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소방연구개발 성공적 수행을 위한 중요도-성취도 분석

        임유리(You Ri Lim),한동훈(Dong Hun Han) 한국화재소방학회 2021 한국화재소방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1 No.추계

        2021년 ‘국가연구개발혁신법’이 시행되면서 연구자 중심의 환경 조성 및 자율성이 확대되고 있다. 행정부담은 줄이면서 연구개발의 투자효율을 높이는 방안을 마련하는 등 국가가 적극적으로 지원하는 추세다. 본 연구는 현시점에서 정부 지원 추세에 맞춰 소방청 소관 연구개발사업을 수행한 연구자를 대상으로 기획/수행/성과 측면에서의 만족도를 조사하여 성공적인 연구 수행을 위해 인지하고 있는 중요도와 성취도를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자료수집을 위하여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과제기획, 과제수행, 성과활용⋅확산 등 3개 요인에서 각각 6개 문항씩 총 18개 문항으로 구성하였으며 설문 문항에 대한 응답은 7점 리커트 척도(Likert scale)를 사용하였다. 분석은 경영이나 마케팅 분야에서 전략을 수립하기 위해 자주 사용하는 IPA 기법을 활용하였다. 만족도 조사에 응답한 72명 연구자의 설문지를 분석한 결과, 중요도 평균값 5.68, 성취도 평균값 5.23으로 중심선이 구분되었다. 1사분면에서는 중요도와 성취도가 모두 높게 나타나는 영역으로, 과제기획 요인의 ‘소방서비스 수준’, ‘소방현장 의견 반영’, ‘연구자의 전문지식 보유’와 과제수행 요인인 ‘평가 시 전문적 의견 제시’ 등 4개 문항이 포함되었다. 2사분면은 가장 집중적으로 개선해야 할 속성이 포함되어 중요도보다 성취도가 낮게 나타나는 영역으로 과제수행 요인에서 ‘전담기관의 지원’과 성과활용⋅확산 요인의 ‘연구지식정보 축적/관리/활용’, ‘성과 홍보’ 총 3개 문항이 포함되었다. 3사분면에는 현재 이상의 노력은 불필요한 영역으로 과제수행요인의 ‘국가 인프라 활용’, ‘연구의 자율성’, ‘연구 외 행정업무’와 성과활용⋅확산 요인의 ‘성과 교류 활동’, ‘성과물 활용⋅확산 지원’, ‘후속 연구과제 시행’, ‘주기적 성과관리’ 등 7개 문항이 포함되었다. 마지막으로 4사분면은 추가적인 노력의 필요성이 낮은 영역으로 과제기획 요인에서 ‘연구과제 목표 수준’, ‘연구과제 예산 수준’, ‘연구 기간’ 및 과제수행 요인에서 ‘과제수행 정보제공 수준’ 등 4개 문항이 포함되어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중요도와 성취도가 높은 성공적 연구 수행을 위해서는 4분면 중 중요도보다 성취도가 낮은 2사분면에 포함된 문항들을 중점적으로 개선하여 성취도를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담기관의 지원’을 높이고, ‘연구지식정보 축적/관리/활용’과 ‘연구성과 홍보’에 더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본 연구 결과는 연구자를 지원하는 운영전략을 마련하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비화재보 시나리오 기반 일산화탄소 센서 감지 실효성 분석

        임유리(You Ri Lim),신영민(Young Min Shin),김봉준(Bong Jun Kim),김황진(Hwang Jin Kim) 한국화재소방학회 2022 한국화재소방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2 No.춘계

