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회구성주의 관점에서 대학글쓰기 첨삭의 과정과 효용성 고찰: 단국대학교 학술적 글쓰기 사례를 중심으로

        임선숙(Lim Sun-Sook)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4

        대학에서 글쓰기 과목이 필수과목으로 안정적으로 운영되면서, 학생들의 글쓰기 완성도를 높이는 방법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사회구성주의 학습이론을 중심으로 효율적인 첨삭의 단계적 방법과 그 효용성에 대해서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사회구성주의는‘학습 환경’, ‘동료’, ‘교수자’와의 교류와 상호작용을 통해 지식이 구성된다고 전제하는데, 본고에서는 첨삭을 하나의 사회적 상호작용과 담화형식의 습득과정으로 보았다. 단계별로 보면, 첫 번째는 선행 예시의 모델링을 통한 자기첨삭이다. 모방과 관찰 학습을 통한모델링은 학문공동체가 추구하는 담화형식을 학습하는 데 효과적이며, 능동적인 학습자들의 자기효능감을 높이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두 번째는 토론을 통한 동료첨삭이다. 또래 집단과의 토론첨삭 과정을 통해 자기표현의 효과를 가져올 수 있으며, 타인의 글쓰기 첨삭을 통해 자신의 글을성찰적으로 바라볼 수 있다. 또 동료들의 다양한 관점에 대한 경험을 통해 자기중심적 사고에서벗어날 수 있다. 세 번째는 온오프라인을 통한 교수첨삭이다. 대면, 지면첨삭 등을 통해 학습자들이 높은 수준의 첨삭을 제공받아 글의 완성도를 높일 수 있다는 것과 교수자와의 소통을 통해신뢰도를 높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논문은 사회구성주의 이론을 적용해 효율적인 첨삭의단계를 설정하고, 그 효용성을 살펴봤다는 데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At university, writing is a universally required subject, and students’ interest in enhancing their writing is increasing. This study examined the stepwise methods and utility of efficient editing centering on the learning theory of social constructionism. Social constructionism assumes that knowledge is formed through the exchange and interaction with the learning environment,” “peers,” and “the instructor.” This study considered editing as a form of social interaction and discourse. The first step is implementing self-editing based on model examples. Modeling grounded on imitation and observational learning is effective for students’ learning of the forms of discourse that an academic community pursues and in enhancing active learners’ self-efficacy. The second step is peer editing through discussion. In the process of editing based on discussion with the peer group, it is possible to realize self-expression, and by editing others’ writing, ones can see their own writing introspectively. Moreover, experiencing peers’ points of view frees the student from self-centered thinking. The third step is on/offline instructor editing. Through face-to -face or paper-based editing, learners can receive high-quality editing of their writing, and through communication with the instructor, it is possible to enhance reliability.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has established the steps of efficient editing, as well as examined their utility, by applying learning theories.

