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녀가 여성근로자의 임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분석

        임정준(Ihm Jungjoon) 한국여성학회 2010 한국여성학 Vol.26 No.2

        1990년대부터 미국과 유럽에서는 패널자료를 이용하여 자녀 유무가 여성근로자의 임금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하기 위한 모형을 설정하고 정책상의 함의를 모색하려는 노력이 전개되었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노동시장에서 자녀가 여성근로자의 임금에 미치는 영향이 존재하는지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의 노동시장에서 자녀가 여성근로자의 임금에 미치는 불이익(motherhood penalty 혹은 family gap)이 존재하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 자료는 다년간 축적된 노동패널자료(2001-2005)를 사용하였으며 선택편의와 관찰되지 않는 개인의 고유한 특성을 통제하기 위해 각각 HECKIT 모형과 고정효과 모형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6세 미만의 자녀가 있는 여성의 임금은 2% 정도 감소하였으며, 6세 이상 18세 미만의 자녀가 있는 여성에게는 약 8%의 임금 하락 효과가 나타났다. 자녀가 있는 여성근로자의 임금 불이익 원인으로는 경력단절로 인한 생산성 감소 외에도 저임금 비정규직의 위치, 업무와 승진 차별 경험을 추론할 수 있다. 이런 맥락에서 정부와 기업차원의 제도적 개선책이 요구된다. By way of using panel data and models, different approaches have been made to explain motherhood penalty and present its policy implications in Europe and USA since 1990s. However, such study was not conducted in the Korean labor market. For this reason, the study empirically analyzed the effect of children on their working mothers' pay. Based upon 2001 through 2005 KLIPS data set, Heckit model and fixed effect one were introduced to resolve sample selection and individual heterogeneity. The result is that, as for working mothers with children under six, there was 2% wage penalty, while those with children under six to eighteen suffered from 8% wage penalty, compared to childless female workers. It could be inferred that such motherhood penalty comes from low productivity due to child bearing and chid care as well as discrimination of employers. It is urgent that the practical measures from both government and individual work places such as maternity leave should be designed to encourage working mothers to promote their productivity at work.

      • KCI등재
      • KCI등재

        여성의 교육수준과 직종에 따른 임금차별에 대한 실증분석

        임정준(Ihm Jungjoon) 한국여성학회 2010 한국여성학 Vol.26 No.4

        본 연구는 여성의 경제활동이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음에도 노동시장에서 여전히 존재하는 성별 임금격차를 교육수준과 직종별로 접근하여 여성의 사회경제적 지위 향상에 걸림돌이 되는 임금차별을 계량적으로 분석하였다. 전통적으로 임금격차를 생산성의 차이로 설명하는 인적자본이론과 달리, 동일한 인적자본을 축적했음에도 불구하고 부당하게 차별받는 여성의 노동임금을 조명하기 위해 베커(1971)의 차별이론을 근거로 임금차별의 크기를 남성프리미엄과 여성페널티로 분해하여 추정하였다. 특히, 노동시장 참가에 따른 여성개인의 자기선택과 교육변수의 내생성 문제를 고려하여 헤크만 추정법과 도구변수 모형을 사용하여 해결하고자 하였다. 분석자료는 노동패널자료(1998-2005)를 사용하였으며 교육수준 및 직종에 따른 임금차별의 크기를 추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추정 결과, 여성의 교육수준이 높고 전문직에 종사할수록 남녀 임금격차 중에서 차지하는 차별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가장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선택편의와 내생성을 고려한 추정 결과를 종합해보면, 전체적으로 여성페널티가 개선되지 않고 남성프리미엄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우리나라 노동시장에서 성차별이 고착화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직종별로는 최근 여성노동자의 진입이 확대되고 있는 서비스업의 임금차별 개선효과가 입증됨으로써 향후 사회서비스 분야를 중심으로 양질의 여성일자리 창출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해주었다. As the wage gap between male and female workers in the Korean labor market has increasingly widened, the study attempted to empirically analyze the main factors by the way of decomposing such gender wage differentials. Compared with human capital theory, Becker's discrimination theory efficiently helps to understand why female workers experience wage differentials in the market. For this reason, the study employed decomposing wage differentials introduced by Oaxaca & Ransom(1994), making it possible to estimate the ratio of men's premium and women's penalty to productivity. In addition, sample selection and endogeneity problems were considered in terms of selection and ability bias. It was found that the lower educational level for women, the more increasing the ratio of discrimination in wage. Through using KLIPS, the wage discrimination ratio of highly educated female workers became smaller; vice versa for lower educated female workers. In particular, controlled for sample selection, the ratio of discrimination tended to rise on a large scale. The implication is that the government should pay more attention to the supply side of female labor force as well as its demand side.