        연기감지기는 열감지기보다 상대적으로 조기에 화재를 감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감지 특성상 화재시 발생하는 연기 이외에도 생활 먼지, 수증기, 조리 시 발생하는 연기에도 반응하고 특히 습도가 높은 장마철이나 건축물 내⋅외부 결로가 발생하는 겨울철에도 많이 발생하는 등 환경적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이로 인한 비화재보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특히 공동주택, 숙박시설, 의료시설 등의 거실에 연기감지기를 필수로 설치(’15.5.)하도록 화재안전기준이 강화되면서 공동주택에서 가장 많은 비화재보가 발생하고 있으며 이로 인한 빈번한 오인출동은 소방력의 손실로 이어지고 있다. 미국을 비롯한 해외에서도 이와 같은 문제가 발생하여 UL 268(Smoke Detectors for Fire Alarm Systems, 7th Edition)에서는 연기감지기 형식승인 기준을 강화하여 화재연기와 조리 시 발생하는 연기를 구분하는 시험 기준을 도입(’20.05)하여 시행 중이고 NFPA 72(National Fire Alarm and Signaling Code)에서는 화재 연기와 일상에서 발생하는 연기의 구분이 가능한 연기감지기 성능 기준을 도입하여 시행할 예정이다. 또한 여러 감지기 제조업체에서는 연기감지기의 비화재보 발생을 저감하기 위해 일산화탄소 센서 등 여러 교차 감지 센서를 도입하여 개발 중이다. 본 연구에서는 주거 환경에서 발생하는 대표적인 비화재보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연기감지기와 일산화탄소 센서의 동작 특성을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주거 시설과 유사한 시험장을 구축하여 총 4개의 연기감지기와 일산화탄소 분석기를 천장에 부착하여 실험하였으며, 인덕션과 버너를 이용하여 국을 조리하는 상황, 프라이팬에 음식을 조리하는 상황, 전기주전자로 물을 끓여 수증기가 발생하는 상황 등 실제 비화재보가 발생하는 상황을 모사하여 연기감지기와 일산화탄소 농도 변화를 관측하였다. 실험 결과 모든 조건에서 연기감지기는 동작하였으며, 버너를 활용한 두 가지 실험조건에서는 일산화탄소가 소량(4~20) ppm 검출되었다. 일산화탄소 센서의 비화재보 개선 효과에 관한 연구는 이미 여러 분야에서 진행되고 있지만, 제도적으로 감지 효과를 인정받기 위해서는 다양한 화재 조건과 비화재 조건에서의 일산화탄소 감지 농도 데이터를 확보하고 실제 화재 조건에서 일산화탄소 농도가 어느 정도 발생할 때 명확하게 화재로 인식하여야 할지에 대한 추가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 소방대원 시야 개선 장비 개발을 위한 영상처리 기술 화재현장 적용성 분석

        신영민(Young Min Shin),임유리(You Ri Lim),김황진(Hwang Jin Kim),강동구(Dong Goo Kang) 한국화재소방학회 2022 한국화재소방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2 No.춘계

        화재로 인한 인명피해 및 재산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신속하고 정확한 화재진압이 필요하다. 그러나 복잡한 현장에서 소방대원의 시야가 확보되지 않으면 정확한 판단을 하는 데 한계가 있으므로, 소방대원의 시인성을 개선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소방대원의 원활한 대응 활동을 위한 영상기반 시야 개선 장비 개발을 목적으로, 한국전기연구원이 보유하고 있는 영상처리 기술을 다양한 파장대의 영상에 적용하여 화재현장 적용성을 분석하였다. 화재현장 적용성 분석을 위해 연소실험과 실화재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영상처리 기술은 가시광(VIS, Visible light), 근적외선(NIR, Near infrared), 장파장 적외선(LWIR, Long-wave infrared) 대역의 영상에 적용하는 방법으로 기술을 고도화하였다. 연소실험은 길이 6m, 폭 3m, 높이 2.5m로 구획된 공간에서 진행하였다. 그 결과, 가시광대역의 영상보다는 근적외선, 장파장 적외선 대역의 영상에 영상처리 기술을 적용하였을 때 시야 개선에 효과적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화재 현장과 유사한 짙은 연기 상황에서의 영상처리 기술 효과성을 검토하기 위해 실물화재 실험을 진행한 결과, 검은 연기에 대해서는 장파장 적외선 대역의 영상에서 영상정보가 존재하여 영상처리 기술 적용 시 시야개선에 더욱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진행한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영상처리 기술의 실효성 검토, 향후 장비 개발 방향 설정을 위해 다수의 소방대원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영상처리 기술을 적용한 시야 개선장비를 개발할 경우, 사물의 위치와 형태 등이 파악 가능하여 소방대원의 시인성 개선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향후 시야 개선 장비를 개발할 때 중점적으로 고려해야 하는 부분은 소형화, 경량화, 내구성, 휴대성, 편리성으로 도출되었으며, 주로 기존에 사용하는 장비에 부착하는 형태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시야 개선을 위한 장치 개발 연구를 지속 추진하여 연기로 가득 찬 위험한 화재현장에서 소방대원의 가시거리를 확보하여 안전하고 효율적인 소방활동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 KCI등재

        연기감지기 한계점 보완 방법에 관한 연구

        신영민(Young Min Shin),임유리(You Ri Lim),김봉준(Bong Jun Kim),한동훈(Dong-Hun Han) 한국방재학회 2023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23 No.6