      • KCI등재

        1950년대 여성소설에 나타난 가족주의 이데올로기 양상

        임선숙(Lim Sun-Sook)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6

        1950년대 사회적 혼란 속에서 여성 작가들에게도 전쟁으로 인한 가족 해체와 가족 재건의 문제는 중요한 화두가 되었다. 이에 본고에서는 이데올로기적인 성격을 갖는 1950년대 가족담론과 이 시기 보수화된 경향을 보이는 여성작가들의 작품에서 이런 가족주의 이데올로기 양상이 어떻게 드러나는지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1950년대 가족은 구성원들에게 생계와 생존의 최후 보루로 인식되어 도구적 역할이 강화된, 즉 공리적 가족주의 양상을 보인다. 그리고 두 가지 특징적 양상을 보이는데, 하나는 가부장적 가족주의가 강화됨에 따라 여성 희생의 이데올로기가 정당화되고, 이를 바탕으로 가족을 재건하려고 했다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여성들의 성적 일탈을 방지함으로써 가족의 해체를 막고자 했다는 것이다. 우선 박경리의 「영주와 고양이」와 손소희의 「외로운 사람들」, 「고갯길」에서 여성인물들은 남성 가장의 부재 혹은 무능이라는 결핍을 은폐하고 여성의 희생을 통해 가족을 지키는 강한 어머니상을 보여주고 있다. 한말숙의 「세탁소와 여주인」, 「어떤 죽음」과 강신재의 「향연의 기록」은 여성의 성적 일탈과 쾌락은 곧 가족의 해체와 분열로 이어질 수 있으며, 이때 여성의 삶은 비극적으로 결말 맺는다는 것을 보여준다. 여성의 희생을 통한 가족 결핍의 은폐와 쾌락적 여성을 통한 가족의 해체는 모두 혼란했던 전후, 가족의 재건을 위한 가부장적 가족주의 이데올로기라고 할 수 있다. Within the confusion of the society in the 1950’s, female writers too adopted the matter of family dissolution resulting from the war and family reconstruction as their main theme. Accordingly, this study examined family discourse and its ideologic characteristics in the 1950’s, along with how these aspects of familism are revealed in the works of female writers, which tended to be conservative then. In the 1950’s, family was regarded by its members as the ultimate redoubt of livelihood and survival, and its instrumental roles, which reflected the aspects of utilitarian familism. Moreover, it showed two particular aspects. First, with the consolidation of patriarchal familism, the ideology of women’s sacrifice was justified, and women intended to reconstruct their family grounded on this very sacrifice. Second, family dissolution was prevented by stopping women’s sexual deviation. For instance, in Park Kyung-ni’s “Youngju and the Cat, and Son So-hui’s “Lonely People” and “The Uphill Path,” female characters conceal the absence of the male head in their family or the deficiency of his incompetence, and represent the image of a strong mother protecting her family through women’s sacrifice. Similarly, Han Mal-suk’s “The Laundry and the Female Owner” and “Certain Death, and Gang Sin-jae’s “Records about the Feast” tell us that women’s sexual deviation and pleasure will soon lead to family dissolution and division, and women’s life will end tragically then. Both the concealment of family deficiency through women’s sacrifice and family dissolution resulting from hedonic women can be said to be aspects of the ideology of patriarchal familism after the war when things were confusing to reconstruct families.

      • KCI등재

        <올드보이>에 나타난 화자의 양상과 데칼코마니 구조

        임선숙 ( Lim Sun-sook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7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53

        본 논문은 초점화를 중심으로 <올드보이>의 서사구조를 분석하고 이 영화의 형식미에 대해 논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올드보이>에서는 다중 초점화가 이루진다. 이는 크게 세 개의 초점화자로 나눌 수 있는데 우선 영화 전반부는 오대수의 시선이다. 두 번째는 이우진의 시선인데, 내부 초점화자이지만 오대수의 시선과는 차별성을 갖는다. 영화에서는 내부 초점화자이지만 오대수에게 있어서는 자신을 들여다보는 외부 초점화자로서도 기능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내포작가는 이 모든 서사물을 재현하는 화자로 그 시선이 영화의 밖에 존재하므로 외부 초점화자라고 볼 수 있다. 이 영화는 `이에는 이, 눈에는 눈`이라는 데칼코마니적 복수의 서사구조를 가지고 있는데, 초점화자의 이동으로 인해 오히려 특정인을 악인으로 만드는 경계를 무화시킨다. 즉 극 초반에는 오대수의 내적 초점화로 인물행위의 동기와 미스터리를 풀고자하는 몰입감과 함께 인물에 대한 감정이입도 높아진다. 하지만 극의 중후반, 이우진으로 초점화자가 바뀌면서, 관객들은 이우진이 복수를 할 수밖에 없었던 동기를 인지하게 된다. 이런 구조는 오대수와 이우진 모두 피해자이자 동시에 가해자로서 절대악과 절대선의 경계를 허무는 효과적인 장치가 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ocalizer modality and decalcomanie structure in `Old Boy` as centered around the focalization and discuss on formative aesthetics of this movie. In 「Old Boy」, the multiple focalization is formulated. This can be divided largely into three focalizers with the front part of movie in the stare of Oh Dae-soo. Second is the stare of Lee Woo-jin as the internal focalizer, but it has the differentiation from the stare of Oh Dae-soo. In the movie, it is internal focalizer, but for Oh Dae-soo, it may be possible as the external focalizer to look into himself. Lastly, the implied author is the narrator that reproduces all narrative matters to have the view existing outside of this movie as considered for the external focalizer. This movie has the narrative structure of decalcomanie vengeance in `an eye for an eye, a tooth for a tooth`, and due to the mobility of focalizer, it rather invalidates the boundary of making a specific person into a villain. In other words, in the beginning of the script, it has heightened emotion on characters together with the sense of immersion to solve the motivation and mystery of the character in Oh Dae-soo with the internal focalization. However, from the middle part to the later part of the script, the focalizer is shifted to Lee Woo-jin to enable the audiences to realize the motivation for Lee Woo-jin to turn for revenge. This type of structure becomes the effective device to pull down the boundary of absolute evil and absolute good for Oh Dae-soo and Lee Woo-jin to be all victims as well as offenders at the same time.

