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초등학생과 예비교사의 자료 해석 특징

        임재근 ( Jae Keun Lim ),조선희 ( Sun Hee Cho ),앙일호 ( Ii Ho Yang ) 한국교원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1 청람과학교육연구논총 Vol.17 No.1

        이 연구는 과학 수업에서 자주 학생들이 접하는 자료해석의 과정에 대하여 인지적 발달의 단계가 다르다고 판단되는 초등학생과 대학생의 과학적 자료 해석을 비교 분석하여 그 특정을 조사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초등학생 10명, 예비 교사 5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동의한 피험자 들이며, 연구의 방법은 사전연구를 통 해서 과제를 개발하였으며, 이를 피험자들에게 투입하였으며, 연구자는 관찰, 녹화, 인터뷰를 통해 다양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 초등학생과 대학생의 자료 해석 활동에서 변인 인식, 계 산, 표지의 사용, 자료의 정리 등이 관찰되었으며, 일부 대학생은 자료 해석에 그래프를 이용하였다. 초등학생 중 몇몇 은 변인과 자료의 순서가 일반적이지 않은 자료에서 관련된 주요 변인을 확 인하는데 어려움을 나타냈으며 이들의 자료 해석 결과는 성공적이지 못했다. 변인 인식에서 초등학생이 보여준 기능적 고착과는 달리, 대학생들은 풍부한 경 험을 바탕으로 문제의 핵심 측면을 표상 하여, 자료 해석을 성공적으로 수행하였다. 이에 대한 교육적 함의를 논의했다. Developing student``s ability to interpret the vast amount of quantitative data has become a major task for today``s educato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elementary school and preservice teachers`` interpreting data. To catch a immense variety on interpreting data used. Participants for this study were ten elementary students who can use integrated process skills and five university students as an adult. To collect data for analyzing students`` interpreting data, the researcher observed and recorded elementary school and preservice teachers. The protocol to analyze the result was established from recorded data and the students`` note.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it used their learning strategies such as a mathematical operations, use of mark, use of prior knowledge, reordering data on student``s interpreting data. Some of university students used graphs to interpret data. But, as while adult learners use visualization strategies, children failed to interpret data. In contrast with elementary school students, university students successfully interpreted same data. Because of their abundant prior experience about process skill and domain specific knowledge, they could make representation of the core of data. Finally, it is suggested that student need to be exposed more opportunities to interpret data with a variety of nature, and to catch the core of date.

      • KCI등재

        김발형 초음파 이동음원 추적센서 개발을 위한 의사최적 도래각 추정기법

        한슬기(Seul-Ki Han),이혜경(Hye-Kyung Lee),나원상(Won-Sang Ra),박진배(Jin Bae Park),임재일(Jae-II Lim) 대한전기학회 2012 전기학회논문지 Vol.61 No.2

        In this paper, a practical quasi-optimal DOA(direction of arrival) estimator is proposed in order to develop a one-axis gimbaled ultrasonic source tracker for mobile robot applications. With help of the gimbal structure, the ultrasonic moving source tracking problem can be simply reduced to the DOA estimation. The DOA estimation is known as one of the representative long-pending nonlinear filtering problems, but the conventional nonlinear filters might be restrictive in many actual situations because it cannot guarantee the reliable performance due to the use of nonlinear signal model. This motivates us to reformulate the DOA estimation problem in the linear robust state estimation setting.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received ultrasonic signals are noisy sinusoids satisfying linear prediction property, a linear uncertain measurement model is newly derived. To avoid the DOA estimation performance degradation caused by the stochastic parameter uncertainty contained in the linear measurement model, the recently developed NCRKF (non-conservative robust Kalman filter) scheme [1] is utilized. The proposed linear DOA estimator provides excellent DOA estimation performance and it is suitable for real-time implementation for its linear recursive filter structure. The effectiveness of the suggested DOA estimation scheme is demonstrated through simulations and experiments.

      • KCI등재후보

        영역 특수적인 입장에서의 과학적 창의성에 대한 정의, 구성요인에 대한 탐색

        임성만,양일호,임재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09 科學敎育硏究誌 Vol.33 No.1

        본 연구는 창의성의 영역 특수적인 입장에서 과학적 창의성을 다룬 논문들을 내러티브 리뷰의 방법을 사용하여 탐색한 것이다. 창의성을 바라보는 2가지 입장 중에서 한 가지인 영역 특수적인 입장은 창의성에 대해 “그 아동이 얼마나 창의적인가?”라는 창의성의 일반적인 입장에서 “그 아동은 어느 영역에서 창의적인가”라는 영역 특수적인 접근방법으로 창의성을 바라보는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과학을 바라보았을 때, 과학적 창의성은 어떻게 정의될 수 있으며, 또 어떤 구성 요인들로 이루어졌는가를 탐색해 본 연구이다. 과학적 창의성 관련 논문들에 대한 리뷰를 통해 본 연구는 과학적 창의성은 과학적인 지식을 바탕으로 논리적이고 분석적인 사고를 통해 새롭고 적절한 것을 찾아내는 능력으로 정의할 수 있었으며, 과학적 창의성의 구성 요인은 정의적, 인지적, 환경적 요인으로 나눠 살펴본 결과, 영역 특수적인 관점에서 가장 두드러지게 차이를 보이는 과학적 창의성의 인지적 요인은 과학 관련 지식, 과학 탐구과정, 문제 발견력, 문제 해결력 등으로 구성되어짐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과학적 창의성에 대한 논의는 보다 과학적 창의성에 대한 실증적인 연구에 대한 좋은 길잡이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a domain-specificity of the scientific creativity and the component of scientific creativity. Conducted from theoretical study, this study suggests that a domain-specific view of creativity offers a more useful and constructive components of scientific creativity based on the literature associated with the component of scientific creativity. Scientific creativity has a domain-specific component and so there is need to distinguish scientific creativity from creativity in general. As a result, scientific creativity is different from other creativity it is concerned with scientific knowledge, science process skill, creative scientific problem finding and solving and so on. And since scientific creativity is a kind of ability, it is possible to improve through a scientific creativity progra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