        잦은 비화재경보를 발하는 연기감지기의 한계점 보완하고자 일산화탄소 센서를 적용하여 UL 268 화재⋅비화재 실험 기준에서의 일산화탄소 반응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는 화재 초기 불완전 연소 시 발생하는 연기에 일산화탄소가 다량 함유되어 있는 반면에 수증기, 먼지 등으로 인한 비화재보를 발생하는 환경에서는 상대적으로 일산화탄소 농도가 낮은 특성을 고려한 것이다. 또한, 기존 건축물에 설치되어 있는 연기감지기와 연동 가능성을 분석하고자 다양한 제조사별 일반 연기감지기와 아날로그식 연기감지기의 반응 특성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연기감지기는 제조사 구분 없이 유사한 반응 특성을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자체 제작한 일산화탄소 교차 감지 모듈을 포함한 일산화탄소 센서는 측정 위치나 방식에 따라 측정값이 상이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화재경보 구분을 위해 일산화탄소 센서를 사용하는 것은 효과적이나 센서의 반응 특성을 고려하여 화재 및 비화재경보를 구분하기 위한 적정 감지농도 기준 정립을 위해서는 다양한 화재⋅비화재 조건에서의 실험 결과를 통해 도출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To compensate for the limitations of smoke detectors that frequently emit non-fire alarms, we investigated the carbon-monoxide detection characteristics of smoke detectors using UL 268 fire and non-fire test standards. Large amounts of carbon monoxide were generated during incomplete combustion at the beginning of a fire. Relatively low concentrations of carbon monoxide were also generated under non-fire conditions owing to steam, dust, etc. The response characteristics of general and analog smoke detectors from various manufacturers were analyzed to determine the possibility of linking smoke detectors installed in existing buildings. The experiments revealed that the smoke detectors showed similar reaction characteristics regardless of their manufacturer. However, those equipped with self-made carbon monoxide cross-sensing modules detected different carbon monoxide levels depending on the measurement location or method. Although using a carbon monoxide sensor is effective for distinguishing unwanted fire, additional experiments under various conditions are necessary to establish an appropriate detection range for carbon monoxide based on the response characteristics of the sensor.

      • 주유취급소 내 전기차 충전설비 설치 타당성 검토를 위한 국내⋅외 제도 분석

        김봉준(Bong-Jun Kim),신영민(Young-Min Shin),임유리(You-Ri Lim),김황진(Hwang-Jin Kim) 한국화재소방학회 2022 한국화재소방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2 No.춘계

        정부의 친환경 에너지 보급정책에 따라서 국내 전기 자동차의 보급현황은 점차 증가하고 있다. 2021년을 기준으로 친환경 차량의 등록 수는 116만대를 기록하고 있으며, 정부에서 발표한 4차 친환경자동차 기본계획에 따르면 2030년에는 785만대를 예측하고 있다. 현재 국내 자동차 산업은 친환경자동차가 점차 증가하고, 내연기관 자동차는 점차 감소하는 추세로 인하여 주유취급소에 대한 상생방안과 더불어 전기차 충전설비 확대 방안이 필요한 실정이다. 현재 일부 주유취급소에서는 전기차 충전설비를 설치하여 시범운용 중에 있으나 이는 보유공지를 여유있게 확보한 대형 주유취급소에 제한되고, 소규모 주유취급소에서는 관련 법령 및 기술기준에서 요구하는 주유구와 충전시설 간의 이격거리에 의해 장시간 주차공간이 필요한 충전설비를 적용하기에는 어렵기 때문에 관련 제도의 규제완화를 요구하고 있다. 따라서 규제완화 요구에 대해 타당성을 검토하고자 국내⋅외 관련 법령과 기술기준을 검토한 결과, 국내의 경우 위험물 안전관리법 시행규칙 제37조에 따라 주유취급소 내 전기충전설비에 대하여 고정주유설비와 최소 6m 이상 거리를 확보하여야 하며, 방폭 성능을 가진 전기기계⋅기구를 사용 할 경우에는 이격거리 내 설치할 수 있다. 미국은 NFPA 70(National Electrical code)에 따라 전기충전설비를 고정주유설비로부터 6m 이격하여 설치하도록 하고 있으며, Zone 0, 1, 2로 구분하여 방폭설비를 설치하도록 규제한다. 일본의 경우에도 소방법 제 77호에 따라 급유취급소에 급속충전설비를 설치할 때 고정급유설비로부터 전원 긴급차단장치가 있는 경우 6m, 전원 긴급차단장치가 없는 경우 11 m 이격하여 설치할 것을 명시하고 있다. 주유취급소는 휘발성이 높고 인화점이 매우 낮은 가솔린을 취급하는 장소로서 KOSHA GUIDE E-13-2012 및 ATEX, IEC 기준에 따라 가연성 증기의 체류 우려가 매우 높은 위험장소로 구분하고 있는 상태이다. 전기차의 경우 충전 중이거나 주차된 상태에서 화재발생 사례가 증가하고 있고, 최근 부산에서 발생한 전기차 화재(‘22.2.8 다니고 밴)에서는 배터리 셀에서 누출된 다량의 오프가스(Off-gas)가 공기 중에 체류하여 최대 10 m까지 화염이 분출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기 때문에 다양한 화재시나리오를 고려하여 주유취급소 내 전기충전설비 설치기준 완화요구에 대한 타당성을 검토할 예정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