      • KCI등재

        홍상수 초기 영화의 서사구조 분석 -「오! 수정」을 중심으로-

        임선숙 ( Sun Sook Lim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4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44

        영화는 조형적 서술과 언어적 서술이라는 두 가지 서술 경향을 가지고 있는 장르이다. 홍상수 영화는 이런 장르적 특징을 전제로 시간과 공간을 다양한 재현 기법을 통해 표현하고 있다. 이런 의도된 형식은 내러티브의 문제에서 더 뚜렷하게 드러나는데, 시공간을 잘게 오려붙이거나 혹은 시선에 따라 사건을 진행하거나 중심인물들을 바꾸기도 한다. 특히「오! 수정」은 ‘기억의 재생’이라는 측면에서 내적 초점화로 이루어져 있는데, 동일한 사건을 중심으로 두 남녀의 인식의 차이를 여실하게 보여주고 있다. 또 이런 형식미는 일상성의 문제와도 긴밀하게 연결된다. 홍상수는 초기 네 작품 모두에서 거의 움직이지 않는 카메라로 미화되지 않는 일상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이런 일상성은 홍상수 특유의 예리하고 냉소적인 시선으로 보여 지며, 이들은 그의 작품의 형식미와 잘 맞물려 작품을 더 돋보이게 한다. 이런 측면에서 그의 작품은 대중성 보다는 예술적 형식미로 평가되어야 온전한 작품의 의미를 이해 할 수 있다. Movies are a genre that has two different narrative tendencies: formative narration and linguistic narration. Based on the genre characteristics, Hong Sangsu`s movies express time and space using a variety of reproduction methods. This intended form is exposed more clearly in the matter of narrative, and he cuts time and space into small pieces and attaches them, develops events through a character`s perspective, or alters the main characters. In particular,「Oh! Soo-jung」is composed of internal focalization from the aspects of ‘memory regeneration’, and it realistically shows how a man and a woman think of the same event differently. And this beauty of form is closely associated with the matter of dailiness. All the four initial works of Hong Sangsu`s exhibit the aspects of dailiness that is not beatified at all with a camera that hardly moves. This dailiness is depicted through Hong Sangsu`s uniquely keen and sarcastic viewpoint, and the aspects of it highlight the works even more as well harmonized with the beauty of form of his works. In this sense, we can understand the meaning of his works more profoundly when his works are evaluat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beauty of artistic form rather than popularity.

