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예비유아교사의 협동적 수업연구를 통한 유아과학교육 모의수업에 관한 경험연구

        이연승(Lee, Yeon-Seung),안혜정(Ahn, Hye-Jeong),임수정(Yim, Su-Jung)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8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Vol.2018 No.6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들을 대상으로 협동적 수업연구를 통한 유아과학교육 모의수업 경험을 통해 예비유아교사들이 어떠한 경험을 하며 그 교육적 의미와 효과는 무엇인지 탐색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교사양성교육에서 교수-학습방법의 패러다임의 전환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는 데 있다. 이에 예비유아교사의 협동적 수업연구를 통한 유아과학교육 모의수업에 관한 경험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결과로는 예비유아교사들이 유아과학교육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의 변화가 나타났으며 유아과학교육 관련 지식에 대한 기반을 형성하고 과학교수에 대한 긍정적인 효과를 거두는 데 도움이 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heir educational implications through Preliminary Early Childhood teachers" cooperative classroom researc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the transformation of teaching; learning paradigm in teacher edu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showed a positive perception about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And it has helped to build a foundation for knowledge about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a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science teaching.

      • KCI등재

        유아교실의 ‘이미지 단어장’에 대한 의미 탐구

        서민주(Seo Min Ju),정경수(Jung Kyoung su),임수정(Yim su jeong),임부연(Lim Boo Ye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11

        본 연구는 유아교실에서 유아들이 그려내는 ‘이미지 단어장’이 어떠한 의미로 이해되는지에 대하여 탐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총 24명의 유아들이 수업경험으로 표상한 ‘이미지 단어장’과 그 맥락이 발생할 수 있는 수업 그리고 ‘이미지 단어장’에 나타난 학부모와 교사의 텍스트를 분석하여 그 의미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유아교실에서의 ‘이미지 단어장’은 유아라는 주체와의 대화이자 교사와의 소통, 부모와의 소통 그리고 학부모와 유아교실을 연결하는 어떤 고리로서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으로 정리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중심으로 본 연구는 유아들의 탈은폐 되었던 경험의 세계를 풍부하게 드러내고자 하는 한 방편으로서 이미지에 대한 이해를 촉구하고, 이미지는 교육적 상향의 목적과의 연관성 속에서 이해하여 학습에 적극적으로 활용하여야 하며, 타자와의 관계를 회복시켜 주는 소통의 매개체로서의 역할을 인식하여야 함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ontext and meaning of communication of infants around pictorial images in ‘image vocabulary lists’ that infants draw in early childhood classroom. It has been identified that it is serving as a medium of communication with the main agent as infants, communication with teachers, communication with parents, and boding parents with early childhood classroom. This study on the communication of infants promotes understanding on images as a way of revealing the disclosed world of infants, and is expected to expand the perspectiv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parents to understand the misery of infants bett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