupsung Women's Theological University". In 1889, despite of her advanced age, she never stopped doing missionary work and educating women in rural area. As a result, several schools for girls were established in Deok Gogae, Mujinae, Suwon and Jangji-ri. One of her major achievements was training young women leaders. Gyungsuk Drusilla Lee, Mary Yeo, Esther Park, Helen Baek, Nansy Ha are those leaders. Gyungsuk Drusilla Lee assumed responsibility for the women's missionary activities with N. M. Pierce, a successor to Mary F. Scranton, in Tal-Syeng Methodist Episcopal Church. In Suwon, she was in charge of service in women's missionary society of Suwon Jongro Methodist Church including educational work of Samil Girl's School which was established by the Church. As a nurse and a bible woman, Mary Yeo helped R. S. Hall in her work for "PoKuNyoKwan(The Lillian Harris Memorial Hospital)". It was the first women's hospital and located in Jung-dong Seoul. And she established an organization named "PoHoYeoHoe", that was ​​the first missionary organization made by a laity. "PoHoYeoHoe" was very helpful for women's missionary activities. She also made an independent student organization, "Loving Society", and trained younger students to be religious. Esther Park was the woman who helped R. Sherwood, a medical missionary of "PoKuNyoKwan". While working together, she began to dream of being a doctor through Sherwood's dedication. She finally received a medical degree in June 1900 from The Woman’s Medical College of Baltimore. She was the first female doctor in Korea. Helen Baek worked as a bible woman for 3 years after she studied bible under M. F. Scranton and Pierce. She did so many things to save the people in Jemulpo, following M. F. Scranton's wishes. Nansy Ha and M. F. Scranton tried to build the Jung-dong chapel. When the chapel was established, she started to teach women english. All of Albert Shin, Mary Son and Rohoda Yang are her students, and they devoted their life to educational work. M. F. Scranton devoted herself to both of an educational work and a missionary work. She dedicated her whole life to the women's liberation and the education. Thus she helped Korean women to have strong self-esteem and the courage to try new thing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