      • KCI등재

        근대 인쇄매체에 나타난 여름 여가 연구 : 여가에 대한 이중적 인식을 중심으로

        임선숙(Lim Sun-Sook) 동남어문학회 2015 동남어문논집 Vol.1 No.39

        In the beginning of modern times, Korea faced a variety of cultural changes for such causes as the inflow of Western civilization. Under the name of ‘modernism’, many different paradigms of Western culture were produced, and one of them is the inflow of leisure with Western meaning. This did provide Chosun people with a cultural shelter and also arouse a new sort of aspiration. At that time, modern leisure culture worked as a kind of device of power, and in the center of the production and spread of this power, there were printed media. Especially, summertime leisure was less influenced by seasonal customs than leisure of the other seasons, so it faced great changes within a short period of time. Leisure culture was being settled down with modernistic aspects, but by the public, it was recognized ironically. Particularly, in the recognition of ‘subjects and others’ and ‘space’, it indicated dualistic aspects. First of all, in the matter of ‘subjects and others’, the middle-class intellects enjoying leisure were positioned as modernistic subjects as exemplary culture people, but at the same time, they were positioned as peripheral people constantly imitating and wanting the central culture. Next, in the matter of ‘space’, summertime leisure space was recognized not only as the space of desire where they could encounter new culture and enjoy modernistic fashion and amusement but also as the space of risk where excessive consumption and spoiled love and lust were unfolded. With this dualistic and ironic eye on it, summertime leisure was becoming positioned as a kind of modern culture. 근대 시기 우리나라는 서구문물의 유입 등으로 다양한 문화적 변화를 겪는다. ‘근대’라는 이름 아래 각종 서구문화의 패러다임들이 생산되었는데, 그 중 하나가 서구적 의미의 여가 유입이다. 이는 조선인들에게 문화적 도피처를 제공하면서 동시에 새로운 열망을 불러일으켰다. 당시 근대 여가문화는 하나의 권력 장치로 기능했으며, 이 권력의 생산 및 확산의 중심에는 인쇄 매체가 있었다. 특히 여름 여가는 다른 계절 여가에 비해 세시풍속의 영향을 덜 받았기 때문에 단 시간 내에 큰 변화를 겪게 된다. 여가문화는 근대적인 모습으로 정착하고 있었지만 대중들에게 모순적으로 인식되었다. 특히 ‘주체와 타자’에 대한 인식과 ‘공간’에 대한 인식에서 이중적인 모습을 보였다. 우선 ‘주체와 타자’의 문제에서, 여가를 즐기는 중산층 지식인은 모범 문화인의 전범으로 근대 주체의 위치에 있었지만, 동시에 끊임없이 중심문화를 모방하고 욕망하는 주변인으로서의 위치에 놓여있었다. 다음 ‘공간’의 문제에서, 여름 여가 공간은 새로운 문화를 접하며 근대적 패션과 유희를 즐길 수 있는 욕망의 공간이면서, 동시에 지나친 소비와 타락한 애욕이 펼쳐지는 위험한 공간으로 인식되었다. 여름 여가는 이런 이중적이고 모순적인 시선 속에서 근대 문화의 하나로 정착하게 되었다.

      • KCI등재

        은희경 소설 <아내의 상자>의 구조 분석

        임선숙(Lim Sun Sook) 동남어문학회 2018 동남어문논집 Vol.1 No.46

        본 논문은 언어가 지시어(시니피앙)인 기표와 지시대상(시니피에)인 기의로 이루어졌다는 전제 아래 작품에 내재된 기호체계와 의미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은희경 <아내의 상자>의 구조를 기호학적으로 분석했다. 특히 <아내의 상자>는 인물들이 점유하고 있는 공간이 대립적으로 구조화 되어있다. 아파트라는 일상적 내(內) 공간은 불임인 아내에게는 억압적으로 인식되는데, 이 공간에서 아내의 자아는 점점 작아지고 소멸하는 모습을 보인다. 하지만 그린파크라는 비일상적 외(外)공간은 아내가 일탈을 하는 공간으로 규격화되고 억압적인 삶에서의 탈출을 의미한다. 또 은유와 환유에 의해 서사가 수사적으로 구조화 되어있는데, ‘아내의 억압적 현실’이라는 작품 전체를 관통하는 거시적 서사가 유사성과 인접성을 바탕으로 에피소드와 소재들로 압축되어 있다. ‘강아지, 거세소년, 불임 초파리’ 등의 미시 서사는 억압 받는 아내의 현실과 불임의 이유들을 은유하고 있으며, ‘아내의 상자, 의자, 연필’ 등은 현실에서 상처받고 소멸해 가는 즉 유폐되는 아내를 환유하고 있다. 이런 장치들을 기호학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아내의 불임’이라는 다소 단선적인 스토리가 어떻게 미학적으로 승화 되었는지 살펴 볼 수 있었다. With an assumption that language consists of signifiers (signifiants) which are indicative words and the signified (signifiés) which are references, this study aims to figure out the sign system and meaning internalized in works. As a subject, this author will analyze the structure of Eun Hui-gyeong’s <The Wife s Box> semiotically. In <The Wife s Box>, the spaces that the characters occupy are structuralized contrastively. The apartment, usual inner space, is regarded to be oppressive to the infertile wife, and in this space, the wife’s ego is diminishing and becomes extinct. On the contrary, the green park, unusual outer space, is standardized as space that the wife takes for deviation, and it means escape from oppressive life. Also, through metaphor and metonymy, the narrative is structuralized rhetorically. ‘The wife’s oppressive reality’, the macroscopic narrative that penetrates into the work, is compressed with episodes and subject matters grounded on similarity and adjacency. Metaphoric narratives depict the wife’s reality and reasons for her infertility, and such things as ‘the wife s box, chair, and pencil’ form metonymic narrative that indicates the wife who gets hurt in reality and becomes extinct. By analyzing those devices semiotically, this author has been able to understand how rather a unilinear story of ‘the wife’s infertility’ is sublimated aesthetically.