      • KCI등재

        여성고등교육이 청년층 여성의 기대수익변화에 미치는 영향 분석

        백일우(Paik Ilwoo),임정준(Ihm Jungjoon)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08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17 No.1

          본 연구는 2006년 청년패널자료를 사용하여 최근 급증하는 청년층 여성고등교육이 기대수익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교육훈련을 통한 생산성 향상으로 소득의 증가를 설명하는 인적자본이론과 이와 반대로 직업의 특성으로 인해 소득의 향상이 가능하다는 직무경쟁이론을 바탕으로 성별ㆍ전공별 교육투자수익률을 비교하였다. 이를 위해 Mincer(1974)의 소득함수를 사용하였으며 표본선택편의를 고려하여 Heckman(1979) 2단계 추정법으로 측정하였다.<BR>  교육투자수익률 분석 결과, 청년층 여성의 경우 남성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여성의 경우 학력간 임금격차가 남성에 비해 더 크게 확대됨에 따라 고학력여성노동자일수록 임금프리미엄이 커지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추정결과를 토대로 최근 청년층 여성의 고학력화가 인적자본으로 노동시장에 반영되어 기대수익변화에 직접적인 영향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전공별 투자수익률을 분석한 결과에서는 전문성을 요구하는 의학계열과 사범계열의 수익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여성의 고학력화와 전문직의 진출확대가 상호영향을 주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This study is designed to empirically analyze the effect of young women"s higher education on expected earning change on the basis of 2006 Youth Panel(YP). In order to compare rates of return to education in terms of gender and major, the study employs both human capital theory, where formal education increases the productive skills and enhances earnings, and job competition theory in which wages are predominantly determined by characteristics of the job. Mincerian wage equation is applied and Heckit method is adopted to correct sample selection bias.<BR>  The result shows that women"s rate of return to education is higher than those of men. A large wage difference in educational level indicates that the more educated women are, the larger income premium is. It is assumed that women"s education has a direct effect on the expected earnings in the way their human capital is put into the labor market. The high rates of return to medical and teaching major also prove a mutual interaction between women"s higher education and their active participation in professional jobs.

      • KCI등재

        여성고등교육이 성별 임금격차에 미치는 효과 분석

        백일우(Paik, Ilwoo),임정준(Ihm, Jungjoon)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09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18 No.1

        본 연구는 여성교육수준이 괄목할 만큼 급성장하여 정규학교교육에서 성별격차가 거의 사라짐에 따라 여성고등교육이 노동소득에 미치는 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우선 고등교육투자를 통해 여성 개인의 생산성과 소득의 증가를 가져오는 인적자본 효과를 추정하고 더불어 교육수준이 높아질수록 차별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감소하는 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분석 자료는 2005년 노동패널자료를 사용하였으며 표본선택편의를 조정하기 위해 Heckman(1979) 2단계 추정방법으로 임금함수를 추정한 후 Oaxaca & Ransom(1994)의 성별 임금격차분해를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분석 결과, 여성의 경우 노동시장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의 특성인 IMR(Inverse Mill‘s Ratio)이 유의미한 양(+)의 값을 나타냄에 따라 선택편의가 존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교육투자의 직접적인 효과를 보여주는 평균기대수익률에서는 여성이 남성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나 여성고등교육의 인적자본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성별 임금격차를 분해한 결과, 여성의 교육수준이 높아지고 전문직에 종사할수록 차별의 크기를 반영하는 잔여임금격차가 감소함으로써 고등교육이 임금격차에 미치는 차별감소(anti-discrimination) 효과를 보여주었다. The study empirically analyzed the effect of higher education for women on their labor income as the educational level for women is almost converging on that for men in terms of formal education. For this reason, the rate of return to schooling for women was estimated to prove human capital effect; it was also tested whether the more highly educated women, the lesser the size of discrimination in the labor market. Based upon 2005 KLIPS data set, Heckman(1979) two step method was used to correct the sample selection and Oaxaca & Ransom(1994) decomposition model was applied to analyze gender wage differentials. The result is that IMR is significantly positive, indicating there is selection bias in the labor market. The average return to schooling for women is found to be higher than that for men, supporting the human capital effect of higher education for women. It is assumed that higher education for women has an anti-discrimination effect on their labor income since the more educated and engaged in professional jobs, the smaller the size of unexplained part in the wage decomposition.

      • KCI등재

        치과병원 원내생 진료실을 경험한 환자에 대한 질적 연구

        김용관(Yonggwan Kim),김근호(Keunho Kim),강은희(Eunhee Kang),설양조(Yang-Jo Seol),박신영(Shin-Young Park),임정준(Jungjoon Ihm) 대한치과의사협회 2023 대한치과의사협회지 Vol.61 No.6

        Although the predoctoral treatment center is crucial for the training of dentists, they often face the chronic issue of limited patient supply. To address this problem, various measures have been proposed. This study employs grounded theory to examine qualitative data and aims to activate the predoctoral treatment center by targeting patients who have undergone treatment by predoctoral students. Specifically, the study seeks to identify how patients who received treatment by predoctoral students initially sought treatment, their positive and negative experiences during treatment, and the factors that either hindered or facilitated the predoctoral treatment center.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provides implications for revitalizing the predoctoral treatment center and suggests potential areas for future resea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