      • KCI등재

        구성주의 이론을 통한 대학 명저읽기 수업 모형 연구

        임선숙(Lim Sun-Sook)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7

        근래 들어서 대학의 교양교육은 ‘글쓰기’ 위주의 커리큘럼에서 ‘읽기, 토론’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다. 독서의 목표는 주체적인 독서 활동을 통해서 텍스트를 이해하고 능동적으로 의미를 만들어가는 과정으로 볼 수있다. 하지만 읽기 교과는 텍스트에 따라 수업목표와 구성이 달라진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단국대학교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구성주의 학습이론을 통해 명저읽기의 수업 모형을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수업은 수평적 과정으로는 인지구성주의 측면에서 텍스트의 내용 이해에서 심화 읽기로 나아가는 것으로 구성했고, 수직적 과정으로는 사회구성주의 측면에서 각 단계별로 교수자, 동료 학습자와 상호작용이 될 수 있도록 구성했다. 이에 수평적단계는 ‘축어적 읽기(요약) -해석적, 평가적 읽기(발표 토론) -창의적 읽기(논제)’ 순서로 구성했고, 수직적 과정은각 단계별로 동료와 교수자와 소통할 수 있도록 구성했다. 우선 ‘축어적 읽기’ 단계에서는 인상적인 부분과 그 이유를 작성하는 과제를 통해 학생들이 독서를 하도록 유도하고 내용 이해에 대해서도 확인할 수 있었다. 두 번째는 ‘해석적 읽기와 평가적 읽기’로 이 단계에서는 소설의 내적, 외적 요소들을 중심으로 학생들이 작품을 분석해서발표함으로써 해석적, 평가적 읽기를 수행할 수 있으며, 동료 학습자와의 토론과 교수자의 평가를 통해 사고의 지평을 확장할 수 있었다. 마지막 단계는 ‘창의적 읽기’로 학생들 스스로 논제를 만들고 이에 답하는 과정을 통해서작품에 제시되지 않은 다양하고 새로운 의미를 읽어낼 수 있으며, 자신과 세계를 성찰하고 사회의 문제에 대해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사고를 기를 수 있었다. Nowadays, education for liberal arts at university is changing to emphasize reading and discussion from the previous curriculum focusing on writing . The goal of reading can be seen as the process of understanding text and producing meaning actively through independent reading activity. The subject of reading, however, may differ by text in terms of the goal or organization of the class. Here, this study is aimed to consider efficient teaching methods for masterwork reading based on constructivist theory with the cases of classes provided in Dankook University. Concerning the horizontal process, the class was organized from understanding the contents of text to reading profoundly from the perspective of cognitive constructivism, and regarding the vertical process, it was intended to realize interaction between the instructor and peer learners in each of the steps from the aspects of social constructivism.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horizontal steps were arranged as literal reading (summary)-analytical, evaluative reading (presentation & discussion)-creative reading (catechetical topics) serially, and the vertical process was organized so that the peers and instructor could communicate in each of the steps. First of all, in the step of literal reading , with an assignment for finding an impressive part and writing a reason for it, students were encouraged to read and checked for their understanding on the contents as well. The second was the step of analytical and evaluative reading which allowed students to practice analytical and evaluative reading by analyzing a work centering around its internal and external elements and then making a presentation and also extending the horizons of thinking through discussion with peer learners and evaluation by the instructor. In the last step, creative reading , students produced topics for discussion on their own and gave answers to them. Through this, they could figure out diverse and new meanings not presented in the work, meditate on themselves and the world, and improve skills to cope with problems in society flexibly as well as creatively.

      • KCI등재

        한무숙 소설의 서술기법에 대하여 : 1인칭 소설을 중심으로 Mainly on the first person narrative situation

        임선숙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어문학회 2002 이화어문논집 Vol.20 No.-

        The first person narrative situation, confessionary narrator describes the oppressed women with the self-conscious narration. At the early first person narrative situation, the narrator is a man that shows the women consistently keeping silence. And these women express their desires by indirect medium. However, as these women became a narrator, they show out their hidden, private, and secret desires directly. At the focalization point, fixed focalization is preferred, the direct or indirect distance of internal mind is formed by the narrating subject. As for the phraseology part, in some works of first person narrative situation, unofficial form such as epistolary style and verbal statement are used. Narrators lay bare their restrained desires by these self statement styles. The appearance of interior monologue and women narrator that of the latter period means that Han Moo-Sook's tragical view of the world is changing to the positive accommod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